KR101617706B1 -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706B1
KR101617706B1 KR1020160033231A KR20160033231A KR101617706B1 KR 101617706 B1 KR101617706 B1 KR 101617706B1 KR 1020160033231 A KR1020160033231 A KR 1020160033231A KR 20160033231 A KR20160033231 A KR 20160033231A KR 101617706 B1 KR101617706 B1 KR 101617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fixing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3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작물이 자라는 지면을 밟지 않고도 작물을 관리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확물이나 기타 다양한 물품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양 끝단이 지면에 삽입되어 돔의 형상을 이루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횡방향 골조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횡방향 골조를 연결하는 종방향 골조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의 내부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과, 양측에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되는 각각 두 개 이상의 로울러를 구비하여 이동하는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에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저면은 지면에 안착되고 중앙은 횡방향 골조가 관통하며 지면과 밀착하는 침하방지판과, 상기 침하방지판이 장착된 상부에 일측은 상기 횡방향 골조에 고정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레일이 고정되는 고정바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는 전방과 후방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사이를 일정간격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면을 덮는 상판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저면에 중앙이 고정되고 양측이 수직 하부로 절곡되는 로울러 브라켓의 전방과 후방 내측에 장착되는 로울러를 구비하여 좌우 대칭으로 각각 제1 및 제2 대차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대차는 상호 마주보는 측면이 상호 밀착하도록 하고, 상호 밀착하는 면 전방과 후방 끝단에는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고정핀과 고정핀홀을 구비하며, 일측은 토글클램프가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토글클램프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훅을 포함하는 전후 2개소 이상의 대차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 대차 중 하나의 전방과 후방 상면과 수직 절곡되어 정면 또는 배면에 일측이 고정된 후 수평 연장되어 다른 제1 또는 제2 대차의 상면과 정면 또는 배면에 밀착되는 결합가이드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대차의 상호 결합되는 면과 인접한 하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로울러에 전달하도록 하며 탄성복원력을 가진 두 개의 링의 형상을 가지고 외경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을 가지는 플렉시블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연결축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장착되어 통과하는 연결축이 관통하도록 하는 베어링과, 상기 모터가 장착되지 않은 제1 또는 제2 대차의 구동축과 연결축을 연결하는 죠 커플링을 구비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The management and carrying device for a farm products in green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작물이 자라는 지면을 밟지 않고도 작물을 관리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확물이나 기타 다양한 물품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제철 산과 들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나는 나물이나 일부 농사하는 밭작물이 식탁에 오르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제철이 아닌 농산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또는 국내의 기후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각종 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로 대표되는 시설재배 농가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비닐하우스의 경우 한정된 공간에서 작물을 재배하고 관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자 및 작물이나 농기구 및 비료 등을 운반할 수 있는 손수레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필수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부추, 파, 삼채 등의 다양한 작물은 비닐하우스에서 밀식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재배하는 과정에서 솎아주기 잡초제거 등의 관리작업이 필요할 경우 접근을 위해 중간에 고랑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들어갈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랑을 형성하는 것은 재배 면적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에 농작물의 운반이 용이할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 천정에 와이어 또는 파이프 혹은 레일을 깔고 여기에 작물을 운반하는 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를 견고하게 설치해야하므로 시설비가 증가하고 한 명의 작업자가 아닌 여러 명이 탑승하기에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발명특허등록공고 제10-1234976호에서는 작업자를 탑승한 상태로 작물의 재배지를 따라 작업자 발로 밀고 당겨 이동하면서 농작물의 관리를 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내부 작업용 대차를 제안하였으나 작업자 발에 의한 작물의 손상우려가 있으며, 일측의 바퀴 두 개는 측 방향에 타측은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신체가 앞으로 쏠릴 경우 후방의 이송바퀴가 들리거나 심하면 레일을 이탈할 수 있는 구조로 구조적인 안정성이 떨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47804호 비니하우스 내부 작업용 대차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수확한 농작물을 적재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작업자가 대차의 가장자리에 탑승한 상태로 재배구역 전체적 관리 및 농작물 수확이 불가능하고, 탑승한 부분으로 인한 재배 공간의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7-0061045호 (1997년09월12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48068-0000호 (2004년04월07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34976-0000호 (2013년02월13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50770-0000호 (2013년03월29일)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47804호 (2014년04월23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98436-0000호 (2016년02월23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닐하우스의 내부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의 지면과 상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탑승하여 모터에 의하여 작물을 밟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농작물의 관리 및 수확 그리고 수확된 농작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대차의 진행 방향뿐만 아니라 진행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 끝단이 지면에 삽입되어 돔의 형상을 이루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횡방향 골조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횡방향 골조를 연결하는 종방향 골조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의 내부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과, 양측에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되는 각각 두 개 이상의 로울러를 구비하여 이동하는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에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저면은 지면에 안착되고 중앙은 횡방향 골조가 관통하며 지면과 밀착하는 침하방지판과, 상기 침하방지판이 장착된 상부에 일측은 상기 횡방향 골조에 고정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레일이 고정되는 고정바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는 전방과 후방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사이를 일정간격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면을 덮는 상판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저면에 중앙이 고정되고 양측이 수직 하부로 절곡되는 로울러 브라켓의 전방과 후방 내측에 장착되는 로울러를 구비하여 좌우 대칭으로 각각 제1 및 제2 대차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대차는 상호 마주보는 측면이 상호 밀착하도록 하고, 상호 밀착하는 면 전방과 후방 끝단에는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고정핀과 고정핀홀을 구비하며, 일측은 토글클램프가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토글클램프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훅을 포함하는 전후 2개소 이상의 대차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 대차 중 하나의 전방과 후방 상면과 수직 절곡되어 정면 또는 배면에 일측이 고정된 후 수평 연장되어 다른 제1 또는 제2 대차의 상면과 정면 또는 배면에 밀착되는 결합가이드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대차의 상호 결합되는 면과 인접한 하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로울러에 전달하도록 하며 탄성복원력을 가진 두 개의 링의 형상을 가지고 외경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을 가지는 플렉시블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연결축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장착되어 통과하는 연결축이 관통하도록 하는 베어링과, 상기 모터가 장착되지 않은 제1 또는 제2 대차의 구동축과 연결축을 연결하는 죠 커플링을 구비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침하방지판은 중앙에 관통한 횡방향 골조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하는 밴딩부와, 하단과 일측이 상기 침하방지판의 상변과 밴딩부에 고정되어 입설되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하방지판이 장착된 상부에 일측은 상기 횡방향 골조에 고정되고 타측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판넬 형상을 이루며 상단에는 전후 방향의 힌지축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바는 상기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 하향 절곡되어 하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볼트가 장착되며, 타측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장홀을 구비하며;
상부는 레일이 고정되고 하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바가 삽입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가이드장홀과 결합되는 고정볼트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가이드브라켓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대차의 상면 전방과 후방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을 구비하고;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저면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안착되는 두 개의 가이드로울러와,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로울러는 전방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고 후방에 위치한 가이드로울러는 후방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단턱과, 상면 후방에 수직 입설되는 등받이와, 정면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된 후 전방으로 절곡 수평 연장되는 발받침대을 구비하는 보조대차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삽입되는 횡방향 골조의 끝단이 하중에 의하여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양측의 측면레일에 안착하여 이동하도록 하면서 하나의 모터로 양측 로울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자동으로 운행이 가능하여 작물의 관리와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 내 작업통로의 일측에 형성된 농작물 재배지에서 관리 및 수확을 마친 작업자는 다른 측 작업을 위해 대차의 진행방향과 수직되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보조대차를 추가로 구비하여 한 명의 작업자가 보다 넓은 폭을 처리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차의 동력전달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2 대차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죠 커플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조절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차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대차의 움직임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차의 동력전달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2 대차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죠 커플링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양 끝단이 지면에 삽입되어 돔의 형상을 이루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횡방향 골조(11)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횡방향 골조(11)를 연결하는 종방향 골조(12)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1)의 내부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21)과, 양측에 상기 레일(21)의 상부에 안착되는 각각 두 개 이상의 로울러(23)를 구비하여 이동하는 대차(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1)에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저면은 지면에 안착되고 중앙은 횡방향 골조(11)가 관통하며 지면과 밀착하는 침하방지판(13)과, 상기 침하방지판(13)이 장착된 상부에 일측은 상기 횡방향 골조(11)에 고정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레일(21)이 고정되는 고정바(14)를 구비한다.
먼저 본원은 비닐하우스(1)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대차(2)를 구비하는 것으로 대차(2)의 하중과 작업자 및 작물 등의 하중은 레일(21)을 통하여 횡방향 골조(11)에 작용하게 되므로 하중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하방지판(13)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러한 침하방지판(13)의 용이한 장착 및 내구성을 위한 구조로 상기 침하방지판(13)은 중앙에 관통한 횡방향 골조(11)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하는 밴딩부(131)와, 하단과 일측이 상기 침하방지판(13)의 상변과 밴딩부(131)에 고정되어 입설되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13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대차(2)는 전방과 후방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221)과, 상기 메인프레임(221)의 사이를 일정간격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222)과, 상기 메인프레임(221)과 연결프레임(222)으로 이루어진 상면을 덮는 상판(223)을 포함하는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일측 저면에 중앙이 고정되고 양측이 수직 하부로 절곡되는 로울러 브라켓(231)의 전방과 후방 내측에 장착되는 로울러(23)를 구비하여 좌우 대칭으로 각각 제1 및 제2 대차(2a, 2b)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대차(2a, 2b)는 상호 마주보는 측면이 상호 밀착하도록 하고, 상호 밀착하는 면 전방과 후방 끝단에는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고정핀(241)과 고정핀홀(242)을 구비하며, 일측은 토글클램프(243)가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토글클램프(243)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훅(244)을 포함하는 전후 2개소 이상의 대차결합부(24)와, 상기 제1 및 제2 대차(2a, 2b) 중 하나의 전방과 후방 상면과 수직 절곡되어 정면 또는 배면에 일측이 고정된 후 수평 연장되어 다른 제1 또는 제2 대차(2a, 2b)의 상면과 정면 또는 배면에 밀착되는 결합가이드(245)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대차(2a, 2b)에 의하여 분리되는 구성이 아닌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은 보다 간단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으나 대차(2)의 경우 현장에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제작소에서 제작되어 운반하도록 하는 것으로 운반과정에서 긴 길이에 의하여 필요 이상으로 적재량이 큰 트럭에 의하여 운반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하나의 대차로 여러 동의 비닐하우스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이동할 경우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대차(2)를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 대차(2a, 2b)의 상호 결합되는 면과 인접한 하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251)을 회전시키는 모터(252)와, 상기 구동축(251)의 회전을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로울러(23)에 전달하도록 하며 탄성복원력을 가진 두 개의 링의 형상을 가지고 외경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을 가지는 플렉시블 조인트(253)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연결축(254)과, 상기 연결프레임(222)에 장착되어 통과하는 연결축(254)이 관통하도록 하는 베어링(255)과, 상기 모터(252)가 장착되지 않은 제1 또는 제2 대차(2a, 2b)의 구동축(251)과 연결축(254)을 연결하는 죠 커플링(256)을 구비하는 구동장치(25)를 구비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이때 본원의 플렉시블 조인트(253)와 죠 커플링(256)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기성품이 적용되며, 대차(2)를 제1 및 제2 대차(2a, 2b)로 분리할 때 구동장치(25)도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위하여 죠 커플링(256)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이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원의 적용되는 비닐하우스(1)의 특성상 내부의 레일(21)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하중에 의한 저항이 크지 않아 비교적 적은 동력으로도 대차(2)의 이동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조절부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침하방지판(13)이 장착된 상부에 일측은 상기 횡방향 골조(11)에 고정되고 타측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판넬 형상을 이루며 상단에는 전후 방향의 힌지축(141)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14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바(14)는 상기 힌지축(14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 하향 절곡되어 하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볼트(143)가 장착되며, 타측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장홀(144)을 구비하며;
상부는 레일(21)이 고정되고 하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바(14)가 삽입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가이드장홀(144)과 결합되는 고정볼트(145)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가이드브라켓(146)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가이드브라켓(146)이 가이드장홀(144)을 따라 위치 변도잉 가능하여 대차(2)의 좌우 폭에 따른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축(141)에 의하여 고정바(14)가 회전하면서 상하 위치까지 조절되는 것으로 고정바(14)의 조절볼트(143)의 조임에 따라 끝단이 고정브라켓(142)에 밀착되어 조절된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차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대차의 움직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원은 대차(2)의 이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작물의 관리 및 수확이 가능한 기본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탑승한 작업자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작물을 수확하고자 할 경우에 대차(2) 위에서 작업자가 직업 이동해야 한다.
하지만 본원은 상기 대차(2)의 상면 전방과 후방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224)을 구비하고;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저면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224)에 안착되는 두 개의 가이드로울러(261)와,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로울러(261)는 전방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고 후방에 위치한 가이드로울러(261)는 후방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단턱(262)과, 상면 후방에 수직 입설되는 등받이(263)와, 정면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된 후 전방으로 절곡 수평 연장되는 발받침대(264)을 구비하는 보조대차(26)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작업자는 보조대차(26)에 앉아서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은 가이드로울러(161)에 의하여 작은 힘으로도 보조대차(26)가 이동하게 되어 보다 편하게 작업자의 좌우 작업 반경을 넓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대차(26) 이외에 농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넓은 판 형의 농산물 적재부(27)를 두어 작업자는 보조대차(26)를 좌우로 이동하면서 수확한 농산물을 인접한 농산물 적재부(27)에 적재하도록 하면 손쉬운 작물의 관리 및 운반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농산물 적재부(27)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1 : 비닐하우스
11 : 횡방향 골조 12 : 종방향 골조
13 : 침하방지판
131 : 밴딩부 132 : 보강리브
14 :고정바
141 : 고정브라켓 142 : 힌지축
143 : 조절볼트 144 : 가이드장홀
145 : 고정볼트 146 : 가이드브라켓
2 : 대차
2a : 제1 대차 2b : 제2 대차
21 : 레일
22 : 몸체
221 : 메인프레임 222 : 연결프레임
223 : 상판 224 : 가이드프레임
23 : 로울러
231 : 로울러 브라켓
24 : 대차결합부
241 : 고정핀 242 : 고정핀홀
243 : 토글클램프 244 : 고정훅
245 : 결합가이드
25 : 구동장치
251 : 구종축 252 : 모터
253 : 플렉시블 조인트 254 : 연결축
255 : 베어링 256 : 죠 커플링
26 : 보조대차
261 : 가이드로울러 262 : 이탈방지단턱
263 : 등받이 264 : 발받침대
27 : 농산물 적재부

Claims (4)

  1. 양 끝단이 지면에 삽입되어 돔의 형상을 이루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횡방향 골조(11)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횡방향 골조(11)를 연결하는 종방향 골조(12)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1)의 내부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21)과, 양측에 상기 레일(21)의 상부에 안착되는 각각 두 개 이상의 로울러(23)를 구비하여 이동하는 대차(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1)에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저면은 지면에 안착되고 중앙은 횡방향 골조(11)가 관통하며 지면과 밀착하는 침하방지판(13)과, 상기 침하방지판(13)이 장착된 상부에 일측은 상기 횡방향 골조(11)에 고정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레일(21)이 고정되는 고정바(14)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2)는 전방과 후방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221)과, 상기 메인프레임(221)의 사이를 일정간격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222)과, 상기 메인프레임(221)과 연결프레임(222)으로 이루어진 상면을 덮는 상판(223)을 포함하는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일측 저면에 중앙이 고정되고 양측이 수직 하부로 절곡되는 로울러 브라켓(231)의 전방과 후방 내측에 장착되는 로울러(23)를 구비하여 좌우 대칭으로 각각 제1 및 제2 대차(2a, 2b)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대차(2a, 2b)는 상호 마주보는 측면이 상호 밀착하도록 하고, 상호 밀착하는 면 전방과 후방 끝단에는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고정핀(241)과 고정핀홀(242)을 구비하며, 일측은 토글클램프(243)가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토글클램프(243)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훅(244)을 포함하는 전후 2개소 이상의 대차결합부(24)와, 상기 제1 및 제2 대차(2a, 2b) 중 하나의 전방과 후방 상면과 수직 절곡되어 정면 또는 배면에 일측이 고정된 후 수평 연장되어 다른 제1 또는 제2 대차(2a, 2b)의 상면과 정면 또는 배면에 밀착되는 결합가이드(245)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대차(2a, 2b)의 상호 결합되는 면과 인접한 하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251)을 회전시키는 모터(252)와, 상기 구동축(251)의 회전을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로울러(23)에 전달하도록 하며 탄성복원력을 가진 두 개의 링의 형상을 가지고 외경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을 가지는 플렉시블 조인트(253)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연결축(254)과, 상기 연결프레임(222)에 장착되어 통과하는 연결축(254)이 관통하도록 하는 베어링(255)과, 상기 모터(252)가 장착되지 않은 제1 또는 제2 대차(2a, 2b)의 구동축(251)과 연결축(254)을 연결하는 죠 커플링(256)을 구비하는 구동장치(2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방지판(13)은 중앙에 관통한 횡방향 골조(11)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하는 밴딩부(131)와, 하단과 일측이 상기 침하방지판(13)의 상변과 밴딩부(131)에 고정되어 입설되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13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방지판(13)이 장착된 상부에 일측은 상기 횡방향 골조(11)에 고정되고 타측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판넬 형상을 이루며 상단에는 전후 방향의 힌지축(141)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14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바(14)는 상기 힌지축(14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 하향 절곡되어 하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볼트(143)가 장착되며, 타측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장홀(144)을 구비하며;
    상부는 레일(21)이 고정되고 하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바(14)가 삽입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가이드장홀(144)과 결합되는 고정볼트(145)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가이드브라켓(146)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2)의 상면 전방과 후방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224)을 구비하고;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저면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224)에 안착되는 두 개의 가이드로울러(261)와,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로울러(261)는 전방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고 후방에 위치한 가이드로울러(261)는 후방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단턱(262)과, 상면 후방에 수직 입설되는 등받이(263)와, 정면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된 후 전방으로 절곡 수평 연장되는 발받침대(264)을 구비하는 보조대차(26)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KR1020160033231A 2016-03-21 2016-03-21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KR101617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31A KR101617706B1 (ko) 2016-03-21 2016-03-21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31A KR101617706B1 (ko) 2016-03-21 2016-03-21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706B1 true KR101617706B1 (ko) 2016-05-03

Family

ID=5602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231A KR101617706B1 (ko) 2016-03-21 2016-03-21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70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126U (ko) 2016-07-01 2018-01-10 이준엽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KR20180012139A (ko) * 2016-07-26 2018-02-05 배기웅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KR20180043985A (ko)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비닐하우스 작업용 대차
KR101930202B1 (ko) 2018-03-20 2019-03-14 이유기 비닐하우스의 작업용 대차
CN109479457A (zh) * 2018-12-26 2019-03-19 潘碧琼 一种果蔬大棚用播种装置
KR20190059340A (ko) * 2017-11-22 2019-05-31 연해정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농기계 자동견인대차용 연결암
KR20230010304A (ko) 2021-07-12 2023-01-1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이송경로 전환구조를 갖는 하우스용 운반대차의 이송 가이드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11B1 (ko) 2007-07-06 2008-12-08 하영근 비닐하우스 작업장치
JP2011130756A (ja) 2009-12-24 2011-07-07 Katsuhiro Nozawa ビニールハウス内運搬器具。
KR101250770B1 (ko) 2012-04-17 2013-04-09 임대영 화훼단지용 비닐 하우스에 설치되는 운반 장치
KR101598436B1 (ko) 2015-12-10 2016-02-29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11B1 (ko) 2007-07-06 2008-12-08 하영근 비닐하우스 작업장치
JP2011130756A (ja) 2009-12-24 2011-07-07 Katsuhiro Nozawa ビニールハウス内運搬器具。
KR101250770B1 (ko) 2012-04-17 2013-04-09 임대영 화훼단지용 비닐 하우스에 설치되는 운반 장치
KR101598436B1 (ko) 2015-12-10 2016-02-29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126U (ko) 2016-07-01 2018-01-10 이준엽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KR20180012139A (ko) * 2016-07-26 2018-02-05 배기웅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KR101941272B1 (ko) 2016-07-26 2019-01-23 오종찬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KR20180043985A (ko)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비닐하우스 작업용 대차
KR101934870B1 (ko) * 2016-10-21 2019-04-05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비닐하우스 작업용 대차
KR20190059340A (ko) * 2017-11-22 2019-05-31 연해정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농기계 자동견인대차용 연결암
KR102105925B1 (ko) 2017-11-22 2020-06-01 연해정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농기계 자동견인대차용 연결암
KR101930202B1 (ko) 2018-03-20 2019-03-14 이유기 비닐하우스의 작업용 대차
CN109479457A (zh) * 2018-12-26 2019-03-19 潘碧琼 一种果蔬大棚用播种装置
KR20230010304A (ko) 2021-07-12 2023-01-1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이송경로 전환구조를 갖는 하우스용 운반대차의 이송 가이드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706B1 (ko)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KR101598436B1 (ko)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KR101250770B1 (ko) 화훼단지용 비닐 하우스에 설치되는 운반 장치
KR101483391B1 (ko)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JP2004097166A (ja) 農業用温室の簡易搬送装置
KR20180000126U (ko)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KR101809043B1 (ko)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
KR101934870B1 (ko) 비닐하우스 작업용 대차
JP2003143972A (ja) ハウス内農作物栽培における農作業の自動化装置
JP4861728B2 (ja) 栽培ベンチ循環型栽培システムおよび栽培装置
JP3165420U (ja) 農作物ハウス簡易型散布装置
JP5221229B2 (ja) ハウス用栽培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ビニルハウス構造
JP3167359U (ja) 圃場搬送ブリッジ及びこのレールの上を安定して走行可能なタイヤを具備する圃場搬送台車、並びに両者で構成された圃場搬送システム
KR102611490B1 (ko) 이송경로 전환구조를 갖는 하우스용 운반대차의 이송 가이드 구조체
KR20110041828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200263899Y1 (ko) 비닐 하우스용 농산물 운반수레
KR20170054005A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고설 식물재배 베드 지지장치
KR101707857B1 (ko) 비닐하우스 작업용 운반장치
KR20200099871A (ko) 수확물 이송 장치
KR101386705B1 (ko)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JPH0256048B2 (ko)
JPH078013A (ja) 農作業方法及び農用作業台車
KR200495344Y1 (ko) 비닐하우스 이동장치용 레일 시스템
JP2017163856A (ja) 圃場内利用ローラコンベア支持枕木
KR101272579B1 (ko) 단일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