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272B1 -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1272B1 KR101941272B1 KR1020160095019A KR20160095019A KR101941272B1 KR 101941272 B1 KR101941272 B1 KR 101941272B1 KR 1020160095019 A KR1020160095019 A KR 1020160095019A KR 20160095019 A KR20160095019 A KR 20160095019A KR 101941272 B1 KR101941272 B1 KR 101941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conveying device
- frame
- section
- harves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수확물을 운반하는 운반장치의 수평부재에 탈착되는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로서,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는, 바디(100) 및 암(20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00)는, 평행하는 두 개의 횡축프레임(112) 사이를 중앙부 내측에서 연결하는 종축프레임(114) 및 상기 횡축프레임(112)의 중앙부 외측에 연결하는 사각형상의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을 포함하는 바디(100)프레임; 상기 종축프레임(114) 및 상기 횡축프레임(112)과 연결되어 상기 종축프레임(114)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하측이 개방되며 4면 중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수확물배출구(120); 상기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의 하부에 연결되는 경사조절부(130); 상기 경사조절부(130)의 하부에 상기 운반장치의 상기 수평부재에 탈착되도록 상기 수평부재의 단면형상과 동일하되 하부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탈착부(140); 및 상기 수확물배출구(120) 사각통의 개방된 일측에 연결되는 암연결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암(200)은, 상기 암연결부(150)와 연결되고 상기 수확물배출구(120)의 개방된 일측면에서 횡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연결되되,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암(210); 및 상기 제1암(210)과 연결되며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2암(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측방향에서 곧바로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로 수확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종래 종방향 운반수단이 이랑을 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농작물의 상해로 인한 수확량이나 품질 저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측방향의 수확물 이동이 가능한 점에서 측면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수확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랑을 넘나들지 않고도 측면에서 곧바로 운반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노동력 및 노동시간 등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에 탈착부를 통해 간편하게 탈착이 가능한바 필요한 시기에만 부착하여 사용하고, 이탈시켜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넷째,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암을 절첩할 수 있어, 필요 빈도수가 높은 경우 본 발명을 상기 운반장치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에 효율성을 더할 수 있다.
다섯째,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암을 상기 운반장치의 양측에 부착할 수도 있고, 일측에만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필요한 부분만 사용 할 수 있어 편의성, 작업 효율성 등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암을 상기 운반장치에 일측에만 부착하는 경우, 무게중심이 상기 암을 부착한 쪽으로 형성되면서 기울어지게 되어 수확물이 상기 운반장치로 이동되는 기울기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일측에만 부착하더라도 경사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수확물을 상기 암의 말단에 두더라도 경사를 통해 상기 운반장치로 굴러 갈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측방향에서 곧바로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로 수확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종래 종방향 운반수단이 이랑을 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농작물의 상해로 인한 수확량이나 품질 저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측방향의 수확물 이동이 가능한 점에서 측면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수확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랑을 넘나들지 않고도 측면에서 곧바로 운반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노동력 및 노동시간 등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에 탈착부를 통해 간편하게 탈착이 가능한바 필요한 시기에만 부착하여 사용하고, 이탈시켜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넷째,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암을 절첩할 수 있어, 필요 빈도수가 높은 경우 본 발명을 상기 운반장치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에 효율성을 더할 수 있다.
다섯째,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암을 상기 운반장치의 양측에 부착할 수도 있고, 일측에만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필요한 부분만 사용 할 수 있어 편의성, 작업 효율성 등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암을 상기 운반장치에 일측에만 부착하는 경우, 무게중심이 상기 암을 부착한 쪽으로 형성되면서 기울어지게 되어 수확물이 상기 운반장치로 이동되는 기울기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일측에만 부착하더라도 경사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수확물을 상기 암의 말단에 두더라도 경사를 통해 상기 운반장치로 굴러 갈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 운반장치에 연결되어 일측에만 연결되더라도 경사 조절이 가능하여, 수확물을 측면수확기 말단에 놓아도 운반장치의 수확물바구니로 굴러 담겨질 수 있는 경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온실)라 함은, 내부의 보온을 통해 작물의 성장에 적당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동절기는 물론 하절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비닐하우스는, 지면에 종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열로 세워지는 활형상의 골조(이하, "활형골조"라 칭함)들과, 이 활형골조들의 상부 또는 측부를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방향 직선골조(이하, "종형골조"라 칭함), 및 상기 활형,종형골조들을 덮어 내부를 보온하기 위하여 활형 및 종형골조들 덮는 비닐커버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닐하우스는, 간단히 저가로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냉기의 차단력이 우수한 비닐커버를 이용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충분한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대부분의 농가에서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업체류, 근체류, 과채류, 화훼류, 과수류 등과 같은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한편, 운반장치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농업 등의 각종 생산 현장에서 농작물이나, 관련 자재들의 운반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운반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외발 운반 수단의 경우 운반물을 적재하여 좌우 균형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는 반면, 어느 정도 숙련된 작업자에 의할 경우 농업 현장의 불규칙적인 표면이나, 좁은 길을 이동하는데 매우 적합한 장점이 있어 대부분의 농가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는 운반 수단이다. 그러나 이러한 외발 운반 수단은 주행 시와 같이 속도가 붙은 상태에서는 좌우 균형 유지가 용이하나, 주행 속도가 떨어지거나,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위해 정지시킬 시에는 균형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바퀴가 여러 개인 운반 수단의 경우에는 논밭의 고랑 사이를 운전하거나, 비닐하우스와 같이 좁은 공간에 적용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비닐하우스의 상부 파이프를 이용하는 종방향 운반수단을 제안하기에 이르렀으나, 이러한 운반수단의 경우 하나의 고랑에서만 전후로 이동할 수 있고, 측방향의 이동은 어려웠다. 따라서 측방향에서는 이랑을 넘어야 상기 운반수단을 이용할 수 있고, 이랑을 넘는 과정에서 과일 순 등 재배중인 농산물을 상하게 할 수 있어, 수확량이나 품질 저하의 염려가 있었다.
또한, 수확된 수확물의 이동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측면이동이 필수적이어서 이동과정에서 수확물이 손상되어 품질 저하가 발생되고 이는 결국 경제적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의한 종방향 운반수단에 연결하여 측면에서 수확되는 수확물을 용이하게 운반장치로 이송할 수 있는 측면 수확기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 종방향 운반수단은 하나의 고랑에서만 전후로 이동할 수 있고, 측방향의 이동은 어려움이 있어 측방향에서는 이랑을 넘어야 상기 운반수단을 이용할 수 있고, 이랑을 넘는 과정에서 과일 순 등 재배중인 농산물을 상하게 할 수 있어, 수확량이나 품질 저하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바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수확된 수확물의 이동에 있어서 종래에는 측면이동이 필수적인 점에 비추어 이러한 측면이동과정에서 수확물의 손상으로 품질 저하와 이에 따른 경제적 효율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측면에서 수확되는 수확물을 용이하게 운반수단으로 이송할 수 있는 측면수확기를 필요성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는,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수확물을 운반하는 운반장치의 수평부재에 탈착되는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로서,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는, 바디 및 암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평행하는 두 개의 횡축프레임 사이를 중앙부 내측에서 연결하는 종축프레임 및 상기 횡축프레임의 중앙부 외측에 연결하는 사각형상의 경사조절부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디프레임; 상기 종축프레임 및 상기 횡축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종축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하측이 개방되며 4면 중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수확물배출구; 상기 경사조절부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는 경사조절부; 상기 경사조절부의 하부에 상기 운반장치의 상기 수평부재에 탈착되도록 상기 수평부재의 단면형상과 동일하되 하부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탈착부; 및 상기 수확물배출구 사각통의 개방된 일측에 연결되는 암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은, 상기 암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확물배출구의 개방된 일측면에서 횡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연결되되,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암; 및 상기 제1암과 연결되며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2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확물배출구는, 상기 사각통 형상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하부를 개폐하도록 회동하는 개폐플레이트; 및 상기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바디프레임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경사조절부프레임의 종축으로 형성된 두개의 프레임에 횡축방향으로 연결되고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조절부하우징; 상기 조절부하우징의 ∩형상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하우징 중앙부에서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부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도록 형성된 조절부본체; 및 상기 조절부본체의 양단부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조절부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관통하고, 두부는 상기 조절부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본체의 중앙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하되 하방향측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가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연결부는, 상기 수확물배출구의 개방된 사각통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각통의 전면과 후면이 횡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되, 상부는 하방향으로 경사지며, 단부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부위의 단부측과 돌출부위 사이에 홈을 형성하는 걸이대; 상기 걸이대와 상기 수확물배출구 간 연결부위의 하단부에 상기 걸이대 양측을 가로질러 종축방향으로 연결되는 지지바; 및 상기 걸이대 단부의 외측과 상기 횡축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되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텐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암은, 일단의 저면이 측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형성되는 일단부측의 양측면에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걸이로드; 타단부 측면에 상기 제2암이 회동하도록 고정하는 고정핀; 상기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제1암의 저면에 상기 제1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버팀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에 삽입되는 길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양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I 형상을 하는 버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측방향에서 곧바로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로 수확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종래 종방향 운반수단이 이랑을 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농작물의 상해로 인한 수확량이나 품질 저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측방향의 수확물 이동이 가능한 점에서 측면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수확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랑을 넘나들지 않고도 측면에서 곧바로 운반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노동력 및 노동시간 등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에 탈착부를 통해 간편하게 탈착이 가능한바 필요한 시기에만 부착하여 사용하고, 이탈시켜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넷째,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암을 절첩할 수 있어, 필요 빈도수가 높은 경우 본 발명을 상기 운반장치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에 효율성을 더할 수 있다.
다섯째,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암을 상기 운반장치의 양측에 부착할 수도 있고, 일측에만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필요한 부분만 사용 할 수 있어 편의성, 작업 효율성 등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암을 상기 운반장치에 일측에만 부착하는 경우, 무게중심이 상기 암을 부착한 쪽으로 형성되면서 기울어지게 되어 수확물이 상기 운반장치로 이동되는 기울기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일측에만 부착하더라도 경사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수확물을 상기 암의 말단에 두더라도 경사를 통해 상기 운반장치로 굴러 갈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를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암을 일측에만 연결한 경우를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를 간략히 도시한 저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바디를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바디를 간략히 도시한 저면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경사조절부 및 탈착부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암을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암을 간략히 도시한 저면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제2암이 접힌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제1암 및 제2암이 접힌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암을 일측에만 연결한 경우를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를 간략히 도시한 저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바디를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바디를 간략히 도시한 저면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경사조절부 및 탈착부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암을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암을 간략히 도시한 저면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제2암이 접힌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제1암 및 제2암이 접힌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경기술에 있어서, 비닐하우스의 종방향 운반수단은 하나의 고랑에서만 전후로 이동할 수 있고, 측방향의 이동은 어려움이 있어 측방향에서는 이랑을 넘어야 상기 운반수단을 이용할 수 있고, 이랑을 넘는 과정에서 과일 순 등 재배중인 농산물을 상하게 할 수 있어, 수확량이나 품질 저하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수확된 수확물의 이동에 있어서 종래에는 측면이동이 필수적인 점에 비추어 이러한 측면이동과정에서 수확물의 손상으로 품질 저하와 이에 따른 경제적 효율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따라서, 측면에서 수확되는 수확물을 용이하게 운반수단으로 이송할 수 있는 측면수확기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시되었는 바, 아래에서 그 구성별로 자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를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암을 일측에만 연결한 경우를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를 간략히 도시한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바디를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바디를 간략히 도시한 저면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경사조절부 및 탈착부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암을 간략히 도시한 상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암을 간략히 도시한 저면부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제2암이 접힌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에 있어서 제1암 및 제2암이 접힌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로써 함께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는,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수확물을 운반하는 운반장치의 수평부재에 탈착되는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로서,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는, 바디(100) 및 암(20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00)는, 평행하는 두 개의 횡축프레임(112) 사이를 중앙부 내측에서 연결하는 종축프레임(114) 및 상기 횡축프레임(112)의 중앙부 외측에 연결하는 사각형상의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을 포함하는 바디(100)프레임; 상기 종축프레임(114) 및 상기 횡축프레임(112)과 연결되어 상기 종축프레임(114)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하측이 개방되며 4면 중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수확물배출구(120); 상기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의 하부에 연결되는 경사조절부(130); 상기 경사조절부(130)의 하부에 상기 운반장치의 상기 수평부재에 탈착되도록 상기 수평부재의 단면형상과 동일하되 하부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탈착부(140); 및 상기 수확물배출구(120) 사각통의 개방된 일측에 연결되는 암연결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암(200)은, 상기 암연결부(150)와 연결되고 상기 수확물배출구(120)의 개방된 일측면에서 횡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연결되되,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암(210); 및 상기 제1암(210)과 연결되며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2암(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100)는, 양 측면 또는 일측면에 암(200)을 연결하며,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에 연결되어 측면의 암(200)을 지탱하는 역할과 상기 암(200)을 따라 내려온 수확물이 상기 운반장치에 적재된 수확바구니에 손상없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바디(100)는 바디(100)프레임, 수확물배출구(120), 경사조절부(130), 탈착부(140), 및 암연결부(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100)프레임은, 상기 바디(100)의 뼈대를 이루는 역할을 수행하며, 비닐하우스의 횡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두 개의 평행한 횡축프레임(112)과, 평행하는 두 개의 상기 횡축프레임(112) 사이를 중앙부 내측에서 연결하는 종축프레임(114) 및 상기 횡축프레임(112)의 중앙부 외측에 연결하는 사각형상의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확물배출구(120)는, 상기 바디(100)의 측면에 연결된 상기 암(200)에 작업자가 과일 등 수확물을 두게 되면 상기 암(200)의 경사를 따라 상기 바디(100)로 내려가고, 이러한 수확물을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에 놓여진 수확물 바구니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확물배출구(120)는, 상기 종축프레임(114) 및 상기 횡축프레임(112)과 연결되어 상기 종축프레임(114)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하측이 개방되며 4면 중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100)프레임의 상기 종축프레임(114)과 상기 횡축프레임(1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종축프레임(114)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배치되어 좌측의 암(200)과 연결되는 좌측의 상기 수확물배출구(120)와 우측의 암(200)과 연결되는 우측의 상기 수확물배출구(120) 두 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확물배출구(120)는 사각통 형상을 세워둔 형상으로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되고, 또한 4개 측면 중 상기 암(200)과 연결되는 일측면도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확물배출구(120)는, 상기 사각통 형상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하부를 개폐하도록 회동하는 개폐플레이트(122); 및 상기 개폐플레이트(122)와 상기 바디(100)프레임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1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과일 등 수확물이 상기 암(200)에서 굴러 내려오면서 바구니로 담기는 과정에서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만큼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확물배출구(12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확물배출구(120)의 하단부 일측에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개폐플레이트(122)와, 상기 과일 등 수확물이 상기 개폐플레이트(122) 상에 위치하여 하중을 가하게 되는 경우 일정한 하중이 되는 때에 천천히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수확물이 상기 수확물배출구(120) 아래에 위치하는 수확물바구니에 손상없이 담겨지도록 한다. 예컨대 참외 등의 수확 시, 참외 1개일 때에는 개방되지 않고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참외 2개가 상기 개폐플레이트(122)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개폐플레이트(122)가 천천히 회동하여 개방되면서 참외가 수확물바구니에 손상없이 담겨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부(130)는, 상기 암(200)을 일측에만 연결한 경우 무게 중심이 암(200)을 연결한 쪽으로 옮겨가게 되어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기울어짐으로 인해 암(200)의 말단의 과일 등 수확물이 상기 바디(100)쪽으로 내려가기 어려워 진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확물이 상기 바디(100)쪽으로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조절부(130)는, 상기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의 종축으로 형성된 두개의 프레임에 횡축방향으로 연결되고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조절부하우징(132);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형상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하우징(132) 중앙부에서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부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도록 형성된 조절부본체(134); 및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양단부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관통하고, 두부는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상부로 돌출되는 조절볼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은 상기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의 종축방향의 프레임에 횡축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경사조절부(130)의 전체 하우징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형상의 상부의 수평부분과 상기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의 종축방향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하방향은 개방되어 상기 조절부본체(1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양단부측에는 상기 조절볼트(136)가 수직으로 관통되어 연결되고, 상기 조절볼트(136)와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은 볼트와 너트와 같이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볼트(136)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임과 풀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조절볼트(136)가 상하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부본체(134)는,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형상의 단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하우징(132) 및 상기 조절볼트(136)와 함께 상기 경사조절부(130)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절부본체(134)는,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형상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하우징(132) 중앙부에서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부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부본체(134)를 측면에서 보면 미리 지정한 곡률을 가지며 중앙부의 상부가 볼록한 형상, 예컨대 반원형, 반타원형 등의 형상을 띠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하는 것은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형상의 내측 상부 수평부분과 접촉되는 부위를 작게 하여 마찰이 적게 생기면서 유동하기 쉽도록 하고, 미세한 경사조절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조절부본체(134)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데, 상기 조절볼트(136) 말단부가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과 접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상부는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형상 내측 수평부분과 접촉되며,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하부 수평부분의 내측은 상기 조절볼트(136) 말단부가 접촉되도록 하여, 경사조절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고 있다. 경사조절방법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조절부하우징(132)과 연결은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중앙부와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중앙부가 서로 관통되도록 연결하는 핀을 통해 연결하되 상기 조절부하우징(132)과 상기 조절부본체(134)는 상기 중앙부에 연결되는 핀을 통해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조절볼트(136)는, 상기 경사조절부(130)의 경사조절을 상기 조절볼트(136)의 회전을 통해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절볼트(136)는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양단부측에 각각 관통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양단부측에 ∪형상 내부 수평부분에 접촉되도록 연결되며, 두부는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상부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두부에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조절볼트(136)를 회전할 수 있도록 손잡이 등을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 탈착부(140)는,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와 탈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탈착부(140)는 상기 경사조절부(130)의 하부에 상기 운반장치의 상기 수평부재(10)에 탈착되도록 상기 수평부재(10)의 단면형상과 동일하되 하부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탈착부(140)는,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중앙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중앙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하되 하방향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가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가 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에 탈착될 수 있도록 사각형 단면 중 하방향 일측이 개방된 구조 즉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하는 이유는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와 상기 탈착부(140)가 유동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하듯이 상기 탈착부(140)와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가 고정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상기 경사조절부(130)의 경사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또한, 하방향 일측이 개방되어야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가 상기 탈착부(140)에 끼워졌다 빠졌다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탈착부(140)의 ∩형상의 양 쪽의 말단부를 외부로 경사지도록 하여 삽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조절부(130)의 작동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탈착부(140)와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의 연결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탈착부(140)와 연결된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양단부측에 상기 조절볼트(136)의 말단부가 맞닿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승시키고자 하는 일측의 상기 조절볼트(136)를 회전시켜 조으고, 반대쪽 다른 타측의 상기 조절볼트(136)는 완전히 풀어놓아 상기 조절볼트(136)의 말단부가 상기 조절부본체(134)가 맞닿지 않도록 둔다. 상승시키고자 하는 일측의 상기 조절볼트(136)를 조으면 상기 조절볼트(136)가 연결된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단부측과 상기 조절볼트(136)가 맞닿은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단부측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본체(134)는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10)와 고정되어 회전하지 못하므로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절볼트(136)가 연결된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단부측이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에 연결된 상기 경사조절프레임 및 상기 경사조절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바디(100)의 일측이 전체적으로 상승하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바디(100)의 일측이 상승하며 기울어지게 되면 상승하는 쪽의 상기 암연결부(150)가 같이 상승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암(200)도 상승하여 과일 등 수확물이 상기 암(200)의 말단부에서 상기 바디(100)쪽으로 굴러 내려가게 되어 결국 상기 바디(100)의 상기 수확물배출구(120)를 통해 수확물이 수확물 바구니에 담겨지게 된다.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게 되면 타측의 상기 조절볼트(136)도 조여서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내측 수평부분과 맞닿도록 하여 상기 조절볼트(136)와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일측에만 하중이 가해지지 않게 하여 안정화하도록 한다. 상술한 반대측의 암(200)을 상승시킬 필요가 있을때에는 상술한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다. 즉 상승할 필요가 있는 암(200) 측의 반대편 상기 조절볼트(136)를 풀어 둔 상태에서 상승할 필요가 있는 암(200)측의 상기 조절볼트(136)를 조여 서서히 상승시킨뒤 일정한 기울기가 형성되면, 상승할 필요가 있는 암(200) 측의 반대편 상기 조절볼트(136)를 다시 조여 안정화시키게 된다.
상기 암연결부(150)는, 상기 바디(100)와 상기 암(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암연결부(150)는, 상기 수확물배출구(120)의 개방된 사각통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각통의 전면과 후면이 횡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되, 상부는 하방향으로 경사지며, 단부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부위의 단부측과 돌출부위 사이에 홈을 형성하는 걸이대(152); 상기 걸이대(152)와 상기 수확물배출구(120) 간 연결부위의 하단부에 상기 걸이대(152) 양측을 가로질러 종축방향으로 연결되는 지지바(154); 및 상기 걸이대(152) 단부의 외측과 상기 횡축프레임(112)의 일단부를 연결하되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텐션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대(152)는, 상기 암(200)을 걸어 상기 바디(100)와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걸이대(152)와 상기 지지바(154) 및 상기 암(200)의 지지대(212) 와 상기 암(200)의 걸이로드(214) 간 연결을 통해 상기 암(200)을 상기 바디(100)에 연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200)의 설명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걸이대(152)는, 상기 수확물배출구(120)의 개방된 사각통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각통의 전면과 후면이 횡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되, 상부는 하방향으로 경사지며, 단부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부위의 단부측과 돌출부위 사이에 홈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바(154)는, 상기 걸이대(152)와 함께 상기 암(200)과 상기 바디(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바(154)는 상기 걸이대(152)와 상기 수확물배출구(120) 간 연결부위의 하단부에 상기 걸이대(152) 양측을 가로질러 종축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텐션부(156)는, 상기 걸이대(152)에 상기 암(200)이 걸림으로써 하중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게 되어 상기 걸이대(152)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어, 상기 걸이대(152)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대(152)와 상기 횡축프레임(112)의 일단부간을 연결하여 텐션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텐션부(156)는, 상기 걸이대(152) 단부의 외측과 상기 횡축프레임(112)의 일단부를 연결하되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볼트와 너트를 통해 조일 수 있어 상기 걸이대(152)가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때 볼트를 조여 텐션을 강하게 하여 상기 걸이대(152)의 안정을 기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텐션부(156)는 상기 걸이대(152)의 단부와 상기 조절부본체(134)나 상기 조절부본체(134)와 상기 조절부하우징(132)간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핀 등 경사조절시 변동이 없는 부재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텐션부(156)의 상기 볼트를 조임과 풀림을 통해 상기 암(200)의 경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볼트를 조임으로서 상기 텐션부(156) 전체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경사조절시 변동이 없는 부재는 변동이 생기지 않을 것이므로, 상기 암연결부(150)의 상기 걸이대(152)가 상승하게 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암(200)은, 상기 바디(100)와 횡축방향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고랑을 넘지 않고도, 상기 운반장치와 인접한 이랑을 넘어 옆 이랑에서 수확된 수확물을 편리하게 수확물바구니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암연결부(150)와 연결되고 상기 수확물배출구(120)의 개방된 일측면에서 횡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연결되되,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암(210); 및 상기 제1암(210)과 연결되며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2암(2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암(210)은, 상기 바디(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암(220)과 상기 바디(100)를 잇는 중간 다리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암(210)은, 일단의 저면이 측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212); 상기 지지대(212)가 형성되는 일단부측의 양측면에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걸이로드(214); 타단부 측면에 상기 제2암(220)이 회동하도록 고정하는 고정핀(216); 상기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제1암(210)의 저면에 상기 제1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버팀대(219)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관(218); 상기 삽입관(218)에 삽입되는 길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양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I 형상을 하는 버팀대(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2)는, 상기 암연결부(150)의 상기 지지바(154)의 하부에 접촉되며 연결되어 상기 암(200)과 상기 바디(100)를 연결하는 데 한 축을 담당한다. 상기 지지대(212)는 일단의 저면이 측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이로드(214)는, 상기 암연결부(150)의 상기 홈에 걸쳐짐으로써 연결되어 상기 암(200)과 상기 바디(100)를 연결하는데 한 축을 담당한다. 즉 상기 지지대(212)와 상기 걸이로드(214)는 상기 암(200)과 상기 바디(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걸이로드(214)는, 상기 지지대(212)가 형성되는 일단부측의 양측면에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216)은, 상기 제2암(220)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1암(210)과 상기 제2암(220)을 회동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고정핀(216)은, 상기 제1암(210)의 타단부 측면에 상기 제2암(220)이 회동하도록 고정한다. 즉 상기 제1암(210)의 일측면과 상기 제2암(220)의 일측면을 겹치게 한 후 이를 모두 관통하도록 연결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제2암(220)을 상기 제1암(210)의 내측에 두도록 하는 경우 내측에 있는 상기 제2암(220)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핀(216)의 돌출부위가 크지 않도록 반구형태의 두부를 가진 고정핀(216)을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관통시켜 외부측에서 나사로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암(210)과 상기 제2암(220)의 내부로 과일 등 수확물이 유동하기 때문에 수확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돌출부위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삽입관(218)은, 상기 제1암(210)과 상기 제2암(220)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암(220)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상기 버팀대(219)가 횡축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관(218)은, 상기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제1암(210)의 저면에 상기 제1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버팀대(219)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버팀대(219)는, 상기 제2암(220)을 상기 제1암(210)과 수평이 되도록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버팀대(219)의 상기 삽입관(218)으로의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제2암(220)을 상기 제1암(210)에 비해 상방향으로의 경사도를 더 많이 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버팀대(219)는, 상기 삽입관(218)에 삽입되는 길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양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I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I 형상의 양단부 수평부분은 상기 삽입관(218)에서 삽입의 한계를 획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최대한 상기 바디(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삽입관(218)에서 빼는 경우에도 상기 제2암(220)의 길이만큼만 뺄 수 있도록 하게 되고, 최대한 상기 바디(100)에 가까워지는 쪽으로 밀어 넣는 경우에는 상기 I 형상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에서 먼 쪽에 위치하는 상기 I 형상의 단부의 수평부분은 상기 수직부분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버팀대(219) 부재의 직경 만큼 일정한 높이를 가지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로 인하여 상기 제1암(210)과 상기 제2암(220)을 연결하는 상기 고정핀(216)과 상기 버팀대(219)의 I 형상 단부 수평부분이 가까울수록 상기 제2암(220)의 경사도는 급해지게 된다. 이는 지렛대를 보면 알 수 있다. 지렛대의 원리를 보면 중량물, 지지점 및 힘이 작용하는 지점에서 중량물은 상기 고정핀(216)이 되며, 지지점은 상기 상기 I 형상의 단부의 수평부분이 되고, 힘이 작용하는 지점은 상기 제2암(220)의 말단부가 된다. 따라서 중량물과 지지점이 가까워질수록 힘이 작용하는 지점은 더욱 높이 상승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며 지렛대의 원리와 형상을 빌어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방법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이를 차용한 것이다.
상기 암(200)과 상기 바디(100)의 연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암연결부(150)의 상기 지지바(154)의 하부로 상기 제1암(210)의 상기 지지대(212)를 끼우고, 상기 암연결부(150)의 상기 걸이대(152)의 상기 홈에 상기 제1암(210)의 상기 걸이로드(214)를 끼워넣으면 상기 암(200)과 상기 바디(100)가 연결된다. 이는 상술한 지렛대의 원리를 차용하여 설명해 보면 명확해진다. 중량물이 상기 지지바(154)가 되고, 지지점이 상기 걸이로드(214)가 되며 힘이 작용하는 지점은 상기 제1암(210)의 상기 바디(100)에서 먼 일단부가 되어 상기 바디(100)에 상기 홈이 걸쳐지면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암(200)을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반대의 방법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암(200)을 이탈시키지 않고 상방향으로 접어 둘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암(200)을 사용하는 빈도가 클 때 굳이 이탈시켜 별도로 보관하지 않고도 이동에 방해 되지 않도록 상방향으로 접어 둘 수 있어 편리함을 더할 수 있다.
상기 제2암은, 상기 제1암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횡축으로 암을 연장하는 역할을 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2암은 상기 제1암과 연결되는 부위에서 절첩이 가능하여 상기 제2암을 펼칠필요가 없는 경우 이를 접어둘 수 있고, 또한, 상기 버팀대를 밀어넣되 상기 버팀대의 I 형상의 단부의 수평부분을 상기 제1암의 말단부에서 일정한 거리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암을 펴는 경우, 상기 버팀대의 I 형상의 단부의 수평부분과 상기 제1암의 말단부(상기 고정핀)과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2암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버팀대의 I 형상의 단부의 수평부분은, 수직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부로 높게 돌출되어 있어 상술한 지렛대에서 지지점(또는 시소의 중앙점)에 해당되어 상기 제2암의 상기 제1암과 연결되는 일단부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암의 타단부가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경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는, 측방향에서 곧바로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로 수확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종래 종방향 운반수단이 이랑을 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농작물의 상해로 인한 수확량이나 품질 저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측방향의 수확물 이동이 가능한 점에서 측면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수확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랑을 넘나들지 않고도 측면에서 곧바로 운반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노동력 및 노동시간 등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며, 본 발명은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에 탈착부를 통해 간편하게 탈착이 가능한 바, 필요한 시기에만 부착하여 사용하고, 이탈시켜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암을 절첩할 수 있어, 필요 빈도수가 높은 경우 본 발명을 상기 운반장치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에 효율성을 더할 수 있으며,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암을 상기 운반장치의 양측에 부착할 수도 있고, 일측에만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필요한 부분만 사용 할 수 있어 편의성, 작업 효율성 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암을 상기 운반장치에 일측에만 부착하는 경우, 무게중심이 상기 암을 부착한 쪽으로 형성되면서 기울어지게 되어 수확물이 상기 운반장치로 이동되는 기울기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일측에만 부착하더라도 경사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수확물을 상기 암의 말단에 두더라도 경사를 통해 상기 운반장치로 굴러 갈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운반장치의 수평부재 100: 바디
110: 바디프레임 112: 횡축프레임
114: 종축프레임 116: 경사조절부프레임
120: 수확물배출구 122: 개폐플레이트
124: 인장스프링 130: 경사조절부
132: 조절부하우징 134: 조절부본체
136: 조절볼트 140: 탈착부
150: 암연결부 152: 걸이대
154: 지지바 156: 텐션부
210: 제1암 212: 지지대
214: 걸이로드 216: 고정핀
218: 삽입관 219: 버팀대
220: 제2암
110: 바디프레임 112: 횡축프레임
114: 종축프레임 116: 경사조절부프레임
120: 수확물배출구 122: 개폐플레이트
124: 인장스프링 130: 경사조절부
132: 조절부하우징 134: 조절부본체
136: 조절볼트 140: 탈착부
150: 암연결부 152: 걸이대
154: 지지바 156: 텐션부
210: 제1암 212: 지지대
214: 걸이로드 216: 고정핀
218: 삽입관 219: 버팀대
220: 제2암
Claims (6)
-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수확물을 운반하는 운반장치의 수평부재에 탈착되는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로서,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는, 바디(100) 및 암(20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00)는,
평행하는 두 개의 횡축프레임(112) 사이를 중앙부 내측에서 연결하는 종축프레임(114) 및 상기 횡축프레임(112)의 중앙부 외측에 연결하는 사각형상의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을 포함하는 바디(100)프레임;
상기 종축프레임(114) 및 상기 횡축프레임(112)과 연결되어 상기 종축프레임(114)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하측이 개방되며 4면 중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수확물배출구(120);
상기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의 하부에 연결되는 경사조절부(130);
상기 경사조절부(130)의 하부에 상기 운반장치의 상기 수평부재에 탈착되도록 상기 수평부재의 단면형상과 동일하되 하부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탈착부(140); 및
상기 수확물배출구(120) 사각통의 개방된 일측에 연결되는 암연결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암(200)은,
상기 암연결부(150)와 연결되고 상기 수확물배출구(120)의 개방된 일측면에서 횡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연결되되,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암(210); 및
상기 제1암(210)과 연결되며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2암(220);을 포함하고,
상기 수확물배출구(120)는,
상기 사각통 형상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하부를 개폐하도록 회동하는 개폐플레이트(122); 및
상기 개폐플레이트(122)와 상기 바디(100)프레임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124);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조절부(130)는,
상기 경사조절부(130)프레임(116)의 종축으로 형성된 두개의 프레임에 횡축방향으로 연결되고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조절부하우징(132);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형상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하우징(132) 중앙부에서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부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도록 형성된 조절부본체(134); 및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양단부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관통하고, 두부는 상기 조절부하우징(132)의 상부로 돌출되는 조절볼트(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140)는,
상기 조절부본체(134)의 중앙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하며,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운반장치의 수평부재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연결부(150)는,
상기 수확물배출구(120)의 개방된 사각통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각통의 전면과 후면이 횡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되, 상부는 하방향으로 경사지며, 단부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부위의 단부측과 돌출부위 사이에 홈을 형성하는 걸이대(152);
상기 걸이대(152)와 상기 수확물배출구(120) 간 연결부위의 하단부에 상기 걸이대(152) 양측을 가로질러 종축방향으로 연결되는 지지바(154); 및
상기 걸이대(152) 단부의 외측과 상기 횡축프레임(112)의 일단부를 연결하되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텐션부(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210)은,
일단의 저면이 측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212);
상기 지지대(212)가 형성되는 일단부측의 양측면에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걸이로드(214);
타단부 측면에 상기 제2암(220)이 회동하도록 고정하는 고정핀(216);
상기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저면에 상기 제1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버팀대(219)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관(218);
상기 삽입관(218)에 삽입되는 길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양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I 형상을 하는 버팀대(2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5019A KR101941272B1 (ko) | 2016-07-26 | 2016-07-26 |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5019A KR101941272B1 (ko) | 2016-07-26 | 2016-07-26 |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2139A KR20180012139A (ko) | 2018-02-05 |
KR101941272B1 true KR101941272B1 (ko) | 2019-01-23 |
Family
ID=6122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5019A KR101941272B1 (ko) | 2016-07-26 | 2016-07-26 |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127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4785A (ko) | 2019-08-26 | 2021-03-08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절화류의 지상형 습식 수확 장치 |
KR20210024786A (ko) | 2019-08-26 | 2021-03-08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절화류의 천장형 습식 수확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38403A (zh) * | 2018-07-20 | 2018-11-06 |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 大棚起垄机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8436B1 (ko) | 2015-12-10 | 2016-02-29 |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
KR101617706B1 (ko) | 2016-03-21 | 2016-05-03 |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015B1 (ko) * | 2007-11-23 | 2009-07-06 | 성주군 |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의 충격 및 수분공급장치 |
KR20100046931A (ko) | 2008-10-28 | 2010-05-07 | 강동운 | 비닐하우스 내 작업용 운반장치 |
-
2016
- 2016-07-26 KR KR1020160095019A patent/KR1019412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8436B1 (ko) | 2015-12-10 | 2016-02-29 |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
KR101617706B1 (ko) | 2016-03-21 | 2016-05-03 |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성주참외 비닐하우스 운반구 측면 수확기, 네이버 블로그(2016.05.06.),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dhc2/220703035053>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4785A (ko) | 2019-08-26 | 2021-03-08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절화류의 지상형 습식 수확 장치 |
KR20210024786A (ko) | 2019-08-26 | 2021-03-08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절화류의 천장형 습식 수확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2139A (ko) | 2018-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1272B1 (ko) |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 |
US8261521B2 (en) | Self-leveling four-bar linkage for suspending a header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 |
US5355667A (en) | Single row grape and raisin harvester | |
US4206584A (en) | Floating cutterbar header | |
US2099471A (en) | Harvester attachment | |
US5339612A (en) | Self-adjusting force balance radial grape and raisin harvester | |
US8511049B2 (en) | Self-leveling four-bar linkage for suspending a header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 |
KR100488827B1 (ko) | 고설 재배 장치용 가대 | |
BRPI1104759A2 (pt) | plataforma de lona para montagem na cÂmara de alimentaÇço de uma combinada agrÍcola. | |
US8616812B2 (en) | Header trailer | |
CA2133892C (en) | Combine harvester with secondary cutter | |
US20150033623A1 (en) | Adjustable plant support | |
US8146337B2 (en) | Harvesting head and self-propelled straddling vehicle for harvesting fruit-bearing hedges | |
US6282878B1 (en) | Produce catcher | |
KR100881215B1 (ko) |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 |
KR101941265B1 (ko) |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 |
KR102321128B1 (ko) | 절화류의 지상형 습식 수확 장치 | |
US2936735A (en) | Cattle feeder | |
KR101941267B1 (ko) |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 |
US4259833A (en) | Crop catching floor for harvesting machines | |
KR102322107B1 (ko) | 절화류의 천장형 습식 수확 장치 | |
US10368489B2 (en) | Seed harvester and related methods | |
KR102247272B1 (ko) | 농사용 레일 이동형 작업의자 | |
FR2618637A1 (fr) | Procede, support et dispositif pour transporter simultanement un grand nombre de pots sur une surface de stockage horticole | |
PL233464B1 (pl) | Kombajn do zbioru mal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