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265B1 -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265B1
KR101941265B1 KR1020160094978A KR20160094978A KR101941265B1 KR 101941265 B1 KR101941265 B1 KR 101941265B1 KR 1020160094978 A KR1020160094978 A KR 1020160094978A KR 20160094978 A KR20160094978 A KR 20160094978A KR 101941265 B1 KR101941265 B1 KR 101941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shape
horizontal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120A (ko
Inventor
배기웅
Original Assignee
오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찬 filed Critical 오종찬
Priority to KR102016009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2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2Load-carriers, roll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8Rails or switches
    • B65G2812/182
    • B65G2812/18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은,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의 천장 파이프에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일부(100); 상기 레일부(100)에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는 롤러부(210)와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높낮이조절부(220)를 포함하는 운반대(200); 상기 운반대(200)와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적재판(330)이 형성되는 운반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수평의 막대 형상의 수평연결부(222)와, 상단부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운반판(300)과 연결되는 수직의 막대 형상의 수직연결부(224)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하단부 일측에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탈착걸이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의 연결과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의 각각 연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의 각각 연결 되는 상기 수직연결부 하단부 일측에는 각각 미리 지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탈착거리부를 다수 형성하며, 상기 운반판(300)은,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탈착되도록 연결되는 탈착부(310); 상기 탈착부(310)와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적재판(330)과 하부가 연결되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직재(320);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되는 적재판(330);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재(320)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일 수직재(320)의 전면과 타 수직재(320)의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반대와 운반판의 간편한 탈착이 가능하여 운반장치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운반판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의 통상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비닐하우스 내의 종래 운송수단은 골 사이로 이동을 하는 경우 매달린 수확바구니 등 운반판을 피해서 다녀야 했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감소하고 이동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운반판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어 둘 수 있어 별도로 운반판을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동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절첩할 수 있음으로써 운반판을 별도로 분리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가방과 같이 간편하게 접어서 이동이 가능한 바, 노약자나 여성들의 경우에도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의 출입문 통과에도 별다른 노력없이 통과하는 등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보관시에도 절첩고정부의 하부면이 수평이어서 접은 채로 세워둘 수 있어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깔끔하게 정리 보관이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의 운반판은 중심부의 지지빔을 기준으로 양측을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상술한 종래의 운반판에서 발생하는 수확물의 낙하위험과 가장자리의 돌출되는 턱에 의한 적재와 하역의 불편함을 제거하여 수확물의 경제적 가치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A VERSATILE FOLDING-TYPE CARRYING PLATE IN GREENHOUSES}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판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과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적재판의 기울기를 형성하여 적재물의 낙하위험을 방지하며 적재와 하역에 용이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온실)라 함은, 내부의 보온을 통해 작물의 성장에 적당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동절기는 물론 하절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비닐하우스는, 지면에 종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열로 세워지는 활형상의 골조(이하, "활형골조"라 칭함)들과, 이 활형골조들의 상부 또는 측부를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방향 직선골조(이하, "종형골조"라 칭함), 및 상기 활형,종형골조들을 덮어 내부를 보온하기 위하여 활형 및 종형골조들 덮는 비닐커버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닐하우스는, 간단히 저가로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냉기의 차단력이 우수한 비닐커버를 이용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충분한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대부분의 농가에서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업체류, 근체류, 과채류, 화훼류, 과수류 등과 같은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한편, 운반장치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농업 등의 각종 생산 현장에서 농작물이나, 관련 자재들의 운반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운반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외발 운반 수단의 경우 운반물을 적재하여 좌우 균형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는 반면, 어느 정도 숙련된 작업자에 의할 경우 농업 현장의 불규칙적인 표면이나, 좁은 길을 이동하는데 매우 적합한 장점이 있어 대부분의 농가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는 운반 수단이다. 그러나 이러한 외발 운반 수단은 주행 시와 같이 속도가 붙은 상태에서는 좌우 균형 유지가 용이하나, 주행 속도가 떨어지거나,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위해 정지시킬 시에는 균형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바퀴가 여러 개인 운반 수단의 경우에는 논밭의 고랑 사이를 운전하거나, 비닐하우스와 같이 좁은 공간에 적용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또한, 비닐하우스에서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관련 자재를 운반하는 경우 운반 장치의 이송과 정지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바,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운송 수단에 의하면 대차에 운반물을 선적한 후 운반 수단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운반 수단의 손잡이가 형성된 일측으로 매번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손잡이를 들어서 이동시킨 후 다시 내려서 하부의 받침대로 정차시키는 힘든 작업이 동원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시 작물과 작물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확물을 채집하여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할 경우 바구니나 운반수레가 작물과 접촉하여 작물의 부러지거나 열매 같은 수확대상물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하여 수확물을 운반시 충격력에 의해 수확물이 손상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통해 손상을 입은 수확물은 상품적 가치가 저하되어 판매가 불가능하며 판매되더라도 저렴하게 판매되어 금전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닐하우스에서는 돔 형태로 형성되는 천장부분의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제안되었던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를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931호(공개일자: 2010년05월07일)는 비닐하우스의 천장파이프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는 몸체부와, 수확물 바구니나 기자재 등과 같은 견인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견인물을 천장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운반함으로써 작물이 손상되는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운반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걸림대가 삼각형 형상이라 수확바구니의 이동시 움직임이 발생하며, 수확바구니의 용량에 한계가 있어 수확바구니가 가득차면 일일이 이동시켜야 하고, 수확바구니가 천장부분에 매달려 있어 수확물을 담기 위해 낮은 공간과 높은 공간을 오가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의 손실이 초래되고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골 사이로 이동을 위해서는 매달린 수확바구니를 피해서 다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931호(공개일자: 2010년05월07일)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시 작물과 작물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확물을 채집하여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할 경우 바구니나 운반수레가 작물과 접촉하여 작물의 부러지거나 열매 같은 수확대상물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종래의 비닐하우스에서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하여 수확물을 운반시 충격력에 의해 수확물이 손상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 종래의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통해 손상을 입은 수확물이 상품적 가치가 저하되어 판매가 불가능하며 판매되더라도 저렴하게 판매되어 금전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돔 형태로 형성되는 천장부분의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넷째, 종래 제안되었던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의 수확바구니가 천장부분에 매달려 있어 수확물을 담기 위해 낮은 공간과 높은 공간을 오가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의 손실이 초래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다섯째, 비닐하우스 내의 종래 운송수단의 경우 비닐하우스 내에서 작업을 위해 골 사이로 이동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서는 매달린 수확바구니 등 운반판을 피해서 다녀야 했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감소하고 이동에 불편한 문제점을 야기하였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여섯째, 종래의 비닐하우스 내에서 사용되는 운반판의 경우 일측으로 적재하는 경우 기울어져 수확물이 낙하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수확물의 경제적 가치를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일이 비일비재하였고, 이를 막기위한 방법으로 운반판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턱을 형성하여 수확물 등의 낙하를 방지하였으나, 이 또한 적재와 하역에 돌출된 턱이 장애물이 되어 그 불편을 초래하였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은,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의 천장 파이프에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일부(100); 상기 레일부(100)에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는 롤러부(210)와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높낮이조절부(220)를 포함하는 운반대(200); 상기 운반대(200)와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적재판(330)이 형성되는 운반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수평의 막대 형상의 수평연결부(222)와, 상단부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운반판(300)과 연결되는 수직의 막대 형상의 수직연결부(224)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하단부 일측에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탈착걸이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의 연결과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의 각각 연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의 각각 연결 되는 상기 수직연결부 하단부 일측에는 각각 미리 지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탈착거리부를 다수 형성하며, 상기 운반판(300)은,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탈착되도록 연결되는 탈착부(310); 상기 탈착부(310)와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적재판(330)과 하부가 연결되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직재(320);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되는 적재판(330);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재(320)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일 수직재(320)의 전면과 타 수직재(320)의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을 탈착하는 수단으로, 상기 운반대(200)의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단부측에서 폭이 좁아 지도록 단차(280)가 형성되며, 상기 폭이 좁은 단부의 양 측면의 중앙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282)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286); 상기 제1연결부(282)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1연결부(282)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1연결부(282)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1걸림부(284); 상기 제2연결부(286)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2연결부(286)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2연결부(286)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2걸림부(288);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282)와 상기 제2연결부(286)의 일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 회동하여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측 전면과 후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수직재(320)는, 수직방향의 긴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가 삽입가능한 폭을 가지며, 상기 수직재(320)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차(280)와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이 좁은 단부 끝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걸림부의 길이만큼 길이를 가지는 홀이 형성된 제1걸림홀(382)과 제2걸림홀(386)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적재판(330)은, 지지빔(332), 절첩고정부(334), 적재판테두리(336) 및 적재판살대(338)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빔(332)은, 상기 수직재(320)와 수직을 이루도록 중앙부에서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절첩고정부(334)는, 상기 지지빔(332) 양단에 중앙부 내측이 연결되며,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되 상부와 양측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가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는, 상기 지지빔(332)을 중앙부로 하여 좌측은 'ㄷ'자 형상이고 우측은 상기 좌측 형상의 수직 대칭되는 형상이되, 상기 'ㄷ'자 형상의 절곡부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양단부는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양단부에 삽입 수용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고, 펼쳤을때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적재판살대(338)는,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ㄷ'자 형상의 상,하 수평부분을 연결하되 중앙부분이 하향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적재판(330)은, 지지빔(332), 절첩고정부(334), 적재판테두리(336) 및 적재판살대(338)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빔(332)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절첩고정부(334)는, 상기 수직재(320)와 수직을 이루도록 중앙부 외측에서 연결되며, 상기 지지빔(332) 양단에 중앙부 내측이 연결되고,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되 상부와 양측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가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을 안정화하도록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하는 안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테두리(336)는, 상기 지지빔(332)을 중앙부로 하여 좌측은 'ㄷ'자 형상이고 우측은 상기 좌측 형상의 수직 대칭되는 형상이되, 상기 'ㄷ'자 형상의 절곡부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양단부는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양단부에 삽입 수용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고, 펼쳤을때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적재판살대(338)는,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ㄷ'자 형상의 상,하 수평부분을 연결하되, 상,하 수평부분과 연결된 상기 적재판살대(338)와 수직 교차되도록 더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반대와 운반판의 간편한 탈착이 가능하여 운반장치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운반판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의 통상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비닐하우스 내의 종래 운송수단은 골 사이로 이동을 하는 경우 매달린 수확바구니 등 운반판을 피해서 다녀야 했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감소하고 이동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운반판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어 둘 수 있어 별도로 운반판을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동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절첩할 수 있음으로써 운반판을 별도로 분리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가방과 같이 간편하게 접어서 이동이 가능한 바, 노약자나 여성들의 경우에도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의 출입문 통과에도 별다른 노력없이 통과하는 등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보관시에도 절첩고정부의 하부면이 수평이어서 접은 채로 세워둘 수 있어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깔끔하게 정리 보관이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의 운반판은 중심부의 지지빔을 기준으로 양측을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상술한 종래의 운반판에서 발생하는 수확물의 낙하위험과 가장자리의 돌출되는 턱에 의한 적재와 하역의 불편함을 제거하여 수확물의 경제적 가치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일실시예의 펼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일실시예의 접은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있어서 운반대와 운반판을 결합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있어서 운반대와 운반판을 결합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절첩고정부와 적재판테두리의 결합관계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또다른 일실시예의 펼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직재와 절첩고정부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직재와 절첩고정부를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있어서 탈착수단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있어서 탈착수단에 의해 운반대와 운반판의 결합과정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일실시예의 펼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일실시예의 접은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있어서 운반대와 운반판을 결합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있어서 운반대와 운반판을 결합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절첩고정부와 적재판테두리의 결합관계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또다른 일실시예의 펼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직재와 절첩고정부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직재와 절첩고정부를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있어서 탈착수단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에 있어서 탈착수단에 의해 운반대와 운반판의 결합과정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로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써 함께 설명한다.
종래의 비닐하우스내의 운반 수단 및 운반판은 첫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시 작물과 작물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확물을 채집하여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할 경우 바구니나 운반수레가 작물과 접촉하여 작물의 부러지거나 열매 같은 수확대상물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과, 종래의 비닐하우스에서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하여 수확물을 운반시 충격력에 의해 수확물이 손상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 종래의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통해 손상을 입은 수확물이 상품적 가치가 저하되어 판매가 불가능하며 판매되더라도 저렴하게 판매되어 금전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종래의 비닐하우스에서는 돔 형태로 형성되는 천장부분의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래 제안되었던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의 수확바구니가 천장부분에 매달려 있어 수확물을 담기 위해 낮은 공간과 높은 공간을 오가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의 손실이 초래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닐하우스 내의 종래 운송수단의 경우 비닐하우스 내에서 작업을 위해 골 사이로 이동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서는 매달린 수확바구니 등 운반판을 피해서 다녀야 했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감소하고 이동에 불편한 문제점을 야기하였으며, 종래의 비닐하우스 내에서 사용되는 운반판의 경우 일측으로 적재하는 경우 기울어져 수확물이 낙하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수확물의 경제적 가치를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일이 비일비재하였고, 이를 막기위한 방법으로 운반판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턱을 형성하여 수확물 등의 낙하를 방지하였으나, 이 또한 적재와 하역에 돌출된 턱이 장애물이 되어 그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레일바, 운반대 및 운반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하되, 상기 운반판의 절첩가능함으로 인해 장치의 이동편의성, 보관 편의성, 작업의 효율성 제고, 골 사이이의 작업자의 이동편의성, 및 양 단부측의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수확물의 낙하 위험 제거로 인한 경제성 확보, 작업의 효율성 제고할 수 있는 바, 아래에서 구성별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의 천장 파이프에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일부(100); 상기 레일부(100)에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는 롤러부(210)와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높낮이조절부(220)를 포함하는 운반대(200); 상기 운반대(200)와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적재판(330)이 형성되는 운반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수평의 막대 형상의 수평연결부(222)와, 상단부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운반판(300)과 연결되는 수직의 막대 형상의 수직연결부(224)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하단부 일측에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탈착걸이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의 연결과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의 각각 연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의 각각 연결 되는 상기 수직연결부(224) 하단부 일측에는 각각 미리 지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탈착걸이부(232)를 다수 형성하며, 상기 운반판(300)은,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탈착되도록 연결되는 탈착부(310); 상기 탈착부(310)와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적재판(330)과 하부가 연결되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직재(320);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되는 적재판(330);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재(320)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일 수직재(320)의 전면과 타 수직재(320)의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바(100)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가 천장파이프(10)를 따라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레일바(100)는 상기 롤러부(210)에 부착되어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롤러가 굴러 길이방향으로 상기 운반장치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대가 되는 파이프나 긴 막대 형상이 될 수 있다. 재질은 가볍고 길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면 관계없다.
상기 운반대(200)는, 상기 레일바(100)와 상기 운반판(300)과 연결하는 부재로서,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운반판(300)의 높이를 비닐하우스의 높이, 작업종류 및 재배작물 등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나 기타 수확물 바구니 등을 걸어 이동과 사용에 편리성을 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운반대(200)는 상기 롤러부(210)와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210)는, 상기 레일바(100)의 상부에 슬라이딩 연결되어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를 비닐하우스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롤러부(210)는, ㄷ자 형상으로, 상부의 수평부분 하부에 롤러가 연결되어 상기 롤러와 상기 레일바(100) 상부가 슬라이딩 연결되며(본 명세서에서 슬라이딩이란 상기 레일바(100)에서 롤러가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칭함), 상부의 수평부분 단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부(212)를 포함하며, 하부의 수평부분은 상기 높낮이조절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운반대(200)의 수직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운반대(200)의 하단과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여러 종류의 작업에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롤러부(210)의 하부 수평부분과 연결되는 수평연결부(222);와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상기 운반판(300)을 연결하는 수직연결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상부가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으로, 일측에 물건을 걸어둘 수 있는 고리를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는 조절외측부(226)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는데, 고리 형상은 반원 모양, '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띌 수 있다. 이러한 고리는 물건이나 작업복 등을 걸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적재판 없이도 상기 고리에 걸어 수확바구니 등을 간단히 이송할 수 있는 등 다용도로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속이 빈 수직방향의 파이프 형상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구멍을 미리 지정된 거리마다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조절외측부(226);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속 빈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관통된 구멍과 대응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조절내측부(228); 및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고정하는 고정부(230); 상기 조절내측부(228) 하단부 일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운반판(300)을 탈착하기 위해 상기 조절내측부(228) 외경보다 폭이 넓은 플레이트 형상의 탈착걸이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부(210)와 연결되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상기 운반판(300)과 연결하는 상기 수직연결부(224)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하는 상기 조절외측부(226),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빈 속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상기 조절내측부(228) 및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30)가 포함되며,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와 나사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일치시키고 상기 일치된 구멍으로 볼트를 관통 삽입하고 반대편으로 관통되어 나온 볼트의 끝단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높낮이 조절은 상기 구멍이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상하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여(상기 조절외측부(226)에는 하나의 관통된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운반판(300)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상기 조절외측부(226)로 깊이 삽입하여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총길이를 짧게 한 후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구멍을 일치시켜 고정부(230)로 고정하게 되고, 상기 운반판(300)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상기 조절외측부(226) 얕게 삽입하여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총길이를 길게 한 후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구멍을 일치시켜 고정부(230)로 고정하게 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와 같은 볼트와 너트로 할 수도 있으나, 상기 고정부(2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단부에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는 고정지지판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지지판(234), 상기 조절외측부(226) 및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된 구멍으로 핀(236)을 삽입하되, 상기 핀(236)의 중앙부에 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지지부(237)를 형성하고, 상기 핀의 몸체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지지부(237)와 상기 고정지지판(234) 내측 간에 형성되는 스프링(238)을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고정부(230)의 구조의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핀(236)의 두부를 잡아당기면 스프링(238)은 압축되면서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관통된 구멍에서 핀(236)이 인출되고, 높이조절을 한 뒤,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구멍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핀(236)을 놓게 되면 상기 핀(236)은 상기 스프링(238)의 복원력으로 앞으로 전진하여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지지부(237)의 일측면과 상기 조절외측부(226)가 맞닿게 되며, 상기 스프링(238)의 복원력으로 상기 핀(236)이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지속되게 되어 상기 핀(236)이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고정되어 상기 높낮이조절부(22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탈착걸이부(232)는,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끝단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끝단에 연결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운반판(30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조정결과를 그대로 상기 운반판(300)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조절내측부(228)가 상기 조절외측부(226)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운반판(300)의 높낮이가 조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탈착걸이부(232)는 평평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할 수 있고 이러한 플레이트 형상의 일측면과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하단 일측면과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탈착부(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폭보다 크게 하여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양 측으로 상기 탈착걸이부(232)의 양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돌출되는 부위가 상기 탈착부(310)의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운반판(300)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반판(300)은, 상기 운반대(200)와 연결되어 수확물 등 피운반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운반판(300)은,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탈착되도록 연결되는 탈착부(310); 상기 탈착부(310)와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적재판(330)과 하부가 연결되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직재(320);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되는 적재판(330);을 포함할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걸이부(232) 및 상기 탈착부(310)와 달리, 또 다른 탈착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재판(330)의 규모에 관계없이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을 탈착하는 수단으로, 상기 운반대(200)의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단부측에서 폭이 좁아 지도록 단차(280)가 형성되며, 상기 폭이 좁은 단부의 양 측면의 중앙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282)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286); 상기 제1연결부(282)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1연결부(282)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1연결부(282)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1걸림부(284); 상기 제2연결부(286)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2연결부(286)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2연결부(286)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2걸림부(288);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282)와 상기 제2연결부(286)의 일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 회동하여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측 전면과 후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수직재(320)는, 수직방향의 긴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가 삽입가능한 폭을 가지며, 상기 수직재(320)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수직재(320)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차(280)와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이 좁은 단부 끝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걸림부의 길이만큼 길이를 가지는 홀이 형성된 제1걸림홀(382)과 제2걸림홀(38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측은 단차(280)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상부보다 폭이 좁도록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폭이 좁은 단부측은 상기 수직재(32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 폭이 좁은 단부 중앙부에 상기 제1연결부(282) 및 제2연결부(286)가 측면이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282)는 제1걸림부(284)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286)는 상기 제2걸림부(288)에 연결되면서, 중앙부에서 상기 제1연결부(282)와 제1걸림부(284)는 시계방향, 상기 제2연결부(286)와 상기 제2걸림부(288)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걸림부(284)의 상면은 상기 수직연결부(224) 단부측의 전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은 상기 수직연결부(224) 단부측의 후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은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가 상기 수직재(3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하면이 상기 수직재(320)와 부딪치면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가 상기 수직재(3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는 회동하면서 접혀져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 전,후면에 맞닿도록 접촉하여 삽입된다. 삽입되면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끝단이 상기 제1걸림홀(382)과 상기 제2걸림홀(386)에 이르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홀(386)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걸림부(288)가 펼쳐지면서 상기 수직재(32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연결부(224)를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제1걸림홀(382)의 상부와 상기 제1걸림부(284)의 상면이 접촉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걸림홀(386)의 상부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접촉하여 상기 수직재(320)의 전후방으로 상기 제1걸림홀(382)과 제2걸림홀(386)이 돌출되는 형상을 띠면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보다 매끄럽게 상기 걸림홀을 빠져나가도록 상기 제1걸림부(284) 및 제2걸림부(288)의 끝단의 단면을 직각으로 형성하지 않고, 하부가 라운딩 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걸림홀(382) 및 제2걸림홀(386)의 상부도 마찬가지로 라운딩 처리가 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반대(200)와 운반판(300)은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수직연결부(224)가 한 개인 경우이고, 두 번째로는 수직연결부(224)가 두 개인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이는 적재판(330)의 규모가 소규모인 경우와 대규모인 경우로 구별된다. 또한 적재판(330)의 규모에 따라 운반판(300)의 형상과 크기에 차이가 있어 마찬가지로 두 종류로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적재판(330)의 규모에 따라 구별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적재판(330)의 규모가 소규모인 경우로서,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한 개인 운반대(200)이고, 상기 운반판(300)은 수직재(320)가 한 개인 운반판(300)이 된다. 즉 수직방향의 하중을 한 축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운반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210)와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로 구성되며,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수평연결부(222), 상기 수직연결부(224)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측에 상기 롤러부(210)가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에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연결된다.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 및 상기 고정부(230)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하단에는 탈착걸이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운반판(300)은, 탈착부(310), 수직재(320) 및 적재판(330)을 포함한다.
상기 탈착부(310)는,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삽출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의 탈착을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재(320)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탈착부(310)는 상기 운반대(200)의 수직연결부(224)가 한 개인 바 상기 운반대(200)의 상기 수직재(320)도 한 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 개의 상기 수직연결부(224) 더 자세히는 한 개의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하단부 일측에 연결되는 탈착걸이부(232)에, 한 개의 상기 수직재(320)의 전 후면에 연결되는 탈착부(310)가 삽출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의 탈착 결합이 이루어진다. 착탈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운반대(200)의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중심축과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수직재(320)의 중심축을 일치시키도록 하며, 상기 수직재(320)에 부착된 상기 탈착부(310)의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수직연결부(224)에 연결된 탈착걸이부(232)가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중심축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결하여 하중으로 인한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운반대(200)에서 상기 운반판(300)을 이탈시키는 경우, 상기 수직재(320)를 수직 상방향으로 들어 상기 탈착부(310)의 'ㄷ'자 형상의 홈에서 상기 탈착걸이부(232)를 이탈시킨후 측방향으로 빼내면 상기 운반판(300)이 이탈되게 된다. 이러한 착탈방법은 상기 운반판(300)의 규모가 대규모로 상기 수직재(320)와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두 개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수직재(320)는 한 개의 수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재판(330)과 연결되어 상기 적재판(330)을 상기 운반대(200)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적재판(330)은, 수확물 등 피운반물을 적재하는 부재로, 상기 수직재(320)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지면과 평행 되는 피운반물을 적재할 수 있는 소규모의 사각판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각판은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보다 사각 형상의 외곽을 가지고 외곽 사이에 살대가 연결된 형태가 하중을 줄일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후자의 적재판(330) 형태를 띤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적재판(330)은, 지지빔(332), 절첩고정부(334), 적재판테두리(336) 및 적재판살대(338)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빔(332)은, 상기 수직재(320)와 수직을 이루도록 중앙부에서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절첩고정부(334)는, 상기 지지빔(332) 양단에 중앙부 내측이 연결되며,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되 상부와 양측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가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는, 상기 지지빔(332)을 중앙부로 하여 좌측은 'ㄷ'자 형상이고 우측은 상기 좌측 형상의 수직 대칭되는 형상이되, 상기 'ㄷ'자 형상의 절곡부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양단부는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양단부에 삽입 수용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고, 펼쳤을때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적재판살대(338)는,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ㄷ'자 형상의 상,하 수평부분을 연결하되 중앙부분이 하향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재판(330)은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빔(332)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방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빔(332)의 중앙부에 상기 수직재(32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빔(332)의 양단에 상기 절첩고정부(334)가 결합된다. 상기 절첩고정부(334)는 단면이 'U'자 형상으로 약 10cm 내지 20cm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U'자 형상의 홈으로 상기 적재판테두리(336) 단부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절첩고정부(334)는 삽입된 상기 적재판테두리(336) 단부와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측면을 관통하는 힌지를 연결하여 상기 적재판테두리(336)가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빔(332)을 기준으로 좌우측의 적재판(330)이 'V'자 형상을 하도록(수평면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각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삽입하되, 상기 고정핀은 힌지보다 상기 지지빔(332)에서 더 멀리 떨어져 위치하며 더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핀의 상부에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하부가 맞닿게 함으로서,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힘의 모멘트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움직이는데 사용하는 막대를 일컫는 지렛대의 원리에 있어 그 지렛대 형상과 같이 중량물이 상기 힌지, 지지점이 상기 고정핀, 힘을 가하는 지점이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좌 우측 최측단부가 되어, 상기 지지빔(332)을 기준으로 양 측이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경사를 두는 이유는 상기 적재판(330)의 좌 우측 중 어느 한 쪽에만 피운반물을 적재하는 경우 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적재한 피운반물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사태를 막기 위해 종전에는 적재판(330) 외곽에 테두리 턱(돌출되는 턱)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피운반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는데 상기 테두리 턱이 걸림돌이 되어 불편을 야기하였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경사를 둠으로써 종래와 같이 테두리 턱의 존재 없이도 상기 적재판(330)이 기울어지더라도 피운반물이 떨어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적재와 하역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적재판살대(338)는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ㄷ'자 형상의 상,하 수평부분을 연결하되 중앙부분이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두 번째, 적재판(330)의 규모가 대규모로 큰 경우로서,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두 개인 운반대(200)이고, 상기 운반판(300)은 수직재(320)가 두 개인 운반판(300)이 된다. 즉 수직방향의 하중을 두개의 축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운반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210)와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로 구성되며,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수평연결부(222), 상기 수직연결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측에 상기 롤러부(210)가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측에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 및 상기 고정부(230)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하단에는 탈착걸이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규모 적재판(330)을 갖는 경우 상기 운반대(200)는 상기 운반판(300)과 탈착을 상기 소규모 적재판(330)을 갖는 첫 번째와 다른 구조를 통해 이룰 수도 있다. 첫째는 상기 소규모 적재판(330)을 갖는 첫 번째와 동일한 구조를 통해 실현 가능하며, 둘째는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조절내측부(228), 상기 조절외측부(226) 및 고정부(230)의 구조를 배제하고 단순히 수직연결부(224)의 하단에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탈착걸이부(232) 여러 개 를 형성토록 하여 각 높이마다 달리 탈착부(310)를 연결함으로서 상기 운반판(300)의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반판(300)은, 탈착부(310), 수직재(320) 및 적재판(33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일 수직재(320)의 전면과 타 수직재(320)의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이 연결되는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운반대(200)의 수직연결부(224)보다 안쪽으로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수직재(320)가 위치하여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각 내측면과 상기 수직재(320)의 각 외측면이 맞닿도록 하여, 상기 수직재(320)의 각 외측면에 연결된 상기 탈착부(310)와 상기 수직연결부(224)에 연결된 탈착걸이부(232)를 삽출 연결함으로써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를 탈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규모 적재판(330)을 갖는 운반판(300)의 수직재(320)는, 두 개로 구성되며, 상기 운반대(200)의 두 개의 수직연결부(224)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각 수직재(320)는 상기 적재판(330)의 전방과 후방의 각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판(330)을 안정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적재판(330)은, 지지빔(332), 절첩고정부(334), 적재판테두리(336) 및 적재판살대(338)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빔(332)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절첩고정부(334)는, 상기 수직재(320)와 수직을 이루도록 중앙부 외측에서 연결되며, 상기 지지빔(332) 양단에 중앙부 내측이 연결되고,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되 상부와 양측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가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을 안정화하도록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하는 안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테두리(336)는, 상기 지지빔(332)을 중앙부로 하여 좌측은 'ㄷ'자 형상이고 우측은 상기 좌측 형상의 수직 대칭되는 형상이되, 상기 'ㄷ'자 형상의 절곡부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양단부는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양단부에 삽입 수용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고, 펼쳤을때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적재판살대(338)는,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ㄷ'자 형상의 상,하 수평부분을 연결하되, 상,하 수평부분과 연결된 상기 적재판살대(338)와 수직 교차되도록 더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경우의 적재판(330)은 첫 번째의 소규모 적재판(330)을 갖는 경우와 달리, 상기 적재판(330)이 대규모이어서 상기 수직재(320)를 두 개로 하여 상기 적재판(330)의 전 후방 양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할 수있다. 이는 상기 첫 번째의 경우 상기 지지빔(332)에 상기 수직재(320)가 연결되는데 반해 두 번째의 경우 상기 절첩고정부(334)에 상기 수직재(320)가 연결된다. 이는 수직재(320)의 개수에 따른 변화에 맞춘 구조상 특징이 된다. 첫 번째 경우와 다른 점은, 상기 안정재의 유무에도 차이가 있다. 상기 안정재는 고정핀과 상기 수직재(320)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핀을 더욱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적재판(330)의 규모가 대규모이어서 상기 고정핀의 이탈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정재는 쇠사슬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은, 운반대와 운반판의 간편한 탈착이 가능하여 운반장치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운반판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의 통상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비닐하우스 내의 종래 운송수단은 골 사이로 이동을 하는 경우 매달린 수확바구니 등 운반판을 피해서 다녀야 했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감소하고 이동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운반판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어 둘 수 있어 별도로 운반판을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동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절첩할 수 있음으로써 운반판을 별도로 분리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가방과 같이 간편하게 접어서 이동이 가능한 바, 노약자나 여성들의 경우에도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의 출입문 통과에도 별다른 노력없이 통과하는 등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보관시에도 절첩고정부의 하부면이 수평이어서 접은 채로 세워둘 수 있어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깔끔하게 정리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운반판은 중심부의 지지빔을 기준으로 양측을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상술한 종래의 운반판에서 발생하는 수확물의 낙하위험과 가장자리의 돌출되는 턱에 의한 적재와 하역의 불편함을 제거하여 수확물의 경제적 가치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레일바
200: 운반대 210: 롤러부
220: 높낮이조절부 222: 수평연결부
224: 수직연결부 232: 탈착걸이부
280: 단차 282: 제1연결부
284: 제1걸림부 286: 제2연결부
288: 제2걸림부
300: 운반판
310: 탈착부 320: 수직재
330: 적재판 332: 지지빔
334: 절첩고정부 336: 적재판테두리
338: 적재판살대 382: 제1걸림홀
386: 제2걸림홀

Claims (4)

  1.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의 천장 파이프에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일부(100);
    상기 레일부(100)에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는 롤러부(210)와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높낮이조절부(220)를 포함하는 운반대(200);
    상기 운반대(200)와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적재판(330)이 형성되는 운반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수평의 막대 형상의 수평연결부(222)와, 상단부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운반판(300)과 연결되는 수직의 막대 형상의 수직연결부(224)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하단부 일측에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탈착걸이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의 연결과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의 각각 연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되고,
    상기 운반판(300)은,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탈착되도록 연결되는 탈착부(310);
    상기 탈착부(310)와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적재판(330)과 하부가 연결되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직재(320);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되는 적재판(330);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재(320)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적재판(330)은, 지지빔(332), 절첩고정부(334), 적재판테두리(336) 및 적재판살대(338)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빔(332)은, 상기 수직재(320)와 수직을 이루도록 중앙부에서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절첩고정부(334)는, 상기 지지빔(332) 양단에 중앙부 내측이 연결되며,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되 상부와 양측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가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는, 상기 지지빔(332)을 중앙부로 하여 좌측은 'ㄷ'자 형상이고 우측은 상기 좌측 형상의 수직 대칭되는 형상이되, 상기 'ㄷ'자 형상의 절곡부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양단부는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양단부에 삽입 수용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고, 펼쳤을때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적재판살대(338)는,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ㄷ'자 형상의 상,하 수평부분을 연결하되 중앙부분이 하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을 탈착하는 수단으로,
    상기 운반대(200)의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단부측에서 폭이 좁아 지도록 단차(280)가 형성되며,
    상기 폭이 좁은 단부의 양 측면의 중앙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282)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286);
    상기 제1연결부(282)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1연결부(282)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1연결부(282)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1걸림부(284);
    상기 제2연결부(286)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2연결부(286)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2연결부(286)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2걸림부(288);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282)와 상기 제2연결부(286)의 일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 회동하여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측 전면과 후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수직재(320)는,
    수직방향의 긴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가 삽입가능한 폭을 가지며,
    상기 수직재(320)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차(280)와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이 좁은 단부 끝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길이만큼 길이를 가지는 홀이 형성된 제1걸림홀(382)과 제2걸림홀(386)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적재판(330)은, 지지빔(332), 절첩고정부(334), 적재판테두리(336) 및 적재판살대(338)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빔(332)은, 상기 수직재(320)와 수직을 이루도록 중앙부에서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절첩고정부(334)는, 상기 지지빔(332) 양단에 중앙부 내측이 연결되며,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되 상부와 양측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가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는, 상기 지지빔(332)을 중앙부로 하여 좌측은 'ㄷ'자 형상이고 우측은 상기 좌측 형상의 수직 대칭되는 형상이되, 상기 'ㄷ'자 형상의 절곡부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양단부는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양단부에 삽입 수용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고, 펼쳤을때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적재판살대(338)는,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ㄷ'자 형상의 상,하 수평부분을 연결하되 중앙부분이 하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3.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의 천장 파이프에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일부(100);
    상기 레일부(100)에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는 롤러부(210)와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높낮이조절부(220)를 포함하는 운반대(200);
    상기 운반대(200)와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적재판(330)이 형성되는 운반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수평의 막대 형상의 수평연결부(222)와, 상단부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운반판(300)과 연결되는 수직의 막대 형상의 수직연결부(224)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하단부 일측에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탈착걸이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의 연결과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의 각각 연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의 각각 연결 되는 상기 수직연결부(224) 하단부 일측에는 각각 미리 지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탈착걸이부(232)를 다수 형성하며,
    상기 운반판(300)은,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탈착되도록 연결되는 탈착부(310);
    상기 탈착부(310)와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적재판(330)과 하부가 연결되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직재(320);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되는 적재판(330);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일 수직재(320)의 전면과 타 수직재(320)의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적재판(330)은, 지지빔(332), 절첩고정부(334), 적재판테두리(336) 및 적재판살대(338)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빔(332)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절첩고정부(334)는, 상기 수직재(320)와 수직을 이루도록 중앙부 외측에서 연결되며, 상기 지지빔(332) 양단에 중앙부 내측이 연결되고,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되 상부와 양측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가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을 안정화하도록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하는 안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테두리(336)는, 상기 지지빔(332)을 중앙부로 하여 좌측은 'ㄷ'자 형상이고 우측은 상기 좌측 형상의 수직 대칭되는 형상이되, 상기 'ㄷ'자 형상의 절곡부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양단부는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양단부에 삽입 수용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고, 펼쳤을때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적재판살대(338)는,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ㄷ'자 형상의 상,하 수평부분을 연결하되, 상,하 수평부분과 연결된 상기 적재판살대(338)와 수직 교차되도록 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을 탈착하는 수단으로,
    상기 운반대(200)의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단부측에서 폭이 좁아 지도록 단차(280)가 형성되며,
    상기 폭이 좁은 단부의 양 측면의 중앙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282)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286);
    상기 제1연결부(282)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1연결부(282)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1연결부(282)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1걸림부(284);
    상기 제2연결부(286)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2연결부(286)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2연결부(286)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2걸림부(288);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282)와 상기 제2연결부(286)의 일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 회동하여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측 전면과 후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수직재(320)는,
    수직방향의 긴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가 삽입가능한 폭을 가지며,
    상기 수직재(320)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차(280)와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이 좁은 단부 끝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길이만큼 길이를 가지는 홀이 형성된 제1걸림홀(382)과 제2걸림홀(386)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적재판(330)은, 지지빔(332), 절첩고정부(334), 적재판테두리(336) 및 적재판살대(338)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빔(332)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절첩고정부(334)는, 상기 수직재(320)와 수직을 이루도록 중앙부 외측에서 연결되며, 상기 지지빔(332) 양단에 중앙부 내측이 연결되고,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되 상부와 양측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적재판테두리(336)가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을 안정화하도록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하는 안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테두리(336)는, 상기 지지빔(332)을 중앙부로 하여 좌측은 'ㄷ'자 형상이고 우측은 상기 좌측 형상의 수직 대칭되는 형상이되, 상기 'ㄷ'자 형상의 절곡부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양단부는 상기 절첩고정부(334)의 양단부에 삽입 수용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고, 펼쳤을때 수평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적재판살대(338)는, 상기 적재판테두리(336)의 'ㄷ'자 형상의 상,하 수평부분을 연결하되, 상,하 수평부분과 연결된 상기 적재판살대(338)와 수직 교차되도록 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KR1020160094978A 2016-07-26 2016-07-26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KR101941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78A KR101941265B1 (ko) 2016-07-26 2016-07-26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78A KR101941265B1 (ko) 2016-07-26 2016-07-26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120A KR20180012120A (ko) 2018-02-05
KR101941265B1 true KR101941265B1 (ko) 2019-01-23

Family

ID=6122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978A KR101941265B1 (ko) 2016-07-26 2016-07-26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663B1 (ko) * 2018-07-30 2020-03-24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상자 운반장치
CN110522220B (zh) * 2019-09-06 2024-03-22 梁任德 一种多功能支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178Y1 (ko) 2000-10-02 2001-02-15 유중호 비닐하우스 설치용 운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755U (ko) * 1998-10-02 2000-05-06 김영진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100046931A (ko) 2008-10-28 2010-05-07 강동운 비닐하우스 내 작업용 운반장치
KR20140047804A (ko) * 2012-10-15 2014-04-23 여영윤 하우스용 작물 수확 운반장치
KR200477470Y1 (ko) * 2014-06-20 2015-06-17 박노길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178Y1 (ko) 2000-10-02 2001-02-15 유중호 비닐하우스 설치용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120A (ko)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4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de by side couplable pallets and carts
US9050988B1 (en) Collapsible cart
KR101941265B1 (ko)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US20120049474A1 (en) Collapsible hand cart used for carrying articles
US87640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s
KR101941267B1 (ko)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KR101941272B1 (ko)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CN102700579A (zh) 一种救援便携手推车
US93527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s
ES2749000T3 (es) Sistema integrado de transporte de plátanos
JP3149739U (ja) 箱昇降運搬車
US20110089652A1 (en) Material handling car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0452435Y1 (ko) 운송수단용 화물용기 지지장치
KR101943443B1 (ko) 여행 가방용 접철식 휴대캐리어
KR102113134B1 (ko) 기능성 낚시대 캐리어
KR20180062299A (ko) 비닐하우스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중력을 이용한 물건 운반기
KR200459780Y1 (ko) 브로콜리 수확 운반기
KR101235287B1 (ko)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JP6721378B2 (ja) 物品運搬用アタッチメント
JP4666362B2 (ja) 可撓性ポット苗箱の運搬装置
KR200477470Y1 (ko)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JP5131943B1 (ja) 採花運搬用台車
KR200353593Y1 (ko) 운반용 걸이
KR101487808B1 (ko) 바퀴 접이식 손수레
JP4426827B2 (ja) ロールベール運搬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