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287B1 -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287B1
KR101235287B1 KR1020100048385A KR20100048385A KR101235287B1 KR 101235287 B1 KR101235287 B1 KR 101235287B1 KR 1020100048385 A KR1020100048385 A KR 1020100048385A KR 20100048385 A KR20100048385 A KR 20100048385A KR 101235287 B1 KR101235287 B1 KR 101235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parasol
vertical fram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004A (ko
Inventor
한동윤
Original Assignee
한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윤 filed Critical 한동윤
Priority to KR102010004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28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28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바퀴를 3개 또는 4개를 구비한 수레형 운반기와 2개를 구비한 핸드카형 운반기의 두 종류가 대표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상황에 따라 하나의 운반기로 여러 가지 다양한 물품 또는 농작물을 용이하게 나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한 쌍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여 후방으로 함몰된 사각형의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수 개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 끝단에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손잡이가 위치한 수직프레임의 타측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선ㆍ후단에 각각 고정 장착되는 네 개의 바퀴로 구성되는 본체와;
한 쌍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제1 적재대와;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제2 적재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단면에 상응하는 외단면을 가지고 삽입되는 두 개의 삽입프레임과, 상기 삽입프레임의 전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연결프레임을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손잡이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제2 손잡이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의 내측 상면과 양측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내측면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되고 그 끝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제1 힌지홀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와, 양측 수직프레임의 상기 힌지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힌지홀과, 상기 제1 및 제2 힌지홀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힌지볼트와, 제1 및 제2 가이드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에 접첩되었을 때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빗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길이부재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The multipurpose produce carrier}
본 발명은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바퀴를 3개 또는 4개를 구비한 수레형 운반기와 2개를 구비한 핸드카형 운반기의 두 종류가 대표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상황에 따라 하나의 운반기로 여러 가지 다양한 물품 또는 농작물을 용이하게 나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에 관한 것이다.
핸드카는 두 개의 바퀴를 가지고 비스듬하게 세워서 물품을 운반하는 것으로 농촌이 아닌 일반 도시에서는 음료박스를 나를 때 이러한 핸드카를 이용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상기 핸드카는 일반 농촌에서도 각종 수확물을 나르거나 할 때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기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수확물뿐만 아니라 비료포대를 나르거나 각종 모종 또는 농기구를 나를 때에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 다른 형태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69313호(2002년03월11일) '농작물 운반기'에서는 네 개의 바퀴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밀거나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시에는 앉아서 작업도 가능하게 한 운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핸드카나 전술한 운반기의 경우 운반하는 물품에 따라 운반이 힘든 경우가 발생하며 일 예로 고추를 지지하는 긴 막대형의 지지대와 같이 긴 물체의 경우 핸드카로 운반하기가 곤란하고 상부로 잎과 줄기가 나와있는 모종의 경우 핸드카에는 모종의 손상 때문에 한 층만 운반이 가능하나 전술한 운반기는 여러 개를 동시에 나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핸드카에 적합한 것과 운반기에 적합한 것이 구분되어 있으나 농가에서 두 가지를 모두 구비하고 상황에 따라 사용하기에는 비용의 추가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핸드카와 같이 비스듬하게 세워서 물건을 운반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눕혀서 물건을 운반할 수 있는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운반기에 앉아서 작업시 햇빛을 가릴 수 있는 파라솔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고추의 말목이나 기타 긴 물품을 쓰러지지 않도록 하면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 농기계에 용이하게 연결하여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여 후방으로 함몰된 사각형의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수 개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 끝단에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손잡이가 위치한 수직프레임의 타측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선ㆍ후단에 각각 고정 장착되는 네 개의 바퀴로 구성되는 본체와;
한 쌍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제1 적재대와;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제2 적재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단면에 상응하는 외단면을 가지고 삽입되는 두 개의 삽입프레임과, 상기 삽입프레임의 전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연결프레임을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손잡이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제2 손잡이와;
삭제
삭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의 내측 상면과 양측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내측면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되고 그 끝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제1 힌지홀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와, 양측 수직프레임의 상기 힌지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힌지홀과, 상기 제1 및 제2 힌지홀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힌지볼트와, 제1 및 제2 가이드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에 접첩되었을 때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빗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길이부재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두 개의 상기 수직프레임 중 하나의 외측 중앙에 제2 힌지볼트에 의하여 하단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파라솔 장착대와, 상기 파라솔 장착대의 외측 하단에 사용자가 상기 파라솔 장착대의 하부로 더욱 돌출시기거나 또는 돌출시키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제3 빗장과, 상기 파라솔 장착대가 상기 수직프레임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파라솔 장착대가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직인 상태까지 상기 파라솔 장착대 하단의 이동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의 제4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3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되는 파라솔 고정수단에 의하여 파라솔이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다수의 링크가 연결힌지에 의하여 연결되어 길게 연장되거나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두 개의 링크 조립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링크 조립체의 일 끝단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단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단은 걸림훅이 형성되어 길게 펼쳐 졌을 때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인접하여 추가로 구비되는 걸림돌기 걸려 고정되도록 하며, 절첩되었을 경우 접힌 상기 링크 조립체의 두께에 상응하여 탄성적으로 이를 가압 고정하는 고정편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반할 물품 또는 하는 작업에 따라 운반기를 용이하게 핸드카 또는 네 개의 바퀴를 가진 운반기로 변형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적인 운반기의 구입이 없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라솔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중 또는 운반중에 햇빛에 피부가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추말목이나 긴 농사 도구 등을 용이하게 쓰러지지 않게 적재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농기계에 용이하게 견인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그 운반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활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활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활용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활용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활용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파라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파라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눕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부분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눕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한 쌍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여 후방으로 함몰된 사각형의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16, 17)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을 상호 연결하는 수 개의 보강프레임(12)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일 끝단에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손잡이(13)와, 상기 제1 손잡이(13)가 위치한 수직프레임(11)의 타측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4)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선ㆍ후단에 각각 고정 장착되는 네 개의 바퀴(15)로 구성되는 본체(1)와;
한 쌍의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상단에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제1 적재대(2)와;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전면에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제2 적재대(3)와;
상기 수평프레임(14)의 내단면에 상응하는 외단면을 가지고 삽입되는 두 개의 삽입프레임(41)과, 상기 삽입프레임(41)의 전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42)과, 상기 수평프레임(14)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연결프레임(42)을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손잡이 고정수단(43)을 포함하는 제2 손잡이(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를 나타내었다.
이때 본원은 상기 제2 손잡이 고정수단(43)은 상기 삽입프레임(4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고정홀(431)과,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 나사홀(432)과, 상기 제1 나사홀(432)에 상응하여 결합되고 끝단이 제1 고정홀(431) 중 하나에 삽입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나비볼트(433)로 구성되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활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실시 예에 의하여 본원은 일반적인 핸드카와 같이 제1 적재대(2)에 농작물 바구니(20)나 비료포대와 같은 그 길이나 폭이 크지 않고 수직으로 쌓기 용이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비스듬하게 세워서 두 개의 바퀴(15)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제1 손잡이(13)를 잡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활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원의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는 눕혀서 사용할 경우 제2 손잡이(4)를 길게 때서 사용자가 손잡이 역할을 하는 제1 연결프레임(42)을 잡기 쉬울 위치에 제2 손잡이 고정수단(43)을 이용하여 고정 한 후 제2 적재대(3)에 물품을 올려놓고 운반하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제2 적재대(3)는 사용자가 앉아서 농작물을 관리 또는 수확할 수 있는 의자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활용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활용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여 후방으로 함몰된 사각형의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16, 17)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16, 17)의 내측 상면과 양측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내측면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되고 그 끝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제1 힌지홀(51)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52, 53)와, 양측 수직프레임(11)의 상기 힌지홀(51)에 상응하는 위치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힌지홀(54)과, 상기 제1 및 제2 힌지홀(51, 54)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52, 53)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힌지볼트(55)와, 제1 및 제2 가이드(52, 53)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16, 17)에 접첩되었을 때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빗장(56, 5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길이부재 고정수단(5)을 추가로 구비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이때 제1 및 제2 가이드(52, 53)의 상기 제1 및 제2 빗장(56, 57)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홀(58)을 천공하여 빗장의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예는 고추를 재배할 때 고추를 세우는 역할을 하는 고추말목(30)과 같이 길이가 긴 물품의 경우 눕혀서 운반할 경우 좁은 곳을 통과하기 힘들며 세워서 운반할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수단으로 잡고 운반하지 않으면 운반이 곤란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52, 53)에 의하여 세워서 운반하는 길이 부재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실시 예이다.
이때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도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활용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두 개의 상기 수직프레임(11) 중 하나의 외측 중앙에 제2 힌지볼트(61)에 의하여 하단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파라솔 장착대(62)와, 상기 파라솔 장착대(62)의 외측 하단에 사용자가 상기 파라솔 장착대(62)의 하부로 더욱 돌출시기거나 또는 돌출시키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제3 빗장(63)과, 상기 파라솔 장착대(62)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평행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제3 빗장(63)에 상응하는 제2 고정홀(64)을 구비하는 제1 고정브라켓(65)과, 상기 파라솔 장착대(62)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수직인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제3 빗장(63)에 상응하는 제3 고정홀(66)을 구비하는 제2 고정브라켓(67)으로 구성되는 파라솔 고정수단(6)에 의하여 파라솔(10)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사용자가 제2 적재대(3)에 앉아서 작업을 할 경우 햇빛이나 비를 피하기 위한 파라솔(10)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파라솔 장착대(62)의 상단은 파라솔(1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거나 또는 하단에 반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경이 축소되는 단턱된 돌기를 둘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파라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파라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두 개의 상기 수직프레임(11) 중 하나의 외측 중앙에 제2 힌지볼트(61)에 의하여 하단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파라솔 장착대(62)와, 상기 파라솔 장착대(62)의 외측 하단에 사용자가 상기 파라솔 장착대(62)의 하부로 더욱 돌출시기거나 또는 돌출시키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제3 빗장(63)과, 상기 파라솔 장착대(62)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파라솔 장착대(62)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수직인 상태까지 상기 파라솔 장착대(62) 하단의 이동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의 제4 고정홀(68)이 형성되는 제3 고정브라켓(69)으로 구성되는 파라솔 고정수단(6)에 의하여 파라솔(10)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눕혀서 사용할 때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수직으로 파라솔(10)을 장착할 수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 핸드카와 같은 형태로 운반작업을 할 때 파라솔(10)을 상기 수직프레임(11)과 비스듬하게 장착하여 비나 햇빛을 피할 수 있도록 한 실시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눕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부분단면도로서, 상기 제1 적재대(2)의 하부 전방에 인접하여 일면은 상기 제1 적재대(2)에 고정되고 타측은 수직 절곡되어 그 끝단에 힌지(71)가 형성되는 연결브라켓(72)과, 상기 힌지(7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끝단은 수직 절곡되어 농기계의 후미 부분에 고정핀(73)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 삽입홀(74)이 형성되는 견인브라켓(75)과, 상기 견인브라켓(75)이 접힌 상태에 고정핀 삽입홀(74) 또는 추가로 형성되는 제5 고정홀(76)에 끝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4 빗장(77)으로 이루어진 견인 고정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운반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인력이 아닌 구동수단을가진 농기계를 이용하여 본원의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를 운반하기 위하여 형성한 실시 예이다.
이때 견인브라켓(75)이 사용하지 않을 때 제1 적재대(2)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운반중 지면에 끌릴 우려가 있기에 평상시에는 제4 빗장(77)으로 견인브라켓(75)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눕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수의 링크(81)가 연결힌지(82)에 의하여 연결되어 길게 연장되거나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두 개의 링크 조립체(8)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4)의 외측면에는 상기 링크 조립체(8)의 일 끝단이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상단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단은 걸림훅(83)이 형성되어 길게 펼쳐 졌을 때 수직프레임(11)의 상단에 인접하여 추가로 구비되는 걸림돌기(18) 걸려 고정되도록 하며, 절첩되었을 경우 접힌 상기 링크 조립체(8)의 두께에 상응하여 탄성적으로 이를 가압 고정하는 고정편(19)이 상기 수평프레임(14)에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물품을 눕혀서 운반할 때 흔들림 또는 기울어짐에 의하여 양측으로 물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훅(83)과 결합하는 걸림돌기(18)는 측방향에서 발생하는 힘에 상기 걸림훅(83)이 이탈하지 않도록 홈을 두어 그 홈에 걸림훅(83)이 삽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편(19)은 수평프레임(14)의 측면에 대항하여 수직으로 상기 링크 조립체(8)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연장된 후 다시 수직절곡되어 상기 링크 조립체(8)가 고정편(19)과 수평프레임(14)의 측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때 삽입된 후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부분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다소 경사지게 형성함과 동시에 끝단은 삽입이 용이하도록 다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굴절되는 형상을 가진다.
1 : 본체
11 : 수직프레임 12 : 보강프레임
13 : 제1 손잡이 14 : 수평프레임
15 : 바퀴 16 : 제1 가이드 안착부
17 : 제2 가이드 안착부 18 : 걸림돌기
19 : 고정편
2 : 제1 적재대
3 : 제2 적재대
4 : 제2 손잡이
41 : 삽입프레임 42 : 제1 연결프레임
43 : 제2 손잡이 고정수단
431 : 제1 고정홀 432 : 제1 나사홀
433 : 나비볼트
5 : 길이부재 고정수단
51 : 제1 힌지홀 52 : 제1 가이드
53 : 제2 가이드 54 : 제2 힌지홀
55 : 제1 힌지볼트 56 : 제1 빗장
57 : 제2 빗장
6 : 파라솔 고정수단
61 : 제2 힌지볼트 62 : 파라솔 장착대
63 : 제3 빗장 64 : 제2 고정홀
65 : 제1 고정브라켓 66 : 제3 고정홀
67 : 제2 고정브라켓 68 : 제4 고정홀
69 : 제3 고정브라켓
7 : 견인 고정수단
71 : 힌지 72 : 연결브라켓
73 : 고정핀 74 : 고정핀 삽입홀
75 : 견인브라켓 76 : 제5 고정홀
77 : 제4 빗장
8 : 링크 조립체
81 : 링크 82 : 연결힌지
83 : 걸림훅
10 : 파라솔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한 쌍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여 후방으로 함몰된 사각형의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16, 17)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을 상호 연결하는 수 개의 보강프레임(12)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일 끝단에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손잡이(13)와, 상기 제1 손잡이(13)가 위치한 수직프레임(11)의 타측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4)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선ㆍ후단에 각각 고정 장착되는 네 개의 바퀴(15)로 구성되는 본체(1)와;
    한 쌍의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상단에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제1 적재대(2)와;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전면에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제2 적재대(3)와;
    상기 수평프레임(14)의 내단면에 상응하는 외단면을 가지고 삽입되는 두 개의 삽입프레임(41)과, 상기 삽입프레임(41)의 전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42)과, 상기 수평프레임(14)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연결프레임(42)을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손잡이 고정수단(43)을 포함하는 제2 손잡이(4)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16, 17)의 내측 상면과 양측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내측면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되고 그 끝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제1 힌지홀(51)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52, 53)와, 양측 수직프레임(11)의 상기 힌지홀(51)에 상응하는 위치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힌지홀(54)과, 상기 제1 및 제2 힌지홀(51, 54)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52, 53)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힌지볼트(55)와, 제1 및 제2 가이드(52, 53)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안착부(16, 17)에 접첩되었을 때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빗장(56, 5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길이부재 고정수단(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수직프레임(11) 중 하나의 외측 중앙에 제2 힌지볼트(61)에 의하여 하단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파라솔 장착대(62)와, 상기 파라솔 장착대(62)의 외측 하단에 사용자가 상기 파라솔 장착대(62)의 하부로 더욱 돌출시기거나 또는 돌출시키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제3 빗장(63)과, 상기 파라솔 장착대(62)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파라솔 장착대(62)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수직인 상태까지 상기 파라솔 장착대(62) 하단의 이동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의 제4 고정홀(68)이 형성되는 제3 고정브라켓(69)으로 구성되는 파라솔 고정수단(6)에 의하여 파라솔(10)이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6. 삭제
  7. 제 3항에 있어서, 다수의 링크(81)가 연결힌지(82)에 의하여 연결되어 길게 연장되거나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두 개의 링크 조립체(8)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4)의 외측면에는 상기 링크 조립체(8)의 일 끝단이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상단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단은 걸림훅(83)이 형성되어 길게 펼쳐 졌을 때 수직프레임(11)의 상단에 인접하여 추가로 구비되는 걸림돌기(18) 걸려 고정되도록 하며, 절첩되었을 경우 접힌 상기 링크 조립체(8)의 두께에 상응하여 탄성적으로 이를 가압 고정하는 고정편(19)이 상기 수평프레임(14)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KR1020100048385A 2010-05-25 2010-05-25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KR101235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385A KR101235287B1 (ko) 2010-05-25 2010-05-25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385A KR101235287B1 (ko) 2010-05-25 2010-05-25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004A KR20110129004A (ko) 2011-12-01
KR101235287B1 true KR101235287B1 (ko) 2013-02-20

Family

ID=4549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385A KR101235287B1 (ko) 2010-05-25 2010-05-25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592B1 (ko) * 2016-08-05 2017-01-31 배기웅 다용도 대차
CN113799863B (zh) * 2021-10-28 2022-07-12 西安航空学院 一种用于飞机蒙皮类零件运载的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4972A1 (en) * 1984-03-16 1986-03-26 Ennis M S J HAMMER FOR USE IN A MINE HOLE AND APPARATUS FOR USE WITH SAME.
US6053515A (en) * 1998-12-31 2000-04-25 Kelley; Earnest Handy carrier
JP2007253767A (ja) * 2006-03-23 2007-10-04 Shoichi Sugio 組立式台車兼用作業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4972A1 (en) * 1984-03-16 1986-03-26 Ennis M S J HAMMER FOR USE IN A MINE HOLE AND APPARATUS FOR USE WITH SAME.
US6053515A (en) * 1998-12-31 2000-04-25 Kelley; Earnest Handy carrier
JP2007253767A (ja) * 2006-03-23 2007-10-04 Shoichi Sugio 組立式台車兼用作業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004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35503A (en) Garden tool cart
US7984923B2 (en) Stroller
ES2316671T3 (es) Carro de supermercado.
ES2968912T3 (es) Estructura de marco de hierro de sofá y sofá
US20120223496A1 (en) Stroller
TW201125511A (en) Improved luggage construction
KR200462462Y1 (ko) 농산물 작업용 테이블
US20100018466A1 (en) Car dog seat
KR101235287B1 (ko)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CN109843695B (zh) 带有用于安装儿童座椅的适配器的四轮车
US20070126207A1 (en) Combination infant carriage and utility cart
KR200486235Y1 (ko) 등짐분무기 이송용 다용도 수레
KR20180000126U (ko)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KR101941265B1 (ko)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KR102113134B1 (ko) 기능성 낚시대 캐리어
US20020084629A1 (en) Utility cart
EP2604242A2 (en) Modular trolley
KR20220011042A (ko) 농작물 수확기
CN207416997U (zh) 一种容器台车
KR101941267B1 (ko)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KR200459780Y1 (ko) 브로콜리 수확 운반기
KR200230234Y1 (ko) 농사용 다용도 운반기
US20120286485A1 (en) Cart for large area objects
JPH10315978A (ja) 作物積込み装置
CN219479201U (zh) 鲜烟叶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