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592B1 - 다용도 대차 - Google Patents

다용도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592B1
KR101700592B1 KR1020160099993A KR20160099993A KR101700592B1 KR 101700592 B1 KR101700592 B1 KR 101700592B1 KR 1020160099993 A KR1020160099993 A KR 1020160099993A KR 20160099993 A KR20160099993 A KR 20160099993A KR 101700592 B1 KR101700592 B1 KR 101700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pinhole
support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웅
Original Assignee
배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웅 filed Critical 배기웅
Priority to KR102016009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onvertible from a one-axled vehicle to a two-axle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1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both ends or periphery of cart fitted with handl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적재판(100); 상기 제1적재판(100) 일단부에 상기 적재판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적재판(200); 상기 제1적재판(100) 타단부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절첩이 가능한 손잡이(300); 상기 제1적재판(100) 하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전륜 및 후륜(400);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적재판(100)의 상방으로 지지되고, 후방으로 절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핑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300)의 양 하단부와 상기 제1적재판(100)의 일단부 양측에 절첩되도록 연결하는 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대차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4륜 대차로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를 제1적재판과 수평이 되도록 펼쳐 제3적재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 이송시 많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인 다용도 대차의 후륜을 후방으로 접은 채로 사용하면 사륜 대차로 많은 적재물을 한꺼번에 이송하거나, 다양한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륜의 통상의 대차와 같이 전륜을 바퀴로 하여 비스듬히 세워 박스와 같은 물건을 운반하기 편리한바 하나의 대차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후륜을 펼쳐 적재면이 수평이 되도록 운행을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 이륜 대차의 불안정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이륜 대차의 장점인 우수한 조향성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륜 대차이면서도 적재면을 넓게 하여 많은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넷째, 후륜을 펼쳐 상술한 바와 같은 이륜 대차뿐만 아니라 사륜 대차로도 사용 가능한바, 이러한 경우 비스듬한 상태로 운행하게 되는 이륜 대차 운행시 불안정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비스듬한 상태로 사륜으로 운행이 가능하여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일반 농가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를 지면에 박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파이프를 지면에서 인출하기 위해서 망치로 파이프의 측면을 두들기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인출시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파이프의 손상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제2적재판의 구멍과 와이어를 연결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지면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파이프가 손상 없이 인출되도록 하여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대차{A MULTIPURPOSE TRANSFER CAR}
본 발명은 다용도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가 수평, 수직으로 절첩가능하도록 하고, 후륜이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2륜 또는 4륜의 밀차 또는 대차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에 적용 가능하며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다용도 대차에 관한 것이다.
대차란 통상적으로 물건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수레를 말하는데, 운반대차, 운반카트, 카트, 핸드카, 운반차, 운반기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핸드카는 두 개의 바퀴를 가지고 비스듬하게 세워서 물품을 운반하는 것을 말하고, 도시에서는 각종 박스 등을 나를 때 이러한 핸드카를 이용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카는 일반 농촌에서도 각종 수확물을 나르거나 할 때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기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수확물뿐만 아니라 비료포대나 거름포대 등을 나르거나 각종 모종 또는 농기구를 나를 때에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농촌에서 사용되는 핸드카에는 두 개의 바퀴를 이용하여 평탄하거나 넓은 길을 이용할때 상대적으로 많은 적재물이 요구되는 때 사용되는 리어카와 이뿐만 아니라 한 개의 바퀴를 이용하여 좁은 길이나 밭길, 비닐하우스 내부 등에서 적재물을 옮기는 데 사용되는 외륜 핸드카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69313호(2002년03월11일) '농작물 운반기'에서는 네 개의 바퀴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밀거나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시에는 앉아서 작업도 가능하게 한 운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의 배경기술에 의한 대차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핸드카나 운반기는 적재물품에 따라 운반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추를 지지하는 긴 막대형의 지지대와 같이 긴 물체의 경우 상기 핸드카로 운반하기가 곤란하고, 상부로 잎과 줄기가 나와있는 농작물의 모종의 경우, 잎과 줄기에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단층으로 적재할 수 있을 뿐인 점에 비추어 상기 핸드카의 적재면은 협소하여 적재량이 줄어들어 효율이 좋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운반기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바, 그 적재물품의 종류나 수량에 따라 운반장치를 바꾸어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서도 운반장치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밭길과 같이 노면이 거칠어 이동하기 힘든 장소나 좁은 길을 운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지면과 닿는 바퀴가 적을수록 쉽게 운행할 수 있을 것인 점에서 그러하다.
둘째,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물품의 종류나 수량, 사용장소 등에 따라 여러 종류의 운반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운반장치를 구비해야 할 것이고, 이와 같은 운반장치의 구비에 발생하는 비용은 일반 농가에서는 상당한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의 핸드카(이륜 대차)의 경우 비스듬히 세워 운행을 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이러한 핸드카는 조향성은 우수하나 운행시 중심을 잡기가 상당히 어렵고, 턱에 걸리거나 하면 적재물이 쏟아지는 등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9313호(공고일자: 2002년03월11일)
본 발명인 다용도 대차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핸드카나 운반기는 적재물품이나 사용장소에 따라 운반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하여 다양한 대차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다양한 종류의 대차를 구비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상의 손실과 공간적 비효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종래 이륜 대차의 운행시 비스듬히 운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중심 잡기의 어려움 및 적재물의 적재상 불안정함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다용도 대차는,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적재판; 상기 제1적재판 일단부에 상기 제1적재판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적재판; 상기 제1적재판 타단부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절첩이 가능한 손잡이; 상기 제1적재판 하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적재판과 절첩되어 제3적재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적재판의 상방으로 지지되고, 후방으로 절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의 양 하단부와 상기 제1적재판의 일단부 양측에 절첩되도록 연결하는 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측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부재 상면에 ∩ 형상을 하는 클램핑지지부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적재판의 일단부에 상기 제1적재판과 미리 지정한 각을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이 형성되는 클램핑고정부가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지지부의 ∩ 형상의 수평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 및 상기 제1클램핑핀홀이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제2클램핑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 및 상기 제1클램핑핀홀이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 형상의 수평부재에 제3클램핑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클램핑핀홀 및 상기 제3클램핑핀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1클램핑핀홀에 삽입되는 클램핑핀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핀은 중앙부에 스프링지지부가 상기 클램핑핀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핀이 삽입되는 클램핑스프링은 상기 클램핑지지부 와 상기 스프링지지부간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 양측을 연결하며 중앙부가 개방되는 수평지지부재; T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수평지지부재 중앙부 상면에 상기 T 형상의 수직부재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T 형상의 수평부재 각 단부가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 양측을 연결하는 클램핑지지부; 상기 제1적재판의 후단부 중앙부 상면에 상기 제1적재판과 미리 지정한 각을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이 형성되는 클램핑고정부; 및 상기 클램핑지지부 T 형상의 수평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T 형상의 수직부재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클램핑핀홀에 삽입되는 클램핑핀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핀은 중앙부에 스프링지지부가 상기 클램핑핀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핀이 삽입되는 클램핑스프링은 상기 클램핑지지부 와 상기 스프링지지부간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고정부(330)는, 상기 제1적재판과 90°, 45°및 수평을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적재판은 상부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과 지면에 박힌 파이프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기 파이프를 인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륜은 플랜지와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와 ㄷ 형상을 하는 플랜지지지대의 폐쇄된 양단부측과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지지대의 개방된 양단부는 상기 제1적재판의 하면과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지지대와 상기 제1적재판 후방 단부를 긴 막대 형상의 후륜절첩부가 연결하며, 상기 후륜절첩부는, 상기 플랜지지지대와 연결되며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을 하는 외관부; 상기 외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적재판 후방 단부와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외관부와 상기 삽입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절첩핀홀 및 제2절첩핀홀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되, 이격된 수평부재간의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양 수평부재 중 어느 하나의 수평부재의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길이가 더 긴 수평부재의 타단부측이 절첩부스프링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길이가 더 긴 수평부재의 타단부 말단에 상기 절첩부스프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를 형성하는 절첩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륜절첩부는, ㄷ 형상을 하며, 개방된 측 양단부는 상기 플랜지지대와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폐쇄된 측 양 단부는 다수의 각도조절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각도조절축; 및 상기 제1적재판의 후방 하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각도조절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대차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4륜 대차로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를 제1적재판과 수평이 되도록 펼쳐 제3적재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 이송시 많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인 다용도 대차의 후륜을 후방으로 접은 채로 사용하면 사륜 대차로 많은 적재물을 한꺼번에 이송하거나, 다양한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륜의 통상의 대차와 같이 전륜을 바퀴로 하여 비스듬히 세워 박스와 같은 물건을 운반하기 편리한바 하나의 대차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후륜을 펼쳐 적재면이 수평이 되도록 운행을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 이륜 대차의 불안정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이륜 대차의 장점인 우수한 조향성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륜 대차이면서도 적재면을 넓게 하여 많은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넷째, 후륜을 펼쳐 상술한 바와 같은 이륜 대차뿐만 아니라 사륜 대차로도 사용 가능한바, 이러한 경우 비스듬한 상태로 운행하게 되는 이륜 대차 운행시 불안정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비스듬한 상태로 사륜으로 운행이 가능하여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일반 농가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를 지면에 박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파이프를 지면에서 인출하기 위해서 망치로 파이프의 측면을 두들기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인출시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파이프의 손상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제2적재판의 구멍과 와이어를 연결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지면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파이프가 손상 없이 인출되도록 하여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의 또다른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클램핑부의 다른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클램핑부의 또다른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사륜 대차로 사용하는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이륜 대차로 사용하는 또다른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후륜의 절첩상태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후륜의 절첩과 각도조절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이륜 대차로 지면에 박힌 파이프(파일)를 인출시 사용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의 또다른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클램핑부의 다른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클램핑부의 또다른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사륜 대차로 사용하는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이륜 대차로 사용하는 또다른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후륜의 절첩상태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후륜의 절첩과 각도조절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이륜 대차로 지면에 박힌 파이프(파일)를 인출시 사용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로써 함께 설명한다.
종래의 핸드카나 운반기는 적재물품에 따라 운반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추를 지지하는 긴 막대형의 지지대와 같이 긴 물체의 경우 상기 핸드카로 운반하기가 곤란하고, 상부로 잎과 줄기가 나와있는 농작물의 모종의 경우, 잎과 줄기에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단층으로 적재할 수 있을 뿐인 점에 비추어 상기 핸드카의 적재면은 협소하여 적재량이 줄어들어 효율이 좋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운반기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바, 그 적재물품의 종류나 수량에 따라 운반장치를 바꾸어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서도 운반장치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밭길과 같이 노면이 거칠어 이동하기 힘든 장소나 좁은 길을 운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지면과 닿는 바퀴가 적을수록 쉽게 운행할 수 있을 것인 점에서 그러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물품의 종류나 수량, 사용장소 등에 따라 여러 종류의 운반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운반장치를 구비해야 할 것이고, 이와 같은 운반장치의 구비에 발생하는 비용은 일반 농가에서는 상당한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종래의 핸드카(이륜 대차)의 경우 비스듬히 세워 운행을 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이러한 핸드카는 조향성은 우수하나 운행시 중심을 잡기가 상당히 어렵고, 턱에 걸리거나 하면 적재물이 쏟아지는 등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대차로 이륜 및 사륜의 대차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이륜 대차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재면을 수평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행시 불안정함을 해결하고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는,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적재판(100); 상기 제1적재판(100) 일단부에 상기 제1적재판(100)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적재판(200); 상기 제1적재판(100) 타단부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절첩이 가능한 손잡이(300); 상기 제1적재판(100) 하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전륜 및 후륜(400);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적재판(100)과 절첩되어 제3적재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적재판(100)의 상방으로 지지되고, 후방으로 절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핑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300)의 양 하단부와 상기 제1적재판(100)의 일단부 양측에 절첩되도록 연결하는 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적재판(100)은, 사륜 대차로 사용할 때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판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또는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 내부로 수직 수평으로 내부프레임을 갖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사륜 대차로 사용하는 경우 많은 적재물을 싣고 운행할 있으나, 그 사용장소는 지면이 고른 상태이고 비교적 넓은 장소에 한정될 수 있다. 사륜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조향성이 나빠 상대적으로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이륜 대차의 경우보다 넓은 범위의 조향장소가 필요하며, 또한 바퀴 네 개가 지면과 접촉되므로 그 마찰도 이륜보다 심하므로 적절한 운행을 위해서는 평탄한 지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적재판(200)은, 이륜 대차로 사용하는 경우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판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상적인 이륜 대차(핸드카 등)의 경우 비스듬히 세워 운행하게 되는데 상기 제2적재판(200)은 상기 제1적재판(100)의 전방에서 상부로 수직으로 형성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정차하여 적재물을 적재하는 경우 상기 제1적재판(100)은 지면과 수직으로, 상기 제2적재판(200)은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상기 제2적재판(200)이 지면과 맞닿은 채 본 발명을 지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적재판(200)에 적재물을 적재한 뒤 상기 손잡이(300)를 상기 제1적재판(100)의 하부 방향으로 잡아 당긴 후 적절한 기울기로 균형을 잡은 뒤 비스듬한 상태에서 운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적재판(200)에 적재물이 적재되고, 이를 상기 제1적재판(100)이 받치는 상태로 운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적재판(200)은 상부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과 지면에 박힌 파이프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기 파이프를 인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는 지면에 박힌 것으로 파일이라 할 수 있는데, 특히 비닐하우스 골조용 파일을 지면에서 제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파일의 구성은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파이프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서 내부로 관통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피스홀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부착된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홀에 체결되는 피스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바디의 하단부는 납작하게 압축되어 뾰족하게 형성된다. 즉 비닐하우스의 골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골조의 해체없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파일이다. 물론 이러한 파일뿐만 아니라 지면에 박힌 어떠한 용도의 파이프에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파이프를 지면에서 인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적재판(200)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파이프의 상단부를 와이어로 연결한 후, 상기 제2적재판(200)의 전륜을 받침점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300)를 상기 제1적재판(100) 하면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와이어를 지면에서 인출할 수 있다.
일반 농가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를 지면에 박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다양한 파이프를 지면에서 인출하기 위해서 망치로 파이프의 측면을 두들기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파이프에 손상을 가할 수 있어 재사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지면에서 인출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어려움 없이, 또한 파이프의 손상없이 인출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300)는, 본 발명인 다용도 대차에 있어서 이륜 대차로 이용하는 경우 손잡이(300)로 사용될 수 있고, 사륜 대차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적재판(100)과 수직이 되도록 절첩하여 손잡이(300)뿐만 아니라 적재된 물품이 적재판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적재판과 수평이 되도록 절첩하여(펼쳐) 제3적재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적재판에는 작은 물품이나 가벼운 물품 등을 적재할 수 있을 것인데 상기 제1적재판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적재판에도 물품을 적재할 수 있어 많은 물품을 한 번에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손잡이(3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적재판(100)의 상방으로 지지되고, 후방으로 절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핑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300)의 양 하단부와 상기 제1적재판(100)의 일단부 양측에 절첩되도록 연결하는 절첩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310)는, 상기 손잡이(300)의 하단부측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부재(312) 상면에 ∩ 형상을 하는 클램핑지지부(320)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적재판(100)의 일단부에 상기 제1적재판과 미리 지정한 각을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332)이 형성되는 클램핑고정부(330)가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지지부(320)의 ∩ 형상의 수평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312) 및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과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지지부재(312)에 제2클램핑핀홀(314)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312) 및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과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 형상의 수평부재에 제3클램핑핀홀(3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클램핑핀홀(314) 및 상기 제3클램핑핀홀(322)을 관통하고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에 삽입되는 클램핑핀(34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핀(340)은 중앙부에 스프링지지부(342)가 상기 클램핑핀(340)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핀(340)이 삽입되는 클램핑스프링(344)은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와 상기 스프링지지부(342)간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클램핑부(310)는, 상기 손잡이(300)의 하단부 양측을 연결하며 중앙부가 개방되는 수평지지부재(312); T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수평지지부재(312) 중앙부 상면에 상기 T 형상의 수직부재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T 형상의 수평부재 각 단부가 상기 손잡이(300)의 상단부 양측을 연결하는 클램핑지지부(320); 상기 제1적재판(100)의 후단부 중앙부 상면에 상기 제1적재판과 미리 지정한 각을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332)이 형성되는 클램핑고정부(330); 및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T 형상의 수평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T 형상의 수직부재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31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에 삽입되는 클램핑핀(34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핀(340)은 중앙부에 스프링지지부(342)가 상기 클램핑핀(340)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핀(340)이 삽입되는 클램핑스프링(344)은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와 상기 스프링지지부(342)간에 위치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310)는 두가지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는 상기 클램핑지지부(320)가 ∩ 형상을 하는 형태이고, 두번째는 상기 클램핑지지부(320)가 T 형상을 하는 형태로 핀손잡이(클램핑핀의 두부에 형성되는 손잡이)가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와 가까이 형성되는 형태이다. 두번째 형태는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와 가까이 상기 핀손잡이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핀손잡이를 잡아 당기고 놓는데 편리하여 상기 손잡이를 절첩하는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먼저 첫번째 형태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클램핑고정부(330)는, 상기 제1적재판과 90°, 45°및 수평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리 지정한 각은 상기 제1적재판과 90°, 45°및 수평 중 어느 하나를 이루는 각을 말한다. 이는 두번째 형태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적재판(100)과 수평이 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고, 절첩되어 상기 제1적재판(100)과 수직이 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적재판과 45°를 이루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적재판(100)의 후방 양측에 상기 절첩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절첩부는 통상의 경첩과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절첩부는 상기 제1적재판(100)과 상기 손잡이(300)를 수직, 수평 및 45°의 각을 이루도록 절첩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핑부(310)는 상기 제1적재판(100) 후방 중앙부에서 상기 손잡이(300)의 하단 중앙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1적재판(100)과 상기 손잡이(300)가 수직, 수평 및 45°의 각을 이루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핑부(310)는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상기 클램핑고정부(330) 및 상기 클램핑핀(340)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램핑고정부(330)와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및 상기 손잡이(300) 하단부측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부재(312)에 상기 클램핑핀(340)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인 클램핑핀(340)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은 상기 제1적재판(100)과 수직, 수평 및 45°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300)가 수직, 수평 및 45°의 각을 이루도록 절첩되는 경우 상기 클램핑핀(340)이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300)를 수직, 수평 및 45°의 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은 상기 제1적재판(100)의 상기 클램핑고정부(330)에 형성되고, 나머지 상기 제2클램핑핀홀(314)과 상기 제3클램핑핀홀(322)은 상기 손잡이(300)의 중앙부의 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핀(340)이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 내지 상기 제3클램핑핀홀(3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손잡이(300)와 상기 제1적재판(100)이 수직, 수평 및 45°의 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클램핑지지부(320)는, 상기 클램핑핀(340)을 지지하고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클램핑지지부(320)는 ∩ 형상을 하며, 상기 손잡이(300)의 하단부측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부재(312)의 상면중앙부에 상기 ∩ 형상의 양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 형상의 수평부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3클램핑핀홀(322)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고정부(330)는, 상기 클램핑핀(340)이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300)와 상기 제1적재판(1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핑고정부(330)는 상기 제1적재판(100)과 수직, 수평 및 45°의 각을 이루도록 상기 클램핑핀(340)이 삽입되는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부재(312)는, 상기 손잡이(300)의 구조를 더욱 안정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클램핑지지부(320)가 연결되는 부재이다. 상기 손잡이(300)의 하단 양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수평지지부재(312)의 중앙부에 상기 제2클램핑핀홀(314)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핀(340)은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 내지 상기 제클램핑핀(340)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적재판(100)과 상기 손잡이(300)의 수평 혹은 수직 방향의 연결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핑핀(340)은 긴 봉형상의 몸체와 중앙부에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스프링지지부(342)를 가지며 두부에 핀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은 상기 스프링지지부(342)와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클램핑핀(340)을 상부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면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은 압축되고 상기 클램핑핀(340)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핀(340)을 하방향으로 밀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300)를 절첩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클램핑핀(340)을 잡아 당겨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에서 상기 클램핑핀(340)을 완전히 인출한 뒤 상기 손잡이(300)를 절첩한 후 상기 클램핑핀(340)을 놓으면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에 의해 절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클램핑부(310)의 두번째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클램핑부(310)는, 상기 손잡이(300)의 하단부 양측을 연결하며 중앙부가 개방되는 수평지지부재(312); T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수평지지부재(312) 중앙부 상면에 상기 T 형상의 수직부재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T 형상의 수평부재 각 단부가 상기 손잡이(300)의 상단부 양측을 연결하는 클램핑지지부(320); 상기 제1적재판(100)의 후단부 중앙부 상면에 상기 제1적재판과 미리 지정한 각을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332)이 형성되는 클램핑고정부(330); 및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T 형상의 수평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T 형상의 수직부재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31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에 삽입되는 클램핑핀(34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핀(340)은 중앙부에 스프링지지부(342)가 상기 클램핑핀(340)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핀(340)이 삽입되는 클램핑스프링(344)은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와 상기 스프링지지부(342)간에 위치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재(312)는 상기 손잡이 하단부 양측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중앙부가 상기 클램핑핀(340) 및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이 관통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술한 첫번째 형태와 마찬가지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두번째 형태의 경우 그 중앙부에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을 포함하는 클램핑핀(340)이 관통하는 개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개방공간은 상기 클램핑지지부(320)의 T 형상의 수직부재의 단부가 폐쇄하면서 개방공간의 양측을 연결하게 되고, 상기 T 형상의 수직부재로는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을 제외하고 상기 클램핑핀(340)만이 관통하게 된다. 즉 상기 클램핑핀(340)을 상방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은 클램핑지지부(320)의 T 형상의 수직부재의 단부에 걸리게 되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클램핑지지부(320)는, T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수평지지부재(312) 중앙부 상면에 상기 T 형상의 수직부재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T 형상의 수평부재 각 단부가 상기 손잡이(300)의 상단부 양측을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첫번째 형태와 달리 두번째 형태는 상기 클램핑핀(340)의 핀손잡이가 상기 손잡이(300)의 말단부(상단부)와 가까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지지부(320)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도록 하였다. 이는 상기 클램핑핀(340)의 핀손잡이가 상기 손잡이(300)의 말단부(상단부)와 가까이 있으면 상기 클램핑핀(340)을 조작하기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T 형상의 수직부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클램핑핀(340)이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핀(340)의 두부는 상기 T 형상의 수평부재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클램핑핀(340)의 두부에 핀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고정부(330)는, 상술한 첫번째 형태와 그 형상과 기능을 같이한다. 즉 상기 제1적재판(100)의 후단부 중앙부 상면에 상기 제1적재판과 미리 지정한 각을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3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핀(340)은 상술한 첫번째 형태보다 그 길이가 길어지며, 그 기능은 같다. 즉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T 형상의 수평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T 형상의 수직부재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31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핑핀(340)은 중앙부에 스프링지지부(342)가 상기 클램핑핀(340)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핀(340)이 삽입되는 클램핑스프링(344)은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와 상기 스프링지지부(342)간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두번째 형태의 경우 손잡이를 접철하기 위한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상기 클램핑핀(340)의 핀손잡이를 잡아당겨 상기 클램핑핀(340)이 상부로 잡아당겨지면 상기 클램핑핀(340)의 말단부는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에서 인출되고,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은 상기 스프링지지부(342)와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T 형상의 수직부재의 단부에 걸려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손잡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첩한 후 상기 클램핑핀(340)의 핀손잡이를 놓으면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핀(340)의 말단부는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핑스프링(344)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작업 중에 상기 클램핑핀(340)이 인출되어 손잡이가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후륜(400)은, 상기 제1적재판(100)의 후방에 위치거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게 하여 사륜 대차 나 이륜 대차 중 상기 제1적재판(100)을 수평으로 운행할 수 있는 용도로서의 사용시 대차의 바퀴로 이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사륜 대차로 사용시 상기 제1적재판(100)이 비스듬한 구조로 운행할 수도 있다. 즉 이륜 대차로 이용시 상기 제1적재판(100)을 지면과 수평으로 하여 상기 후륜만이 지면과 닿도록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사륜 대차로 이용시에는 두가지 형태로 운행할 수 있는데, 첫번째로는 상기 후륜(400)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후륜(400)이 상기 제1적재판(1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적재판(100)이 지면과 수평이 되게끔 상기 전륜과 후륜이 모두 지면과 닿도록 사륜 대차로 운행가능하다. 두번째로는, 상기 후륜(400)을 펼쳐 상기 후륜이 상기 제1적재판(100)의 하방 즉 상기 제1적재판(100)과 거리를 일정하게 두면서 상기 제1적재판(100)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채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400)이 모두 지면과 닿도록 하여 사륜 대차로 운행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작업자가 구부리지 않고 선 채로 본 발명의 다용도 대차의 상기 손잡이를 잡고 운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되는 장점이 있다.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후륜(400)은 플랜지(410)와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410)는 ㄷ 형상을 하는 플랜지지지대(420)의 폐쇄된 양단부측과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지지대(420)의 개방된 측 양단부는 상기 제1적재판(100)의 하면과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지지대(420)와 상기 제1적재판(100) 후방 단부를 긴 막대 형상의 후륜절첩부(430)가 연결하며, 상기 후륜절첩부(430)는, 상기 플랜지지지대(420)와 연결되며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을 하는 외관부(432); 상기 외관부(432)와 연결되고, 상기 제1적재판(100) 후방 단부와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삽입부재(434); 및 상기 외관부(432)와 상기 삽입부재(434)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절첩핀홀(436) 및 제2절첩핀홀(438)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되, 이격된 수평부재간의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양 수평부재 중 어느 하나의 수평부재의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길이가 더 긴 수평부재의 타단부측이 절첩부스프링(442)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길이가 더 긴 수평부재의 타단부 말단에 상기 절첩부스프링(442)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444)를 형성하는 절첩핀(440);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10)는 상기 후륜(400)과 연결되어 상기 후륜(400)을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410)는 통상의 바퀴와 연결되는 플랜지(41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상기 후륜(400)의 내측이나 외측 또는 양측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지지대(420)는 상기 제1적재판(100)과 상기 플랜지(41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후륜(400)이 상기 제1적재판(100) 후방과 하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적재판(100)과 회동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플랜지지지대(420)는 ㄷ 형상을 하며, 상기 ㄷ 형상의 개방된 측 양단부와 상기 제1적재판(100)의 중앙부 측 양단부가 회동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ㄷ 형상의 폐쇄된 측 양단부와 상기 플랜지(410)가 연결된다.
상기 후륜절첩부(430)는, 상기 후륜(400)이 상기 제1적재판(100)의 후방과 하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후륜절첩부(430)는, 상기 플랜지지지대(420)와 연결되며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을 하는 외관부(432); 상기 외관부(432)와 연결되고, 상기 제1적재판(100) 후방 단부와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삽입부재(434); 및 상기 외관부(432)와 상기 삽입부재(434)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절첩핀홀(436) 및 제2절첩핀홀(438)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되, 이격된 수평부재간의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양 수평부재 중 어느 하나의 수평부재의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길이가 더 긴 수평부재의 타단부측이 절첩부스프링(442)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길이가 더 긴 수평부재의 타단부 말단에 상기 절첩부스프링(442)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444)를 형성하는 절첩핀(440);을 포함한다.
상기 외관부(432)는, 일측이 개방된 관형상을 한다. 일례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긴 관 형상에서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삽입부재(434)가 상기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관부(432)는 상기 플랜지지지대(420) ㄷ 형상의 폐쇄된 측 중앙부와 연결되어 상기 후륜절첩부(430)의 절첩에 의해 상기 플랜지지지대(420) ㄷ 형상의 폐쇄된 측과 이에 연결된 상기 플랜지(410) 및 상기 후륜(400)이 상기 제1적재판(100) 하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부재(434)는 상기 외관부(432)와 일단부가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접철될 수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제1적재판(100) 후방 중앙부와 연결된다. 상기 삽입부재(434)는 상기 외관부(432)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후륜(400)은 상기 제1적재판(100) 하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관부(432)와 상기 삽입부재(434)가 하나의 지지대 역할을 하며, 상기 플랜지지지대(420)가 또 하나의 지지대가 되어 상기 후륜(400)이 상기 제1적재판(100) 하방에서 고정되어 이륜 대차의 바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외관부(432) 속으로 상기 삽입부재(434)가 접철되어 삽입되면 상기 후륜(400)은 상기 제1적재판(10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사륜 대차의 바퀴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절첩핀(440)은, 상기 외관부(432)와 상기 삽입부재(434)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상기 절첩핀(440)은 상기 외관부(432)와 상기 삽입부재(434)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절첩핀홀(436) 및 제2절첩핀홀(438)을 이격된 두 개의 수평부재가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되, 상기 이격된 수평부재간의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양 수평부재 중 어느 하나의 수평부재의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길이가 더 긴 수평부재의 타단부측이 절첩부스프링(442)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길이가 더 긴 수평부재의 타단부 말단에 상기 절첩부스프링(442)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444)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첩핀(440) 수평부재 중 짧은 수평부재가 상기 제1절첩핀홀(436)에 삽입되고, 상기 절첩핀(440) 수평부재 중 긴 수평부재는 상기 제2절첩핀홀(438)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첩핀(440)의 일단부를 잡아 당겨 상기 제1절첩핀홀(436)에 삽입된 수평부재를 이탈시킨 후 상기 제2절첩핀홀(438)에 삽입된 상기 절첩핀(440) 수평부재 중 긴 수평부재를 축으로 하여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외관부(432)를 절첩하여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외관부(432)에 삽입하면 상기 후륜(400)은 상기 제1적재판(100) 후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잡아당긴 상기 절첩핀(440)의 일단부를 놓게 되면 상기 절첩부스프링(442)에 의해 다시 상기 제1절첩핀홀(436)로 상기 절첩핀(440) 수평부재 중 짧은 수평부재가 삽입되고, 기 절첩핀(440) 수평부재 중 짧은 수평부재에 상기 삽입부재(434)의 단부가 접촉되면서 상기 삽입부재(434)와 상기 외관부(432)간의 절첩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삽입부재(434)가 상기 외관부(432)에 삽입되지 않은 채 상기 삽입부재(434)와 상기 외관부(432)가 직선형태로 연결된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적재판(100)을 수평 또는 수평과 가깝게 운행할 수 있는 이륜 대차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삽입부재(434)와 상기 외관부(432)와 절첩되어 상기 삽입부재(434)가 상기 외관부(43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사륜 대차로 이용될 수 있게 되어 다용도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륜절첩부(430)는 상술한 구조와 다른 다음과 같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후륜절첩부(430)는, ㄷ 형상을 하며, 개방된 측 양단부는 상기 플랜지지대와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폐쇄된 측 양 단부는 다수의 각도조절홈(438)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각도조절축(436); 및 상기 제1적재판의 후방 하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각도조절홈(438);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각도조절축(436)과 다수의 각도조절홈(438)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각도조절축(436)이 상기 다수의 각도조절홈(438)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후륜이 펼쳐진 채 상기 후륜이 바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홈(438)에서 상기 각도조절축(436)이 인출되는 경우 후륜은 접철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축(436)이 삽입된 후 상기 각도조절홈(438)에서 의도치 않게 쉽사리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각도조절홈(438)에 홈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각도조절축(436)이 상기 홈돌기 안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각도조절홈(438)은, 상기 제1적재판(100)의 하면의 양단부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중앙부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양단부측과 중앙부측 모두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각도조절홈은 상기 제1적재판(100)의 길이방향(전후방향)으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양단부측에 각각 대응되도록 홈을 다수개 형성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후륜을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홈(438)을 상기 제1적재판(100)의 전후방향(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후방에 위치한 홈에 비해 전방에 위치한 홈에 상기 각도조절축(436)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후륜은 상기 제1적재판(100)과 멀어지게 되어 상기 전륜과 후륜을 모두 지면에 닿게 하여 운행하는 경우 상기 제1적재판(100)의 경사가 더 가파르게 되도록 운행가능하다. 즉 상기 각도조절홈(438)을 다수 개 형성하여 각도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대차는, 4륜 대차로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를 제1적재판과 수평이 되도록 펼쳐 제3적재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 이송시 많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후륜을 후방으로 접은 채로 사용하면 사륜 대차로 많은 적재물을 한꺼번에 이송하거나, 다양한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륜의 통상의 대차와 같이 전륜을 바퀴로 하여 비스듬히 세워 박스와 같은 물건을 운반하기 편리한바 하나의 대차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후륜을 펼쳐 바퀴와 적재면과의 거리를 띄워 적재면이 수평이 되도록 운행을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 이륜 대차의 불안정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이륜 대차의 장점인 우수한 조향성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륜 대차이면서도 적재면을 넓게 하여 많은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셋째, 후륜을 펼쳐 상술한 바와 같은 이륜 대차뿐만 아니라 사륜 대차로도 사용 가능한바, 이러한 경우 비스듬한 상태로 운행하게 되는 이륜 대차 운행시 불안정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비스듬한 상태로 사륜으로 운행이 가능하여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농가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를 지면에 박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파이프를 지면에서 인출하기 위해서 망치로 파이프의 측면을 두들기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인출시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파이프의 손상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제2적재판의 구멍과 와이어를 연결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지면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파이프가 손상 없이 인출되도록 하여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P: 파이프(파일) W: 와이어
100: 제1적재판 200: 제2적재판
300: 손잡이 310: 클램핑부
312: 수평지지부재 320: 클램핑지지부
330: 클램핑고정부 340: 클램핑핀
342: 스프링지지부 344: 클램프스프링
400: 후륜 410: 플랜지
420: 플랜지지지대 430: 후륜절첩부
432: 외관부 434: 삽입부재
436: 각도조절축 438: 각도조절홈
440: 절첩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적재판(100);
    상기 제1적재판(100) 일단부에 상기 제1적재판(100)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적재판(200);
    상기 제1적재판(100) 타단부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절첩이 가능한 손잡이(300);
    상기 제1적재판(100) 하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전륜 및 후륜(400);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적재판(100)과 절첩되어 제3적재판으로 사용되며,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적재판(100)의 상방으로 지지되고, 후방으로 절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핑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300)의 양 하단부와 상기 제1적재판(100)의 일단부 양측에 절첩되도록 연결하는 절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310)는,
    상기 손잡이(300)의 하단부측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부재(312) 상면에 ∩ 형상을 하는 클램핑지지부(320)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적재판(100)의 일단부에 상기 제1적재판과 미리 지정한 각을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332)이 형성되는 클램핑고정부(330)가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지지부(320)의 ∩ 형상의 수평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312) 및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과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지지부재(312)에 제2클램핑핀홀(314)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312) 및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과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 형상의 수평부재에 제3클램핑핀홀(3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클램핑핀홀(314) 및 상기 제3클램핑핀홀(322)을 관통하고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에 삽입되는 클램핑핀(34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핀(340)은 중앙부에 스프링지지부(342)가 상기 클램핑핀(340)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핀(340)이 삽입되는 클램핑스프링(344)은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와 상기 스프링지지부(342)간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대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310)는,
    상기 손잡이(300)의 하단부 양측을 연결하며 중앙부가 개방되는 수평지지부재(312);
    T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수평지지부재(312) 중앙부 상면에 상기 T 형상의 수직부재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T 형상의 수평부재 각 단부가 상기 손잡이(300)의 상단부 양측을 연결하는 클램핑지지부(320);
    상기 제1적재판(100)의 후단부 중앙부 상면에 상기 제1적재판과 미리 지정한 각을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332)이 형성되는 클램핑고정부(330); 및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T 형상의 수평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T 형상의 수직부재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31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클램핑핀홀(332)에 삽입되는 클램핑핀(34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핀(340)은 중앙부에 스프링지지부(342)가 상기 클램핑핀(340)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핀(340)이 삽입되는 클램핑스프링(344)은 상기 클램핑지지부(320) 와 상기 스프링지지부(342)간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대차.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고정부(330)는, 상기 제1적재판과 90°, 45°및 수평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제1클램핑핀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대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적재판(200)은 상부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과 지면에 박힌 파이프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기 파이프를 인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대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400)은 플랜지(410)와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410)는 ㄷ 형상을 하는 플랜지지지대(420)의 폐쇄된 양단부측과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지지대(420)의 개방된 측 양단부는 상기 제1적재판(100)의 하면과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지지대(420)와 상기 제1적재판(100) 후방 단부를 긴 막대 형상의 후륜절첩부(430)가 연결하며,
    상기 후륜절첩부(430)는,
    상기 플랜지지지대(420)와 연결되며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을 하는 외관부(432);
    상기 외관부(432)와 연결되고, 상기 제1적재판(100) 후방 단부와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삽입부재(434); 및
    상기 외관부(432)와 상기 삽입부재(434)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절첩핀홀(436) 및 제2절첩핀홀(438)을 이격된 두 개의 수평부재가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되, 상기 이격된 수평부재간의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양 수평부재 중 어느 하나의 수평부재의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길이가 더 긴 수평부재의 타단부측이 절첩부스프링(442)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길이가 더 긴 수평부재의 타단부 말단에 상기 절첩부스프링(442)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444)를 형성하는 절첩핀(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대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절첩부(430)는,
    ㄷ 형상을 하며, 개방된 측 양단부는 플랜지지대와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폐쇄된 측 양 단부는 다수의 각도조절홈(438)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각도조절축(436); 및
    상기 제1적재판의 후방 하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각도조절홈(4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대차.
KR1020160099993A 2016-08-05 2016-08-05 다용도 대차 KR101700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93A KR101700592B1 (ko) 2016-08-05 2016-08-05 다용도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93A KR101700592B1 (ko) 2016-08-05 2016-08-05 다용도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592B1 true KR101700592B1 (ko) 2017-01-31

Family

ID=5799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993A KR101700592B1 (ko) 2016-08-05 2016-08-05 다용도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720B1 (ko) * 2020-12-02 2021-06-18 이바울 스탠딩 거치가 가능한 분리수거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313Y1 (ko) 2001-12-12 2002-03-23 이두희 농작물 운반기
KR20110129004A (ko) * 2010-05-25 2011-12-01 한동윤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KR101243973B1 (ko) * 2012-08-06 2013-03-25 함수흥 운반 대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313Y1 (ko) 2001-12-12 2002-03-23 이두희 농작물 운반기
KR20110129004A (ko) * 2010-05-25 2011-12-01 한동윤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KR101243973B1 (ko) * 2012-08-06 2013-03-25 함수흥 운반 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720B1 (ko) * 2020-12-02 2021-06-18 이바울 스탠딩 거치가 가능한 분리수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322B2 (en) Stable shop and field welding cart
US6612615B1 (en) Trailer hitch cart attachment mechanism
US6758482B2 (en) Multipurpose storage and transport cart
KR910003954B1 (ko) 의자겸용 이륜 손수레
US6880851B1 (en) Hand cart
US4185853A (en) Folding noseplate for a handtruck
US7914015B2 (en) Wheeled shopping tote
US20060027999A1 (en) Shoping bag carrier
US8820773B2 (en) Convertible hand truck
US7661684B2 (en) Landscape dolly having collapsible legs for facilitating movement of trees for transportation
US4570961A (en) Multi purpose transport cart
US3305243A (en) Foldable luggage cart
US20090115163A1 (en) Trailer
KR101700592B1 (ko) 다용도 대차
US20120019017A1 (en) Multi-configuration Plant Pot Holder and Handle
CZ35816U1 (cs) Ruční vozík
KR101943443B1 (ko) 여행 가방용 접철식 휴대캐리어
KR101941265B1 (ko)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FR3063244A1 (fr) Module logistique roulant muni d'un dispositif d'attelage
KR200459780Y1 (ko) 브로콜리 수확 운반기
KR200313845Y1 (ko) 손수레
US2549129A (en) Carrier accessory for vehicles
CN211592621U (zh) 一种物流箱框架用的搬运小车
JPS63222968A (ja) 運搬車
JP6578569B2 (ja) 台車牽引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