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313Y1 - 농작물 운반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운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313Y1
KR200269313Y1 KR2020010038331U KR20010038331U KR200269313Y1 KR 200269313 Y1 KR200269313 Y1 KR 200269313Y1 KR 2020010038331 U KR2020010038331 U KR 2020010038331U KR 20010038331 U KR20010038331 U KR 20010038331U KR 200269313 Y1 KR200269313 Y1 KR 200269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hair
sitting
fixture
para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희
Original Assignee
이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희 filed Critical 이두희
Priority to KR2020010038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313Y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가에서 농작물을 수확할 때 앉아서 수확하고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여가며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운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각체 형상의 받침대 전, 후방에 바퀴를 설치하고, 받침대의 전방에 포대걸음링이 결합된 고정대를 설치하며, 포대 걸음링의 하부에 위치한 받침대의 상부에는 포대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후방에 높이 조절과 회전이 가능한 의자를 설치하며, 상기 의자의 전방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잡음끈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후방에는 파라솔 고정구를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의자에 앉은 채로 작물을 수확한 후 잡음끈을 잡고 발로 지면을 밀어 작업장소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 운반기{Crop cart}
본 고안은 농가에서 농작물을 수확할 때 앉아서 수확하고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여가며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운반기에 관한 것이다.
밭에서 고추 등의 농작물을 수확할 때 작업자는 고추를 담을 포대를 갖고 이동하여야 하며, 서서 일하지 못하고 대부분 허리를 굽혀서 수확하게 되므로 힘든 작업이 될 수 밖에 없다.
고추 수확 시 앉은 상태에서 고추를 수확하면 서서 작업하는 경우에 비하여 허리를 굽히지 않아 작업이 용이하나, 작업 후 앉은 상태에서 다음장소로의 이동을 할 수 없으므로, 일어서서 이동한 후 다시 앉아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고, 또한 앉을 때 바닥에 그냥 앉지 못하고 의자 등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앉아서 작업하기도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에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2000-0001317호로 다기능 작업차를 출원한 바 있으나,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작업차는 작업시 앉은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앉은 채로 이동이 가능하나, 구조가 복잡하고 수확물을 담는 포대의 고정이 불편함은 물론 앉은 채로 이동할 경우 이동이 용이치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앉은 상태에서 고추 등의 농작물 수확이 가능하고 앉은 채로 바퀴를 이용하여 작업장소를 이동하여 가며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허리가 아프지 않고도 간편하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각체 형상의 받침대 전, 후방에 바퀴를 설치하고, 받침대의 전방에 포대걸음링이 결합된 고정대를 설치하며, 포대 걸음링의 하부에 위치한 받침대의 상부에는 포대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후방에 높이 조절과 회전이 가능한 의자를 설치하며, 상기 의자의 전방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잡음끈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후방에는 파라솔 고정구를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의자에 앉은 채로 작물을 수확한 후 잡음끈을 잡고 발로 지면을 밀어 작업장소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의자 높낮이 조절 및 회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의자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고정대 상부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고정대 상부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파라솔 높낮이 조절 상태도
도 8 은 본 고안의 고정레버 작동 상태도
도 9 는 본 고안의 파라솔 각도조절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대 10 : 받침대 11,12 : 바퀴
15 : 포대받침대 20 : 고정대 25 : 포대 걸음링
30 : 잡음끈 40 : 의자 43 : 고정봉
45 : 길이조절 파이프 50 : 파라솔 51 : 파라솔 고정구
본 고안은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사각체 형상의 받침대(10)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10)의 전, 후방 하부에는 회전되는 바퀴(11)(12)를 설치하여 받침대(10)가 바퀴(11)(12)를 회전시켜 이동되게 하며, 받침대(10)의 전방 상부에는 고정대 고정구(21)를 고정하고, 받침대(10)의 후방 상부에는 의자 고정구(41)와 파라솔 고정구(51)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대 고정구(21)에는 고정대(20)를 끼워 고정나사(22)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의자 고정구(41)에는 의자(40)를 끼우며, 파라솔 고정구(51)에는 파라솔(50)을 끼워 고정나사(22)로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구(21)(41)(51)는 받침대(10)에 고정되는 원판형의 몸체 중앙에 끼움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끼움홀의 외측에서 고정나사(22)가 박히도록 한 것이다.
고정대 고정구(21)에는 고정대(20)를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대(20)의 상부는 포대 걸음링(25)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포대 걸음링(25)은 받침편(24)에 의하여 하방으로 쳐지지 않게 잡아주도록 한다.
상기 포대고정링(25)의 하부에 위치한 받침대(10)의 상부에는 포대받침대(15)를 고정시켜 포대 고정링(25)에 입구 부위가 끼워진 포대(1)의 하부를 받쳐주어 포대(1)에 작물이 담길 때 작물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한다.
의자 고정구(41)에는 고정봉(43)을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봉(43)의 상부는 받침고정구(42)에 결합된 결합파이프(44)가 끼워지게 하고, 상기 받침고정구(42)는 의자(40)의 하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의자고정구(41)의 상부에서 고정봉(43)외측에 길이조절 파이프(55)를 외삽시켜 의자(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의자(40)의 전방에서 받침대(10)에 고정되는 잡음끈(30)은 의자(40)에 앉은 작업자가 앉은 채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파라솔 고정구(51)에는 파라솔(50)을 고정시키되 상기 파라솔(50)은 지지봉(52)에 길이조절봉(53)이 끼워져 상하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고정레버(54)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길이조절봉(53)의 상부에는 힌지(56)로 고정봉(55)을 결합시켜 힌지(56)를 중심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힌지(56)의 외측은 고정파이프(57)를 씌워 힌지(56)부분이 고정파이프(57)가 끼워져 있으며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파라솔(50)은 기성품을 이용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파라솔(50)을 받침대(10)위에 고정시켜 받침대(10)에서 일하는 작업자를 햇볕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작업자가 작업을 원하는 장소에 들고 가 바닥에 내려놓은 후 포대걸음링(25)내부에 포대(1)를 끼워 포대(1)의 입구를 포대 걸음링(25)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벌리면서 포대 걸음링(25)에 포대(1)의 입구가 끼워지게 하고, 상기 포대(1)의 하부는 포대받침대(15)에 받쳐져 있도록 한다.
이때 포대(1)의 입구와 포대 걸음링(25)의 외경을 갖도록 하면 포대(1)의 입구가 포대 걸음링(25)에 끼워질 때 약간 늘어나면서 끼워지게 되고 포대(1)가 한번 끼워진 후에는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포대 걸음링(25)에서 포대(1)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포대 걸음링(25)은 하부가 받침편(24)에 받쳐져 있어 입구가 하부로 쳐지지 않고 받쳐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포대(1)를 포대 걸음링(25)에 걸어준 후에는 작업자가 의자(40)에 앉은 채로 작물을 수확하여 입구가 벌어진 포대(1)에 담아주면 된다.
작업자는 앉아서 작업을 하게 되므로 허리가 아프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한 곳에서 작업이 종료되면 다음 곳으로 이동할 때 앉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동시 작업자는 한손으로 잡음끈(30)을 잡고 두 발로 지면을 박차게 되면 받침대(10)는 작업자가 지면을 박찬 방향에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업이 필요한 장소에서 이동을 중단하면 된다.
잡음끈(30)은 작업자가 지면을 박찰 때 힘을 줄 수 있도록 잡아 주는 것으로, 잡음끈(30)을 잡고 지면을 밀면 받침대(10)에 설치된 바퀴(11)(12)가 회전하면서 작업자는 앉은 채로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앉았다 일어섰다를 반복하면서 고추 등의 작물을 수확하고, 포대(1)를 손으로 들어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없이 포대(1)를 싣고 작업자가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허리가 아프지 않으면서도 작업을 끝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의자(40)는 작업자가 앉은 채로 좌, 우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고정봉(43)에 결합된 결합파이프(44)에서 작업자가 몸을 틀게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좌, 우측 고랑에 심겨진 작물을 수확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의자(40)는 고정나사(22)를 풀고 고정봉(43)을 위,아래로 이동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봉(43)외측에 길이 조절파이프(45)를 끼워주면 결합파이프(44)가 길이 조절파이프(45)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 질 수 있으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신장의 크기에 따라 의자(40)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써 최적의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받침대(10)후방에는 파라솔(50)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햇볕을 받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상기 파라솔(50)은 고정레버(54)를 풀고 지지봉(52)에 길이조절봉(53)을 삽입시키는 정도를 조절한 후 고정레버(54)를 원위치 시키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파라솔(50)을 똑바로 놓을 경우는 고정파이프(57)를 힌지(56)외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봉(55)이 회동되지 않도록 하고, 햇빛의 방향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경우는 고정파이프(57)를 상부로 들어올린 후 힘을 가하여 힌지(56)부위를꺽어주면 된다.
그러면 작업자가 햇볕을 받지 않으면서도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작물을 수확함에 있어서, 앉은 상태에서 작물의 수확이 가능하고 앉은 상태에서 전,후진이 가능한 것으로 허리를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힘들이지 않고 작물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무게가 나가지 않아 운반이 용이하고 고장의 우려가 적은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사각체 형상의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의 전,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 바퀴(11)(12)와,
    상기 받침대(10)의 전방 상부에 고정된 고정대 고정구(21)에 고정대(20)를 끼워 결합되고 상기 고정대(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받침편(24)에 의해 쳐지지 않게 받쳐지는 포대 걸음링(25)과,
    상기 받침대(10)의 후방 상부에 의자 고정구(41)에 끼워져 결합되고 높이 조절되는 의자(40)와,
    상기 의자(40)의 전방에서 받침대(10)에 고정되는 잡음끈(30)과,
    상기 받침대(10)의 후방에 설치되고 파라솔 고정구(5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파라솔(5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운반기.
KR2020010038331U 2001-12-12 2001-12-12 농작물 운반기 KR200269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31U KR200269313Y1 (ko) 2001-12-12 2001-12-12 농작물 운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31U KR200269313Y1 (ko) 2001-12-12 2001-12-12 농작물 운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313Y1 true KR200269313Y1 (ko) 2002-03-23

Family

ID=7307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331U KR200269313Y1 (ko) 2001-12-12 2001-12-12 농작물 운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31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19Y1 (ko) 2011-11-14 2013-07-10 이상걸 다목적 고추 수확기
KR200469618Y1 (ko) 2012-07-06 2013-10-28 이두희 고추 수확기
KR101700592B1 (ko) 2016-08-05 2017-01-31 배기웅 다용도 대차
KR102416233B1 (ko) 2021-07-08 2022-07-01 조근현 전동 이송형 고추 수확기
KR20220126601A (ko) 2021-03-09 2022-09-16 조근현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19Y1 (ko) 2011-11-14 2013-07-10 이상걸 다목적 고추 수확기
KR200469618Y1 (ko) 2012-07-06 2013-10-28 이두희 고추 수확기
KR101700592B1 (ko) 2016-08-05 2017-01-31 배기웅 다용도 대차
KR20220126601A (ko) 2021-03-09 2022-09-16 조근현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KR102416233B1 (ko) 2021-07-08 2022-07-01 조근현 전동 이송형 고추 수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5285A (en) Soft sided golf bag with quick action integral stand
US6145931A (en) Article for use in putting on and removing shoes
KR200269313Y1 (ko) 농작물 운반기
CA2578674A1 (en) Sports equipment bag with integrated stool
KR101324217B1 (ko) 전동식 농작물 수확기
KR200469618Y1 (ko) 고추 수확기
US6205935B1 (en) Bolt-mounted shelf for use with hunters' tree stands
US4458784A (en) Body support
KR100881215B1 (ko)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US20200154961A1 (en) Mountable toilet system and method
KR20110026236A (ko) 농산물 수확기
US6578859B2 (en) Gardening working vehicle structure
US7178875B2 (en) Chair apparatus
US20030214107A1 (en) Room service table handle
KR20120124812A (ko) 농작업용 이동식 소형 작업의자 구조
US7686163B2 (en) Ergonomic golf bag handle
KR20220011042A (ko) 농작물 수확기
KR102456016B1 (ko) 높이 조절 화분
KR101070144B1 (ko) 작물수확용 다기능 카트
CN211861246U (zh) 一种园林用爬藤设施
KR200292431Y1 (ko) 농작물 수확기
AU2018100450A4 (en) Modular mobile integrated planter and trellis system
KR102642984B1 (ko)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BE1026511B1 (fr) Dispositif d'aide au ramassage d'objets au sol
KR102247272B1 (ko) 농사용 레일 이동형 작업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406

Effective date: 200909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023

Effective date: 201005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