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601A -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 Google Patents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601A
KR20220126601A KR1020210031080A KR20210031080A KR20220126601A KR 20220126601 A KR20220126601 A KR 20220126601A KR 1020210031080 A KR1020210031080 A KR 1020210031080A KR 20210031080 A KR20210031080 A KR 20210031080A KR 20220126601 A KR20220126601 A KR 20220126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pepper
seat
air supply
seat body
s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984B1 (ko
Inventor
조근현
Original Assignee
조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근현 filed Critical 조근현
Priority to KR102021003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9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02Loading means
    • A01D90/08Loading means with bale-forming means additionally used for loading; with means for picking-up bales and transporting them in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2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with additional devices or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easoning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가에서 고추를 수확할 때 작업자가 편안히 착석한 자세로 이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추작물에서 채집된 고추를 고추포대에 간편하게 수납하는 형태로 고추의 수확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추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동바퀴들이 배치된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며, 착석면에 복수의 송풍공들이 형성된 시트부; 및 상기 시트바디에는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흡기된 외부공기를 시트바디에 급기하여, 시트바디에 형성된 각 송풍공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토출하는 급기 송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Pepper harvester having air blowing seat}
본 발명은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가에서 고추를 수확할 때 작업자가 편안히 착석한 자세로 이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추작물에서 채집된 고추를 고추포대에 간편하게 수납하는 형태로 고추 수확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밭에서 고추 등의 농작물을 수확할 때 작업자는 고추를 담을 포대를 갖고 이동하여야 하며, 서서 일하지 못하고 대부분 허리를 굽혀서 수확하게 되므로 대단히 힘든 작업이다.
고추 수확 시 앉은 상태에서 고추를 수확하면 서서 작업하는 경우에 비하여 허리를 굽히지 않아 작업이 용이하나, 작업 후 다음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일어서서 이동을 한 후 다시 앉아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고, 또한 앉을 때 바닥에 그냥 앉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이동할 때 고추 포대를 갖고 이동하는 불편함이 있고, 엉덩이에 걸친 받침의자를 이용하지 않는 한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실용신안등록 20-0269313호(2002 03 11 등록)에 제시된 바와 같이 사각체 형상의 받침대 전, 후방에 바퀴를 설치하고, 받침대의 전방에 포대걸음링이 결합된 고정대를 설치하며, 포대 걸음링의 하부에 위치한 받침대의 상부에는 포대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후방에 높이조절과 회전이 가능한 의자를 설치하며, 상기 의자의 전방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잡음끈을 받침대에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후방에는 파라솔 고정구를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의자에 앉은 채로 작물을 수확한 후 잡음끈을 잡고 발로 지면을 밀어 작업장소로 이동하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추포대를 갖고 다니는 불편과, 앉았다 일어섰다를 반복하는 불편 및 그늘에서 일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해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추 수확기를 통해 고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고추 수확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특히 고추 작물 사이로 작업자가 장시간 이동 및 작업함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더욱 심화시킨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269313호(20020311 등록)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농가에서 고추를 수확할 때 작업자가 편안히 착석한 자세로 이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추작물에서 채집된 고추를 고추포대에 간편하게 수납하는 형태로 고추의 수확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는,
이동바퀴들이 배치된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며, 착석면에 복수의 송풍공들이 형성된 시트부; 및
상기 시트바디에는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흡기된 외부공기를 시트바디에 급기하여, 시트바디에 형성된 각 송풍공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토출하는 급기 송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체부에 배치되어 고추포대를 직립되게 거치하는 포대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대 거치부는 차체부의 상부에 적층하여 형성된 포대 받침편과; 지지암을 통해 포대 받침편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고추포대의 입구를 환형 견착하는 포대 견착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 송풍부는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흡기된 외부공기를 시트부의 송풍공을 따라 착석면으로 토출하는 급기팬과; 상기 급기팬의 구동에 따른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급기팬에 인가되는 기동전류의 인가여부 및 인가량을 설정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시트부는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시트바디와; 상기 시트바디를 차체부에 설정 높이로 지지하는 시트 브라켓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바디는 내부에 중공의 송풍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바디의 저면에는 급기 송풍부를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를 송풍챔버 내로 급기하는 급기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시트바디의 착석면에는 송풍챔버와 연통하는 송풍공들이 형성된 중공의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시트부에 착석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고추를 채집하여 수확하도록 구성된 고추 수확기를 제안함에 있어, 상기 시트부에 독특한 송풍구조를 마련하여, 작업자에게 지속적으로 송풍을 도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송풍구조를 마련하면,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작업하는 작업자의 환경의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송풍을 도모하는 급기팬은 시트바디의 저면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강제 흡기하여 시트바디의 송풍공들을 통해 송풍하므로, 고추 수확에 따른 작업의 방해를 초래하지 아니하고, 또 비나 눈, 햇빛 등에 직접적인 노출이 예방되므로, 안정된 내구성의 담보가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에 있어, 급기 송풍부가 탑재된 시트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에 있어, 급기 송풍부가 탑재된 시트부를 통한 송풍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에 있어, 급기 송풍부가 탑재된 시트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에 있어, 급기 송풍부가 탑재된 시트부를 통한 송풍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추 수확기(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바퀴(110)들이 배치된 차체부(100)와; 상기 차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시트부(200)와; 고추작물에서 채집한 고추를 수납하는 고추포대를 직립되게 거치하는 포대 거치부(300)가 각각 형성된 이동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부(200)는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시트바디(210)와; 상기 시트바디(210)를 차체부(100)에 설정 높이로 지지하는 시트 브라켓(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대 거치부(300)는 차체부(100)의 상부에 적층하여 형성된 포대 받침편(310)과; 지지암(330)을 통해 포대 받침편(310)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고추포대(P)의 입구를 환형 견착하는 포대 견착링(3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대 거치부(300)를 구성하는 지지암(330)은 차체부(100)에 직립하여 고정된 고정암 부재(331)와, 상기 고정암 부재(331)에 승강구조로 배치된 승강암 부재(332)를 포함하는 신축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의 체형이나 거치를 요하는 고추포대의 높이에 따라 지지암(330)을 신축하여 포대 견착링(32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체부(100)의 후반부에는 작업자가 착석하는 시트부(200)를 배치하고, 상기 차체부(100)의 전반부에는 포대 거치부(300)를 배치하여서, 상기 시트부(200)에 착석하여 고추작물에서 고추를 채집한 작업자는 허리를 돌리지 아니하고도 전방에 배치된 포대 거치부(300)에 거치된 고추포대에 채집된 고추를 간편하게 수납한다.
또한, 상기 차체부(100)에는 파라솔 거치대(500)가 형성되어 상기 파라솔 거치대(500)에 파라솔(510)을 설치하여서, 상기 시트부(200)에 착석한 작업자에게 햇빛이 직접 도달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시트부(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차체부(100)를 통해 이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추작물에서 채집된 고추를 고추포대에 담아 수확하므로, 종래 작업자가 고추를 수확하기 위해 허리를 굽힌 자세로 보행하면서 고추를 채집하고, 또 채집된 고추를 담은 고추포대를 들고 옮기는 불편함과 고된 노동이 해소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고추 수확기(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작업자가 착석하는 시트부(200)에 독특한 송풍구조를 형성하여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고추를 수확하는 작업자는 송풍을 통해 쾌적한 작업환경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예정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자가 착석하는 시트바디(210)의 착석면(211)에 복수의 송풍공(212)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바디(210)에는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흡기된 외부공기를 시트바디(210)에 급기하여서, 시트바디(210)에 형성된 각 송풍공(212)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토출하는 급기 송풍부(400)를 부가한다.
상기 급기 송풍부(400)는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흡기된 외부공기를 시트바디(210)의 송풍공(212)을 따라 착석면(211)으로 토출하는 급기팬(410)과; 상기 급기팬(410)의 구동에 따른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420); 및 상기 급기팬(410)에 인가되는 기동전류의 인가여부 및 인가량을 설정하는 콘트롤러(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롤러(430)에, 시트바디(210)에 안착되는 착용자의 안착여부에 따라 배터리(420)와 급기팬(410) 사이의 접점 상태를 조절하는 가압 스위치 유닛(431)을 배치하여, 작업자가 착석하지 아니하면 급기팬(410)에 기동전류가 인가되지 아니하고, 작업자가 시트바디(210)에 착석하면 비로소 급기팬(410)이 기동전류가 인가되어 시트바디(210)의 송풍상태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별도의 스위치의 조작없이도 급기팬(410)의 구동여부의 제어가 가능하고, 특히 불필요하게 배터리(420)에 축전된 기동전류가 급기팬(410)에 인가되어 소모되고 급기팬(410)의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바디(210)는 좌판부(210a)와 등판부(210b)가 형성되어, 착석된 작업자의 엉덩이 부위와 등부위를 전체적으로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바디(210)는 내부에 중공의 송풍챔버(213)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바디(210)의 저면에는 급기 송풍부(400)를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를 송풍챔버(213) 내로 급기하는 급기구(21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시트바디(210)의 착석면(211)에는 송풍챔버(213)를 연통하는 송풍공(212)들이 형성된 중공의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 브라켓(220)은 시트바디(210)의 저면에 고정되며, 급기 송풍부(400)를 구성하는 급기팬(410)의 설치공간(S)이 형성된 장착 베이스(221)와, 상기 급기팬(410)을 탑재한 장착 베이스(221)를 차체부(100)에 설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암(22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암(222)은 차체부(100)에 직립하여 고정된 너트관 부재(222a)와; 상기 장착 베이스(221)의 하부에 직립되게 형성되어 너트관 부재(222a)에 체결을 통해 고정되는 볼트축 부재(222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축 부재(222b)를 통한 시트 바디(210)의 좌우 수평 회전과, 볼트축 부재(222b)와 너트관 부재(222a)의 체결량의 조절에 따른 시트 바디(21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급기팬(410)을 급기구(214)가 형성된 시트바디(210)의 저면에 정형화되게 고정하는 장착 베이스(221)를 개량하여, 상기 급기팬(410)의 정형화된 고정상태를 형성하고, 특히 급기팬(410)이 지표면에 잔류된 외부공기를 흡기하지 아니하고, 측방향으로 신선한 외부공기를 흡기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장착 베이스(221)를 흡기포트(411)가 형성된 급기팬(410)의 저면을 이격되게 커버하는 저면 차폐편(221a)의 양측에, 급기팬(410)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측면 지지편(221b)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저면 차폐편(221a)과 급기팬(410)의 흡기포트(411) 사이에는 측방향 흡기로(221c)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베이스(221)를 구성하는 각 측면 지지편(221b)에는, 급기팬(410)을 설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단(221b-a)이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 베이스(221)의 설치공간 내에 삽입된 급기팬(410)은 지지단(221b-a)에 의해 설정높이로 지지되어 저면 차폐편(221a)과 이격된 상태로 커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저면 차폐편(221a)의 차폐작용에 의해 지표면에 잔류된 외부공기가 하부를 향한 흡기포트(411)를 통해 급기팬(410)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예방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장착 베이스(221)를 통해 급기팬(410)을 시트바디(210)의 하부에 정형화되게 고정하면, 상기 급기팬(410)은 다량의 수분과 악취, 먼지 등이 잔류된 지표면의 외부공기를 흡입포트(411)를 통해 흡입하여 시트바디(210)로 급기하지 아니하고, 측방향으로 유입되는 신선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시트바디(210)에 급기하므로, 시트바디(210)에 형성된 송풍공(212)들을 통해 신선한 외부공기의 토출이 가능하다.
1.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1. 고추 수확기
100. 차체부 110. 이동바퀴
200. 시트부 210. 시트 바디
210a. 좌판부 210b. 등판부
211. 착석면 212. 송풍공
213. 송풍챔버 214. 급기구
220. 시트 브라켓 221. 장착 베이스
221a. 저면 차폐편 221b. 측면 지지편
221b-a. 지지단 221c. 측방향 흡기로
222. 지지암 222a. 너트관 부재
222b. 볼트축 부재
고정암 부재 222. 지지암 부재
300. 포대 거치부 310. 포대 받침편
320. 포대 견착링 330. 지지암
331. 고정암 부재 332. 승강암 부재
400. 급기 송풍부
410. 급기팬 411. 흡기포트
420. 배터리
430. 콘트롤러 431. 가압 스위치 유닛
500. 파라솔 거치대 510. 파라솔

Claims (4)

  1. 이동바퀴들이 배치된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며, 착석면에 복수의 송풍공들이 형성된 시트부; 및
    상기 시트바디에는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흡기된 외부공기를 시트바디에 급기하여, 시트바디에 형성된 각 송풍공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토출하는 급기 송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에 배치되어 고추포대를 직립되게 거치하는 포대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대 거치부는 차체부의 상부에 적층하여 형성된 포대 받침편과; 지지암을 통해 포대 받침편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고추포대의 입구를 환형 견착하는 포대 견착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송풍부는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흡기된 외부공기를 시트부의 송풍공을 따라 착석면으로 토출하는 급기팬과; 상기 급기팬의 구동에 따른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급기팬에 인가되는 기동전류의 인가여부 및 인가량을 설정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시트바디와; 상기 시트바디를 차체부에 설정 높이로 지지하는 시트 브라켓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바디는 내부에 중공의 송풍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바디의 저면에는 급기 송풍부를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를 송풍챔버 내로 급기하는 급기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시트바디의 착석면에는 송풍챔버와 연통하는 송풍공들이 형성된 중공의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KR1020210031080A 2021-03-09 2021-03-09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KR102642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080A KR102642984B1 (ko) 2021-03-09 2021-03-09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080A KR102642984B1 (ko) 2021-03-09 2021-03-09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601A true KR20220126601A (ko) 2022-09-16
KR102642984B1 KR102642984B1 (ko) 2024-02-29

Family

ID=8344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080A KR102642984B1 (ko) 2021-03-09 2021-03-09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9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313Y1 (ko) 2001-12-12 2002-03-23 이두희 농작물 운반기
CA2396102A1 (en) * 2002-07-19 2004-01-19 Dimitri Nunez Seat mount assemblies for tractors
KR20120005920U (ko) * 2012-07-06 2012-08-22 이두희 고추 수확기
KR20150045814A (ko) * 2013-10-21 2015-04-29 김정곤 통풍시트
KR20150084449A (ko) * 2014-01-14 2015-07-22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팅 및 통풍시스템이 구비된 사무용의자
KR20160145521A (ko) * 2016-11-29 2016-12-20 주식회사 동양봉제기계 재봉작업용 의자
KR20210064712A (ko) * 2019-11-26 2021-06-03 (주)영민하이테크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313Y1 (ko) 2001-12-12 2002-03-23 이두희 농작물 운반기
CA2396102A1 (en) * 2002-07-19 2004-01-19 Dimitri Nunez Seat mount assemblies for tractors
KR20120005920U (ko) * 2012-07-06 2012-08-22 이두희 고추 수확기
KR20150045814A (ko) * 2013-10-21 2015-04-29 김정곤 통풍시트
KR20150084449A (ko) * 2014-01-14 2015-07-22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팅 및 통풍시스템이 구비된 사무용의자
KR20160145521A (ko) * 2016-11-29 2016-12-20 주식회사 동양봉제기계 재봉작업용 의자
KR20210064712A (ko) * 2019-11-26 2021-06-03 (주)영민하이테크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984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3664A1 (en) Portable cleaning assembly with waste container
US5101615A (en) Air-floated apparatus
US7509706B2 (en) Battery-powered portable vacuum
US20210245080A1 (en) Upright two-stage dust collector
KR20220126601A (ko)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US7188435B2 (en) Knock-down type dryer assembly for prosthesis liners
US20190350419A1 (en) Vacuum cleaner including debris tube and handle
AU2014411812B2 (en) Power tool
EP1795653A3 (en) Blower having fan oriented perpendicular to discharge nozzle
KR102416233B1 (ko) 전동 이송형 고추 수확기
KR100821510B1 (ko) 출입구용 진공청소장치
US20100003149A1 (en) Rear-positioned filter mount for use with a box or cage fan for reducing dust emission and improving interior air quality
KR102354831B1 (ko) 통풍 기능을 갖는 의자
AU2016302382B2 (en) A harness and back pack vacuum cleaner therefore
US6755466B1 (en) Hunter's chair
KR200292431Y1 (ko) 농작물 수확기
KR102269248B1 (ko) 건조 기능이 구비된 발받침대
KR200489130Y1 (ko) 휴대용 공기흡입 발판
CN209420721U (zh) 一种吸风灭蚊器
JP2000189203A (ja) 深呼吸する靴
JPH0356189Y2 (ko)
CN219844548U (zh) 杀菌除味模块方便更换的宠物理毛机
CN215383841U (zh) 一种置于门厅处的鞋物除尘灭菌器
CN214508503U (zh) 一种草坪落叶吸草机
KR101135787B1 (ko) 공기청정기의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