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431Y1 - 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431Y1
KR200292431Y1 KR2020020020585U KR20020020585U KR200292431Y1 KR 200292431 Y1 KR200292431 Y1 KR 200292431Y1 KR 2020020020585 U KR2020020020585 U KR 2020020020585U KR 20020020585 U KR20020020585 U KR 20020020585U KR 200292431 Y1 KR200292431 Y1 KR 200292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hair
crops
worker
harv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현
조엽제
Original Assignee
조엽제
정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엽제, 정석현 filed Critical 조엽제
Priority to KR2020020020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431Y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작업자가 앉은 자세로 농작물을 수확하는 수확기에 관련되며, 본체(10), 용기고정대(20), 의자(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프레임의 선ㆍ후단에 한 쌍의 바퀴(11)(11a)가 장착되고, 프레임상에 손잡이(12)가 개재된다. 용기고정대(20)는 본체(10)의 선단에 나비너트(25)에 의해 착탈되고, 수확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한다. 의자(30)는 상기 본체(10)의 후단에 조절노브(35)를 통해 착탈과 높낮이가 조절된다. 이때, 의자(30)의 후단에 햇빛과 비를 가리는 우산 또는 파라솔(40)을 수용하는 결합공(31)을 구비하고, 우산이나 파라솔(4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조절공(32a)이 개재되는 조절대(32)를 더 구비한다.
이에 본 고안은, 별도의 구동기구를 지니지 않고 작업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발구름 동작의 회전력이 이용하여 농작물의 수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농작물의 운반 또한 편리하여 다양한 농작물의 수확하는 작업자의 작업능률과 편리함 그리고 효율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인하여 수확량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작물 수확기{THE CROPS A REAPING MACHINE}
본 고안은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구동기구를 지니지 않고 작업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발구름 동작의 회전력이 이용하여 농작물의 수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농작물의 운반 또한 편리하여 다양한 농작물의 수확하는 작업자의 작업능률과 편리함 그리고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농촌에서는 벼농사만으로는 농가생활을 지탱하기 어려워 벼농사와 함께 다양한 농작물(오이, 가지, 딸기 등)도 재배해 나가고 있다. 이는 주요 소득원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으로 요즘 갈수록 노동력이 부족해지는 농촌에서 벼농사와 함께 주소득원인 다양한 농작물도 함께 돌봐야 하는 이중고(二重苦)를 안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농작물의 수확철이 다가오면 가뜩이나 부족한 인력으로 작업자들은 매번 수확용기를 들고 일일이 이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확하고, 수확한 용기를 들고 한곳으로 모아 포장하고 있는 곳으로 운반한 다음 빈 수확용기를 들고 수확작업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는 한편 다른 작업자는 포장한 농작물을 일일이 또 출하할 곳으로 나르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농작물 수확방식은 작업자가 이랑을 자주 왕래해야 하기 때문에 가뜩이나 부족한 작업인력에 비해 수확작업에 따른 효율이 현저히 낮고 일이 번거로운 폐단이 따랐다. 이외에도 농작물 수확시 작업자는 반복적으로 앉아다가 일어나는 등의 반복동작으로 허리나 다리를 반복적으로 구부려야 하기에 장시간 수확작업으로 작업자의 육체적인 피로가 쌓여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작업능률과 수확량이 저하되는 폐단이 따랐다.
예컨대, 어려운 농촌경제를 감안하면 농작물 수확기는 무엇보다 다양한 기능을 배제하여 구입 및 관리비용이 저렴하면서 편안한 자세를 통해 작업능률과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구동기구를 지니지 않고 작업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발구름 동작의 회전력이 이용하여 농작물의 수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농작물의 운반 또한 편리하여 다양한 농작물의 수확하는 작업자의 작업능률과 편리함 그리고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분해한 상태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작업자가 앉은 자세로 농작물을 수확하는 수확기에 있어서: 프레임의 선ㆍ후단에 한 쌍의 바퀴(11)(11a)가 장착되고, 프레임상에 손잡이(12)가 개재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선단에 나비너트(25)에 의해 착탈되고, 수확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하는 용기고정대(20); 및 상기 본체(10)의 후단에 조절노브(35)(35a)를 통해 위치와 높낮이가 조절되는 의자(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의자(30)의 후단에 햇빛과 비를 가리는 우산 또는 파라솔(40)을 수용하는 결합공(31)을 구비하고, 상기 우산 또는 파라솔(4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조절공(32a)이 개재되는 조절대(32)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한 쌍의 볼트(51a)가 일체로 개재되는 L형의 운반대(5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용기고정대(20)와 의자(30)를 각기 착탈시키는 바, 상기 본체(10)의 용기고정대(20)가 설치되는 선단의 안내공(13)을 통하여 운반대(51)의 볼트(51a)와 나비너트(25)를 서로 결합하여 물건을 옮길 수 있는 운반기(2)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분해한 상태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작업자가 앉은 자세로 농작물을 수확하는 수확기에 관련되며, 작업자가 의자(30)에 앉은 자세에서 별도의 구동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손수 발구름 동작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수확한다. 본 고안에서 본체(10), 용기고정대(20), 의자(30)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요부의 배치는 도 1에서 설명하고 이의 상세한 구성과 사용상태는 도 2를 통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본체(10)는 프레임의 선ㆍ후단에 한 쌍의 바퀴(11)(11a)가 장착되고, 프레임상에 손잡이(12)가 개재된다. 프레임은 " ∩"형태로 양끝단을 절곡시켜 성형하고, 소정의 강성과 경량을 지닌 금속재로 제작한다. 프레임의 소정 구간마다 보강프레임을 두어 충격으로부터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하고, 절곡된 양끝단에 손잡이(12)가 개재한다. 프레임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바퀴(11)(11a)가 선단과 후단에 각기 장착되고, 후술하는 용기고정대(20)와 의자(30)가 각기 장착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용기고정대(20)는 상기 본체(10)의 선단에 나비너트(25)에 의해 착탈되고, 수확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한다. 한편, 용기고정대(20)는형태로 절곡한 한 쌍의 금속판재를 서로 교차시킨 뒤 상부에 원형의 금속판재와 용접으로 부착시켜 형성하고, 용기고정대(20)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볼트(20a)가 일체로 개재된다. 또한, 본체(10)의 선단에 위치한 보강프레임상에 안내공(13)이 구비된다. 도시에서 좌측은 용기고정대(20)가 장착되는 선단이고 우측은 의자(30)가 장착되는 후단이다. 본체(10)선단에 위치한 보강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안내공(13)을 통해 용기고정대(20)의 볼트(20a)를 삽입한 다음 나비너트(25)로 조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결합상태는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의자(30)는 상기 본체(10)의 후단에 조절노브(35)(35a)를 통해 착탈과 높낮이가 조절된다. 의자(30)는 저면에 지지대(33)가 구비되고, 지지대(33)의 양방향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안내홈(33a)이 개재되는데, 지지대(33)의 상부는 원형이고 하부는 사각형으로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본체(10)후단에 위치한 보강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안내통(14)에 하부탭공(14b)이 구비된다.
도시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14a는 지지대(33)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탭공으로서, 의자(30)가 향하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상부탭공(14a)을 통하여 조절노브(35)를 풀어나 조여서 의자(30)가 향하는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의자(30)의 후단에 햇빛과 비를 가리는 우산 또는 파라솔(40)을 수용하는 결합공(31)을 구비하고, 상기 우산 또는 파라솔(4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조절공(32a)이 개재되는 조절대(32)를 더 구비하며, 후술하는 도 2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에서, 본체(10)의 선단에 위치한 보강프레임상에 형성된 안내공(13)을 통해 용기고정대(20)의 볼트(20a)를 삽입한 다음 나비너트(25)로 조여 장착한다. 용기고정대(20)는형태로 절곡한 것으로 수확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0)의 후단에 보강프레임상에 구비된 안내통(14)에 의자(30)의 지지대(33)를 삽입한 다음 안내통(14)의 하부탭공(14b)을 통하여 조절노브(35a)와 지지대(33)의 안내홈(33a)에 서로 맞춘 뒤 조절노브(35a)를 조여 의자(3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앉은 키에 상관없이 의자(30)의 지지대(33)를 통하여 의자(30)의 높낮이를 가변시키게 된다.
또한 도시에서, 의자(30)가 향하는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의자(30)를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한 다음 지지대(33)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탭공(14a)에 조절노브(35)로 조여 의자(30)를 지지대(33)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의자(30)는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외에도, 작업자가 햇빛이 쨍쨍한 맑은 날씨나 비가 내리는 날씨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의자(30)의 결합공(31)과 조절대(32)의 조절공(32a)을 통하여 우산 또는 파라솔(40)을 끼워 햇빛이나 비를 막아주도록 한다. 여기서, 햇빛이나 비가 내리는 방향에 따라 우산 또는 파라솔(40)이 치우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조절대(32)에 형성된 다수의 조절공(32a)을 통하여 우산이나 파라솔(40)이 치우치는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맑은 날씨에서나 비가 내리는 날씨에도 농작물의 수확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확기(1)는 작업자가 수확기(1)의 의자(30)에 편하게 앉은 자세에서 단순히 발구름 동작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바퀴(11)(11a)를 회전시켜 수확기(1)를 서서히 이동시키면서 농작물을 수확한다. 수확한 농작물은 본체(10)의 선단에 있는 용기고정대(20)에 수용된 수확용기(도시하지 않음)에 농작물을 모으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구동기구를 지니지 않고 작업자가 앉은 자세에서 발구름 동작으로 회전력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수확하기에 수확작업을 신속하게수행되고, 수확기를 운반기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농작물의 운반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된다. 또한, 본 고안의 수확기로 인해 다양한 농작물의 수확작업과 운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능률과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한편, 작업자가 앉은 자세에서 수확작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작업자의 육체적인 피로가 덜어짐으로 농작물의 수확량이 상승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한 쌍의 볼트(51a)가 일체로 개재되는 L형의 운반대(51)를 구비한다. 수확기(1)에 이루는 용기고정대(20)와 의자(30)를 각기 나비너트(25)와 조절노브((35)(35a)를 풀어 착탈시킨다. 이어서, 본체(10)선단의 보강프레임에 형성된 안내공(13)에 L형의 운반대(51)의 볼트(51a)를 삽입한 다음 나비너트(25)로 본체(10)와 서로 결합시킨다. 이어서, L형의 운반대(51)에 물건을 올린 뒤 본체(10)의 손잡이(12)를 들어 올려 물건을 옮길 수 있는 운반기(2)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구동기구를 지니지 않고 작업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발구름 동작의 회전력이 이용하여 농작물의 수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농작물의 운반 또한 편리하여 다양한 농작물의 수확하는 작업자의 작업능률과 편리함 그리고 효율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인하여 수확량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작업자가 앉은 자세로 농작물을 수확하는 수확기에 있어서:
    프레임의 선ㆍ후단에 한 쌍의 바퀴(11)(11a)가 장착되고, 프레임상에 손잡이(12)가 개재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선단에 나비너트(25)에 의해 착탈되고, 수확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하는 용기고정대(20); 및
    상기 본체(10)의 후단에 조절노브(35)(35a)를 통해 위치와 높낮이가 조절되는 의자(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30)의 후단에 햇빛과 비를 가리는 우산 또는 파라솔(40)을 수용하는 결합공(31)을 구비하고,
    상기 우산 또는 파라솔(4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조절공(32a)이 개재되는 조절대(3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3.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볼트(51a)가 일체로 개재되는 L형의 운반대(5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용기고정대(20)와 의자(30)를 각기 착탈시키는 바,
    상기 본체(10)의 용기고정대(20)가 설치되는 선단의 안내공(13)을 통하여 운반대(51)의 볼트(51a)와 나비너트(25)를 서로 결합하여 물건을 옮길 수 있는 운반기(2)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KR2020020020585U 2002-07-09 2002-07-09 농작물 수확기 KR200292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585U KR200292431Y1 (ko) 2002-07-09 2002-07-09 농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585U KR200292431Y1 (ko) 2002-07-09 2002-07-09 농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431Y1 true KR200292431Y1 (ko) 2002-10-19

Family

ID=7307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585U KR200292431Y1 (ko) 2002-07-09 2002-07-09 농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4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15B1 (ko) * 2007-04-23 2009-02-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KR200459056Y1 (ko) * 2009-07-20 2012-03-19 홍석운 의자
KR101424148B1 (ko) * 2013-03-05 2014-08-04 대한민국 농산물 수확대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15B1 (ko) * 2007-04-23 2009-02-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KR200459056Y1 (ko) * 2009-07-20 2012-03-19 홍석운 의자
KR101424148B1 (ko) * 2013-03-05 2014-08-04 대한민국 농산물 수확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2431Y1 (ko) 농작물 수확기
KR100900118B1 (ko) 밭작물 수확기
KR101896472B1 (ko) 농업용 다목적 작업보조장비
KR20160136194A (ko) 농작물 수확기
KR20110026236A (ko) 농산물 수확기
KR100881215B1 (ko)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KR20110100803A (ko) 농작물 수확기
KR20220011042A (ko) 농작물 수확기
US20060218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oming a grass lawn
KR101213295B1 (ko) 동력식 작업의자
KR100849205B1 (ko) 농작물 관리용 3륜 작업의자
CN215122175U (zh) 一种新型用于农作物收割的小麦收获机
CN112166801A (zh) 一种便于养殖割草收割机
US20210176919A1 (en) Field Cart
CN211861114U (zh) 轻型举升搂草机
KR101493153B1 (ko) 농업용 작업기
RU2523500C1 (ru) Платформа для ручной уборки ягод земляники и других низкорастущих культур
CN208128785U (zh) 手推式除草装置
KR101221723B1 (ko) 비닐하우스용 다목적 이동장치
CN2351924Y (zh) 小型稻麦联合收割机
CN2105832U (zh) 多功能收割装置
CN205378546U (zh) 手扶座椅两用结构的收割机
KR20160000853U (ko) 착좌주행형 작업차
JPH02299517A (ja) 刈込機
JPH0856446A (ja) マルチ用玉葱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