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194A - 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194A
KR20160136194A KR1020150070345A KR20150070345A KR20160136194A KR 20160136194 A KR20160136194 A KR 20160136194A KR 1020150070345 A KR1020150070345 A KR 1020150070345A KR 20150070345 A KR20150070345 A KR 20150070345A KR 20160136194 A KR20160136194 A KR 20160136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
framework
cag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수
Original Assignee
박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수 filed Critical 박중수
Priority to KR1020150070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194A/ko
Publication of KR2016013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01Harvesting of standing crops with arrangements for transport of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의자에 앉아 편안한 자세로 농작물을 수확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농작물을 담는 수확 포대가 필요에 따라 여러 개가 구비될 수 있어 작업 1회당 수확량이 증대되며, 양산과 같은 차양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뙤약볕 아래에서 노지 작업을 할 때 작업자에게 시원한 그늘을 제공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는 전·후방 단부에 전륜부와 후륜부가 구비되고 후륜부에 인접하여 의자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 및 후륜부보다 전방에 있도록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중 케이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장방형의 전방 틀 및 후방 틀과, 전방 틀 및 후방 틀의 하단부 사이에 횡단설치된 하부 연결 프레임과, 전방 틀 및 후방 틀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횡단설치된 중간부 연결 프레임과, 전방 틀과 후방 틀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 한쪽 끝이 고정되는 한편, 나머지 다른 틀의 상단부에 다른쪽 끝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대 설치봉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틀 중 어느 하나는 분해조립이 가능함과 아울러 어느 한쪽 대응 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쪽 대응 단부가 선회 이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 프레임에는 포대 설치봉의 다른쪽 끝이 고정될 수 있는 접속관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농작물 수확기{Farm produce rea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의자에 앉아 편안한 자세로 농작물을 수확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농작물을 담는 수확 포대가 필요에 따라 여러 개가 구비될 수 있어 작업 1회당 수확량이 증대되며, 양산과 같은 차양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뙤약볕 아래에서 노지 작업을 할 때 작업자에게 시원한 그늘을 제공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우스나 노지에서 재배한 밭작물을 수확할 때, 작업자는 거둬들인 밭작물을 담기 위한 바구니나 포대를 하나만 휴대한 채 작업을 행하였다.
따라서, 작업 1회당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의 양은 소량이었다.
또한, 작업자가 바구니나 포대를 메고 다니면서 수확을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또 육체적 피로가 누적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게다가, 뙤약볕 아래에서 노지 작업을 할 때, 한 손에 양산 등을 들고서 작업할 수는 없기 때문에, 연로한 작업자가 일사병 등으로 쓰러지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배경이 된 선행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차대와, 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전방에 설치되는 커터, 및 이 컨베이어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농산물 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농산물 수확기에 따르면, 차대의 하부에 설치된 양측 바퀴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두둑이 없는 평평한 밭뿐만 아니라 폭이 다른 두둑 사이의 고랑을 따라서도 이동이 가능하고, 또 농산물의 밑동을 절단하는 커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노지나 비닐하우스 등지에서, 작물을 손쉽게 수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형태의 농산물 수확기는, 축전지나 모터 또는 엔진 등이 동력원으로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수확한 농산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용기가 안치될 수 있는 수납 프레임과 차양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포스트 및 메인 바퀴를 전측에 구비한 메인 프레임과, 나사식으로 조립된 의자와 등받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 프레임 및 서브 바퀴를 전후에 구비한 서브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후측에 형성되는 끼움 단부와, 이 끼움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서브 프레임의 전측에 형성되는 끼움 구멍과, 끼움 단부가 끼움 구멍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농산물 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농산물 수확기에 의하면, 작업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고추 등의 작물을 수확하면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작물 수확 작업이 보다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농산물 수확기는 수납용기가 하나만 탑재되기 때문에, 작업 1회당 수확량이 적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작업 1회당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용적이 큰 수납용기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이 경우, 수납용기의 바닥 부근에 위치된 작물은 그 위에 쌓인 작물 무게로 인해 납작하게 짓눌리기 때문에, 수확한 작물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사각체 형상의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전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 바퀴와, 받침대의 전방 상부에 고정된 고정대와, 고정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받침편에 의해 처지지 않게 받쳐지는 포대 걸음 링과, 받침대의 후방 상부에 고정되는 의자와, 의자의 전방에서 받침대에 고정되는 잡음 끈과, 받침대의 후방에 고정되고 파라솔이 끼워지는 파라솔 고정구를 구비한 고추 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고추 수확기는, 특허문헌 2의 농산물 수확기와 마찬가지로, 1회 작업당 포대가 하나만 사용되기 때문에, 수확량이 적은 단점이 있다.
특허 등록번호 10-1374886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1-0008496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2-000592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수확기의 단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농작물 수확 포대를 필요한 수량만큼 구비할 수 있어 작업 1회당 수확량이 획기적으로 증대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1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주된 목적에 덧붙여, 작업자가 뙤약볕 아래에서 노지 작업을 행해야 할 경우, 작업자에게 그늘을 제공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에 부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그 외, 종래 수확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의자에 편안한 자세로 앉아 농작물을 수확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전·후방 단부에 전륜부와 후륜부가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후륜부에 인접하여 의자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후륜부보다 전방에 있도록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작물 수확기로서, 그 중, 케이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장방형의 전방 틀 및 장방형의 후방 틀과, 전방 틀 및 후방 틀의 하단부 사이에 횡단설치되는 하부 연결 프레임과, 전방 틀 및 후방 틀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횡단설치되는 중간부 연결 프레임과, 전방 틀과 후방 틀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 한쪽 끝이 고정되는 한편, 전방 틀과 후방 틀 중 다른 하나의 상단부에 다른쪽 끝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대 설치봉으로 이루어지며, 전방 틀과 후방 틀 중 어느 하나는, 분해조립이 가능함과 아울러 어느 한쪽의 대응 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쪽의 대응 단부가 선회 이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 프레임에는, 포대 설치봉의 다른쪽 끝이 고정될 수 있는 접속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2] 상기 [1]에 있어서, 후륜부는, 의자 뒤편에 위치되도록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휠 설치대와, 휠 설치대의 좌·우측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조향 휠로 구성되며, 의자가 배치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의 후방 단부나 휠 설치대에 차양수단 설치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케이지의 포대 설치봉에 다수 개의 수확 포대가 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4] 상기 [1] 내지 [3]에 있어서, 의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전륜부는, 메인 프레임에 중간 부분이 지지된 휠 축과, 휠 축의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직진 휠과, 휠 축과 메인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보강 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5] 상기 [1] 내지 [4]에 있어서, 중간부 연결 프레임이 케이지의 어느 한쪽 편에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농작물 수확기에 따르면, 작업자가 의자에 앉아 편안한 자세로 농작물을 수확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농작물을 담는 수확 포대가 필요에 따라 여러 개가 구비될 수 있어 작업 1회당 수확량이 증대되며, 차양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뙤약볕 아래에서 노지 작업을 할 때 작업자에게 시원한 그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의 저하와 육체적 피로의 누적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는, 그 구조가 종래의 것보다 간단하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작업자가 다루기 편하고, 유지보수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농작물 수확기에 그물망 형태의 수확 포대를 끼우거나 빼내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사용하여, 노지에서 작업할 때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에서의 방향 전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국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용도로만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주요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더 이해가 잘 되도록 하기 위해,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도면에서, 구성 또는 작용·효과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요지를 불필요하게 흩트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농작물 수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의 농작물 수확기에 그물망 형태의 수확 포대를 끼우거나 빼내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는, 전·후방 단부에 전륜부(110)와 후륜부(120)가 구비되고 또 후륜부(120)에 인접하여 의자(130)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100)과, 후륜부(120)보다 전방에 있도록 메인 프레임(100) 상에 장착되는 케이지(200)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메인 프레임(100)은 좌우 방향의 폭 치수보다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현저히 긴 강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전륜부(110)는, 메인 프레임(100)에 중간 부분이 지지된 휠 축(113)과, 이 휠 축(113)의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측 직진 휠(111, 112)과, 휠 축(113)과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 단부 사이에 결합된 보강 로드(114)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단부에 설치된 후륜부(120)는, 의자(130)의 뒤편에 위치되도록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된 휠 설치대(123)와, 이 휠 설치대(123)의 좌·우측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조향 휠(121, 12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의자(130)가 배치된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단부나 휠 설치대(123)에는, 양산 등을 장착할 수 있는 차양수단 설치봉(140)이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케이지(20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메인 프레임(100) 상에 배치된 장방형의 전방 틀 및 후방 틀(210)과, 이들 전방 틀과 후방 틀(210)의 좌·우측 하단부 사이에 횡단설치된 하부 연결 프레임(261, 262)과, 전방 틀과 후방 틀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횡단설치된 좌·우 양측의 중간부 연결 프레임(251, 252)과, 후방 틀(210)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한쪽 끝이 각각 고정되고 또 전방 틀의 상단부 좌·우측에 다른쪽 끝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대 설치봉(241, 2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틀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해조립이 가능하고 또 어느 한쪽 대응 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쪽 대응 단부가 선회 이동 가능한 전방 틀 형성용 상부 프레임(230)과 전방 틀 형성용 하부 프레임(220)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220)의 좌우 양측에는 포대 설치봉(241, 242)의 다른쪽 끝이 고정될 수 있는 길이가 짧은 파이프 형상의 접속관(231, 232)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포대 설치봉(241, 242)에는 필요한 수량만큼 수확 포대(300)를 끼워서 비치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나타낸 사시도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케이지(200)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케이지(200)는 우측 편에만 중간부 연결 프레임(251)이 설치되어 있고, 좌측 편에는 중간부 연결 프레임(252)이 없는 것이다.
케이지(200)의 좌우 양측에 중간부 연결 프레임(251, 252)이 있는 경우에는, 케이지(200)의 강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포대 설치봉(241, 242)을 통해 케이지(200)에 비치시킨 수확 포대(300)가 좌우로 흔들거리는(요동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지만, 수확 포대(300)가 전방 틀을 통과해야만 케이지(200)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수확 포대(300)를 비치하거나 빼내는 관점에서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대해, 제 2 실시예와 같이, 케이지(200)의 어느 한쪽 편에만 중간부 연결 프레임(251)이 있는 경우, 제 1 실시예보다는 강성 유지 및 요동 방지 측면에서 불리하지만, 수확 포대(300)를 케이지(200)에 비치하거나 케이지(200)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은 더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사용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로 노지 작업을 행할 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에서의 방향 전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지 작업을 행할 때에는 필요한 수량만큼의 수확 포대(300)를 케이지(200)에 비치하는 것과 동시에, 뙤약볕을 막고 서늘한 그늘을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양산 등의 차양수단(400)을 차양수단 설치봉(140)에 장착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한다.
작업자는 의자(130)에 앉은 자세로 고추 등의 밭작물을 거둬들여 제일 앞의 수확 포대(300)를 채워간다. 다 채워진 수확 포대(300)는 케이지(200)의 전방 측으로 밀어내고, 이어서, 두 번째 수확 포대(300)를 사용한다.
한편, 수확 포대(300)를 채워가는 것과 동시에,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는 발로 땅을 구르는 방식으로, 후륜부의 조향 휠(121, 122)을 컨트롤하여, 농작물 수확기의 이동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면서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케이지(200)에 비치된 수확 포대(300)가 전부 채워지면, 수확물 집결지로 이동하여, 본 발명의 농작물 수확기로부터 수확 포대(300)를 부리면 된다.
100…메인 프레임
110…전륜부
111, 112…직진 휠
113…휠 축
114…보강 로드
120…후륜부
121, 122…조향 휠
123…휠 설치대
130…의자
140…차양수단 설치봉
200…케이지
210…후방 틀
220…전방 틀 형성용 하부 프레임
230…전방 틀 형성용 상부 프레임
231, 232…접속관
241, 242…포대 설치봉
251, 252…중간부 연결 프레임
261, 262…하부 연결 프레임
300…수확 포대
400…차양수단

Claims (5)

  1. 전·후방 단부에 전륜부와 후륜부가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후륜부에 인접하여 의자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후륜부보다 전방에 있도록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작물 수확기로서,
    상기 케이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장방형의 전방 틀 및 장방형의 후방 틀과,
    전방 틀 및 후방 틀의 하단부 사이에 횡단설치되는 하부 연결 프레임과,
    전방 틀 및 후방 틀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횡단설치되는 중간부 연결 프레임과,
    전방 틀과 후방 틀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 한쪽 끝이 고정되는 한편, 전방 틀과 후방 틀 중 다른 하나의 상단부에 다른쪽 끝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대 설치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 틀과 후방 틀 중 어느 하나는,
    분해조립이 가능함과 아울러 어느 한쪽의 대응 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쪽의 대응 단부가 선회 이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포대 설치봉의 다른쪽 끝이 고정될 수 있는 접속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륜부는,
    의자 뒤편에 위치되도록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휠 설치대와,
    휠 설치대의 좌·우측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조향 휠로 구성되며,
    의자가 배치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의 후방 단부나 휠 설치대에 차양수단 설치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포대 설치봉에, 다수 개의 수확 포대가 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전륜부는,
    메인 프레임에 중간 부분이 지지된 휠 축과,
    휠 축의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직진 휠과,
    휠 축과 메인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보강 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중간부 연결 프레임이 케이지의 어느 한쪽 편에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KR1020150070345A 2015-05-19 2015-05-19 농작물 수확기 KR20160136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45A KR20160136194A (ko) 2015-05-19 2015-05-19 농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45A KR20160136194A (ko) 2015-05-19 2015-05-19 농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94A true KR20160136194A (ko) 2016-11-29

Family

ID=5770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345A KR20160136194A (ko) 2015-05-19 2015-05-19 농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1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59A (ko) * 2017-11-01 2019-05-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 수확 장치
KR20200084521A (ko) * 2019-01-03 2020-07-13 홍승일 농작물 수확용 이송 장치
US20210176919A1 (en) * 2019-12-17 2021-06-17 Stephen P. Hurley Field Cart
KR20240077079A (ko) 2022-11-24 2024-05-31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저상형 전동식 밭 작업용 보조차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59A (ko) * 2017-11-01 2019-05-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 수확 장치
KR20200084521A (ko) * 2019-01-03 2020-07-13 홍승일 농작물 수확용 이송 장치
US20210176919A1 (en) * 2019-12-17 2021-06-17 Stephen P. Hurley Field Cart
KR20240077079A (ko) 2022-11-24 2024-05-31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저상형 전동식 밭 작업용 보조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6194A (ko) 농작물 수확기
KR101324217B1 (ko) 전동식 농작물 수확기
CN113711707A (zh) 一种适用于山区茶园行走的除草机
JP2007060935A (ja) 茶園管理装置
KR101412965B1 (ko) 전동식 농작물 수확작업기
CN218125529U (zh) 一种农作物除草机
KR101555574B1 (ko) 비닐하우스용 이동식 작업장치
KR100881215B1 (ko)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US3033303A (en) Self-propelled platform vehicle for harvesting low growing crops
CN212660589U (zh) 一种收割刀盘高度可调节的桑枝割捆机
KR101211521B1 (ko) 접이식 진압장치
KR200445648Y1 (ko) 멀칭용 롤수레
CN211378880U (zh) 一种枝条修剪装置
KR101638169B1 (ko) 예초기용 지지장치
KR200194177Y1 (ko) 농작물 수확작업기
KR102337637B1 (ko)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KR20110100803A (ko) 농작물 수확기
KR20120124812A (ko) 농작업용 이동식 소형 작업의자 구조
KR101213295B1 (ko) 동력식 작업의자
KR200292431Y1 (ko) 농작물 수확기
KR20100009826U (ko) 이동형 작물 관리 및 수확기
CN201119301Y (zh) 自适应行距玉米收割机割台
CN110558086A (zh) 一种枝条修剪装置
US3600878A (en) Demountable, unitized row crop gathering unit for broadcast combines
CN214508145U (zh) 一种茄子秧苗培育用修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