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803A - 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00803A KR20110100803A KR1020100019816A KR20100019816A KR20110100803A KR 20110100803 A KR20110100803 A KR 20110100803A KR 1020100019816 A KR1020100019816 A KR 1020100019816A KR 20100019816 A KR20100019816 A KR 20100019816A KR 20110100803 A KR20110100803 A KR 201101008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fixing
- crop harvester
- fixed frame
- positioning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2—Carriers for the transport of harvesters or mow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의 전·후 끝단 부분에 바퀴가 각각 장착되는 이동체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 상면에 수평장착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상부 체결공에는 위치조절레버가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장착되고 위치조절레버를 통해 위치고정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전면 끝단에 상부 수직방향으로 연결장착되는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된 위치 고정부와, 상기 수직부에 삽입장착되고, 전, 후, 좌, 우측 중 선택된 위치에 장착되는 위치조절레버를 통해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와 중간 부분에는 손잡이와 수확된 농작물을 보관하는 용기가 지지되는 거치링들이 각각 장착되는 용기 거치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고 위치조절레버를 통해 위치와 높낮이가 조절되는 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발구름 동작을 이용하여 농작물의 수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 수확기에 용기 거치부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수확되는 농작물을 보관 및 지지하면서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된 용기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발구름 동작을 이용하여 농작물의 수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 수확기에 용기 거치부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수확되는 농작물을 보관 및 지지하면서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된 용기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농작물의 수확을 신속하게 수행함과 더불어 수확이 이루어진 농작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농촌에서는 벼농사만으로는 농가생활을 지탱하기 어려워 벼농사와 함께 다양한 농작물(오이, 가지, 딸기 등)도 재배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주요 소득원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으로 요즘 갈수록 노동력이 부족해지는 농촌에서 벼농사와 함께 주소득원인 다양한 농작물도 함께 돌봐야 하는 이중고(二重苦)를 안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농작물의 수확철이 다가오면 가뜩이나 부족한 인력으로 작업자들은 매번 수확용기를 들고 일일이 이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확한 후, 수확한 용기를 들고 한곳으로 모아 포장하고 있는 곳으로 운반한 다음, 빈 수확용기를 들고 수확작업을 반복하는 한편 다른 작업자는 포장한 농작물을 일일이 또 출하할 곳으로 나르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농작물 수확방식은 작업자가 이랑을 자주 왕래해야 하기 때문에 가뜩이나 부족한 작업인력에 비해 수확작업에 따른 효율이 현저히 낮고 일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농작물 수확시 작업자는 반복적으로 앉아다가 일어나는 등의 반복동작으로 허리나 다리를 반복적으로 구부려야 하기에 장시간 수확작업으로 작업자의 육체적인 피로가 쌓여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작업능률과 수확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발구름 동작을 이용하여 농작물의 수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농작물 수확기에 용기 거치부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수확되는 농작물을 보관 및 지지하면서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된 용기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농작물 수확기에 햇빛이나 비를 차단할 수 있는 우산 또는 파라솔을 장착하여 날씨에 따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농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의 전·후 끝단 부분에 바퀴가 각각 장착되는 이동체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 상면에 수평장착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상부 체결공에는 위치조절레버가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장착되고 위치조절레버를 통해 위치고정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전면 끝단에 상부 수직방향으로 연결장착되는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된 위치 고정부와, 상기 수직부에 삽입장착되고, 전, 후, 좌, 우측면 중 선택된 위치에 장착되는 위치조절레버를 통해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와 중간 부분에는 손잡이와 수확된 농작물을 보관하는 용기가 지지되는 거치링들이 각각 장착되는 용기 거치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고 위치조절레버를 통해 위치와 높낮이가 조절되는 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농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의 전·후 끝단 부분에 바퀴가 각각 장착되는 이동체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후방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전, 후, 좌, 우측면 중 선택된 위치에는 위치조절레버가 각각 장착되는 전·후방 위치 고정부와, 상기 전방 위치 고정부에 삽입장착되고, 위치조절레버를 통해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 끝단에는 수확된 농작물을 보관하는 용기가 지지되는 거치링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거치부와, 상기 후방 위치 고정부에 삽입장착되고, 위치조절레버를 통해 위치와 높낮이가 조절되는 의자와, 상기 거치링이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의 동일선상 전방 상면에 장착되어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되는 용기를 지지하거나 수확된 농작물을 보관하는 용기가 지지되는 보조 용기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발구름 동작을 이용하여 농작물의 수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농작물 수확기에 용기 거치부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수확되는 농작물을 보관 및 지지하면서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된 용기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농작물 수확기에 햇빛이나 비를 차단할 수 있는 우산 또는 파라솔을 장착하여 날씨에 따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인 농작물 수확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농작물 수확기(100)는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체(110)와, 상기 이동체(110)의 전방에 장착되는 안내레일(120)과, 상기 안내레일(120)에 삽입장착되어 이동하고 위치 고정되는 위치 고정부(130)와, 상기 위치 고정부(130)에 장착되고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되는 용기가 지지되는 용기 거치부(140)와, 상기 이동체(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의자(1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체(1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11)과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전·후 끝단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바퀴(11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체(110)는 별도의 동력 없이 작업자의 발구름 동작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전·후 끝단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바퀴(112)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바퀴(112)가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면과 같이 후방에는 소정의 폭과 지름을 가지는 바퀴(112)과 전방에는 후방에 장착되는 바퀴(112)의 폭과 지름보다 작은 바퀴(112)들이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이동체(110)의 전방에 장착되는 안내레일(120)은 중공형의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전방 상면에 수평 고정장착된다.
이때, 상기 안내레일(120)의 상부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상부 체결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체결공(121)에는 위치조절레버(122)가 결합되되, 상기 상부 체결공(121)과 위치조절레버(122)는 다수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위치 고정부(1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안내레일(120)에 삽입장착되는 수평부(131)와 상기 수평부(131)의 전면 끝단에 상부 수직방향으로 연결장착되는 수직부(1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위치 고정부(130)는 수평부(131)의 전, 후 작동에 따른 위치조절 후 안내레일(120)에 결합되는 위치조절레버(122)를 통해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위치 고정부(130)에 장착되고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되는 용기(160)가 지지되는 용기 거치부(140)는 수직부(132)와 대응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삽입장착되고 전, 후, 좌, 우측면 중 선택된 위치에는 위치조절레버(141)가 결합된다.
즉, 상기 용기 거치부(140)는 수직부(132)의 삽입장착되어 높낮이조절 후 상기 위치조절레버(141)를 통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 거치부(140)는 상부와 중간 부분에는 손잡이(142)와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되는 용기(160)가 지지되는 거치링(143)들이 각각 장착되되, 본원발명에서 상기 거치링(143)은 용기 거치부(140)의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42)는 제거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이동체(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의자(150)는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고 위치조절레버(151)를 통해 위치와 높낮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의자(150)의 후방에 위치한 고정프레임(111)의 상면에는 차양대(310)가 더 장착되어 햇빛과 비를 가리는 우산(320) 또는 파라솔이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본 발명인 농작물 수확기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상기 농작물 수확기(200)는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체(210)와, 상기 이동체(210)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211)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전·후방 위치 고정부(220a, 220b)와, 상기 전방 위치 고정부(220a)에 삽입장착되는 용기 거치부(230)와, 상기 후방 위치 고정부(220b)에 삽입장착되는 의자(240)와, 상기 거치링(231)이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11)의 동일선상 전방 상면에 장착되는 보조 용기 거치부(23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체(2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11)과 상기 고정프레임(211)의 전·후 끝단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바퀴(21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체(210)는 별도의 동력 없이 작업자의 발구름 동작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211)의 전·후 끝단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바퀴(212)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바퀴(212)가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에는 소정의 폭과 지름을 가지는 바퀴(212)과 전방에는 후방에 장착되는 바퀴(212)의 폭과 지름보다 작은 바퀴(212)들이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11)은 도시된 도면과 같이 전·후방 고정프레임(211a, 211b)으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고정프레임(211a, 211b)의 연결부분에는 고정지지부(271)와, 힌지부(272), 위치 고정핀(273)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연결부(27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전·후방 고정프레임(211a, 211b)의 상부와 하부에는 전·후방 고정프레임(211a, 211b)의 지지를 위한 고정지지부(271)와 전방 고정프레임(211a)의 회동작동을 위한 힌지부(272)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고정지지부(271)와 힌지부(272)의 일측 동일선상에는 상기 고정지지부(271)와 힌지부(272)의 고정을 위한 위치 고정핀(273)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 연결부(270)는 사용시 전·후방 고정프레임(211a, 211b)를 수평방향으로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지지부(271)와 힌지부(272)의 일측 동일선상에 위치 고정핀(273)을 장착하여 고정하고, 비 사용시에는 상기 고정지지부(271)와 힌지부(272)의 일측 동일선상에 위치 고정핀(273)을 제거한 후 상기 전방 고정프레임(211a)을 하부방향으로 회동작동시켜 농작물 수확기(200)의 크기를 줄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210)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211)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전·후방 위치 고정부(220a, 220b)는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11)의 전·후방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장착되고 전, 후, 좌, 우측면 중 선택된 위치에는 위치조절레버(221)가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 위치 고정부(220a)에 삽입장착되는 용기 거치부(230)는 상기 전방 위치 고정부(220a)와 대응하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끝단에는 거치링(231)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용기 거치부(230)는 전방 위치 고정부(220a)에 삽입장착되어 높낮이 조절 후 상기 위치조절레버(221)를 통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 거치부(230)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는 거치링(231)은 사용시 후방으로 회전작동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포대 등을 거치하여 농작물을 보관하게 되고, 비 사용시에는 전방으로 회동작동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 위치 고정부(220b)에 삽입장착되는 의자(240)는 상기 고정프레임(211)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고 위치조절레버(241)를 통해 위치와 높낮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의자(240)의 후방에 위치한 고정프레임(211)의 상면에는 차양대(310)가 더 장착되어 햇빛과 비를 가리는 우산(320) 또는 파라솔이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거치링(231)이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11)의 동일선상 전방 상면에 장착되는 보조 용기 거치부(235)는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되는 용기(250)를 지지하거나 수확된 농작물을 보관하는 용기(250)가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보조 용기 거치부(235)는 거치링(231)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되는 용기(250)의 하부를 지지하거나 또는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되는 용기(250)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11)의 후방 끝단에는 상부에 연결홈(281)이 형성되고 정단면이 " "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브라켓(280)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80)의 후방에는 이동레일(290)이 탈·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211)의 후방 끝단에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되는 용기(250)를 운반하거나 별도의 도구나 비료 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이동레일(290)이 더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290)은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되는 용기(250)가 안착되는 지지부(292)와, 상기 지지부(292)의 하부에 장착되는 바퀴(291)와, 상기 지지부(292)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면연결부(29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280)과 이동레일(290)의 결합은 이동레일(290)의 전방에 돌출형성되는 전면연결부(293)가 연결홈(281)에 삽입된 후 상부에서 하부 수직방향으로 끼움 장착되는 고정핀(294)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체(210)의 이동시 함께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농작물 수확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11)의 전·후 끝단 부분에 바퀴(112)가 각각 장착되는 이동체(110)를 형성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전방 상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부 체결공(121)에 위치조절레버(122)가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안내레일(120)를 수평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레일(120)에 수평부(131)와 상기 수평부(131)의 전면 끝단에 상부 수직방향으로 연결장착되는 수직부(132)가 일체로 형성된 위치 고정부(130)를 삽입장착한 후 위치조절레버(122)를 통해 위치고정한다.
즉, 상기 안내레일(120)에 수평부(131)를 삽입한 후 위치조절레버(122)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부(132)에 상부와 중간 부분에는 손잡이(142)와 수확된 농작물을 보관하는 용기(160)가 지지되는 거치링(143)들이 각각 장착되는 용기 거치부(140)를 장착한 후 높낮이 조절한 다음 위치조절레버(141)를 통해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후방 상면에 위치조절레버(151)를 통해 위치와 높낮이가 조절되는 의자(150)를 설치하면 농작물 수확기(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농작물 수확기(100)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농작물 수확기(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농작물 수확기(100)의 의자(150)에 앉은 상태에서 별도의 구동기구 없이 작업자의 발구름 동작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농작물의 수확시 수확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 수확기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운반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의 농작물 수확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농작물의 수확작업과 운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능률과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한편, 작업자가 앉은 자세에서 수확작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작업자의 육체적인 피로가 덜어짐으로 농작물의 수확량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농작물 수확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농작물 수확기, 110 : 이동체,
120 : 안내레일, 130 : 위치 고정부,
140 : 용기 거치부, 150 : 의자,
200 : 농작물 수확기, 210 : 이동체,
220a, 220b : 전·후방 위치 고정부, 230 : 용기 거치부,
240 : 의자, 250 : 용기,
270 : 프레임 연결부, 280 : 연결브라켓,
290 : 이동레일, 310 : 차양대.
120 : 안내레일, 130 : 위치 고정부,
140 : 용기 거치부, 150 : 의자,
200 : 농작물 수확기, 210 : 이동체,
220a, 220b : 전·후방 위치 고정부, 230 : 용기 거치부,
240 : 의자, 250 : 용기,
270 : 프레임 연결부, 280 : 연결브라켓,
290 : 이동레일, 310 : 차양대.
Claims (5)
- 농작물 수확기(100)에 있어서,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11)의 전·후 끝단 부분에 바퀴(112)가 각각 장착되는 이동체(110)와,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전방 상면에 수평장착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상부 체결공(121)에는 위치조절레버(122)가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안내레일(120)과,
상기 안내레일(120)에 삽입장착되고 위치조절레버(122)를 통해 위치고정되는 수평부(131)와 상기 수평부(131)의 전면 끝단에 상부 수직방향으로 연결장착되는 수직부(132)가 일체로 형성된 위치 고정부(130)와,
상기 수직부(132)에 삽입장착되고, 전, 후, 좌, 우측면 중 선택된 위치에 장착되는 위치조절레버(141)를 통해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와 중간 부분에는 손잡이(142)와 수확된 농작물을 보관하는 용기(160)가 지지되는 거치링(143)들이 각각 장착되는 용기 거치부(140)와,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고 위치조절레버(151)를 통해 위치와 높낮이가 조절되는 의자(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 농작물 수확기(200)에 있어서,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11)의 전·후 끝단 부분에 바퀴(212)가 각각 장착되는 이동체(210)와,
상기 고정프레임(211)의 전·후방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전, 후, 좌, 우측면 중 선택된 위치에는 위치조절레버(221)가 각각 장착되는 전·후방 위치 고정부(220a, 220b)와,
상기 전방 위치 고정부(220a)에 삽입장착되고, 위치조절레버(221)를 통해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 끝단에는 수확된 농작물을 보관하는 용기(250)가 지지되는 거치링(231)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거치부(230)와,
상기 후방 위치 고정부(220b)에 삽입장착되고, 위치조절레버(241)를 통해 위치와 높낮이가 조절되는 의자(240)와,
상기 거치링(231)이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11)의 동일선상 전방 상면에 장착되어 수확된 농작물이 보관되는 용기(250)를 지지하거나 수확된 농작물을 보관하는 용기(250)가 지지되는 보조 용기 거치부(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11)은 전·후방 고정프레임(211a, 211b)으로 분리형성되고, 분리된 전·후방 고정프레임(211a, 211b)의 상부와 하부에는 전·후방 고정프레임(211a, 211b)의 지지를 위한 고정지지부(271)와 전방 고정프레임(211a)의 회동작동을 위한 힌지부(272)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고정지지부(271)와 힌지부(272)의 일측 동일선상에는 상기 고정지지부(271)와 힌지부(272)의 고정을 위한 위치 고정핀(273)이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부(2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의자(150, 240)의 후방에 위치한 고정프레임(111, 211)의 상면에 햇빛과 비를 가리는 우산(320) 또는 파라솔을 장착할 수 있도록 차양대(310)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9816A KR20110100803A (ko) | 2010-03-05 | 2010-03-05 | 농작물 수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9816A KR20110100803A (ko) | 2010-03-05 | 2010-03-05 | 농작물 수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0803A true KR20110100803A (ko) | 2011-09-15 |
Family
ID=4495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9816A KR20110100803A (ko) | 2010-03-05 | 2010-03-05 | 농작물 수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00803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744A (ko) | 2017-09-22 | 2019-04-01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행잉베드 농작물 수확용 전동대차 |
KR20210013802A (ko) | 2019-07-29 | 2021-02-08 | 김성규 | 농사용 레일 이동형 작업의자 |
US20210176919A1 (en) * | 2019-12-17 | 2021-06-17 | Stephen P. Hurley | Field Cart |
-
2010
- 2010-03-05 KR KR1020100019816A patent/KR201101008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744A (ko) | 2017-09-22 | 2019-04-01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행잉베드 농작물 수확용 전동대차 |
KR20210013802A (ko) | 2019-07-29 | 2021-02-08 | 김성규 | 농사용 레일 이동형 작업의자 |
US20210176919A1 (en) * | 2019-12-17 | 2021-06-17 | Stephen P. Hurley | Field Car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36893B2 (en) | Strawberry picking cart | |
JP6535620B2 (ja) | 移動車両 | |
KR101234976B1 (ko) | 비닐하우스 설치용 작물 상방 이동식 작업장치 | |
CN103782720B (zh) | 一种便携式半自动浆果采摘机 | |
KR20110100803A (ko) | 농작물 수확기 | |
KR101324217B1 (ko) | 전동식 농작물 수확기 | |
CN109005911B (zh) | 一种便携式高空串果高适应性采摘装置 | |
KR20160136194A (ko) | 농작물 수확기 | |
KR20220011042A (ko) | 농작물 수확기 | |
CN113207559A (zh) | 一种香菇养殖的快速采摘装置 | |
JP2007060935A (ja) | 茶園管理装置 | |
KR20110026236A (ko) | 농산물 수확기 | |
KR100881215B1 (ko) |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 |
CN201160384Y (zh) | 堆铺式大豆割晒机 | |
KR200292431Y1 (ko) | 농작물 수확기 | |
CN108811755A (zh) | 一种穿戴式水果采摘装置 | |
CN211931571U (zh) | 一种黄瓜种植支架 | |
CN109258099B (zh) | 一种瓜蒌种植用收集装置 | |
CN211090858U (zh) | 一种方便老年人使用的家居种植装置 | |
CN211322094U (zh) | 一种果树自动采摘装置 | |
KR102247272B1 (ko) | 농사용 레일 이동형 작업의자 | |
CN208113589U (zh) | 一种双孢菇自动采摘装置 | |
CN211910258U (zh) | 一种手持式果串喷药袋装置 | |
KR200428549Y1 (ko) | 밭작물 채취기 | |
JP2002165530A (ja) | いちご茎葉刈取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