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295B1 - 동력식 작업의자 - Google Patents

동력식 작업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295B1
KR101213295B1 KR1020100038695A KR20100038695A KR101213295B1 KR 101213295 B1 KR101213295 B1 KR 101213295B1 KR 1020100038695 A KR1020100038695 A KR 1020100038695A KR 20100038695 A KR20100038695 A KR 20100038695A KR 101213295 B1 KR101213295 B1 KR 101213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auxiliary wheel
auxiliary
adjusting devic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158A (ko
Inventor
임종철
Original Assignee
임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철 filed Critical 임종철
Priority to KR102010003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2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5/00Carriers for supporting persons when working in the field, e.g. while thinning be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three-wheeled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식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앞바퀴(3)와; 메인프레임(2)의 후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뒷바퀴(4)와; 보조프레임(61)의 한쪽에 형성된 보조바퀴(5)와; 진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등받이(7)를 갖는 시트(6)로 구성된 동력식 작업의자(1)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3)의 앞바퀴 축(20)과 상기 보조바퀴(5)의 보조바퀴 축(21) 사이에 핸들(22)이 구비된 조향장치(10)를 구성한 것과;
상기 메인프레임(2)에 설치된 모터(16)의 모터기어(17)와 뒷바퀴(4)의 체인기어(18)를 체인(19)으로 연결하여 상기 동력식 작업의자(1)를 운전하는 동력전달장치(6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농경지에서의 농작물 재배관리 및 수확시 작업자가 시트에 앉아서 편안하고 안정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를 덜어주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작업의자는 동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켜 주면서 핸들이 구비되어 있어 이동방향을 정확하게 정할 수 있고, 작업과 이동시 안정감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력식 작업의자{WORK CHAIR OF POWER TYPE}
본 발명은 동력식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도 알솎기 등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시트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로 작업하면서 동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피로를 덜어주면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동력식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마토, 고추 등 농작물을 재배하기 농경지는 두둑과 고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포도밭, 사과밭 등의 농경지는 평탄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는 곳이 많다.
그리고 농경지에서 농작물의 재배 관리 및 수확을 할 때에는 작업자가 항상 선 상태로 허리를 굽히고 손과 어깨를 반복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허리, 다리, 어깨 등의 통증을 유발시켜 피로가 가중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작업의자가 개발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75349호(2002. 10. 4.) "과수원용 이동식 작업기"와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99883호(2009. 9. 23.) " 높이 조절이 가능한 3륜 의자"가 있다.
상기 작업의자는 바퀴를 3륜으로 구성하면서 농경지의 특성(두둑과 고랑의 높이 및 폭, 경사도)에 맞게 바퀴의 높낮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시트의 높낮이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최대한 편안하게 앉은 자세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를 덜어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작업의자는 작업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두 발로 밀어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평탄하지 않은 농경지에서의 이동이 힘들고 어려우며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의자는 이동을 할 때에 농작물의 재배 관리 및 수확시 작업자가 손을 잡을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가 쉽지 않고, 작업하는 동안 불안정한 자세를 취하게 되므로 여전히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포도 등의 농작물 재배관리 및 수확시 작업자가 시트에 앉아서 편안하고 안정되게 작업하여 피로를 덜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력식 작업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농경지에서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메인프레임의 앞, 뒤와 보조프레임의 측면에 바퀴를 형성하되 상기 앞바퀴 축과 보조바퀴 축에 고정된 조인트와 조인트 사이에 길이조절 가능한 연결대를 형성하여 이동방향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뒷바퀴의 체인기어를 배터리로 작동하는 모터의 모터기어와 체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모터를 정, 역회시킴으로써 작업의자가 동력으로 전진, 후진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보조바퀴는 앞, 뒤바퀴와의 폭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사지에서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직 형성되는 시트는 높낮이 조절 가능하면서 시트의 앞쪽 밑부분에 비틀림스프링을 장착하여 작업자가 시트에 앉을 때에는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설 때에는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들어주어 작업자의 다리와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농경지에서의 농작물 재배관리 및 수확시 작업자가 시트에 앉아서 편안하고 안정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를 덜어주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작업의자는 동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켜 주면서 핸들이 구비되어 있어 이동방향을 정확하게 정할 수 있고, 작업과 이동시 안정감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 사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 좌측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 정면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 우측면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의 조향장치 사진
도 6, 7은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의 보조프레임 일요부 확대 사진
도 8, 9는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의 시트 구성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의 운전스위치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의 조향각도제한장치의 사진
도 12의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의 운반물 적재대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의 브레이크 사진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1) 전체 사진으로서, 앞바퀴(3)와; 메인프레임(2)의 후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뒷바퀴(4)와; 보조프레임(61)의 한쪽에 형성된 보조바퀴(5)와; 진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등받이(7)를 갖는 시트(6)와; 상기 앞바퀴(3)와 보조바퀴(5)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장치(10)와; 상기 메인프레임(2)에 설치된 모터(16)의 모터기어(17)와 뒷바퀴(4)의 체인기어(18)를 체인(19)으로 연결된 동력전달장치(62) 및; 상기 메인프레임(2)의 후미 상단으로부터 착탈되는 운반물 적재대(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를 ⊃자형으로 길게 형성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의 앞쪽에는 상부로 만곡된 앞바퀴 포크 지지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앞바퀴 포크 지지구(13)에는 앞바퀴(3)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앞바퀴 축(20)을 결합한다.
⊃자형으로 형성된 상기 메인프레임(2)의 후미에는 뒷바퀴(4)를 회전가능하게 축설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에 설치된 모터(16)의 모터기어(17)와 상기 뒷바퀴(4)에 형성된 체인기어(18)를 체인(18)으로 연결한 다음 운전스위치(9)의 조작으로 모터(16)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정지시켜 작업의자(1)를 운전할 수 있도록 동력전달장치(62)를 구성하였다.
상기 메인프레임(2)의 한쪽으로는 보조프레임(61)이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프레임(61)은 메인프레임(2)의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두 개의 중공으로 된 폭조절관(31)과 상기 폭조절관(31)에 삽입되는 폭조절 끼움관(32)으로 구성되며, 상기 폭조절 끼움관(32)은 폭조절 수축홈(34)이 다수개 형성된 상기 폭조절관(31)의 한쪽에 결합된 폭조절관 클램프(33)를 조이거나 풀어서 앞바퀴(3)와 보조바퀴(5)의 사이의 폭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폭조절 끼움관(32) 일단에는 폭조절 끼움관 고정대(35)를 고정하여 보조바퀴 포크 지지구(14)를 결합한 다음 상기 보조바퀴 포크 지지구(14)에는 보조바퀴(5)가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보조바퀴 축(21)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바퀴 축(21)의 하측으로 형성된 보조바퀴 포크(12)의 하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이 개구된 다수개의 보조바퀴축 결합홈(63)이 형성된 높낮이조절브라켓(62)를 형성하여 경사지에서 앞, 뒷바퀴(3)(4)와 보조바퀴(5)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프레임(61)을 형성하는 두 개의 폭조절관(31) 사이에는 배터리 적재대(15)를 형성하여 내부에 배터리가 보관된 배터리 보관함(15a)을 안착한다.
상기 조향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 축(20)의 상단에 형성된 핸들고정 클램프(28)에 고정되는 핸들(22)과; 상기 핸들(22)의 한쪽에 형성되는 앞바퀴 방향조절구(24)와; 보조바퀴 축(21)의 상단에 형성된 보조바퀴 방향조절구 클램프(29)에 고정되는 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 및; 상기 앞바퀴 방향조절구(24)와 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 사이에 각각의 조인트(26a)(26b)로 연결되는 연결대(23)로 구성된다.
상기 앞바퀴 방향조절구(24)와 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는
Figure 112010027007023-pat00001
모양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핸들(22)로 방향조절시 연결대(23)를 좀 더 원활하게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23)는 한쪽에 다수개의 길이조절관 수축홈(30)이 형성된 길이조절관(23a)과 상기 길이조절관(23a)에 삽입되는 길이조절 끼움관(23b) 및 상기 길이조절관 수축홈(30)이 형성된 길이조절관(23a)에 결합된 연결대 클램프(27)로 구성되어 상기 앞, 뒷바퀴(3)(4)와 보조바퀴(5)의 폭조절시 상기 조향장치(10)의 연결대(23) 길이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조향장치(10)는 핸들(22)을 잡고 밀거나 당기면 상기 핸들(22)의 한쪽에 형성된 앞바퀴 방향조절구(24)가 조인트(26a)로 연결된 연결대(23)로 상기 연결대(23)와 조인트(26b)로 연결된 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를 밀거나 당겨 앞바퀴(3)와 보조바퀴(5)의 이동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26a)(26b)는 실시예에 따라 유니버셜조인트 또는 볼조인트를 사용함으로써 핸들(22)을 밀거나 당길 때 앞바퀴 방향조절구(24)와 연결대(23) 및 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를 좀 더 적은 힘으로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앞바퀴(3)와 보조바퀴(5)의 이동방향과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고정클램프(28)의 중심과 연결대(23)의 한쪽에 형성된 조인트(26a)의 중심 거리를 앞바퀴 방향조절구(24)의 길이로 하고, 보조바퀴 방향조절구 클램프(29)의 중심과 연결대(23)의 다른쪽에 형성된 조인트(26b)의 중심 거리를 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의 길이로 하여 상기 앞바퀴 방향조절구(24)와 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의 길이를 1:1로 동일하게 하여 핸들(22)로 방향조절시 앞바퀴(3)와 보조바퀴(5)가 동일하게 움직이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의 한쪽에는 고정브라켓(40)을 형성하여 높낮이조절관(36)의 한쪽에 고정된 장착브라켓(41)을 볼트체결하여 상기 높낮이조절관(36)을 고정하고, 높낮이조절관 수축홈(37)이 다수개 형성되어 높낮이조절 클램프(39)로 조이거나 풀어주는 상기 높낮이조절관(36)에는 상단에 시트/등받이 지지대 고정구(42)가 고정된 높낮이 끼움관(38)을 결합하여 시트(6)의 높낮이를 작업자에게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높낮이조절 끼움관(38)의 상단에 형성된 시트/등받이 지지대 고정구(42)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를 ⊃형으로 절곡, 밴딩한 시트/등받이 지지대(43)를 고정한 다음 상기 시트/등받이 지지대(43)의 앞쪽에 축(44)을 결합하되 상기 축(44)에는 시트(6)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비틀림스프링 축연결구(45)와 비틀림스프링(46)이 결합되게 하되 상기 비틀림스프링(46)의 한쪽은 시트(6)의 저면에 맞닿아 걸리고, 다른쪽은 비틀림스프링 걸림대(47)에 걸려 압축되도록 하였다.
상기 시트(6)는 한쪽으로 경사지게 들려있다가 작업자가 착석하게 되면 비틀림스프링(46)이 눌려지면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고, 일어설 때에는 엉덩이를 살짝 들어주면 상기 비틀림스프링(46)의 탄성에 의해 위로 들어주게 되므로 작업자의 허리와 다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등받이 지지대 고정구(42)의 한쪽에 고정되어 시트(6)의 한쪽 상부로 배치된 운전스위치 고정대(50)에는 운전스위치(9)를 장착하여 배터리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모터(16)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정지시켜 동력식 작업의자(1)를 전진/후진 또는 정지시키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바퀴 포크 지지구(13)의 선단부 아래쪽에는 조향각도제한 브라켓(49)을 형성하여 앞바퀴 포크(11)의 상단부 후미에 형성된 조향각도제한 스트퍼(48)로 핸들(22)의 작동범위를 제한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의자(1)의 주행시 앞바퀴(3)와 보조바퀴(5)가 필요이상 돌아가게 되면 원활한 주행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동력식 작업의자(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의 후미에 착탈되는 운반물 적재대(8)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운반물 적재대(8)는 ∩형으로 된 두개의 수직지지대(51)의 끝에 반원형의 누르개(52)(53)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의 상단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수직지지대(51)의 누르개(52)를 조임밴드(54)로 조이거나 풀어주면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식 작업의자(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의 한쪽에 브레이크(55)를 설치하는데, 상기 브레이크(55)는 작동레버(56)를 위로 들거나 밑으로 내리면 브라켓(58)에 고정된 실린더(59)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피스톤(60)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구(57)로 뒷바퀴(5)를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력식 작업의자(1)는 포도 알솎기 등 농작물의 재배관 및 수확에 효율성을 갖게 되는데, 먼저 농경지의 두둑과 고랑 및 경사에 맞게 앞, 뒷바퀴(3)(4)와 보조바퀴(5)의 폭 및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시트(6)에 앉아 한쪽에 구비된 운전스위치(9)의 조작과 함께 핸들(22)을 잡고 방향을 틀면서 작업을 위한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
1 : 작업의자 2 : 메인프레임
3 : 앞바퀴 4 : 뒷바퀴
5 : 보조바퀴 6 : 시트
8 : 운반물 적재대 9 : 운전스위치
10: 조향장치 16: 모터
17: 모터기어 18: 체인기어
19:체인 22: 핸들
23: 연결대 24: 앞바퀴 방향조절구
25: 보조바퀴 방향조절구 61: 보조프레임

Claims (4)

  1. 앞바퀴(3)와, 메인프레임(2)의 후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뒷바퀴(4)와, 보조프레임(61)의 한쪽에 형성된 보조바퀴(5)와, 진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등받이(7)를 갖는 시트(6)로 구성된 동력식 작업의자(1)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3)의 앞바퀴 축(20)과 상기 보조바퀴(5)의 보조바퀴 축(21) 사이에 핸들(22)이 구비된 조향장치(10)를 형성하되;
    상기 조향장치(10)는 앞바퀴 축(20)의 상단에 형성된 핸들고정 클램프(28)에 고정되는 핸들(22)과, 상기 핸들(22)의 한쪽에 형성되는 앞바퀴 방향조절구(24)와, 보조바퀴 축(21)의 상단에 형성된 보조바퀴 방향조절구 클램프(29)에 고정되는 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 및 상기 앞바퀴 방향조절구(24)와 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 사이에 각각의 조인트(26a)(26b)로 연결되는 연결대(23)로 구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2)에 설치된 모터(16)의 모터기어(17)와 뒷바퀴(4)의 체인기어(18)를 체인(19)으로 연결하여 상기 동력식 작업의자(1)를 운전하는 동력전달장치(6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작업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10)는 핸들고정클램프(28)의 중심과 연결대(23)의 한쪽에 형성된 조인트(26a)의 중심 거리를 앞바퀴 방향조절구(24)의 길이로 하고, 보조바퀴 방향조절구 클램프(29)의 중심과 연결대(23)의 다른쪽에 형성된 조인트(26b)의 중심 거리를 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의 길이로 하여 상기 앞바퀴 방향조절구(24)와보조바퀴 방향조절구(25)의 길이를 1:1로 동일하게 하여 핸들(22)로 방향조절시 앞바퀴(3)와 보조바퀴(5)가 동일하게 움직이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작업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23)는 한쪽에 다수개의 길이조절관 수축홈(30)이 형성된 길이조절관(23a)과; 상기 길이조절관(23a)에 삽입되는 길이조절 끼움관(23b) 및; 상기 길이조절관 수축홈(30)이 형성된 길이조절관(23a)에 결합된 연결대 클램프(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작업의자.
KR1020100038695A 2010-04-26 2010-04-26 동력식 작업의자 KR101213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95A KR101213295B1 (ko) 2010-04-26 2010-04-26 동력식 작업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95A KR101213295B1 (ko) 2010-04-26 2010-04-26 동력식 작업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158A KR20110119158A (ko) 2011-11-02
KR101213295B1 true KR101213295B1 (ko) 2012-12-18

Family

ID=4539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695A KR101213295B1 (ko) 2010-04-26 2010-04-26 동력식 작업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5125B (zh) * 2019-05-13 2022-02-11 河北农业大学 一种轻便式苗圃作业车
KR102380734B1 (ko) * 2019-11-14 2022-04-01 박기범 고추 수확 보조 장비, 고추 수확 보조 장비를 이용한 포도 수확 보조 장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310Y1 (ko) * 2005-02-22 2007-07-26 오동관 트렁크형 접이식 3륜 전동 스쿠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310Y1 (ko) * 2005-02-22 2007-07-26 오동관 트렁크형 접이식 3륜 전동 스쿠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158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976B1 (ko) 비닐하우스 설치용 작물 상방 이동식 작업장치
JP6535620B2 (ja) 移動車両
JP5894403B2 (ja) 腰掛作業用台車
KR101324217B1 (ko) 전동식 농작물 수확기
KR101213295B1 (ko) 동력식 작업의자
KR101324237B1 (ko) 농업용 전동 편이 작업기
KR10099084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3륜 의자
KR100849205B1 (ko) 농작물 관리용 3륜 작업의자
US20130115005A1 (en) Agricultural tubing extractor and related methods
KR20120124812A (ko) 농작업용 이동식 소형 작업의자 구조
JP2007289026A (ja) 苗植え付け用の自走式作業台車
KR101108625B1 (ko) 농작물 수확장치
KR101468317B1 (ko) 과수원용 다목적 이동 대차
KR101412965B1 (ko) 전동식 농작물 수확작업기
JP2004267069A (ja) 農用作業台車
JP2508779Y2 (ja) 自走式作業台車
US20130257127A1 (en) Field work vehicle with seat apparatus
KR200467000Y1 (ko) 농작업용 이동식 소형 작업의자
KR101493153B1 (ko) 농업용 작업기
JP3239073U (ja) 作付け用移動座席車
KR102247272B1 (ko) 농사용 레일 이동형 작업의자
KR200292431Y1 (ko) 농작물 수확기
JP3028273U (ja) 作物の定植収穫兼用台車
CN216887604U (zh) 一种农用编织袋支撑装置
JP2005001433A (ja) 棚下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