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153B1 - 농업용 작업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153B1
KR101493153B1 KR20130051928A KR20130051928A KR101493153B1 KR 101493153 B1 KR101493153 B1 KR 101493153B1 KR 20130051928 A KR20130051928 A KR 20130051928A KR 20130051928 A KR20130051928 A KR 20130051928A KR 101493153 B1 KR101493153 B1 KR 10149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ain frame
frame
pai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570A (ko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김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주 filed Critical 김남주
Priority to KR20130051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1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4Adaptations of gearing for driving, loading or unlo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5/00Carriers for supporting persons when working in the field, e.g. while thinning b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Abstract

농업용 작업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에 구동바퀴가 각각 설치된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된 넥프레임을 갖는 본체부와, 넥프레임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향축과 조향축의 하단부에 결합된 조향바퀴와 조향축의 상측에 결합된 한 쌍의 핸들을 갖는 조향부와, 조향축의 상단부에 결합된 컨트롤패널과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컨트롤패널의 조작에 따라 구동바퀴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구동부와,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작업시트와, 메인프레임 또는 넥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시트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기{VEHICLE FOR FARM WORK}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과수원 등지에서 다수의 과실수에 대한 일련의 작업 및 수확한 농작물이나 비료 등의 운반에 사용되는 농업용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농업종사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동시에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업에 충분한 인력이 공급되지 못하고 있으며, 인건비가 지속적으로 상승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농업의 기계화 및 자동화에 대한 연구 및 개발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고 있으나, 과수원과 같이 지면이 고르지 못하고 과실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은 환경에서 농작업을 행하기 위한 자동화 장비의 실질적인 공급은 아직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0715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에는 과수원에서 수확한 과일이나 비료 등을 운반하기 위한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 1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확물이나 비료 등의 운반작업만이 자동화 될 수 있을 뿐이므로, 과수원에 식재된 다수의 과실수 개개에 대한 농작업을 행하는 데에는 사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과수원에서 행해지는 작업 중에는 과실에 봉지 씌우기, 과실 솎기, 가지치기, 인공수분 등이 있다. 이러한 작업들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다양한 도구를 소지한 상태로 다수의 과실수 사이를 이동하며 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각각의 작업자에게도 높은 체력소모가 요구되는 동시에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행하게 되어 근골격계 질환이 유발되기도 한다.
따라서, 다수의 과실수에 대한 다양한 작업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농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 장비의 제공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0715호(등록일: 1998년 12월 23일, 고안의 명칭: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과실수에 대한 작업 및 수확한 농작물의 운반에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평탄하지 않은 지면 상에서도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농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측에 구동바퀴가 각각 설치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된 넥프레임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넥프레임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하단부에 결합된 조향바퀴와 상기 조향축의 상측에 결합된 한 쌍의 핸들을 갖는 조향부와, 상기 조향축의 상단부에 결합된 컨트롤패널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구동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작업시트와, 상기 넥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시트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하우징에 적재프레임 또는 작업도구함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시트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측에 배치된 작업시트지지대와, 상기 좌판이 상기 작업시트지지대에 대하여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좌판 및 상기 작업시트지지대를 연결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좌판의 저면에 결합된 시트패널과, 상기 시트패널의 저면에 결합된 한 쌍의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정레일과,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걸림공이 형성된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편이 회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걸림편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좌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위치조절레버가 결합된 조절축과,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의 저면에 상면이 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작업시트지지대가 결합된 지지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시트지지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높이조절공에 상응하는 형상의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시트지지대가 삽입되는 작업시트지지관과, 상기 핀홀 및 상기 높이조절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높이조절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일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 발판지지프레임과, 상기 발판지지프레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연결프레임과, 상기 발판연결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된 발판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체인고정고리와, 일단부는 상기 발판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체인고정고리에 고정되는 발판조절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컨트롤박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동기와, 상기 구동바퀴에 각각 결합된 구동축이 연결된 차동장치와, 상기 전동기와 상기 차동장치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기의 동력을 상기 차동장치로 전달하는 감속기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박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축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의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구동방향조절레버와, 상기 컨트롤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핸들 중 상기 작업시트가 향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방향조절레버 및 상기 속도조절스위치가 설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전동기가 회전하거나 정지되도록 하는 제1 구동스위치와, 상기 한 쌍의 핸들 중 상기 작업시트가 향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것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방향조절레버 및 상기 속도조절스위치가 설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전동기가 회전하거나 정지되도록 하는 제2 구동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구동스위치 및 상기 제2 구동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2단 푸시 버튼 스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실수에 대한 농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앉는 작업시트 및 수확한 농작물 등을 운반할 경우에 작업자가 앉는 이동시트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작업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에 차동장치를 부가함으로써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시트의 높낮이, 작업시트와 과실수 사이의 간격 및 발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도밭과 같이 과실의 높이가 중간 높이인 경우 작업자가 앉은 자세로 농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예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작업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가 운반용으로 사용될 경우가 예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1)에는 본체부(10), 조향부(30) 및 구동부(50)가 포함된다.
우선 본체부(10)를 살펴보면, 본체부(10)에는 메인프레임(11), 넥프레임(111), 본체하우징(12), 고정수단(121), 발판(19) 및 구동바퀴(541, 542) 등이 포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541, 542)는 메인프레임(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1)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바퀴(541)에는 구동축(55)이 결합되고, 구동축(55)은 베어링(551)에 의해 메인프레임(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메인프레임(11)의 타측에 설치된 구동바퀴(542)도 일측에 설치된 구동바퀴(541)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넥프레임(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1) 및 넥프레임(111) 사이에는 보강프레임(113, 도 2의 115, 116)이 설치되어 넥프레임(111)이 메인프레임(11)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체하우징(12)은 메인프레임(11)을 감싸는 형상으로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프레임(11)의 일부분은 육면체의 모서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하우징(12)은 이 육면체 형상 부분의 일부 이상의 면을 커버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하우징(1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의 고정수단(121)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수단(121)은 본체하우징(12)에 적재프레임(2) 또는 작업도구함(도 2의 4)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적재프레임(2)은 과수원 등지에서 수확된 농산물을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농산물이 수용된 복수의 상자(도시되지 않음)를 적재할 수 있는 프레임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농산물을 직접 수용하는 상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도구함(도 2의 4)은 과실수에서 생육 중인 과실에 봉지 씌우기, 과실 솎기, 가지치기, 인공수분 등 다양한 농작업에 사용되는 도구 및 재료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하우징(12)의 상면에는 적재프레임(2) 및 작업도구함(도 2의 4)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체하우징(12)은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부(50)로 수분이나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술한 본체하우징(12)의 육면체 형상 부분의 면을 전부 커버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조향부(30)에는 조향바퀴(31), 조향축(36) 및 핸들(371, 도 4의 372) 등이 포함된다.
조향축(36)은 넥프레임(111)의 돌출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넥프레임(111)의 단부에는 회전지지관(35)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고, 조향축(36)은 회전지지관(35) 내에 배치되어 회전지지관(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조향축(36)의 하측에는 지지베어링(34)이 설치되는데, 지지베어링(34)은 회전지지관(35)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조향축(36)이 회전지지관(35)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조향축(36)의 하단부에는 포크(33)가 설치된다. 포크(33)에는 조향바퀴축(32)의 양단부가 지지되며, 조향바퀴축(32)에는 조향바퀴(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향축(36)의 상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핸들(371, 372)이 설치된다. 따라서, 조향축(36)을 중심으로 핸들(371, 372)을 회전시키면 조향바퀴(31)의 방향이 변경되므로 농업용 작업기(1)의 진행방향을 조종할 수 있다.
넥프레임(111) 및 회전지지관(35)의 상측 사이에는 보강프레임(114)이 설치되어, 회전지지관(35)이 넥프레임(11)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50)에는 컨트롤패널(51), 차동장치(56), 전동기(57), 감속기(571), 축전지(58) 및 컨트롤박스(59)가 포함된다. 구동부(30) 중 컨트롤패널(51)은 조향축(36)의 상단부, 즉 한 쌍의 핸들(371, 372) 사이 부분에 설치되고, 그 외에는 메인프레임(11)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동부(30)는 컨트롤패널(51)의 조작에 따라 구동바퀴(541, 542)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는데, 구동부(5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구동바퀴(541, 542)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구동축(55, 하나는 부호표시 생략)은 차동장치(56)에 각각 연결된다.
차동장치(56)는 농업용 작업기(도 1의 1)가 곡선형상의 도로를 주행하거나 요철이 형성된 지면을 주행할 때 한 쌍의 구동바퀴(541, 542)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메인프레임(11)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차동장치(56)에는 감속기(571) 및 전동기(57)가 결합된다.
전동기(57)는 전력이 공급되면 도시되지 않은 전동축을 회전시키고, 감속기(571)는 차동장치(56) 및 전동기(57) 사이에 결합되어 전동축(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동기(57)의 동력을 차동장치(56)로 전달한다.
전동기(57) 및 컨트롤박스(59)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컨트롤박스(59)는 축전지(58) 및 컨트롤패널(51)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컨트롤박스(59)는 축전기(58)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컨트롤패널(51)에 공급하고, 컨트롤패널(5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전동기(57)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전동기(57)의 회전여부,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축전지(58)는 하나 또는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축전지(5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의 타측에 배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컨트롤패널(51)에는 패널하우징(52), 전원키(511), 키스위치(512), 전원표시등(513), 충전량표시부(514), 구동방향조절레버(515), 속도조절스위치(516), 비상정지스위치(517) 등이 포함된다.
패널하우징(52)은 컨트롤패널(51)의 하측을 감싸는 케이스로서, 패널하우징(52)은 조향축(36)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하우징(52)에 결합된 키스위치(512)는 농업용 작업기(1)의 전원을 켜고 끄기 위한 것이다. 키스위치(512)에 형성된 키홀(도시되지 않음)에는 상응하는 형상의 전원키(511)가 삽입되어야 전원키(511)가 회전되어 컨트롤박스(59)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업용 작업기(1)의 도용이나 도난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키스위치(5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하우징(52)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컨트롤패널(5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원표시등(513)은 농업용 작업기(1)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점등 및 소등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충전량표시부(514)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수단을 복수로 배치하여 축전지(58)의 충전상태 또는 잔여 전력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방향조절레버(515)는 전동기(57)의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515)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농업용 작업기(1)가 전진, 정지 또는 후진을 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속도조절스위치(516)는 전동기(57)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농업용 작업기(1)가 전진 또는 후진을 할 경우 그 속도를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속도조절스위치(516)를 이용하여 농업용 작업기(1)가 작업 목적에 맞는 속도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할 수 있다.
비상정지스위치(517)는 농업용 작업기(1)의 작동을 즉시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른 작업자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과 같은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때 비상정지스위치(517)를 조작하면 전동기(57)로 공급되는 전력이 즉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0)에는 제1 구동스위치(531) 및 제2 구동스위치(53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구동스위치(531) 및 제2 구동스위치(532)는 구동방향조절레버(515) 및 속도조절스위치(516)가 설정된 상태에 따라 전동기(57)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구동스위치(531) 또는 제2 구동스위치(532) 중 어느 하나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면, 농업용 작업기(1)는 구동방향조절레버(515)가 설정된 바에 따라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된다. 이때 농업용 작업기(1)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속도는 속도조절스위치(516)가 설정된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스위치(531)는 메인프레임(11)의 일측에 배치된 핸들(371)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2 구동스위치(532)는 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핸들(37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농업용 작업기(1)를 다목적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구동스위치(531) 및 제2 구동스위치(532)의 배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한편, 다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넥프레임(111)에는 이동시트체결공(112)이 형성되고, 이동시트체결공(11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트지지대(14)가 결합되며, 이동시트지지대(14)의 상단부에는 이동시트(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시트(13)는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농업용 작업기(1)가 농작물의 운반에 사용될 경우 넥프레임(111)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즉, 적재프레임(2)에 도시되지 않은 농작물 또는 농작물이 수용된 박스 등을 적재한 후 작업자가 이동시트(13)에 앉아서 농업용 작업기(1)를 운전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제2 구동스위치(532)를 조작하여 농업용 작업기(1)가 이동 또는 정지하도록 조종할 수 있는데, 제2 구동스위치(532)는 메인프레임(11)의 타측 방향에 배치된 핸들(37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좌측 엄지손가락으로 제2 구동스위치(53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시트체결공(112) 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이동시트지지대(14)의 하단부에는 암나사부에 상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이동시트지지대(14)가 이동시트체결공(1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동시트(13)는 필요에 따라 넥프레임(111)에 탈착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시트체결공(112)은 필요에 따라 메인프레임(11)에 형성되어, 이동시트(13)가 메인프레임(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가 농작업용으로 사용될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의 본체하우징(도 1의 12)에는 작업도구함(4)이 고정되어 있고, 메인프레임(도 1의 11)의 일측에는 작업시트(15)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트(13)는 넥프레임(11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작업시트(15)의 하측에는 봉 형상의 작업시트지지대(18)가 배치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11)의 일측에는 중공관 형상의 작업시트지지관(16)이 결합된다. 작업시트지지대(18)는 작업시트지지관(16)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작업시트지지관(1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는 작업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시트(15)에는 좌판, 시트위치조절수단(17) 및 작업시트지지대(18)가 포함된다.
시트위치조절수단(17)은 작업시트(15)의 좌판이 작업시트지지대(18)에 대하여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좌판 및 작업시트지지대(18)를 연결하는데, 시트위치조절수단(17)에는 시트패널(171), 한 쌍의 이동레일(172), 한 쌍의 고정레일(173) 및 지지대패널(179)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트패널(171)의 상면은 작업시트(15)의 좌판 저면에 결합된다. 시트패널(171)의 저면에는 복수의 체결부재(B)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레일(172)에는 체결부재(B)에 상응하는 체결공(172a)이 형성되고, 체결부재(B)가 체결공(172a)에 삽입된 후 체결부재(B)의 단부에 체결부재(B)에 체결되는 다른 체결부재(N)가 결합됨으로써 시트패널(171)의 저면에 한 쌍의 이동레일(172)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레일(172)에는 한 쌍의 고정레일(173)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고정레일(173)은 복수의 지지브라켓(173a, 173b)에 의해 지지대패널(179)의 상면에 결합되며, 지지대패널(179)의 저면에는 작업시트지지대(18)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한편, 한 쌍의 이동레일(172)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편(175)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이동레일(17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레일(173)에는 걸림부재(174)가 결합된다.
걸림부재(174)에는 고정레일(17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돌기(174a)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며, 걸림편(175)에는 걸림돌기(174a)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걸림공(175a)이 형성된다.
걸림편(175)에는 걸림돌기(174a)가 걸림공(175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걸림편(175)이 회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76)가 결합되는데, 걸림돌기(174a)가 걸림공(175a)에 삽입된 상태일 때에는 이동레일(172)이 고정레일(17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되지 않는다.
걸림편(175)에는 봉 형상을 갖는 조절축(177)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조절축(177)의 타단부에는 조절축(177)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위치조절레버(178)가 결합된다. 조절축(177)은 위치조절레버(178)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시트(15)의 좌판보다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위치조절레버(178)가 외력에 의해 회동되면 걸림편(175)이 회동되어 걸림돌기(174a)가 걸림공(175a)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이동레일(172)은 고정레일(17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즉, 작업시트(15)는 위치조절레버(178)를 회동시켜 좌판 및 작업시트지지대(18)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 후, 위치조절레버(178)가 탄성부재(17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되도록 하면 좌판 및 작업시트지지대(18)의 조절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시트지지대(18)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높이조절공(18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시트지지관(16)에는 높이조절핀(182)이 결합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작업시트지지관(16)의 외주면 일측에는 높이조절핀(182)이 삽입될 수 있는 핀홀이 형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시트지지관(16)의 중공부에 작업시트지지대(18)가 삽입되었을 때, 높이조절핀(182)이 핀홀(도시되지 않음) 및 복수의 높이조절공(181)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며 결합되도록 하면 작업시트지지관(16)이 작업시트지지대(18)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높이조절공(181) 중 적절한 위치의 것을 선택하여 높이조절핀(182)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트(15)의 좌판이 메인프레임(11)의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작업시트(15)는 작업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임의로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시트(15)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높이조절핀(182)을 분리하고 작업시트지지관(16)으로부터 작업시트지지대(18)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메인프레임(11)으로부터 작업시트(15)를 탈거할 수도 있다.
메인프레임(11)의 본체부(10)에는 작업자가 농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19)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의 일측에는 발판지지프레임(191)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발판지지프레임(191)의 타단부에는 힌지(193)에 의해 발판연결프레임(192)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발판연결프레임(192)의 타단부에는 발판(19)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판연결프레임(192)에는 발판조절체인(194)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된 작업시트지지관(16)에는 체인고정고리(195)가 결합되며, 발판조절체인(194)의 타측은 체인고정고리(195)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작업자의 체형에 따라 발판조절체인(194)이 체인고정고리(195)에 고정되는 길이를 조절하면 발판지지프레임(191)에 대하여 발판프레임(192)이 적절한 각도로 회동되므로 발판(19)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시트(15)에 앉은 작업자의 발은 발판(19)에 의해 편안한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농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도와 같이 과실이 어중간한 위치에서 생육되는 과실수는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린 상태로 농작업을 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신체에 상당한 부담을 주며, 심할 경우에는 요통이나 디스크와 같은 근골격계 질환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시트(15)의 높이 및 발판(19)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포도나무와 같은 과실수에 대해서도 작업시트(15)에 편히 앉은 자세로 장시간의 농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참고로, 농업용 작업기(1)가 평탄하지 않은 지면을 주행할 경우 두둑(도 6의 8 참조)이 형성된 부분과 발판(19)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럴 경우 발판조절체인(194)의 길이를 단축하여 발판(19)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의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1)에 탑승한 작업자는 과실수(9)에 대하여 각종 작업을 행할 수 있는데, 이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과실수(9)를 향하여 작업시트(15)에 앉아 다양한 농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때, 과실수(9)의 가지 등의 형상이나 고랑(7) 및 두둑(8)과 같은 경작지(6) 지면의 형상 등에 따라 작업자와 과실수(9)와의 거리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이 시트위치조절수단(17)의 위치조절레버(178)를 이용하여 작업시트(15)의 좌판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가 농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 및 과실수(9)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시트(15)의 좌판은 농업용 작업기(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에 가까운 방향, 즉 메인프레임(1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농업용 작업기(1)가 경작지(6)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구동바퀴(541, 542) 중 하나(542)는 고랑(7)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다른 하나(541)는 두둑(8)을 따라 이동하게 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농업용 작업기(1)가 평탄하지 않은 지면을 주행할 때 한 쌍의 구동바퀴(541, 542)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을 하게 될 경우에는 농업용 작업기(1)가 안정적으로 직진 또는 후진을 하지 못하거나 전복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1)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동장치(56)에 의해 상황에 따라 한 쌍의 구동바퀴(541, 542)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고랑(7)이나 두둑(8)이 형성된 경작지(6)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시트(15)는 메인프레임(11)의 일측에 배치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축전지(58)는 메인프레임(11)의 타측에 배치된다.
이는 작업시트(15)에 앉은 작업자의 체중과 축전지(58)의 하중이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농업용 작업기(1)가 평탄하지 않은 경작지(6)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축전지(58) 및 작업시트(15)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업용 작업기(1)가 기울어질 경우에도 전복될 가능성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작업시트(15)가 메인프레임(11)의 타측에 배치될 경우에는 축전지(58)가 메인프레임(11)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동스위치(531)는 메인프레임(11)의 일측 방향, 즉 작업시트(15)가 배치된 방향의 핸들(371) 단부에 설치된다. 이는 다수의 과실수(9) 사이를 이동하며 농작업을 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하나의 과실수에 대한 작업이 종료된 후 다음 과실수로 이동할 때 작업시트(15)에 앉은 상태로 농업용 작업기(1)를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작업시트(15)에 앉은 작업자는 왼손을 이용하여 핸들(371)을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제1 구동스위치(531)를 조작함으로써 농업용 작업기(1)의 이동 및 조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반면, 제2 구동스위치(53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37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1)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용으로 이용할 경우, 이동시트(도 1의 13)에 앉은 작업자가 오른손으로는 일측의 핸들(371)을 잡고 왼손으로는 타측의 핸들(372)을 잡게 되는데,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제2 구동스위치(53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여기서, 제1 구동스위치(531) 및 제2 구동스위치(532) 중 적어도 하나로는 2단 푸시 버튼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가 제1 구동스위치(531) 또는 제2 구동스위치(532)를 조작할 때 버튼이 눌리는 깊이에 따라 구동바퀴(541, 542)의 회전속도가 저속 및 고속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업용 작업기(1)를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업을 행할 경우, 다수의 과실수(9)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 번에 이동할 거리가 일정하지 않고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작업시트(15)에 앉은 상태로 속도조절스위치(516)를 매번 조절하기는 번거로우므로 제1 구동스위치(531)로써 2단 푸시 버튼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제1 구동스위치(531)를 누르는 정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멀리 이동할 경우에는 농업용 작업기(1)가 빠르게 이동되도록 하고, 가까이 이동할 경우에는 느리게 이동되도록 하면 농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스위치(532) 또한 2단 푸시 버튼 스위치를 사용할 경우 운반 중에 간단한 조작으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업용 작업기(1)가 평탄한 지면을 이동할 때에는 다소 높은 속도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평탄하지 않은 지면을 이동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1)는 다양한 농작업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농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농업용 작업기(1)를 주로 사용하는 작업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 등의 조건에 따라 작업시트(15)가 설치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축전지(58)의 배치 외에도 제1 구동스위치(531) 및 제2 구동스위치(532)의 배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농업용 작업기 10: 본체부
11: 넥프레임 112: 이동시트체결공
12: 본체하우징 121: 고정수단
13: 이동시트 14: 이동시트지지대
15: 작업시트 16: 작업시트지지관
17: 위치조절수단 18: 작업시트지지대
19: 발판 2: 적재프레임
30: 조향부 31: 조향바퀴
32: 조향바퀴축 33: 포크
34: 지지베어링 35: 회전지지관
36: 조향축 371, 372: 핸들
4: 작업도구함 50: 구동부
51: 컨트롤패널 52: 패널하우징
531, 532: 구동스위치 541, 542: 구동바퀴
55: 구동축 551: 베어링
56: 차동장치 571: 감속기
57: 전동기 58: 축전지
59: 컨트롤박스

Claims (10)

  1. 양측에 구동바퀴가 각각 설치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된 넥프레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넥프레임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하단부에 결합된 조향바퀴와, 상기 조향축의 상측에 결합된 한 쌍의 핸들을 갖는 조향부;
    상기 조향축의 상단부에 결합된 컨트롤패널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작업시트; 및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상기 넥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시트는,
    좌판;
    상기 좌판의 하측에 배치된 작업시트지지대; 및
    상기 좌판이 상기 작업시트지지대에 대하여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좌판 및 상기 작업시트지지대를 연결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좌판의 저면에 결합된 시트패널;
    상기 시트패널의 저면에 결합된 한 쌍의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정레일;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부재;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걸림공이 형성된 걸림편;
    상기 걸림편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편이 회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걸림편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좌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위치조절레버가 결합된 조절축;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의 저면에 상면이 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작업시트지지대가 결합된 지지대패널을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본체하우징; 및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하우징에 적재프레임 또는 작업도구함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시트지지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높이조절공에 상응하는 형상의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시트지지대가 삽입되는 작업시트지지관; 및
    상기 핀홀 및 상기 높이조절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높이조절핀을 더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 발판지지프레임;
    상기 발판지지프레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연결프레임;
    상기 발판연결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된 발판;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체인고정고리; 및
    일단부는 상기 발판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체인고정고리에 고정되는 발판조절체인을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박스;
    상기 컨트롤박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동기;
    상기 구동바퀴에 각각 결합된 구동축이 연결된 차동장치;
    상기 전동기와 상기 차동장치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기의 동력을 상기 차동장치로 전달하는 감속기;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박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의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구동방향조절레버; 및
    상기 컨트롤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핸들 중 상기 작업시트가 향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방향조절레버 및 상기 속도조절스위치가 설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전동기가 회전하거나 정지되도록 하는 제1 구동스위치; 및
    상기 한 쌍의 핸들 중 상기 작업시트가 향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것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방향조절레버 및 상기 속도조절스위치가 설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전동기가 회전하거나 정지되도록 하는 제2 구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스위치 및 상기 제2 구동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2단 푸시 버튼 스위치인 농업용 작업기.
KR20130051928A 2013-05-08 2013-05-08 농업용 작업기 KR10149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928A KR101493153B1 (ko) 2013-05-08 2013-05-08 농업용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928A KR101493153B1 (ko) 2013-05-08 2013-05-08 농업용 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570A KR20140132570A (ko) 2014-11-18
KR101493153B1 true KR101493153B1 (ko) 2015-02-13

Family

ID=5245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1928A KR101493153B1 (ko) 2013-05-08 2013-05-08 농업용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096B1 (ko) * 2021-08-20 2024-01-23 (주) 세웅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8516U (ko) * 1986-10-04 1988-04-19
JPH071704U (ja) * 1993-06-18 1995-01-13 新興和産業株式会社 自走式作業台車
JP2004267069A (ja) 2003-03-06 2004-09-30 Minoru Industrial Co Ltd 農用作業台車
KR20110007445U (ko) * 2010-01-20 2011-07-27 이재명 농작물 수확용 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8516U (ko) * 1986-10-04 1988-04-19
JPH071704U (ja) * 1993-06-18 1995-01-13 新興和産業株式会社 自走式作業台車
JP2004267069A (ja) 2003-03-06 2004-09-30 Minoru Industrial Co Ltd 農用作業台車
KR20110007445U (ko) * 2010-01-20 2011-07-27 이재명 농작물 수확용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570A (ko)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1191B2 (ja) 作業車両
CN111201847B (zh) 一种除草避障机器人
JP6535620B2 (ja) 移動車両
JP2016016793A (ja) 電動クローラ式運搬車
WO2019093303A1 (ja) 筒型回転体を備える移動装置
KR100872411B1 (ko) 비닐하우스 작업장치
KR101493153B1 (ko) 농업용 작업기
KR101716947B1 (ko)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
JP6824377B2 (ja) 作業車両
US20170142956A1 (en) Utility Walk-Behind Vehicle for Agriculture and Property Maintenance
KR200483458Y1 (ko) 제초기 및 관리기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무한궤도 운반기
KR101896472B1 (ko) 농업용 다목적 작업보조장비
KR200224977Y1 (ko)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JP2016152776A (ja) 管理作業機
JP2508779Y2 (ja) 自走式作業台車
KR101374886B1 (ko) 농산물 수확기
KR101224022B1 (ko)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
KR101132037B1 (ko) 과일 채소류 박스 하우징의 운반구
KR101213295B1 (ko) 동력식 작업의자
JPH07110162B2 (ja) イチゴ等の栽培管理装置
JPS6415Y2 (ko)
KR102569580B1 (ko) 자율주행형 전동 편의 작업기
KR200292431Y1 (ko) 농작물 수확기
JP7205847B2 (ja) 農作業用電動台車
JPH061342Y2 (ja) 多目的作業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