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977Y1 -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4977Y1 KR200224977Y1 KR2020000036384U KR20000036384U KR200224977Y1 KR 200224977 Y1 KR200224977 Y1 KR 200224977Y1 KR 2020000036384 U KR2020000036384 U KR 2020000036384U KR 20000036384 U KR20000036384 U KR 20000036384U KR 200224977 Y1 KR200224977 Y1 KR 20022497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switch
- agricultural
- battery
- powered self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자동으로 직진 주행이 가능하며 소음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작업자의 작업속도에 맞추어 주행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사지에서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이동대와, 이동대에 각각 설치되고 축전지의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이동대의 아래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한 이동대를 이동시키는 무한궤도로 이루어지는 바퀴와, 이동대에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복수의 단으로 설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한쌍의 기둥과, 기둥의 맨위쪽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가로지지대와, 기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가로지지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와, 구동모터 및 승강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이동대에 설치되고 두둑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상기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방향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무한궤도를 회전시켜 이동하고 방향감지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직진 주행이 가능하며 짐받이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각종 농작물의 수확이나 재배를 위한 작업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작업기로는 모종을 위한 이앙기, 잎이나 열매 등을 따기 위한 작업기, 씨를 뿌리고 흙을 덮는 파종기, 땅을 파거나 갈아엎는 등의 작업을 하는 관리기, 농약이나 농업용수 등을 분사하는 분무기 등이 있다.
상기한 농업용 작업기는 인력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수동식과 엔진을 이용하여 이동하고 작업하는 동력식이 있다.
종래의 이앙기나 작업기 등의 농업용 작업기는 엔진을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켜 이동하므로 사람의 작업속도에 맞추어 아주 저속으로 이동하는 것이 어렵다.
즉 기계를 이용하여 모종을 하거나 수확을 하는 것에는 편리하지만, 대단위로 농사를 짓지 않는 소규모에서 사람이 직접 모종을 하거나 수확을 하면서 모판이나 수확한 농작물을 싣고 함께 이동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엔진을 이용하는 종래의 농업용 작업기는 이동속도를 조정하는 변속기가 소정의 단계로 구성되므로, 작업자마다 자신의 작업속도에 알맞는 이동속도로 조정하는 것이 어렵다.
또 종래의 농업용 관리기는 가솔린엔진이나 디젤엔진 등을 사용하므로 엔진소음에 의하여 인근에서 작업하는 사람과의 의사소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장시가 작업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청력에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농업용 관리기는 하나의 엔진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양쪽의 바퀴가 이동하므로 제동장치에 의하여 억지로 제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과 방향전환을 행하므로, 제자리에서의 회전이 어렵고 약간씩 앞으로 전진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져 회전반경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랑의 끝부분에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농업용 관리기
의 회전을 위하여 이랑을 형성하지 못하는 유휴지가 많이 소용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를 이용하므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속도조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방향감지장치를 설치하므로 자동으로 직진 주행이 가능하며 양쪽 바퀴에 각각 모터를 설치하여 제어하므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기둥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짐받이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므로 경사지에서도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이동대와, 상기한 한쌍의 이동대에 각각 설치되고 축전지의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한 이동대의 아래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한 이동대를 이동시키는 바퀴와, 상기한 한쌍의 이동대에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복수의 단으로 설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한쌍의 기둥과, 상기한 기둥의 맨위쪽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가로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퀴는 무한궤도를 이용하는 것이 접지면이 넓으므로 안전성이 높으며, 무한궤도의 앞쪽 및/또는 뒤쪽에는 경사지나 굴곡지에서의 접지면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조바퀴를 설치한다.
상기한 각각의 이동대에는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를 설치한다.
또 상기한 각각의 이동대에는 농작물이나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대
를 설치하고, 상기한 가로지지대에는 농작물이나 물품 등을 적재할 수 있는 짐받이를 설치한다.
그리고 본 고안이 제안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는 상기한 한쌍의 기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한 가로지지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승강장치는 상기한 이동대에 설치되는 축전지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고 상기한 한쪽 기둥의 맨윗단에 설치되는 승강모터와, 상기한 승강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한 각각의 기둥 맨윗단과 일체로 이동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스크류축과, 상기한 각각의 기둥 아랫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한 스크류축에 결합된 한쌍의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상기한 승강모터와 스크류축의 동력전달은 스프로킷과 체인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한쌍의 스크류축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하여 한쪽이 상승하면 다른쪽은 하강하도록 구성한다.
또 본 고안이 제안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는 상기한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한 이동대에 설치되고 두둑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상기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방향감지장치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의 일실시예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이동대(10)와, 상기한 한쌍의 이동대(10)에 각각 설치되고 축전지(22)의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모터(20)와, 상기한 이동대(10)의 아래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한 이동대(10)를 이동시키는 바퀴(30)와, 상기한 한쌍의 이동대(10)에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복수의 단으로 설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한쌍의 기둥(40)과, 상기한 기둥(40)의 맨위쪽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가로지지대(50)를 포함한다.
상기한 이동대(10)에 설치되는 축전지(22)는 연속하여 작업하는 경우 대략 10시간 이상 구동모터(20)의 구동이 가능한 용량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시로 재충전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한 축전지(22)는 설정된 용량을 만족하도록 2개이상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24)과 스프로킷(26)을 이용하여 상기한 바퀴(30)로 전달된다.
상기한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어열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구동모터(20)에는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큰 토오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감속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연결 설치한다.
상기한 체인(24)과 스프로킷(2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8)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자의 옷 등이 체인(24)에 끼는 등의 안전사고의 방지 및 이물질이 체인(24)과 스프로킷(26)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퀴(30)는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바퀴(30)를 구성하면 접지면이 넓으므로 안전성이 높다.
그리고 무한궤도로 이루어지는 바퀴(30)의 앞쪽 및/또는 뒤쪽에는 경사지나 굴곡지에서의 접지면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조바퀴(34)를 설치한다.
상기한 보조바퀴(34)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이동대(10)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3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보조바퀴(34)는 앞쪽에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앞쪽과 뒤쪽에 모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이동대(1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바퀴(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대(12)와, 상기한 차대(12)에 설치되고 상기한 축전지(22)와 구동모터(20) 등을 보호하며 밑면과 한쪽 옆면 일부가 개방된 상자형상의 케이스(1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각각의 이동대(10)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60)를 설치한다.
상기한 의자(6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이동대(10)의 차대(12)에 설치되는 의자브라켓(66)에 지지막대(62)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한 지지막대(62)는 상기한 의자브라켓(66)에 소정의 각으로 분할하여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65)에 고정핀(64)을 관통하여 삽입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
의 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자신에게 알맞는 높이로 의자(60)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각각의 이동대(10)의 케이스(14) 윗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작물이나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대(70)를 설치한다.
상기한 수납대(7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피가 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뼈대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판형상의 부재를 뼈대에 부착하여 부피가 작은 물품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가로지지대(50)의 윗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작물이나 물품 등을 적재할 수 있는 짐받이(72)를 설치한다.
상기한 짐받이(72)에 있어서도 상기한 수납대(70)와 마찬가지로 뼈대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판형상의 부재를 부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한쌍의 기둥(4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한 가로지지대(50)를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80)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승강장치(8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이동대(10)에 설치되는 축전지(22)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고 상기한 한쪽 기둥(40)의 윗단(44)에 설치되는 승강모터(81)와, 상기한 승강모터(8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한 각각의 기둥(40) 윗단(44)과 일체로 이동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스크류축(84)과, 상기한 각각의 기둥(40) 아랫단(42)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한 스크류축(84)에 결합된 한쌍의 고정너트(86)를 포함한다.
상기한 승강모터(81)와 스크류축(84)의 동력전달은 스프로킷(82)과 체인(83)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각각의 기둥(40)에 설치되는 한쌍의 스크류축(84) 사이의 동력전달은 상기한 가로지지대(50) 내부에 설치되는 체인(85)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한쌍의 스크류축(84)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하여 한쪽이 상승하면 다른쪽은 하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기둥(40)의 윗단(44)에는 아랫단(42)과 구름접촉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로울러(87)를 하나이상 설치한다.
상기한 기둥(40)은 윗단(44)의 내부에 아랫단(42)이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아랫단(42)의 아래쪽 끝부분은 상기한 이동대(10)의 케이스(14) 및/또는 차대(12)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한쪽 기둥(40)에는 승강모터(81)를 감싸 보호하는 모터하우징(89)을 설치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구동모터(20) 및 승강모터(8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90)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제어장치(90)는 상기한 한쪽 이동대(10)의 케이스(14) 한쪽에 설치되
고, 상기한 구동모터(20) 및 승강모터(81)의 작동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는 각종 스위치가 설치된다.
상기한 스위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91)와, 상기한 구동모터(20)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시동스위치(92)와, 상기한 구동모터(20)의 회전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속도조정스위치(93)와, 자동운전 또는 수동운전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94)와, 상기한 승강모터(8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선택하는 승강스위치(95)와, 수동운전시 상기한 한쌍의 구동모터(20)에 대하여 구동여부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므로 전후진 및 좌우회전을 행하기 위한 운전스위치(9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운전스위치(96)는 조이스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앞쪽으로 밀면 전진신호가 입력되고, 뒤로 당기면 후진신호가 입력되며, 좌측으로 밀면 좌회전신호가 입력되고, 우측으로 밀면 우회전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속도조정스위치(93)는 가변스위치를 이루어지고, 회전시킴에 따라 점진적으로 제어값이 변화하여 상기한 구동모터(20)의 회전속도를 변경시켜 주행속도를 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이동대(10)의 양 옆에는 작업자가 의자(60)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발판스위치(98)를 설치한다.
상기한 발판스위치(98) 뒤쪽에는 작업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받침(99)을 설치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이동대(10)의 차대(12)에 각각 설치되고 두둑(2)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상기한 제어장치(90)로 전송하는 방향감지장치(74)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방향감지장치(74)는 상기한 이동대(10)의 차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브라켓(75)과, 상기한 센서브라켓(75)에 지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봉(76)과, 상기한 지지봉(76)의 아랫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한 제어장치(90)에 연결되는 리미트스위치(77)와, 상기한 리미트스위치(77)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두둑(2)을 감지하는 센서바퀴(78)를 포함한다.
상기한 센서브라켓(75)은 볼트 등을 통하여 상기한 이동대(10)의 차대(12)에 설치되고, 볼트를 풀고 소정의 각도 회전시킨 다음 다시 볼트를 조이는 것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센서브라켓(75)을 회전시켜 고정함에 따라 두둑(2)의 높이에 맞추어 센서바퀴(78)의 상하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지지봉(76)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센서브라켓(75)에 고정되고, 볼트를 풀고 소정의 각도 회전시킨 다음 다시 볼트를 조이는 것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봉(76)을 회전시켜 고정함에 따라 두둑(2)의 폭에 맞추어 양쪽 이동대(10)에 설치된 센서바퀴(78)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전원스위치(91)를 온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시동스위치(92)를 온시키면 구동모터(20)가 회전을 시작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선택스위치(94)를 자동으로 선택하면 양쪽의 이동대(10)에 각각 설치된 구동모터(20)가 정회전을 하고, 이 회전력을 전달받은 바퀴(30)가 회전하여 직진으로 전진주행을 시작한다.
이 때 상기한 양쪽 바퀴(30)는 각각 고랑에 위치하고, 센서바퀴(78)는 두둑(2)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직진으로 전진주행을 하는 도중에 두둑(2)이 진행방향 우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므로, 우측의 센서바퀴(78)가 두둑(2)에 접하게 되면, 우측의 리미트스위치(77)가 작동하고 이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장치(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측의 구동모터(20)가 정지한다.
따라서 좌측의 바퀴(30)만 전진하게 되어 약간 좌회전을 하게 되고, 우측의 센서바퀴(78)가 두둑(2)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우측의 리미트스위치(77)가 작동하고 이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장치(9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시 우측의 구동모터(20)가 회전하여 우측의 바퀴(30)가 전진하게 된다.
또 좌측의 센서바퀴(78)가 두둑(2)에 접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진행방향을 변경하게 되어 항상 두둑(2) 및 고랑을 따라 자동으로 전진주행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뒤에서 따라가거나 의자(60)에 앉은 상태로 운전에 신경쓰지 않으면서 두둑(2)에 있는 잎담배(4)를 수확하거나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스위치(94)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경우에 조이스틱과 같은 상기한 운전스위치(96)를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것에 따라 좌측의 구동모터(20) 또는 우측의 구동모터(20)가 운전과 정지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회전이 이루어지고, 구동모터(20)의 회전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진다.
또 선택스위치(94)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한 좌측 또는 우측의 발판스위치(98)를 밟음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의 구동모터(20)가 정지되므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승강스위치(95)를 상승으로 선택하면, 상기한 승강모터(81)가 정회전을 하여 우측의 기둥(40) 윗단(44)이 상승하여 우측 기둥(40)의 높이가 높아지고, 좌측의 기둥(40) 아랫단(42)이 하강하여 좌측 기둥(40)의 높이가 낮아진다.
상기한 승강스위치(95)를 하강으로 선택하면, 상기한 승강모터(81)가 역회전을 하여 우측 기둥(40)의 높이가 낮아지고 좌측 기둥(40)의 높이가 높아진다.
따라서 우측이 높고 좌측이 낮은 경사지에서는 상기한 승강스위치(95)를 하강으로 선택하여 가로지지대(50)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좌측이 높고 우측이 낮은 경사지에서는 상기한 승강스위치(95)를 상승으로 선택하여 가로지지대(50)를 수평으로 유지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에 의하면, 소음의 거의 발생하지 않아 주변의 작업자와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자가 청력에 손상을 입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방향감지장치에 의하여 두둑을 따라 자동으로 직진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뒤따라가면서 잎담배 등 농작물의 수확이나 재배에 필요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의 높이를 조절하여 짐받이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경사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짐받이로부터 적재된 농작물이나 물품이 추락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경사진 아래쪽으로 하중이 편중되어 전복되는 일이 방지된다.
또 양쪽의 바퀴를 각각 별도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구동하므로 한쪽 바퀴를 완전히 정지시킨 상태에서 다른쪽 바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여 회전반경이 크게 감소하고, 이랑을 형성할 수 있는 길이가 증대되어 논이나 밭의 이용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구동하므로 회전속도를 연속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자신의 작업속도에 맞추어 주행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이동대와,상기한 한쌍의 이동대에 각각 설치되고 축전지의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모터와,상기한 이동대의 아래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한 이동대를 이동시키는 바퀴와,상기한 한쌍의 이동대에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복수의 단으로 설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한쌍의 기둥과,상기한 기둥의 맨위쪽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가로지지대를 포함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이동대에는 농작물이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대를 설치하고,상기한 가로지지대에는 농작물이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짐받이를 설치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대에 설치되는 축전지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고 상기한 한쪽 기둥의 맨윗단에 설치되는 승강모터와, 상기한 승강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한 각각의 기둥 맨윗단과 일체로 이동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스크류축과, 상기한 각각의 기둥 아랫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한 스크류축에 결합된 한쌍의 고정너트로 이루어지고,상기한 한쌍의 기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한 가로지지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모터 및 승강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한 이동대에 설치되고 두둑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상기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방향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에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와,상기한 구동모터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시동스위치와,상기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속도조정스위치와,자동운전 또는 수동운전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와,상기한 승강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선택하는 승강스위치와,수동운전시 상기한 한쌍의 구동모터에 대하여 구동여부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므로 전후진 및 좌우회전을 행하기 위한 운전스위치와,수동운전시 작업자가 발을 이용하여 상기한 한쌍의 구동모터의 회전여부를 제어하여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발판스위치를 연결 설치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방향감지장치는 상기한 이동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브라켓과,상기한 센서브라켓에 지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봉과,상기한 지지봉의 아랫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한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리미트스위치와,상기한 리미트스위치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두둑을 감지하는 센서바퀴를 포함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이동대에 설치되는 의자브라켓에 소정의 각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지지막대에 의하여 지지되며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6384U KR200224977Y1 (ko) | 2000-12-26 | 2000-12-26 |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6384U KR200224977Y1 (ko) | 2000-12-26 | 2000-12-26 |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4977Y1 true KR200224977Y1 (ko) | 2001-05-15 |
Family
ID=7309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6384U KR200224977Y1 (ko) | 2000-12-26 | 2000-12-26 |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4977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4388B1 (ko) * | 2008-03-11 | 2008-07-07 | 이강영 | 상차대 |
KR101234788B1 (ko) * | 2011-11-30 | 2013-02-20 | (주)네스트아이앤씨 | 콤바인의 주행과 조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콤바인의 주행과 조향의 제어 방법 |
CN107155663A (zh) * | 2017-05-11 | 2017-09-15 | 沈阳建筑大学 | 一种组合式玉米去顶施肥机器人 |
KR20190022011A (ko) * | 2017-08-25 | 2019-03-06 | 주식회사 태명 | 식물재배용 자율주행장치 |
CN115743433A (zh) * | 2022-10-19 | 2023-03-07 |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 渔光互补光伏施工高度可调水上作业平台及其使用方法 |
-
2000
- 2000-12-26 KR KR2020000036384U patent/KR20022497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4388B1 (ko) * | 2008-03-11 | 2008-07-07 | 이강영 | 상차대 |
KR101234788B1 (ko) * | 2011-11-30 | 2013-02-20 | (주)네스트아이앤씨 | 콤바인의 주행과 조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콤바인의 주행과 조향의 제어 방법 |
CN107155663A (zh) * | 2017-05-11 | 2017-09-15 | 沈阳建筑大学 | 一种组合式玉米去顶施肥机器人 |
CN107155663B (zh) * | 2017-05-11 | 2023-10-13 | 沈阳建筑大学 | 一种组合式玉米去顶施肥机器人 |
KR20190022011A (ko) * | 2017-08-25 | 2019-03-06 | 주식회사 태명 | 식물재배용 자율주행장치 |
KR102049234B1 (ko) | 2017-08-25 | 2019-11-28 | 주식회사 태명 | 식물재배용 자율주행장치 |
CN115743433A (zh) * | 2022-10-19 | 2023-03-07 |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 渔光互补光伏施工高度可调水上作业平台及其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702051A (en) | Independently operable dual drive wheel riding power mower | |
CN111201847B (zh) | 一种除草避障机器人 | |
US9769972B2 (en) | Aerator fertilizer apparatus | |
KR100270446B1 (ko) | 결구야채 수확기 | |
CN115997532A (zh) | 可调行距、可变株距的设施内蔬菜自主移栽机器人 | |
KR200224977Y1 (ko) |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
KR20170126124A (ko) | 농업용 전동 작업차 | |
US20170142956A1 (en) | Utility Walk-Behind Vehicle for Agriculture and Property Maintenance | |
JP6824377B2 (ja) | 作業車両 | |
JP2003143972A (ja) | ハウス内農作物栽培における農作業の自動化装置 | |
KR200483458Y1 (ko) | 제초기 및 관리기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무한궤도 운반기 | |
JP4294838B2 (ja) | 予備苗載台に薬剤散布装置を設けた乗用田植機 | |
EP0593681B2 (en) | Device for harvesting crops | |
JP2009089650A (ja) | 移植機 | |
KR102439036B1 (ko) |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 |
US2818930A (en) | Three-wheeled vehicle having a high arched front frame | |
KR101493153B1 (ko) | 농업용 작업기 | |
JP2883901B2 (ja) | 自走型茶園管理機 | |
JP4107755B2 (ja) | 根菜作物収穫機 | |
JP3697786B2 (ja) | 苗移植機 | |
JP3362398B2 (ja) | 牽引式移植機 | |
JP3280854B2 (ja) | 移植機の機体高さ調整装置 | |
JP2883900B2 (ja) | 自走型茶園管理機の走行装置 | |
KR20210002641U (ko) | 농산물 운반장치 | |
JPH07143816A (ja) | 結球野菜収穫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