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388B1 - 상차대 - Google Patents

상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388B1
KR100844388B1 KR1020080022282A KR20080022282A KR100844388B1 KR 100844388 B1 KR100844388 B1 KR 100844388B1 KR 1020080022282 A KR1020080022282 A KR 1020080022282A KR 20080022282 A KR20080022282 A KR 20080022282A KR 100844388 B1 KR100844388 B1 KR 100844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il
height
seating plate
rea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영
Original Assignee
이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영 filed Critical 이강영
Priority to KR102008002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차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에 일정높이로 적재되는 적재물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안착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오일유니트가 발생시킨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안착판의 저면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오일유니트와 연결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오일유니트가 발생시킨 고압의 오일을 공급받아 일정하게 분배한 후 상기 높이조절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부로 일정하게 분배된 오일을 공급하는 유압분배기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가이드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 높이조절부 및 오일유니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차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전후이동부에 의해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 방향으로 전후이동되는 상기 안착판으로 인해 종래처럼 작업자 혼자서 번거롭게 차량을 상기 안착판 방향으로 직접 전후이 동시킨 후 다시 상기 안착판으로 올라서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키거나 2명의 작업자 중 어느 한사람이 차량을 상기 안착판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고, 나머지 한사람이 상기 안착판으로 전후이동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안착판, 높이조절부, 가이드부, 오일유니트, 유압분배기, 전후이동부, 제어부

Description

상차대{EQUIPMENT FOR LOADING}
본 발명은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에 일정높이로 적재되는 적재물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안착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오일유니트가 발생시킨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안착판의 저면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오일유니트와 연결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오일유니트가 발생시킨 고압의 오일을 공급받아 일정하게 분배한 후 상기 높이조절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부로 일정하게 분배된 오일을 공급하는 유압분배기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가이드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 높이조절부 및 오일유니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차대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전후이동부에 의 해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 방향으로 전후이동되는 상기 안착판으로 인해 종래처럼 작업자 혼자서 번거롭게 차량을 상기 안착판 방향으로 직접 전후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안착판으로 올라서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키거나 2명의 작업자 중 어느 한사람이 차량을 상기 안착판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고, 나머지 한사람이 상기 안착판으로 전후이동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상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차대는 작업자가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일정높이로 적재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써, 대게 지면에 일정높이로 고정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지면에 일정높이로 고정설치된 상기 상차대의 상부면에 적재물을 쌓아놓은 후 상기 상차대에 올라서서 차량의 적재함으로 적재물을 적재시키는 작업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상차대가 지면에 일정높이로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키는 작업자가 혼자인 경우 작업자는 먼저 번거롭게 차량을 상기 상차대 방향으로 직접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상차대로 올라서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키는 작업자가 2명일 경우 2명의 작업자 중 어느 한사람이 차량을 상기 상차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한사람이 상기 상차대 방향으로 이동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켜야 하기 때문 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고 전후이동부에 의해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 방향으로 전후이동되는 안착판으로 인해 종래처럼 작업자 혼자서 번거롭게 차량을 상기 안착판 방향으로 직접 전후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안착판으로 올라서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키거나 2명의 작업자 중 어느 한사람이 차량을 상기 안착판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고, 나머지 한사람이 상기 안착판으로 전후이동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상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에 일정높이로 적재되는 적재물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안착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오일유니트가 발생시킨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안착판의 저면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오일유니트와 연결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오일유니트가 발생시킨 고압의 오일을 공급받아 일정하게 분배한 후 상기 높이조절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부로 일정하게 분배된 오일을 공급하는 유압분배기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가이드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 높이조절부 및 오일유니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차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부는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된 상기 높이조절부와 가이드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오일유니트가 발생시킨 오일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베어링고정되고, 상기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몸체내에 축고정되어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바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부의 몸체의 일측면에는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의 일측면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리미트센서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후이동부의 유압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후이동부의 이동바퀴가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 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버튼과; 상기 전후이동부의 전후이동을 조절하는 전후이동버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된 높이조절부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높이에 맞게 상기 안착판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이동부가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기 때문에 종래처럼 작업자 혼자서 번거롭게 차량을 상기 안착판 방향으로 직접 전후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안착판으로 올라서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키거나 2명의 작업자 중 어느 한사람이 차량을 상기 안착판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고, 나머지 한사람이 상기 안착판으로 전후이동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의 저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유압분배기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부로 일정하게 분배된 오일이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된 상기 높이조절부가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기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 중에 상기 안착판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전후이동부가 몸체, 유압모터, 회전축 및 이동바퀴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후이동부가 상기 안착판을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전후이동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특히, 상기 전후이동부의 유압모터가 일반모터와 달리 그 특성상 지속적으로 사용되더라도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후이동부가 고장 없이 상기 안착판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전후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가 오일유니트에서 상기 유압모터로 공급되는 오일의 양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전후이동부의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리미트센서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후이동부의 유압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전후이동부의 이동바퀴가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에 상기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버튼과, 상기 전후이동부의 전후이동을 조절하는 전후이동버튼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착판의 높이 및 전후이동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높이조절부(30)가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유압분배기(70)에 의해 높이조절부(30)로 일정하게 분배된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차대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안착판(10), 높이조절부(30), 가이드부(50), 유압분배기, 전후이동부(9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안착판(10)은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에 일정높이로 적재되는 농산물 등의 적재물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써, 상기 안착판(1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높이조절부(30)가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착판(10)의 하부에는 상기 높이조절부(3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부(50)가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10)의 상부에는 안전대(11)가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안전대(11)의 상부에는 상기 제어부(100)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면에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에 일정높이로 적재되는 적재물이 안착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써, 상기 안착판(1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안착판(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오일유니트(13)가 발생시킨 오일의 압력에 의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오일유니트(13)는 예를 들어, 오일이 저장된 오일통(13a)과;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오일통(13a)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높이조절부(30)와 연결된 연결관(도 3의 73)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부(30)로 공급하는 펌프(13b);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 오일유니트(13)가 반드시 상기 오일통(13a)과 펌프(13b)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높이조절부(30)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안착판(10)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유니트(13)가 발생시킨 오일을 공급받아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30)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오일유니트(13)가 발생시킨 오일을 공급받아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30)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단, 상기 높이조절부(30)가 반드시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30)가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오일유니트(13)를 사용하여 상기 유압실린더로 오일을 공급하였으나, 반드시 상기 오일유니트(13)를 사용하여 상기 유압실린더로 오일을 공급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압실린더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높이조절부(3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것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3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판(1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5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안착판(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봉(51)과; 상기 가이드봉(51)이 내부로 인입출되고, 하부가 상기 전후이동부(90)의 후술할 몸체(91)에 고정되는 가이드관(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51)과 가이드관(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가이드부(50)로 인해 상기 높이조절부(30)가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 중 에 상기 안착판(10)이 좌우로 요동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높이조절부(3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유압분배기는 상기 오일유니트(13)가 발생시킨 고압의 오일을 일정하게 분배하여 상기 높이조절부(30)로 일정하게 분배된 오일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상기 안착판(10)의 저면에 복수개로 고정되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오일유니트(13)와 연결되는 공급관(71)을 통해 상기 오일유니트(13)가 발생시킨 고압의 오일을 공급받아 일정하게 분배한 후 상기 높이조절부(30)와 연결되는 연결관(73)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부(30)로 일정하게 분배된 오일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분배기(70)가 오일의 양을 일정하게 분배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안착판(10)의 하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개의 유압분배기(7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설명의 편의상 제 1유압분배기(70a), 제 2유압분배기(70b), 제 3유압분배기(70c)라 칭하기로 한다.
단, 상기 안착판(10)의 하부에 상기 유압분배기(70)가 반드시 3개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판(10)의 하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수에 따라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오일유니트(13)가 발생시킨 고압의 오일은 상기 오일유니트(13)와 상기 제 1유압분배기(70a) 사이에 연결설치된 공급관(71)을 통해 상기 제 1유압분배기(70a)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유압분배기(70a)는 상기 공급관(71)을 통해 상기 제 1유압분배기(70a)로 유입된 고압의 오일을 예를 들어 1/2로 분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유압분배기(70a)에 의해 1/2로 분배된 고압의 오일은 상기 제 1유압분배기(70a)와 상기 제 2유압분배기(70b) 사이 및 상기 제 1유압분배기(70a)와 상기 제 3유압분배기(70c) 사이에 연결설치된 상기 연결관(73)을 통해 각각 상기 제 2유압분배기(70b)와 상기 제 3유압분배기(70c)로 유입된다.
상기 제 2유압분배기(70b)와 제 3유압분배기(70c)는 1/2로 분배된 고압의 오일을 예를 들어 다시 1/2로 분배하게 되고, 상기 제 2유압분배기(70b)와 제 3유압분배기(70c)가 재차 분배한 고압의 오일은 상기 연결관(73)을 통해 상기 안착판(10)의 하부방향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된 상기 높이조절부(30) 즉, 상기 유압실린더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판(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유압분배기(70)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부(30), 즉 상기 유압실린더로 일정하게 분배된 오일이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판(1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된 상기 높이조절부(30)가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높이조절부(30)가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 중에 상기 안착판(10)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전후이동부(90)에 의해 안착판(10)이 전후이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차량(3)의 적재함(3a)에 적재물(3b)이 적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후이동부(90)는 상기 안착판(10)을 정지된 차량(3)의 적재함(3a)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착판(10)을 정지된 차량(3)의 적재함(3a)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후이동부(9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높이조절부(30)와 가이드부(50)의 하부에 구비되는 몸체(91)와; 상기 몸체(91)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오일유니트(13)가 발생시킨 오일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93)와; 상기 유압모터(93)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91)의 상부에 베어링고정되고, 상기 유압모터(9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95)과; 상기 몸체(91)내에 축고정되어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5)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축(9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바퀴(97);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압모터(93)의 구동축에 축고정된 스프로켓(93a)과 상기 회전축(95)의 중심부 외주연에 구비된 스프로켓(95a)에는 상기 유압모터(93)의 구동축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95)으로 전달하는 체인(99)이 감겨진다.
또한, 상기 회전축(95)의 단부에 축고정된 스프로켓(95b)과 상기 이동바퀴(97)의 축에 축고정되어 상기 몸체(91)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프로켓(97a)에는 상기 회전축(95)의 회전력을 상기 이동바퀴(97)로 전달하는 체인(99)이 감겨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90)가 상기 몸체(91), 유압모터(93), 회전축(95) 및 이동바퀴(97)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후이동부(90)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판(10)을 정지된 차량(3)의 적재함(3a)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전후이동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특히, 상기 전후이동부(90)의 유압모터(93)는 일반모터와 달리 그 특성상 지속적으로 사용되더라도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후이동부(90)가 고장 없이 상기 안착판(10)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전후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오일유니트(13)에서 상기 유압모터(93)로 공급되는 오일의 양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유압모터(93)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에는 예를 들어, 상기 높이조절부(30)와 상기 유압모터(93)로 공급될 오일의 양을 미리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부(미도시)에 입력된 입력값에 따라 상기 오일유니트(13)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높이조절부(30)와 상기 유압모터(93)로 각각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오일유니트(13)는 상기 유압모터(93)와 연결된 별도의 공급관을 통해 상기 유압모터(93)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90)의 몸체(91)의 일측면에는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5)의 일측면에 고정된 고정부재(5a)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91a)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리미트센서(91a)는 예를 들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91)의 일측면에 축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미트센서(91a)는 상기 전후이동부(90)가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고정부재(5a)와 접촉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미트센서(91a)는 상기 고정부재(5a)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리미트센서(91a)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후이동부(90)의 유압모터(93)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리미트센서(91a)가 좌측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재(5a)를 감지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리미트센서(91a)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후이동부(90)의 유압모터(93)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리미트센서(91a)가 우측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재(5a)를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후이동부(90)의 유압모터(93)를 다시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90)의 몸체(91)의 일측면에 구비된 상기 리미트센서(91a)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전후이동부(90)의 유 압모터(93)의 구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전후이동부(90)의 이동바퀴(97)가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5)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전후이동부(9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4 및 도 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판(10)을 정지된 차량(3)의 적재함(3a)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후이동부(90), 높이조절부(30) 및 오일유니트(13)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판(10)의 상부에 수직으로 구비된 안전대(11)의 상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에는 on/off스위치부(103)와;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버튼(105)과; 상기 전후이동부(90)의 전후이동을 조절하는 전후이동버튼(107);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높이조절버튼(105)은 크게 상기 안착판(10)을 상승시키는 상승버튼(105a)과, 상기 안착판(10)을 하강시키는 하강버튼(105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on/off스위치부(103)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높이조절버튼(105)의 상승버튼(105a)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상승버튼(105a)을 누름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오일유니트(13)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높이조절버튼(105)의 하강버튼(105b)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하강버튼(105b)을 누름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오일유니트(13)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후이동버튼(107)은 예를 들어 크게, 상기 안착판(10)을 전진시키는 전진버튼(107a)과, 상기 안착판(10)을 후진시키는 후진버튼(107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작업자가 상기 on/off스위치부(103)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전후이동버튼(107)의 전진버튼(107a)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전진버튼(107a)을 누름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후이동부(90)의 유압모터(93)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안착판(10)이 정지된 차량(3)의 적재함(3a)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전후이동버튼(107)의 후진버튼(107b)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후진버튼(107b)을 누름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후이동부(90)의 유압모터(93)의 구동을 제어하여 정지된 차량(3)의 적재함(3a) 방향으로 전진된 상기 안착판(10)이 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에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버튼(105)과, 상기 전후이동부(90)의 전후이동을 조절하는 전후이동버튼(107)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착판(10)의 높이 및 전후이동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4 내지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후이동부(90)와 높이조절부(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안착판(1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된 상기 높이조절부(30)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차량(3)의 적재함(3a)에 적재되는 적재물(3b)의 높이에 맞게 상기 안착판(10)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90)가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착판(10)을 정지된 차량(3)의 적재함(3a)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기 때문에 종래처럼 작업자 혼자서 번거롭게 차량(3)을 상기 안착판(10) 방향으로 직접 전후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안착판(10)으로 올라서서 차량(3)의 적재함(3a)에 적재물(3b)을 적재시키거나 2명의 작업자 중 어느 한사람이 차량(3)을 상기 안착판(10)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고, 나머지 한사람이 상기 안착판(10)으로 전후이동된 차량(3)의 적재함(3a)에 적재물(3b)을 적재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높이조절부가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유압분배기에 의해 높이조절부로 일정하게 분배된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전후이동부에 의해 안착판이 전후이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차량, 3a; 적재함,
3b; 적재물, 5; 레일,
5a; 고정부재, 10; 안착판,
11; 안전대, 13; 오일유니트,
30; 높이조절부, 50; 가이드부,
51; 가이드봉, 53; 가이드관,
70; 유압분배기, 70a; 제 1유압분배기,
70b; 제 2유압분배기, 70c; 제 3유압분배기,
71; 공급관, 73; 연결관,
90; 전후이동부, 91; 몸체,
91a; 리미트센서, 93; 유압모터,
93a, 95a, 95b, 97a; 스프로켓, 95; 회전축,
97; 이동바퀴, 99; 체인,
100; 제어부, 103; on/off스위치부,
105; 높이조절버튼, 105a; 상승버튼,
105b; 하강버튼, 107; 전후이동버튼,
107a; 전진버튼, 107b; 후진버튼.

Claims (4)

  1.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에 일정높이로 적재되는 적재물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안착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오일유니트가 발생시킨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안착판의 저면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오일유니트와 연결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오일유니트가 발생시킨 고압의 오일을 공급받아 일정하게 분배한 후 상기 높이조절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부로 일정하게 분배된 오일을 공급하는 유압분배기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가이드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정지된 차량의 적재함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 높이조절부 및 오일유니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는 상기 안착판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구비된 상기 높이조절부와 가이드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오일유니트가 발생시킨 오일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베어링고정되고, 상기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몸체내에 축고정되어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의 몸체의 일측면에는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의 일측면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리미트센서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후이동부의 유압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후이동부의 이동바퀴가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버튼과; 상기 전후이동부의 전후이동을 조절하는 전후이동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차대.
KR1020080022282A 2008-03-11 2008-03-11 상차대 KR10084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282A KR100844388B1 (ko) 2008-03-11 2008-03-11 상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282A KR100844388B1 (ko) 2008-03-11 2008-03-11 상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388B1 true KR100844388B1 (ko) 2008-07-07

Family

ID=3982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282A KR100844388B1 (ko) 2008-03-11 2008-03-11 상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3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445A (ja) * 1983-07-28 1985-02-18 Daifuku Co Ltd パレット利用の荷搬送設備
KR910000497Y1 (ko) * 1988-04-21 1991-01-25 주식회사 태 성 블럭 상하차 장치
JPH08116783A (ja) * 1994-10-26 1996-05-14 Ishii Seisakusho:Kk 重量物の昇降装置
JPH10218378A (ja) * 1997-02-07 1998-08-18 Hitachi Zosen Corp 荷役装置
KR200224977Y1 (ko) * 2000-12-26 2001-05-15 주식회사흥성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445A (ja) * 1983-07-28 1985-02-18 Daifuku Co Ltd パレット利用の荷搬送設備
KR910000497Y1 (ko) * 1988-04-21 1991-01-25 주식회사 태 성 블럭 상하차 장치
JPH08116783A (ja) * 1994-10-26 1996-05-14 Ishii Seisakusho:Kk 重量物の昇降装置
JPH10218378A (ja) * 1997-02-07 1998-08-18 Hitachi Zosen Corp 荷役装置
KR200224977Y1 (ko) * 2000-12-26 2001-05-15 주식회사흥성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5939B (zh) 建筑机械和用于这种建筑机械的地面不平度的补偿方法
US10717359B2 (en) Current collector system, crane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urrent collector trolley to a busbar
US20130140092A1 (en) Cab module for a mining machine
EP1785349B1 (en) A guided airplane relocating device
KR102135197B1 (ko) 핸드 리프트 장치
JP4474444B2 (ja) 送出し台車
TWI484901B (zh)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KR100844388B1 (ko) 상차대
CN1114114A (zh) 用于轨道更新的轨道建筑机械
CN102490700A (zh) 工程机械及其支腿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04837679B (zh) 运输机
CN102807073A (zh) 搬送设备
CN206513374U (zh) 盾构机后配套旋转横移装置
AU2008203343B2 (en) Steerable conveyor with height adjustable wheels
KR20170013880A (ko) 프레임 워크에 기반하는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포털 스크레이퍼
CN107250008A (zh) 用于皮带的驱动布置、移动式拖运布置和方法
CN209618775U (zh) 双立柱提升机
JP6282211B2 (ja) パネル施工機及びパネル施工方法
JP4474445B2 (ja) 送出し工法
JP6595864B2 (ja) エンドレスチェーン駆動機構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CN108147312A (zh) 专用移载小车自动升降装置
ITBZ20070051A1 (it) Macchina semovente per operazioni di raccolta in colture arboree
JP5502317B2 (ja) 軌道走行車両の走行制御装置
CN101611734A (zh) 槽提升装置及其相关方法
JP2022062881A (ja) 多目的農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