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036B1 -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 Google Patents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036B1
KR102439036B1 KR1020210185384A KR20210185384A KR102439036B1 KR 102439036 B1 KR102439036 B1 KR 102439036B1 KR 1020210185384 A KR1020210185384 A KR 1020210185384A KR 20210185384 A KR20210185384 A KR 20210185384A KR 102439036 B1 KR102439036 B1 KR 102439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
radish
row
movab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리중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01D25/04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01D25/042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4Endless-track units or carriages mounted separably, adjustably or extensibly on vehicles, e.g. portable track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가 두 줄로 식재된 밭두둑의 무를 수확할 수 있도록 밭두둑의 폭과 무의 식재 위치에 대응하여 우측륜 또는 좌측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밭두둑의 폭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두 줄로 식재된 무의 수확이 이루어지도록 한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밭두둑을 굴착함과 아울러 밭두둑의 비닐을 절단하는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와, 밭두둑에서 무를 뽑아내 후방의 적재함으로 이송하는 인발 및 반송장치 및 농업용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무 수확기에 구비되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주행장치프레임과; 주행장치의 우측륜과 좌측륜에 각각 연결되며 주행장치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가동프레임과; 주행장치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측륜 또는 좌측륜을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윤거조절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Two-row radish harvester equipped with track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밭두둑을 굴착함과 아울러 밭두둑의 비닐을 절단하는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와, 밭두둑에서 무를 뽑아내 후방의 적재함으로 이송하는 인발 및 반송장치와, 농업용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두 줄 무 수확기에 있어, 무가 두 줄로 식재된 밭두둑의 무를 수확할 수 있도록 밭두둑의 폭과 무의 식재 위치에 대응하여 우측륜 또는 좌측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밭두둑의 폭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두 줄로 식재된 무의 수확이 이루어지도록 한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 수확기와 같은 땅속 작물 수확기는 수확 대상이 땅속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토양 및 비닐 피복 상태, 뿌리의 형상 및 분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보습 등을 이용하여 토양을 먼저 절삭한 후 인발장치를 이용하여 인발한 후 반송장치를 통해 후방의 적재함으로 이송하는 형태의 무 수확기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기존의 무 수확기는 대부분 인발 및 반송장치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무가 정해진 위치에 식재된 경우에만 수확이 가능하고, 해당 위치에서 벗어난 무는 수확되지 못하고 손상됨으로써 수확량이 감소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즉, 무가 밭두둑의 중앙에 식재된 경우에만 수확이 가능하고, 넓은 폭의 밭두둑에 무를 두 줄로 재배하는 경우에는 무가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식재되어 수확이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929387호에는, 농업용 작업 차량에 의해 견인되면서 땅속 작물 하부의 토양을 절삭하는 1차 구굴날; 1차 구굴날의 뒤를 이어 회전되어 오면서 땅속 작물 주변의 토양을 절삭하는 2차 구굴날; 및 2차 구굴날 위에 경사지게 구비된 상태로 연속 회전되면서 땅속 작물을 잡아 상향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1차 구굴날은 일단부가 농업용 작업 차량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는 링크부와, 링크부의 타단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땅속 내로 침투되어 작물 하부의 토양을 절삭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며, 블레이드는 저부의 하사점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전방 경사면과,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후방 경사면을 포함하고, 1차 구굴날은 링크부의 힌지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블레이드의 위치를 보상하되, 탄성부재는 그 일단부가 농업용 작업 차량에 걸림되어 지지되고, 타단부는 링크부에 걸림되어 지지되게 구비되는 땅속 작물 수확기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또한, 등록특허 제10-2027948호에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무와 같이 중량이 크고 줄기가 늘어져 있는 근채작물의 수확이 용이하고 인발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인발몸체가 농업용 작업차량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수확하며, 상기 인발몸체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붐대 및 제2붐대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제1붐대와 제2붐대의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와;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결합되고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사이에서 맞물리는 형태로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뽑아올리는 한 쌍의 인발벨트;를 포함하며,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선단부에는 근채작물의 줄기를 모아서 인발벨트 사이로 안내하는 한 쌍의 인발가이드가 각각 설치되고, 제1붐대와 제2붐대의 후단에는 일측에 구비된 유압 구동부에 의한 회전력을 구동풀리에 전달하는 구동 연결부가 각각 연결되며,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외측에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인발벨트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내측에 복수 개의 텐션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중인 인발벨트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안내하고, 텐션롤러는 텐션 지지대에 의해 회동하여 인발벨트에 나란한 방향으로 텐션을 부여하며, 텐션 지지대는 일측 단부에 텐션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에 각각 설치된 지지 브래킷에 중간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링크와, 일측 단부가 회동 링크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다른 회동 링크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이 연결된 텐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또, 공개특허 제10-2020-0091645호에는, 농업용 작업을 위한 부품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주행을 위하여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크롤러를 구비하는 농기계용 윤거 조절장치로써;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농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과; 각각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딩 프레임; 주행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주행을 위한 크롤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크롤러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전후프레임; 그리고 일측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실린더본체와, 타측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작동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슬라이딩 프레임 사이의 좌우 간격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윤거 조절용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농기계용 윤거 조절장치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20-0195470호에는 몸체에 탑재된 소형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시켜 주행하는 궤도차로서, 중앙 상부에 한쌍의 좌석이 설치되고 좌석전방에 주행손잡이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하부 전,후에 회전 가능케 형성된 메인축과, 상기 메인축에 설치되고 윤거조절수단에 의해 윤거조절되는 차륜과, 상기 메인축 회전지지부 내측에 설치된 디스크판 양측을 마찰시켜 주행을 차단시키는 포크식브레이크를 구비하며, 윤거의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비주행시 폭이 협소한 지하철 내부 상ㆍ하선 선로중앙에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윤거조절식 소형 궤도차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929387호 등록특허공보 10-202794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164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4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무가 두 줄로 식재된 밭두둑의 무를 수확할 수 있도록 밭두둑의 폭과 무의 식재 위치에 대응하여 우측륜 또는 좌측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밭두둑의 폭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두 줄로 식재된 무의 수확이 이루어지도록 한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밭두둑을 굴착함과 아울러 밭두둑의 비닐을 절단하는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와, 밭두둑에서 무를 뽑아내 후방의 적재함으로 이송하는 인발 및 반송장치와, 농업용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며, 밭두둑에 두 줄로 식재된 무를 수확하는 두 줄 무 수확기로서,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는 밭두둑을 굴착하는 보습과,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선단부에 보습(310)이 결합되는 러그와, 비닐을 절단할 수 있도록 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단칼날을 회전시키는 절단모터와, 러그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러그를 지지하며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래킷 및 러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실린더를 포함하는 한편, 주행장치를 구성하는 우측륜과 좌측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하되, 윤거조절장치는,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주행장치프레임; 주행장치의 우측륜과 좌측륜에 각각 연결되며 주행장치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가동프레임; 및 주행장치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측륜 또는 좌측륜을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윤거조절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우측륜 및 좌측륜은 가동프레임에 연결되는 륜프레임과, 전후 이동을 위하여 륜프레임의 둘레를 회전하는 캐터필러와, 륜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캐터필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보기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프레임은 회전 방지를 위하여 3~8개의 모서리를 구비한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윤거조절실린더는 후단부가 주행장치프레임에 구비된 장착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의 끝단이 가동프레임에 구비된 연결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프레임은 우측륜에 연결된 우측가동프레임과 좌측륜에 연결된 좌측가동프레임으로 구분되고, 우측가동프레임과 좌측가동프레임은 주행장치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윤거조절실린더는 우측가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우측윤거조절실린더와 좌측가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좌측윤거조절실린더로 구분되고, 우측윤거조절실린더와 좌측윤거조절실린더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며, 전후방의 윤거조절실린더가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에 따르면, 두 줄 무 수확기를 이용하여 밭두둑에 식재된 무를 수확하는 과정에서 밭두둑의 크기에 대응하여 윤거조절실린더로 우측륜과 좌측륜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밭두둑의 크기에 관계없이 두 줄 무 수확기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하나의 밭두둑에 무가 두 줄로 식재된 경우 우측륜 또는 좌측륜을 좌우로 이동시켜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와 인발 및 반송장치가 구비된 메인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밭두둑에 두 줄로 식재된 무를 원활하게 수확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측륜과 좌측륜이 캐터필러를 구비한 무한궤도의 형태로 구성되어 노면의 요철이 심하거나 진흙으로 이루어진 농경지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프레임이 3~8개의 모서리를 구비한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가짐에 따라 윤거조절실린더를 이용하여 가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회전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윤거조절실린더가 주행장치프레임에 설치된 장착브래킷과 가동프레임에 설치된 연결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우측륜과 좌측륜의 높이 차이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측가동프레임과 좌측가동프레임이 주행장치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고 이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우측윤거조절실린더와 좌측윤거조절실린더 역시 주행장치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우측윤거조절실린더와 좌측윤거조절실린더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우측륜 또는 좌측륜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후방의 윤거조절실린더가 서로 연동되어 우측륜 또는 좌측륜을 일체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가 구비된 무 수확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가 적용된 주행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에서 주행장치프레임을 제외한 부분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윤거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윤거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윤거조절장치가 구비된 두 줄 무 수확기에서 구굴 및 비닐제거장치와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가 구비된 메인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윤거조절장치가 구비된 두 줄 무 수확기에서 구굴 및 비닐제거장치와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윤거조절장치가 구비된 두 줄 무 수확기의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와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는, 밭두둑에 식재된 무의 위치에 따라 무 수확기의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와 인발 및 반송장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주행장치를 구성하는 우측륜과 좌측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무 수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업용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메인프레임(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주행장치(200)와, 밭두둑을 굴착함과 아울러 밭두둑의 비닐을 절단하는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300)와, 무를 뽑아낸 후 후방의 적재함(660)으로 이송하는 인발 및 반송장치(400)와, 적재함(660)을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리프트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된 두 줄 무 수확기는 밭두둑에 두 줄로 식재된 무를 수확하는 것으로, 윤거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주행장치를 구성하는 우측륜과 좌측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장치(200)를 구성하는 주행장치프레임(210)과, 우측륜(220) 및 좌측륜(220'), 윤거조절실린더(230), 가동프레임(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행장치프레임(210)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가동프레임(2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농업용 차량에 의해 메인프레임(100)이 견인될 때, 주행장치(200)의 주행장치프레임(210)은 메인프레임(100)과 일체로 연결되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우측륜(220)과 좌측륜(220')은 이동을 위하여 주행장치프레임(210)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프레임(240)에 연결되는 륜프레임(221)과, 전후 이동을 위하여 륜프레임(221)의 둘레를 회전하는 캐터필러(222)와, 륜프레임(2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캐터필러(222)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보기륜(2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농업용 차량에 의해 주행장치프레임(210)이 이동될 때 우측륜(220)과 좌측륜(220')의 캐터필러(222)가 륜프레임(221)의 둘레를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노면의 요철이 심하거나 진흙으로 이루어진 농경지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윤거조절실린더(230)는 주행장치프레임(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측륜(220) 또는 좌측륜(220')을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가 주행장치프레임(210)에 구비된 장착브래킷(23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의 끝단이 가동프레임(240)에 구비된 연결브래킷(23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윤거조절실린더(230)는 우측륜(220)을 이동시키는 우측윤거조절실린더(231)와 좌측륜(220')을 이동시키는 좌측윤거조절실린더(23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우측윤거조절실린더(231)와 좌측윤거조절실린더(232)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우측륜(220)과 좌측륜(220')의 높이 차이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우측륜(220)과 좌측륜(22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 모두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동프레임(240)은 주행장치프레임(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주행장치프레임(210)의 우측륜(220)과 좌측륜(220')에 각각 연결되는것으로, 우측륜(220)에 연결된 우측가동프레임(241)과 좌측륜(220')에 연결된 좌측가동프레임(242)으로 구분된다.
이때, 우측가동프레임(241)과 좌측가동프레임(24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주행장치프레임(2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우측가동프레임(241)과 좌측가동프레임(242)이 주행장치프레임(2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이들을 이동시키는 우측윤거조절실린더(231)와 좌측윤거조절실린더(232) 역시 주행장치프레임(2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야 하고, 전후방의 윤거조절실린더가(230)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작동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우측가동프레임(241)과 좌측가동프레임(242)을 이동시키는 윤거조절실린더(23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프레임(240)은 회전 방지를 위하여 3~8개의 모서리를 구비한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두 줄 무 수확기의 윤거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주행장치의 윤거를 조절하고 무를 수확하는 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밭두둑의 크기(폭)에 대응하여 주행장치(200)를 구성하는 우측륜(220)과 좌측륜(220') 사이의 간격, 즉 윤거를 조절한다.
즉,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거조절실린더(230)를 이용하여 우측륜(220)과 좌측륜(220') 중 어느 하나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양측 모두를 이동시킴으로써 윤거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메인프레임(100)에 구비된 구굴 및 비닐제거장치(300)와 인발 및 반송장치가 식재된 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윤거를 조절해야 함은 당연하다.
다만,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가 구비된 두 줄 무 수확기에서는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를 이용하여 구굴 및 비닐제거장치(300)가 밭두둑에 식재된 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굴 및 비닐제거장치(300)와 인발 및 반송장치(400)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밭두둑에 식재된 무의 위치에 따라 주행장치(200)의 윤거조절실린더를 이용하여 우측륜(220)과 좌측륜(2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구굴 및 비닐제거장치(300)와 인발 및 반송장치(4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거나 메인프레임(100)에 구비된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를 통해 구굴 및 비닐제거장치(300)와 인발 및 반송장치(4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무의 식재 위치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메인프레임(100)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인발 및 반송장치(400)가 굴착된 밭두둑의 무를 인발하여 후방 상측의 적재함(660)으로 이송하여 적재하게 된다.
이때, 인발 및 반송장치(400)와 적재함(660) 사이의 높이차가 클수록 적재함(660)에 적재되는 무가 손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장치(600)를 이용하여 적재 초기에는 인발 및 반송장치(400)읜 반송부 끝단과 적재함(660) 사이의 높이차를 작게 하고, 무의 적재가 진행된 후에는 적재함(660)에 적재된 무의 양에 대응하도록 적재함(660)을 점차 하강시킨다.
즉, 적재함(660)에 적재된 무의 최상단과 인발 및 반송장치(400)의 끝단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적재 과정에서 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적재함(660)에 무가 충분히 적재되면, 리프트장치(600)의 수평이동실린더를 이용하여 적재함(660)이 안착된 선반(610)을 수평 이동시킨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 적재함(660)을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쉽게 실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두 줄 무 수확기에서 윤거조절실린더를 이용하여 주행장치의 우측륜과 좌측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메인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구굴 및 절단장치와 인발 및 반송장치를 무가 식재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두 줄 무 수확기의 메인프레임에 구굴 및 절단장치와 인발 및 반송장치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더 설치하여, 윤거를 조절하여 메인프레임의 위치를 조절함과 아울러 구굴 및 절단장치와 인발 및 반송장치의 위치를 추가로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위치 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줄 무 수확기의 메인프레임(100)에 구굴 및 비닐제거장치(300)와 인발 및 반송장치(400)를 메인프레임(100)의 폭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무를 굴취할 수 있도록 밭두둑을 굴착함과 아울러 밭두둑의 비닐을 절단하기 위한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300)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밭두둑을 굴착하는 보습(310)과,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에 요홈(325)이 형성되고 선단부에 보습(310)이 결합되는 러그(320)와, 비닐을 절단할 수 있도록 러그(3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단칼날을 회전시키는 절단모터(340)와, 러그(32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러그(320)를 지지하며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래킷(360) 및 러그(3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실린더(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00)의 전방에서 보습(310)을 이용하여 밭두둑을 굴착할 수 있음은 물론 절단칼날(330)을 이용하여 밭두둑의 멀칭비닐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며, 각도조절실린더(370)를 이용하여 러그(32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습(310)의 굴착 깊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의 식재 위치에 대응하여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300)와 인발 및 반송장치(4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300)와 인발 및 반송장치(400)가 거치되며 메인프레임(100)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발부 거치프레임(510)과,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인발부 거치프레임(510)을 좌우 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520)와, 인발부 거치프레임(5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인발부 거치프레임(51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샤프트(530)와,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가이드샤프트(530)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브래킷(540)과, 인발부 거치프레임(510)에 연결브래킷(555)을 통해 연결되어 인발 및 반송장치(400)를 지지하는 인발부 지지프레임(55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밭두둑에 식재된 무의 위치에 따라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를 이용하여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300)와 인발 및 반송장치(4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무를 원활하게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메인프레임 200 : 주행장치
210 : 주행장치프레임 220 : 우측륜
220' : 좌측륜 221 : 륜프레임
222 : 캐터필러 230 : 윤거조절실린더
231 : 우측윤거조절실린더 232 : 좌측윤거조절실린더
233 : 고정브래킷 234 : 연결브래킷
240 : 가동프레임 241 : 우측가동프레임
242 : 좌측가동프레임 300 :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
310 : 보습 320 : 러그
340 : 절단모터 360 : 고정브래킷
370 : 각도조절실린더 400 : 인발 및 반송장치
500 :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 510 : 인발부 거치프레임
520 : 이송실린더 530 : 가이드샤프트
540 : 샤프트 지지브래킷 550 : 인발부 지지대
555 : 연결브래킷 600 : 리프트장치
660 : 적재함

Claims (6)

  1. 밭두둑을 굴착함과 아울러 밭두둑의 비닐을 절단하는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와, 밭두둑에서 무를 뽑아내 후방의 적재함으로 이송하는 인발 및 반송장치와, 농업용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며, 밭두둑에 두 줄로 식재된 무를 수확하는 두 줄 무 수확기로서,
    구굴 및 비닐절단장치는 밭두둑을 굴착하는 보습과,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선단부에 보습이 결합되는 러그와, 비닐을 절단할 수 있도록 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단칼날을 회전시키는 절단모터와, 러그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러그를 지지하며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래킷 및 러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실린더를 포함하는 한편,
    주행장치를 구성하는 우측륜과 좌측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하되,
    윤거조절장치는,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주행장치프레임;
    주행장치의 우측륜과 좌측륜에 각각 연결되며 주행장치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가동프레임; 및
    주행장치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측륜 또는 좌측륜을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윤거조절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우측륜 및 좌측륜은 가동프레임에 연결되는 륜프레임과, 전후 이동을 위하여 륜프레임의 둘레를 회전하는 캐터필러와, 륜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캐터필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보기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윤거조절실린더는 후단부가 주행장치프레임에 구비된 장착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의 끝단이 가동프레임에 구비된 연결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동프레임은 우측륜에 연결된 우측가동프레임과 좌측륜에 연결된 좌측가동프레임으로 구분되고,
    우측가동프레임과 좌측가동프레임은 주행장치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윤거조절실린더는 우측가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우측윤거조절실린더와 좌측가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좌측윤거조절실린더로 구분되고,
    우측윤거조절실린더와 좌측윤거조절실린더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며,
    전후방의 윤거조절실린더가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6. 삭제
KR1020210185384A 2021-12-22 2021-12-22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KR102439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384A KR102439036B1 (ko) 2021-12-22 2021-12-22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384A KR102439036B1 (ko) 2021-12-22 2021-12-22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036B1 true KR102439036B1 (ko) 2022-09-01

Family

ID=8328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384A KR102439036B1 (ko) 2021-12-22 2021-12-22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841B1 (ko) * 2023-01-30 2023-08-17 주식회사 불스 고랑 제초로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713A (ja) * 1995-08-11 1997-02-25 Kobashi Kogyo Co Ltd 自走式白菜収穫機
KR200195470Y1 (ko) 2000-03-29 2000-09-01 이두식 윤거조절식 소형 궤도차
KR101387703B1 (ko) * 2012-11-09 2014-04-21 박정희 무한궤도형 이동대차
KR20160014952A (ko) * 2014-07-30 2016-02-12 김재동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KR101929387B1 (ko) 2016-12-31 2018-12-14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땅속 작물 수확기
KR102027948B1 (ko) 2017-12-29 2019-10-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KR20200091645A (ko) 2019-01-23 2020-07-31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농기계의 윤거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713A (ja) * 1995-08-11 1997-02-25 Kobashi Kogyo Co Ltd 自走式白菜収穫機
KR200195470Y1 (ko) 2000-03-29 2000-09-01 이두식 윤거조절식 소형 궤도차
KR101387703B1 (ko) * 2012-11-09 2014-04-21 박정희 무한궤도형 이동대차
KR20160014952A (ko) * 2014-07-30 2016-02-12 김재동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KR101929387B1 (ko) 2016-12-31 2018-12-14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땅속 작물 수확기
KR102027948B1 (ko) 2017-12-29 2019-10-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KR20200091645A (ko) 2019-01-23 2020-07-31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농기계의 윤거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841B1 (ko) * 2023-01-30 2023-08-17 주식회사 불스 고랑 제초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5185B (zh) 小型履带式油菜割晒机
CN106258206B (zh) 一种茎叶类蔬菜及茶叶通用收获机
CN106211904B (zh) 一种山药收获机
KR101833133B1 (ko)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KR102439036B1 (ko)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CN204104356U (zh) 小型履带式油菜割晒机
CN206118407U (zh) 一种山药收获机
CN204796159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双支撑结构
CN204796160U (zh) 前推双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
CN204796163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输送机的收获储存装置
KR102418741B1 (ko) 무 수확기
KR102489321B1 (ko)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
CN204652965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
CN204652968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支撑收获装置
KR101161541B1 (ko) 잔디 이식 장치
CN204796164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双支撑式收获装置
KR102439042B1 (ko) 무 수확기용 피복 제거장치
CN204796156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挖掘支撑机构
CN204796166U (zh) 前推双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输送机
KR102489318B1 (ko)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
CN204652996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
CN204796158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收获输送履带机
KR20200064205A (ko) 자주식 대파 수확기
CN204652994U (zh) 前推滑动支撑双震动式地下块茎作物收获履带机
CN204652967U (zh) 前推滑动支撑双震动式地下作物收获履带机的收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