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318B1 -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318B1
KR102489318B1 KR1020220081678A KR20220081678A KR102489318B1 KR 102489318 B1 KR102489318 B1 KR 102489318B1 KR 1020220081678 A KR1020220081678 A KR 1020220081678A KR 20220081678 A KR20220081678 A KR 20220081678A KR 102489318 B1 KR102489318 B1 KR 102489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lift
radish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리중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0Crop collecting devices, with or without weig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01D25/04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01D25/042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 A01D25/048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with endles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에 적재되는 무의 적재량에 따라 적재함을 승강시켜 적재함으로 이송된 무가 적재 과정에서 낙하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농업용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주행장치가 구비되고 후방에 적재함에 배치되는 무 수확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적재함이 안착되는 선반; 복수의 고정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도록 리프트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선반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레일; 선반을 지지함과 아울러 수직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수직이동부; 및 승강체인을 이용하여 수직이동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FOR RADISH HARVESTER}
본 발명은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적재되는 무의 적재량에 따라 적재함을 승강시켜 적재함으로 이송된 무가 적재 과정에서 낙하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무가 적재된 적재함을 운송수단에 쉽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한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 수확기와 같은 땅속 작물 수확기는 수확 대상이 땅속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토양 및 비닐 피복 상태, 뿌리의 형상 및 분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보습 등을 이용하여 토양을 먼저 절삭한 후 인발장치를 이용하여 인발한 후 반송장치를 통해 후방의 적재함으로 이송하는 형태의 무 수확기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기존의 무 수확기는 대부분 인발 및 반송장치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무가 정해진 위치에 식재된 경우에만 수확이 가능하고, 해당 위치에서 벗어난 무는 수확되지 못하고 손상됨으로써 수확량이 감소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즉, 무가 밭두둑의 중앙에 식재된 경우에만 수확이 가능하고, 넓은 폭의 밭두둑에 무를 이열로 재배하는 경우에는 무가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식재되어 수확이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더욱이, 수확된 무가 반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후 적재함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반송장치로부터 적재함으로 낙하하는 무가 충격에 의해 손상됨으로써 상품서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929387호에는, 농업용 작업 차량에 의해 견인되면서 땅속 작물 하부의 토양을 절삭하는 1차 구굴날; 1차 구굴날의 뒤를 이어 회전되어 오면서 땅속 작물 주변의 토양을 절삭하는 2차 구굴날; 및 2차 구굴날 위에 경사지게 구비된 상태로 연속 회전되면서 땅속 작물을 잡아 상향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1차 구굴날은 일단부가 농업용 작업 차량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는 링크부와, 링크부의 타단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땅속 내로 침투되어 작물 하부의 토양을 절삭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며, 블레이드는 저부의 하사점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전방 경사면과,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후방 경사면을 포함하고, 1차 구굴날은 링크부의 힌지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블레이드의 위치를 보상하되, 탄성부재는 그 일단부가 농업용 작업 차량에 걸림되어 지지되고, 타단부는 링크부에 걸림되어 지지되게 구비되는 땅속 작물 수확기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또한, 등록특허 제10-2027948호에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무와 같이 중량이 크고 줄기가 늘어져 있는 근채작물의 수확이 용이하고 인발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인발몸체가 농업용 작업차량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수확하며, 상기 인발몸체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붐대 및 제2붐대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제1붐대와 제2붐대의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와;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결합되고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사이에서 맞물리는 형태로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뽑아올리는 한 쌍의 인발벨트;를 포함하며,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선단부에는 근채작물의 줄기를 모아서 인발벨트 사이로 안내하는 한 쌍의 인발가이드가 각각 설치되고, 제1붐대와 제2붐대의 후단에는 일측에 구비된 유압 구동부에 의한 회전력을 구동풀리에 전달하는 구동 연결부가 각각 연결되며,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외측에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인발벨트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내측에 복수 개의 텐션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중인 인발벨트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안내하고, 텐션롤러는 텐션 지지대에 의해 회동하여 인발벨트에 나란한 방향으로 텐션을 부여하며, 텐션 지지대는 일측 단부에 텐션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에 각각 설치된 지지 브래킷에 중간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링크와, 일측 단부가 회동 링크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다른 회동 링크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이 연결된 텐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929387호 등록특허공보 10-202794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적재함에 적재되는 무의 적재량에 따라 적재함을 승강시켜 적재함으로 이송된 무가 적재 과정에서 낙하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밭두둑에 식재된 무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굴장치와 인발장치의 위치를 변경하여 무의 식재 위치에 관계없이 무의 수확이 가능하고, 무가 적재된 적재함을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적재함을 쉽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한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 수확기의 리프팅장치는, 농업용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주행장치가 구비되고 후방에 적재함에 배치되는 무 수확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적재함이 안착되는 선반; 복수의 고정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도록 리프트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선반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레일; 선반을 지지함과 아울러 수직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수직이동부; 및 승강체인을 이용하여 수직이동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직이동부는 수직가이드레일 내에서 회전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 가이드롤러와, 수직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가동프레임과, 선반을 지지하도록 가동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선반지지대와, 수직이동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동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는 롤러고정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구동부는 고정브래킷에 설치되어 수직이동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모터와, 일단은 가동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승강모터가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된 승강체인과, 승강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승강체인이 결합되는 체인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함에 무가 충분히 적재될 경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적재함을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이동안내부는 메인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리프트프레임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이동가이드레일과, 리프트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수평이동가이드레일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수평이동 가이드롤러와, 리프트프레임에 설치되며 외측에 수평이동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고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는 무를 수확하여 적재함에 적재함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적재량에 따라 적재함을 승강시켜 무의 낙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적재함으로 이송된 무가 적재 과정에서 낙하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상품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에 수직이동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가동프레임이 수직구동부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가동프레임에 설치된 선반지지대에 안착되는 적재함이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승강되는 원활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모터를 이용하여 체인스프로킷을 회전시켜 승강체인을 이동시킴으로써 적재함이 안착된 수직이동부가 원활하게 승강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이동안내부를 이용하여 무가 적재된 적재함을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킴에 따라 적재함을 운송수단에 쉽게 탑재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프레임에 설치된 롤러고정프레임에 수평이동 가이드롤러가 구비되어 수평이동가이드레일의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리프트프레임과 함께 적재함이 원활하게 이동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가 구비된 무 수확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가 구비된 무 수확기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적재함을 상승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적재함을 하강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에서 선반 부재를 승강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에서 선반을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와 구굴장치 및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와 구굴장치 및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가 구비된 무 수확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과, 주행장치(200), 구굴장치(300), 인발장치(400),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 및 리프트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프레임(100)은 농업용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것으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100)에는 주행장치(200)와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 및 리프트장치(600)가 설치되고,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에 구굴장치(300)와 인발장치(400)가 설치되어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에 의해 구굴장치(300)와 인발장치(400)가 메인프레임(100)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주행장치(200)는 메인프레임(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인프레임(100)을 지지하는 것으로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좌측륜과 우측륜을 구비하며, 윤거조절실린더를 이용하여 좌측륜과 우측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윤거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가 식재된 밭두둑의 폭에 관계없이 주행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를 이용하여 구굴장치(300)와 인발장치(40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무의 식재 위치에 관계없이 무를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인발장치(400)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인발부재를 통해 밭두둑에서 무를 뽑아내는 인발부(410)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인발된 무를 후방의 적재함으로 이송하며 선단부에 인발부(410)가 설치된 반송부(420)와, 반송부(420)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450)와, 반송부(4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인발부(410)가 설치되도록 반송부(410)의 선단에 구비된 고정브래킷(4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발장치(400)는 구굴장치(300) 및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와 일체로 연결되어, 구굴장치(30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반송부(420)는 둘 사이로 무를 이송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이송부(420a) 및 우이송부(420b)를 포함하며, 구동모터(450)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425)를 이용하여 무를 이송하게 된다.
이때, 반송부(420)는 무의 크기에 대응하여 좌이송부(420a)와 우이송부(4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후단측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4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이송부(420a) 및 우이송부(420b)는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송부프레임(421)과, 벨트(425)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송부프레임(421)의 선단에 구비된 종동풀리(423)와, 구동모터(450)에 의해 작동되어 벨트(425)를 회전시키도록 이송부프레임(421)의 후단에 구비된 구동풀리(424)와, 이송부프레임(421)에 설치되어 벨트(425)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벨트(425)를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구동모터(450)는 연동되어 동일한 속도로 작동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가이드롤러(422)는 벨트(425)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롤러(422b)와 벨트(425)의 외측에 밀착되는 외측롤러(422a)로 구분될 수 있으며, 외측롤러(422a)는 수확된 무의 이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송부프레임(421)의 외측에만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부재는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에 연결되어 반송부(420)의 중간 앞쪽을 승강시키는 인발부 승강실린더(430)와,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에 설치되어 반송부(420)의 후단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440)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인발부 승강실린더(430)를 이용하여 반송부(420)를 지지대(440)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통상 이동시 인발부(410)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 수확기의 적재장치(6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610)과, 리프트프레임(620), 수직가이드레일(630) 및 승강구동부(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선반(610)은 적재함(680)이 안착되는 것으로, 리프트프레임측의 후단 부분이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적재함(68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리프트프레임(620)은 수직가이드레일(6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수평이동가이드레일(661)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뇐다.
수직가이드레일(630)은 리프트프레임(62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선반(610)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고정브래킷(635)에 의해 고정되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고정브래킷(635)은 수직가이드레일(630)fd의 상단과 하단 및 중단에 각각 구비되며, 중단에는 2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이동부(640)는 선반(610)을 지지함과 아울러 승강구동부(650)에 의해 수직가이드레일(630)을 따라 승강되는 것으로, 수직가이드레일(630을 따라 승강되는 가동프레임(641)과, 선반(610)을 지지하도록 가동프레임(641)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선반지지대(642)와, 수직가이드레일(630) 내에서 회전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 가이드롤러(643)와, 가동프레임(641)의 양단에 설치되며 수직이동 가이드롤러(64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고정브래킷(6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승강구동부(650)에 의해 가동프레임(641)이 승강할 때 양측의 수직이동 가이드롤러(643)에 의해 가동프레임(641)이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승강구동부(650)는 수직이동부(64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고정브래킷(635)에 설치되어 수직이동부(640)를 승강시키는 승강모터(651)와, 일단은 가동프레임(644)에 고정되고 타단은 승강모터(651)가 설치된 고정브래킷(635)에 고정된 승강체인(653)과, 승강모터(651에 의해 회전되며 승강체인(653)이 결합되는 체인스프로킷(6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승강모터(651)가 작동되어 체인스프로킷(652)을 회전시켜 승강체인(653)에 연결된 승강이동부(640)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적재함(680)에 무가 충분히 적재될 경우, 적재함(680)을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탑재하기 위하여 적재함(680)을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안내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이동안내부(660)는 적재함(680)을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수평이동실린더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평이동안내부(660)는 메인프레임(10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리프트프레임(62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수평이동가이드레일(661)과, 리프트프레임(620)의 이동에 따라 수평이동가이드레일(661)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수평이동 가이드롤러(662)와, 리프트프레임(620)에 설치되며 외측에 수평이동 가이드롤러(66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고정프레임(6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적재함(680)에 무가 충분히 적재된 상태에서 리프트프레임(620)과 수직가이드레일(630)에 결합된 수직이동부(640) 및 수직구동부(650)를 수동으로 밀어내거나 수평이동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밀어냄으로써 적재함(680)을 메인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쉽게 탑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가 구비된 무 수확기를 이용하여 무를 수확하고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적재함을 이동시키는 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밭두둑의 크기(폭)에 대응하여 윤거조절장치를 통해 주행장치(200)의 윤거를 조절함으로써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어, 밭두둑에 식재된 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500)를 이용하여 구굴장치(300)와 인발장치(4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00)이 연결된 농업용 작업차량을 이동시키면, 구굴장치(300)에 의해 밭두둑의 굴착되고 밭두둑을 덮고 있던 멀칭비닐이 절단된다.
그리고 인발장치(400)에 의해 굴착된 밭두둑의 무를 인발된 후 적재함(680)으로 이송된다.
이때, 인발장치(400)의 끝단부와 적재함(680) 사이의 높이차가 클수록 적재함(680)에 적재되는 무가 손상이 될 수 있으므로, 리프트장치(600)를 이용하여 적재함(680)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적재 초기에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장치(600)의 승강구동부(650)를 이용하여 적재함(680)을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인발장치(400)의 끝단부와 적재함(680) 사이의 높이차를 최소화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무의 낙하높이가 감소되어 낙하충격에 의한 무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무의 적재가 진행된 후에는 적재함(680)에 적재된 무의 양에 대응하도록 적재함(680)을 점차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무의 적재가 완료된 후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680)이 메인프레임(100)에 근접하게 되어, 적재함(680)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다시 말해서, 적재함(680)에 적재된 무의 최상단과 인발장치(400)의 끝단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적재 과정에서 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적재함(680)에 무가 충분히 적재되면, 적재함(680)을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쉽게 탑재할 수 있도록 리프트장치(600)의 수평이동안내부(660)를 이용하여 적재함(680)을 메인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리프트프레임(620)을 직접 밀어주거나 공지의 수평이동실린더를 이용하여 리프트프레임(620)을 밀어줌으로써 적재함(680)이 안착된 선반(610)을 메인프레임(100)의 최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 적재함(660)을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쉽게 실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메인프레임 200 : 주행장치
300 : 구굴장치 400 : 인발장치
500 :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 600 : 리프트장치
610 : 선반부재 620 : 리프트프레임
630 : 수직가이드레일 635 : 고정브래킷
640 : 수직이동부 641 : 가동프레임
642 : 선반지지대 643 : 수직이동 가이드롤러
644 : 롤러고정브래킷 650 : 승강구동부
651 : 승강모터 652 : 체인스프로킷
653 : 승강체인 660 : 수평이동안내부
661 : 수평이동가이드레일 662 : 수평이동 가이드롤러
663 : 롤러고정프레임 680 : 적재함

Claims (5)

  1. 농업용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주행장치와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 및 리프트장치가 구비되고,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에 구굴장치와 인발장치 - 인발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인발부재를 통해 밭두둑에서 무를 뽑아내는 인발부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인발된 무를 후방의 적재함으로 이송하며 선단부에 인발부가 설치된 반송부와, 반송부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와, 반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인발부가 설치되도록 반송부의 선단에 구비된 고정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가 설치되어 인발부 좌우 이송장치에 의해 구굴장치와 인발장치가 메인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메인프레임의 후방에 적재함에 배치되는 무 수확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리프트 장치는 적재함이 안착되는 선반;
    복수의 고정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도록 리프트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선반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레일;
    선반을 지지함과 아울러 수직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수직이동부; 및
    승강체인을 이용하여 수직이동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되,
    수직이동부는 수직가이드레일 내에서 회전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 가이드롤러와, 수직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가동프레임과, 선반을 지지하도록 가동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선반지지대와, 수직이동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동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는 롤러고정브래킷을 포함하고,
    승강구동부는 고정브래킷에 설치되어 수직이동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모터와, 일단은 가동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승강모터가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된 승강체인과, 승강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승강체인이 결합되는 체인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적재함에 무가 충분히 적재될 경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적재함을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한편, 수평이동안내부는 메인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리프트프레임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이동가이드레일과, 리프트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수평이동가이드레일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수평이동 가이드롤러와, 리프트프레임에 설치되며 외측에 수평이동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수확기의 리프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81678A 2022-07-04 2022-07-04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 KR102489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678A KR102489318B1 (ko) 2022-07-04 2022-07-04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678A KR102489318B1 (ko) 2022-07-04 2022-07-04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318B1 true KR102489318B1 (ko) 2023-01-18

Family

ID=8510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678A KR102489318B1 (ko) 2022-07-04 2022-07-04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31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713A (ja) * 1995-08-11 1997-02-25 Kobashi Kogyo Co Ltd 自走式白菜収穫機
JPH09187132A (ja) * 1996-01-11 1997-07-22 Seirei Ind Co Ltd 自走式根菜収穫機
KR19990002585A (ko) * 1997-06-20 1999-01-15 김동태 무, 당근 수확장치
JP2004026075A (ja) * 2002-06-27 2004-01-29 Hoshiba:Kk 車両の荷役装置
KR101798896B1 (ko) * 2017-04-21 2017-11-17 박상욱 핸드 리프트 트럭
KR101929387B1 (ko) 2016-12-31 2018-12-14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땅속 작물 수확기
KR102027948B1 (ko) 2017-12-29 2019-10-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713A (ja) * 1995-08-11 1997-02-25 Kobashi Kogyo Co Ltd 自走式白菜収穫機
JPH09187132A (ja) * 1996-01-11 1997-07-22 Seirei Ind Co Ltd 自走式根菜収穫機
KR19990002585A (ko) * 1997-06-20 1999-01-15 김동태 무, 당근 수확장치
JP2004026075A (ja) * 2002-06-27 2004-01-29 Hoshiba:Kk 車両の荷役装置
KR101929387B1 (ko) 2016-12-31 2018-12-14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땅속 작물 수확기
KR101798896B1 (ko) * 2017-04-21 2017-11-17 박상욱 핸드 리프트 트럭
KR102027948B1 (ko) 2017-12-29 2019-10-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8171A (en) Mechanical picker for strawberries
US3646737A (en) Harvesting attachment
KR102027948B1 (ko)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JP2014007978A (ja) 農作物収穫機
KR102489318B1 (ko)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
KR102439036B1 (ko)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US3992860A (en) Towed tobacco harvester
US2454063A (en) Reel and rake apparatus for combines
KR102418741B1 (ko) 무 수확기
JP5012212B2 (ja) 野菜収穫機
KR102489321B1 (ko)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
KR102439042B1 (ko) 무 수확기용 피복 제거장치
JP2008289416A5 (ko)
US2313670A (en) Pickup attachment for harvesting implements
US2560974A (en) Stripper type cotton harvester
JP4770264B2 (ja) 根菜類収穫機
KR20150091233A (ko) 농작물 수확기
JP4377503B2 (ja) 根菜類の収穫方法と収穫機
US2791083A (en) Root crop top harvesting machines
JP2014007977A (ja) 農作物収穫機
KR102529807B1 (ko) 다목적 수확기의 굴취장치
KR102555044B1 (ko) 자주식 무 수확기의 인발 성능이 향상된 전처리부
US3083776A (en) Apparatus for harvesting sub-surface crops
US1935908A (en) Harvester
US3646742A (en) Cucumber pi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