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645A - 농기계의 윤거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의 윤거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645A
KR20200091645A KR1020190008667A KR20190008667A KR20200091645A KR 20200091645 A KR20200091645 A KR 20200091645A KR 1020190008667 A KR1020190008667 A KR 1020190008667A KR 20190008667 A KR20190008667 A KR 20190008667A KR 20200091645 A KR20200091645 A KR 20200091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frames
frame
pair
sli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선
신서용
남요상
권승귀
홍이수
김수빈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1645A/ko
Publication of KR2020009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크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농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과; 각각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딩 프레임(30)을 포함하고 있다. 크롤러(Ca,Cb)는 전후프레임(2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전후프레임은 상술한 슬라이딩 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60)는, 일측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실린더본체와, 타측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작동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슬라이딩 프레임, 전후프레임을 통하여 크롤러(Ca,Cb)의 윤거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기계의 윤거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track width of agricultural machine}
본 발명은 주행 가능한 농기계의 윤거(Track width)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링 및 피칭을 포함하는 수평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에서 윤거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윤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밭 작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기도 자체적으로 주행 가능하면서, 다양한 작업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사양으로 개발되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밭 작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두둑의 높이 또는 두둑의 폭에 대응하여 작업기(농기계)의 작업 환경이 변경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6-0087400호에 의하면 수평 제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공개하고 있다. 즉, 주행기체의 좌우방향의 경사 자세를 수정하는 롤링 액츄에이터와 주행기체의 전후방향의 경사자세를 수정하는 피칭 액츄에이터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평행 링크 형상의 전방측 암 및 후방측 암을 통해서 주행기체에 트랙 프레임을 연결시키며, 전후의 좌우 경동 암을 통하여 전방측 암 및 후방측 암에 연결 로드를 통해서 롤링 액츄에이터를 연결시키고, 롤링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주행기체의 좌우 방향의 경사자세를 변경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전후 방향의 경사를 수평 상태로 보정하기 위한 피칭 액츄에이터(유압실린더)와 좌우 방향의 경사를 수평 상태로 보정하기 위한 롤링 엑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기술은 많은 선행 문헌에 의하여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롤링 및 피칭 엑츄에이터를 설치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에서 차륜의 좌우 폭(윤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좌우 또는 전후 방향의 수평 제어가 가능한 상태에서도, 좌우 바퀴폭의 조절, 즉 윤거의 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을 위한 부품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주행을 위하여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크롤러를 구비하는 농기계용 윤거 조절장치로써;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농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과; 각각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딩 프레임; 주행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주행을 위한 크롤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크롤러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전후프레임; 그리고 일측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실린더본체와, 타측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작동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슬라이딩 프레임 사이의 좌우 간격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윤거 조절용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을 위한 부품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주행을 위하여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크롤러를 구비하는 농기계용 윤거 조절장치로써;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농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인접한 한 쌍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과;
다수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외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딩 프레임; 주행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주행을 위한 크롤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크롤러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전후프레임; 그리고 각각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실린더본체와, 해당하는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에 삽입된 슬라이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작동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인접한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프레임 사이의 좌우 간격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윤거 조절용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전후프레임의 전후방향 수평제어를 위하여, 각각의 전후프레임에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피칭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전후 수평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크롤러가 지지되는 한 쌍의 전후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환경에 따라서 크롤러의 윤거를 크게하거나 작게할 수 있는 작업상의 잇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 농기계의 작업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측으로 분리된 크롤러에 대해서도, 전후 방향의 수평제어 및 좌우 방향의 수평제어도 가능하게 되는 장점도 기대된다. 이와 같이 수평제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 및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기계의 하부 구성을 예시한 예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메인프레임을 제외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의 좌우측 부분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 2에 대응하는 예시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윤거 조절장치는, 고정된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슬라이딩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0)은, 통상 한 쌍의 크롤러(Ca,Cb)로 구성되는 주행부를 제외하고, 작업기(농기계)의 작업용 부품 및 제어(조작)용 부품 등을 지지하기 위한 전체적인 기본프레임을 의미한다.
도 1에서 메인프레임(10)은 기본적인 베이스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 구성부품의 도시를 위하여 그 상부의 구조는 생략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메인프레임(10)은 위에서 볼 경우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있다고 할 수 있고, 이러한 메인프레임(10) 상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업용 부품 및 조작용 부품 등이 실장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프레임(3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 프레임(30)은 농업용 작업기(농기계)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가로)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한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프레임(30)은 전후 좌우에 각각 2개씩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프레임(30)은 관체상(예를 들면 사각)으로 설치되는데, 상술한 메인프레임((10)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은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된 연결브라켓(12)을 통하여 볼트 등으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로 방향으로 전후 2개소에 설치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프레임(30)은, 가로 방향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과 결합된 상태임과 동시에 후술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을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일정 구간 좌우 이동 가능한 기능을 가지면 충분하고, 그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될 필요가 없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프레임(30)은 사각 관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사각 관체 형상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을 삽입한 상태로 지지되면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딩프레임(30)은 가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에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프레임(30)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후 프레임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주행 방향의 우측에서 전후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프레임(30)의 하부에는 하나의 전후 프레임(50a)(제1전후 프레임)이 연결되어 있고, 주행 방향 좌측에서 전후에 위치하는 다른 한 쌍의 슬라이딩 프레임(30)의 하부에는 다른 하나의 전후 프레임(50b)(제2전후 프레임)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전후 프레임(50:50a,50b)은 슬라이딩 프레임(30)과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후 프레임(50)에는, 크롤러(Ca,Cb)의 주행을 위한 모든 부품이 지지된다. 크롤러 자체의 구성은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의 설명에서 필요한 경우에만 언급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크롤러(Ca,Cb) 및 주행을 위한 내부의 모든 부품을 포함하여 주행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전후 프레임(50)은 실질적으로 주행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좌우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프레임(30)이 서로 이격되면 한 쌍의 크롤러(Ca,Cb) 사이의 거리(윤거)가 커지게 될 것이고, 좌우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프레임(30)이 서로 근접하면 한 쌍의 크롤러(Ca,Cb)의 거리가 작아지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슬라이딩 프레임(3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에 각각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에는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프레임(30)이 설치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동일한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슬라이딩 프레임(30)에는 윤거 조절용 유압실린더(6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윤거 조절용 유압실린더(60)는 동작을 위한 오일이 출입하는 실린더본체(62)와, 실린더본체(62)에 들어가거나 빠져나오는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작동피스톤(64)으로 구성된다. 유압실린더 자체는 널리 사용되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본체(62)는 일측의 슬라이딩 프레임(30)에 연결되고, 작동피스톤(64)은 타측의 슬라이딩 프레임(3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의 출입에 의하여 동작하게 되면, 작동피스톤(64)이 빠져나오거나 들어가게 되면서, 한 쌍의 슬라이딩 프레임(3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즉, 유압실린더(60)에 의하여, 동일한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의 외측에 삽입된 한 쌍의 슬라이딩 프레임(3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이다.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슬라이딩 프레임(30)의 거리가 변경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전후프레임(50a,50b)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크롤러(Ca,Cb) 사이의 거리(윤거)가 변경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하면서 윤거 변경을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는 전후에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배치된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는 전후에 가로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이 배치되어 있는 실시 예이다. 즉, 도 3에서 주행 방향으로 후방에 설치된 예를 보면, 한 쌍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a,20b)이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주행 방향으로 전방에 설치된 것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주행 방향으로 전방에 설치되는 제1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a)에는 좌측용의 제1슬라이딩 프레임(30a)이 삽입되어 있고, 제1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a)과 인접한 후방의 제2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b)에는 우측용의 제2슬라이딩 프레임(30b)이 외측에서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a,20b)에는 각각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는데, 도 4에서 제1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a)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는 보이지 않는다.
제2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b)에 설치된 유압실린더(6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실린더본체와 작동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압실린더(62)의 실린더본체는 제2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b)에 지지되고, 작동피스톤은 제2슬라이딩 프레임(30b)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62)의 동작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의 제2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b)을 기준으로 제1슬라이딩 프레임(30a)는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제1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a)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도시 없음)는 고정된 상태의 제1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a)에 대하여 제1슬라이딩 프레임(30b)을 좌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전방 및 후방에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b)에 각각 슬라이딩 프레임(30a,30b)을 설치하고 있으며, 각각의 슬라이딩 프레임(30a,30b)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위 설명은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a,20b)을 통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것임은 당연하다.
따라서, 윤거 조정을 위하여 필요한 유압실린더는 4개이고, 이러한 유압실린더(62)를 제어함으로써, 슬라이딩 프레임(30a,30b)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슬라이딩 지지프레임(20a)을 전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구조적 강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을 것임과 동시에, 한 쌍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좌우측의 슬라이딩 프레임(30a,30b) 사이의 간격 조절이 더욱 폭넓게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 3을 참고하면서, 수평 제어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윤거 조절장치는 수평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수평제어장치 자체는 농업용 기계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제어장치는, 전후방향의 수평을 제어하는 전후(피칭) 수평제어장치와, 좌우 방향의 수평을 제어하는 좌우(롤링) 수평제어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좌우 수평제어장치는 실질적으로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윤거 조절을 위한 것으로 좌우로 배열되는 한 쌍의 크롤러(Ca,C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계되기 때문에, 전후 수평제어장치는 좌우에 대칭으로 독립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수평제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 3을 참고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의 (a) 및 (b)에 서로 대칭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 방향으로 좌측을 예시한 (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전후방에 대한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피칭 유압실린더(72)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피칭 유압실린더(72)의 구성은 (b)에서도 동일하다. 이러한 피칭 유압실린더(72)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피칭 유압실린더(72)에서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실린더본체(72a)는 브라켓(58)을 통하여 제2전후프레임(50b)에 연결되어 있고, 제1전후프레임(50a)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피칭 유압실린더(72)의 작동피스톤(72b)의 단부(후단부)는, 제2전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하단부를 가지는 제1피칭암(74)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피칭암(74)의 중간부분은 제2피칭암(76)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제2피칭암(76)의 하단부는 트랙프레임(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트랙프레임(80)은 크롤로(Ca,Cb) 내부에서 주행을 위한 다수의 롤러 등을 지지하는 것이고, 주변의 구성 등은 널리 알려진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피칭암(74) 및 제2피칭암(76)을 피칭암 어셈블리라고 칭하기로 한다. 피칭암 어셈블리는, 실질적으로 피칭 유압실린더(72)의 동작에 따라서 전후프레임(50a,50b)의 전후 수평(경사)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피칭암 어셈블리 자체의 작동 원리는 알려진 것이라고 할 수 있고, 피칭 유압실린더(72)를 이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도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전후프레임(50a) 및 제2전후프레임(50b)에 각각 독립적으로 피칭암 어셈블리 및 피칭 유압실린더(72)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1전후프레임(50a)과 제2전후프레임(50b)이 상대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에 기초하고 있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전후프레임(50a)과 제2전후프레임(50b)에는 롤링 유압실린더(7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롤링 유압실린더(78)를 이용한 좌우 수평제어를 위한 구조는 종래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칭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전후 수평제어가 가능함과 같이, 윤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주된 기술적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취지상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10 ..... 메인프레임
12 ..... 고정브라켓
20 ..... 슬라이딩 지지프레임
20a ..... 제1슬라이딩 지지프레임
20b ..... 제2슬라이딩 지지프레임
30 ..... 슬라이딩 프레임
30a ..... 제1슬라이딩 프레임
30b ..... 제2슬라이딩 프레임
50 ..... 전후프레임
60 ...... 윤거 조절용 유압실린더
62 ..... 실린더본체
64 ..... 작동피스톤
72 ..... 피칭 유압실린더
80 ..... 트랙프레임

Claims (3)

  1. 농업용 작업을 위한 부품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주행을 위하여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크롤러를 구비하는 농기계용 윤거 조절장치로써;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농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과;
    각각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딩 프레임;
    주행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주행을 위한 크롤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크롤러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전후프레임; 그리고
    일측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실린더본체와, 타측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작동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슬라이딩 프레임 사이의 좌우 간격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윤거 조절용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농기계용 윤거 조절장치.
  2. 농업용 작업을 위한 부품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주행을 위하여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크롤러를 구비하는 농기계용 윤거 조절장치로써;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농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인접한 한 쌍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과;
    다수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외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딩 프레임;
    주행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주행을 위한 크롤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크롤러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전후프레임; 그리고
    각각의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실린더본체와, 해당하는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에 삽입된 슬라이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작동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인접한 슬라이딩 지지프레임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프레임 사이의 좌우 간격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윤거 조절용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농기계용 윤거 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전후프레임의 전후방향 수평제어를 위하여, 각각의 전후프레임에 설치되고 피칭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전후 수평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기계용 윤거 조절장치.

KR1020190008667A 2019-01-23 2019-01-23 농기계의 윤거 조절장치 KR20200091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67A KR20200091645A (ko) 2019-01-23 2019-01-23 농기계의 윤거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67A KR20200091645A (ko) 2019-01-23 2019-01-23 농기계의 윤거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45A true KR20200091645A (ko) 2020-07-31

Family

ID=7183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667A KR20200091645A (ko) 2019-01-23 2019-01-23 농기계의 윤거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16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741B1 (ko) * 2021-12-16 2022-07-11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
KR102439036B1 (ko) 2021-12-22 2022-09-01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KR102439042B1 (ko) * 2021-12-22 2022-09-01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용 피복 제거장치
KR102489321B1 (ko) * 2022-07-04 2023-01-18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
KR102566841B1 (ko) * 2023-01-30 2023-08-17 주식회사 불스 고랑 제초로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741B1 (ko) * 2021-12-16 2022-07-11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
KR102439036B1 (ko) 2021-12-22 2022-09-01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KR102439042B1 (ko) * 2021-12-22 2022-09-01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용 피복 제거장치
KR102489321B1 (ko) * 2022-07-04 2023-01-18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
KR102566841B1 (ko) * 2023-01-30 2023-08-17 주식회사 불스 고랑 제초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1645A (ko) 농기계의 윤거 조절장치
KR100956995B1 (ko) 산림장비 및 굴삭기용 레벨링 장치
CN103391877B (zh) 车辆或机器中的框架和装置
JP2007022233A (ja) クローラ式移動体
KR101630224B1 (ko) 농작물 관리로봇
JP2000083446A (ja) コンバインの走行装置
SE523810C2 (sv) En jordbearbetningsenhet med främre och bakre tallriksenhet
WO2019244618A1 (ja) 作業車両
KR101993995B1 (ko) 트랙터의 수평 제어장치
JPH11192981A (ja) 自走式農作業機
JP6765294B2 (ja) 油圧ロボット
JP2013055897A (ja) コンバインの姿勢制御装置
JP7224279B2 (ja) 作業車
JP3981764B2 (ja) クローラ型農作業機
JP7142596B2 (ja) 移植機
JP2000262134A (ja) コンバインの姿勢変更装置
KR20220040333A (ko) 자유 전환이 가능한 승용 관리기
JP3826939B2 (ja) クローラ型農作業機のクローラ支持装置
JP3743447B2 (ja) クローラ型農作業機のクローラ支持装置
JP3588825B2 (ja) クローラ型農作業機のクローラ支持装置
JP2725850B2 (ja) コンバイン等の走行装置
KR20230089764A (ko) 고소작업이 가능한 농업용 작업차
JP2023000766A (ja) 作業車
JPH01168206A (ja) 水田作業機の傾き検出構造
JPH076186Y2 (ja) キャッチフォ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