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133B1 -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 Google Patents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133B1
KR101833133B1 KR1020160079010A KR20160079010A KR101833133B1 KR 101833133 B1 KR101833133 B1 KR 101833133B1 KR 1020160079010 A KR1020160079010 A KR 1020160079010A KR 20160079010 A KR20160079010 A KR 20160079010A KR 101833133 B1 KR101833133 B1 KR 10183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rockery
hydraulic cylinder
stop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833A (ko
Inventor
홍이수
장희수
김기홍
남요상
소진환
강영선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1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9/00Harvesters for pean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4Lifting or lowering mechanisms for th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에 무관하게 정해진 깊이 범위 내에서 굴취 작업이 진행되는 땅콩 수확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는, 엔진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주행부(12)를 구비하는 주행 본체(A)와, 상기 주행 본체(A)에 일정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부에 굴취날(22)이 장착되는 굴취 프레임(20)을 포함하는 굴취부(B)로 구성된다. 상기 굴취 프레임(20)은 주행 본체(A)와의 사이에서 유압실린더장치(30)에 의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굴취 프레임(20)에는 지면과 접촉하는 스토퍼(40)가 장착되어 굴취날(22)의 깊이를 제한하고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가 자유상태가 되면 굴취날(20)은 스토퍼(40)에 의하여 제한되는 깊이 이내의 범위에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상태로 유지되면서 굴취 작업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A peanut harvester capable of digging depth}
본 발명은 땅콩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출력으로 주행이 가능하고, 굴취 깊이를 조절하여 땅콩을 재배중인 지형의 경사도에 상관없이 땅콩을 수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땅콩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농업의 기계화 추세에 따라 작물의 재배가 대형화되었고, 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에도 기계가 사용되고 있으며, 땅콩 역시 대량으로 재배하고 대량으로 수확해야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땅콩은 벼와 같이 지면 위에서 수확할 수 있는 다른 작물들과는 달리 땅속에서 재배되는 작물이기 때문에, 흙 속에 묻혀 있는 것을 캐내어 수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땅콩은 수확시기가 짧기 때문에 적기에 수확을 하지 못하면 수확손실 및 상품으로써 가치가 하락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땅콩은 흙 속에 묻혀 있는 것을 캐내어 수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 깊이로 땅을 파헤치고, 줄기를 잡아 당기는 작업을 통하여 땅 속에 심어져 있는 땅콩을 수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대량으로 재배되는 땅콩을 수확하는 일은, 수작업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계 장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땅속에 묻혀 있는 땅콩을 수확하는 땅콩 수확기를 기계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어려움이 뒤따른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특허 출원 제 10-1998-0017935에서 전면측에 줄기를 끌어 올리는 수단과 굴취날에 의해 땅콩 줄기와 뿌리부분을 흙과 함께 지면위로 끌어올리고, 땅콩 꼬투리를 털어 정선하며 수집하는 전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개선된 정선시스템을 구비하는 땅콩 수확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땅콩 수확기는 굴취날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경사진 지면에서 굴취날에 많은 부하가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는 땅콩 수확기는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내구성을 가지기 힘들다.
본 발명은 땅콩을 대량으로 수확 가능한 땅콩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취 깊이를 제한할 수 있는 땅콩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땅콩 재배지의 지면의 경사가 일정하지 못한 지면에서 굴취 깊이를 조절하여 땅콩 수확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땅콩 수확기는 엔진과,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하는 주행부를 구비하는 주행 본체와; 상기 주행 본체에 일정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부에 굴취날이 장착되는 굴취 프레임; 그리고 주행 본체와 굴취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굴취 프레임을 원호운동시킴으로써, 상기 굴취날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장치; 그리고 상기 굴취 프레임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지면과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굴취날의 굴취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의 스토퍼는, 지면과 구름접촉하고, 굴취날의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휠; 그리고 상기 스토퍼휠을 굴취 프레임에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의 지지수단은, 상기 스토퍼휠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의 지지수단은, 상기 굴취 프레임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일단이 상기 제1연장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스토퍼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지지링크; 그리고
상부가 상기 제2연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휠지지링크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의 승하강장치는, 상기 주행본체와 굴취부 사이에 개재되는 유압실린더장치이고, 유압실린더장치의 행정거리 내에서 굴취부의 선단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에 의하면,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하는 주행부를 가지는 주행 본체와, 굴취부에 설치된 굴취날 및 줄기 이송장치에 의하여 주행하면서 땅 속의 땅콩을 수확함으로써, 대량 생산에 가장 적합한 땅콩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에 의하면, 굴취 프레임의 선단부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지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굴취날의 깊이를 제한할 수 있고, 상기 스토퍼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장치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스토퍼휠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굴취 프레임에 장착된 굴취날의 굴취 깊이를 제한하여 일정한 굴취 깊이를 유지할 수 있는 땅콩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에 의하면, 승하강장치가 자유상태일 때 외력에 의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굴취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지면의 경사에 관계없이 굴취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원활한 수확작업이 가능하고, 동시에 굴취날의 굴취 깊이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굴취 깊이를 조절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땅콩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의 스토퍼를 나타낸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의 체인부를 보인 예시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땅콩 수확기는, 실질적으로 콤바인 등과 같은 농기계와 동일하게 엔진의 출력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주행부(12)를 구비하는 주행 본체(A)와, 상기 주행 본체(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굴취 프레임(20)을 구비하는 굴취부(B)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행 본체(A)는, 내연기관인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바퀴 또는 궤도를 구비하는 주행부(12)로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주행부(12)는 크롤러(Crawler)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굴취부(B)는, 대략적으로 후방측에 설치되는 지지축에 의하여 주행 본체(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굴취부(B)는, 전방의 하단부에 굴취날(22)이 장착된 굴취 프레임(20)과, 선단부에 설치되어 땅콩 줄기를 내부로 안내하는 줄기 이송부(50), 그리고 지면에 접촉하여 굴취날(22)의 굴취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굴취 프레임(20)이란, 굴취부(B)를 구성하는 각 부분(굴취날, 줄기 이송부 등)을 지지하거나, 상기 굴취부(B)가 주행 본체(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한 유압실린더장치(30) 등을 지지하는 기본적인 뼈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굴취 프레임(20) 전방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굴취날(22)은, 땅 속을 파헤치기 위한 것으로, 땅 속에 일정 깊이 삽입된 상태에서 주행 본체(A)의 주행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의 (a)에서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굴취날(22)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주행 본체(A)와 굴취부(B) 사이에는, 유압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 운동하는 승하강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유압실린더장치(3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압실린더장치(30)는 굴취부(B)를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굴취날(2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 및 피스톤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유압실린더장치(30)는, 주행 본체(10)에 대하여 굴취부(B)의 선단부를 일정 범위 내에서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범위란,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의 피스톤이 왕복 운동할 때의 행정거리, 즉 피스톤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는, 예를 들면 유압의 출입에 의하여 직선 이동하는 피스톤로드가 양측에 구비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장치(30)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유압장치에 한정될 수는 없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의 상단부가 굴취부(B)의 지지축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굴취부(B)에 연결되고, 유압실린더장치(30)의 하단부는 상기 주행 본체(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가 동작 하면, 상기 굴취부(B)는 지지축을 기준으로 원호 운동하여, 굴취부(B)의 선단부 높이를 상술한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굴취부(B)에 장착된 굴취날(2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에는,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에 작동유를 공급 및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탱크,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의 상부 및 하부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단속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는 작동유가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작동유의 유압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는 자유상태일 때, 굴취날(22)은 지중에서 외력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하면서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본 명세서에서 자유상태라고 함은,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유압의 출입을 단속하는 밸브가 열린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자유상태에서 유압실린더장치(30)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외력은 주행 본체(A)의 주행에 의한 힘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가 자유상태일 때는, 상술한 피스톤의 행정거리 내에서 상승 및 하강이 자유로운 상태로 상기 주행 본체(A)에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가 땅콩을 수확하는 작업 중,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가 자유 상태가 되면, 굴취날(22)은 일정 범위 내에서 그 높낮이가 외력에 따라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굴취 프레임(20)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4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토퍼(40)는 지면과의 접촉을 통하여 굴취부(B)를 지지하는 것과 같이 상기 굴취 프레임(20)의 하단부에 장착된 굴취날(22)이 땅 속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는, 지면에 접촉하는 스토퍼휠(46)과, 상기 스토퍼휠(46)을 굴취 프레임(20)에 대하여 지지하는 연결링크기구(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휠(46)은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기구(44)의 중간에 유압실린더장치(4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토퍼휠(46)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실질적으로 굴취날(22)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스토퍼휠(46)은, 굴취 프레임(2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굴취 프레임(20)을 지지하고, 주행 본체(A)의 주행 시 지면과 구름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휠(46)은, 지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굴취날(22)이 땅 속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고, 땅콩을 수확하기 위하여 상기 굴취 프레임(20)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스토퍼(40)는 휠로 구성되어 있지만, 판 형상으로 성형되어 지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굴취 프레임(20)에 장착된 굴취날(22)의 깊이를 제한하면서, 상기 주행 본체(A)의 주행시 지면과 접촉하여 굴취 프레임(20)의 선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는 도시한 스토퍼휠(46)에 한정하지 않고,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도 3의 (b)에서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링크기구(44)는, 단부에 스토퍼휠(46)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지지링크(44a)와, 굴취 프레임(20)에서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휠지지링크(44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장부(44b)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제1연장부(44b)와 휠지지링크(44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굴취날(22)의 높이 조절을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굴취날(22)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굴취 프레임(20)과 휠지지링크(44a) 사이에는, 유압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장치(42)가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유압실린더장치(42)는 상부가 굴취 프레임(2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44c)에 고정되고, 하부가 휠지지링크(44a)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장치(42)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휠지지링크(44a)는 제1연장부(44b)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스토퍼휠(46)이 일정 범위 내에서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휠(46)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는 것은, 굴취부(B)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굴취부(B)에 장착된 굴취날(22)의 굴취 깊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휠(46)의 높이가 조절되는 일정 범위란, 상기 유압실린더장치(42)의 피스톤이 왕복 운동할 때의 행정거리, 즉 피스톤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다음에는 굴취 프레임(20)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땅콩의 줄기를 이송하기 위한 줄기 이송부(5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줄기 이송부(50)는,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의 작업 영역을 구획하는 디바이더(52)와, 구획된 땅콩 줄기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체인부(54)를 구비한다. 도 3의 (a)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디바이더(52)는, 상기 굴취 프레임(20)의 폭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행 본체(A)가 주행 시 수확 작업할 땅콩의 줄기 및 잎을 구분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더(52)는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에서 가장 선단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실시 예는 상기 체인부(54)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체인부(54)는, 주행 본체(A)의 엔진으로 회전하는 체인(54a)과, 체인(54a)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하는 다수개의 핑거(54b)로 구성된다. 상기 핑거(54b)는 중앙으로 안내된 땅콩 줄기를 더욱 내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줄기 이송부(50)의 후방에 체인부(54)를 통하여 이송된 땅콩의 뿌리에서 흙을 털어내는 흙분리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줄기 이송부(5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굴취부(B)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주행 본체(A)가 주행하면서 땅콩의 수확을 시작하게 되면,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에서 가장 선단부에 위치한 디바이더(52)에 의하여 수확할 땅콩의 줄기와 잎을 구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한 쌍의 굴취날(22)이 주행 본체(A)의 주행에 의하여 땅 속을 파헤치는 동작을 하면서, 상기 체인부(54)에 의하여 후방으로 땅콩 줄기를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의 스토퍼(40)는, 굴취날(22)이 땅을 파헤치기 위한 적절한 위치까지 땅 속으로 삽입되면, 상기 스토퍼휠(46)이 연결링크기구(44)에 의하여 지면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굴취날(22)의 굴취 깊이를 제한하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가 평탄한 지면이 아니라, 경사진 지면에서 수확하게 될 경우 유압실린더장치(30)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는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가 언덕과 같이 경사진 지형에서 작업하게 될 경우, 상술한 자유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장치(30)의 자유상태에서 상기 굴취부(B)는 일정 범위 내에서 그 높이가 외력에 의하여 자유롭게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다. 여기서 외력은 주행 본체(A)의 주행에 의하여 굴취날이 땅속에서 받는 반력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장치(30)의 자유상태에서 상기 굴취부(B)는 상술한 외력에 의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그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면서, 주행하는 지면의 상태에 적합한 높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굴취 프레임(20)에 장착된 굴취날(22)은 지면의 경사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깊이로 땅 속을 파헤치는 작업을 하게 되어, 굴취날(22)이 계속 직선 방향으로 땅을 파헤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수확작업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에 의하면,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하는 주행부(12)를 가지는 주행 본체(A)와, 굴취 프레임(20)에 장착된 굴취날(22)에 의하여, 주행하면서 땅 속의 땅콩 뿌리를 분리하여 수확함으로써, 대량 생산에 가장 적합한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굴취 프레임(20)의 선단부에 스토퍼(40)가 설치되어 지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굴취날(22)의 깊이를 제한할 수 있고, 상기 스토퍼(40)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장치(42)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스토퍼휠(46)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굴취 프레임(20)에 장착된 굴취날(22)의 굴취 깊이를 제한하여 일정한 굴취 깊이를 유지할 수 있는 땅콩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또한 유압실린더장치(30)가 자유상태일 때, 일정 범위 내에서 굴취 프레임(2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지면의 상태에 맞추어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지면의 경사에 관계없이 굴취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원활한 수확작업이 가능하고, 동시에 굴취날(22)의 굴취 깊이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굴취 깊이를 조절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땅콩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A ..... 주행 본체
B ..... 굴취부
12 ..... 주행부
20 ..... 굴취 프레임
22 ..... 굴취날
30 ..... 유압실린더장치
40 ..... 스토퍼
42 ..... 유압실린더장치
44 ..... 연결링크기구
44a ..... 휠지지링크
44b ..... 제1연장부
44c ..... 제2연장부
46 ..... 스토퍼휠
50 ..... 줄기 이송부
52 ..... 디바이더
54 ..... 체인부

Claims (5)

  1. 엔진과,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하는 주행부(12)를 구비하는 주행 본체(A)와;
    상기 주행 본체(A)에 일정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부에 굴취날(22)이 장착된 굴취 프레임(20)을 구비하는 굴취부(B);
    상기 주행 본체(A)와 굴취 프레임(20) 사이에서 상기 굴취 프레임(20)을 원호운동 시킴으로써, 상기 굴취날(22)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장치; 그리고
    상기 굴취 프레임(20)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지면과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굴취날(22)의 굴취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40)로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40)는, 지면과 구름 접촉하고, 굴취날(22)의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휠(46); 그리고 상기 스토퍼휠(46)을 굴취 프레임(20)에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굴취 프레임(20)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44b) 및 제2연장부(44c)와; 일단이 상기 제1연장부(44b)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스토퍼휠(4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지지링크(44a); 그리고 상부가 상기 제2연장부(44c)에 고정되고, 타단이 휠지지링크(44a)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장치(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토퍼휠(4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땅콩 수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주행본체(A)와 굴취부(B) 사이에 개재되는 유압실린더장치(30)이고, 유압실린더장치(30)의 행정거리 내에서 굴취부(B)의 선단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콩 수확기.



KR1020160079010A 2016-06-24 2016-06-24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KR101833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010A KR101833133B1 (ko) 2016-06-24 2016-06-24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010A KR101833133B1 (ko) 2016-06-24 2016-06-24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33A KR20180000833A (ko) 2018-01-04
KR101833133B1 true KR101833133B1 (ko) 2018-02-27

Family

ID=6099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010A KR101833133B1 (ko) 2016-06-24 2016-06-24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1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42A (ko) * 2018-11-13 2020-05-2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KR20200055844A (ko) * 2018-11-13 2020-05-2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초기세팅 기능을 가지는 땅콩수확기
KR20200058045A (ko) * 2018-11-19 2020-05-27 허정규 땅콩 수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1496B (zh) * 2018-02-06 2019-11-26 亳州市皖北药业有限责任公司 大黄挖收机及其挖收方法
CN109548456A (zh) * 2018-12-24 2019-04-02 临沭县东泰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花生收获机割台
CN112369184B (zh) * 2020-11-03 2021-08-27 王树华 一种花生自动收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940A (ja) 2001-04-12 2002-10-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前処理部の昇降装置
JP4823136B2 (ja) 2007-04-27 2011-11-24 ヤンマー株式会社 根菜収穫機
KR101393504B1 (ko) 2012-11-14 2014-05-14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땅콩 수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940A (ja) 2001-04-12 2002-10-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前処理部の昇降装置
JP4823136B2 (ja) 2007-04-27 2011-11-24 ヤンマー株式会社 根菜収穫機
KR101393504B1 (ko) 2012-11-14 2014-05-14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땅콩 수확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42A (ko) * 2018-11-13 2020-05-2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KR20200055844A (ko) * 2018-11-13 2020-05-2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초기세팅 기능을 가지는 땅콩수확기
KR102187733B1 (ko) * 2018-11-13 2020-12-08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KR102190060B1 (ko) * 2018-11-13 2020-12-14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초기세팅 기능을 가지는 땅콩수확기
KR20200058045A (ko) * 2018-11-19 2020-05-27 허정규 땅콩 수확기
KR102176908B1 (ko) * 2018-11-19 2020-11-10 허정규 땅콩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33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133B1 (ko)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CN104255185B (zh) 小型履带式油菜割晒机
CN109906746B (zh) 一种工作时免弧度调头的垄作胡萝卜收获机及使用方法
CN204104356U (zh) 小型履带式油菜割晒机
CN104350872A (zh) 一种百合夹持挖掘拍土切根切秧收获机
CN209949938U (zh) 一种用于平茬机的切割装置
CN209120649U (zh) 一种分段式大葱收获机
KR101663868B1 (ko) 땅속 작물 수확기
CN115769725A (zh) 一种铲链式花生起收机
KR102439036B1 (ko)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CN203219717U (zh) 根茎类农作物收获机
KR101369728B1 (ko) 구황작물 줄기 제거장치
CN209806454U (zh) 一种工作时免弧度调头的垄作胡萝卜收获机
CN110679265B (zh) 一种双行自走式深种植大葱收获机
CN204796159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双支撑结构
KR102217750B1 (ko) 자주식 대파 수확기
CN208047299U (zh) 用于深土层农作物收获机的排土装置
CN2351923Y (zh) 花生挖掘机
JP4918979B2 (ja) 植物抜根機
CN204796156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挖掘支撑机构
KR20200043645A (ko) 콩 수확기
CN204652996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
KR102489321B1 (ko)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
CN211831906U (zh) 一种大蒜洋葱花生联合收获机
CN218959489U (zh) 根茎类作物收获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