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733B1 -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 Google Patents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733B1
KR102187733B1 KR1020180138656A KR20180138656A KR102187733B1 KR 102187733 B1 KR102187733 B1 KR 102187733B1 KR 1020180138656 A KR1020180138656 A KR 1020180138656A KR 20180138656 A KR20180138656 A KR 20180138656A KR 102187733 B1 KR102187733 B1 KR 102187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
gulch
ground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842A (ko
Inventor
강영선
홍이수
김기홍
남요상
소진환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7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9/00Harvesters for pean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4Lifting or lowering mechanisms for the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취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땅콩수확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 수확기는, 주행본체(10)와; 상기 주행본체에 대하여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단부에는 수확을 위하여 지중으로 파고 들어가는 굴취날(22)과, 굴취날의 상부에서 지면을 따라 주행하고, 기준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이러한 기준위치에서 상하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감지휠(40)를 구비하는 굴취프레임(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주행본체(10)에 대하여 굴취프레임(20)을 지지축(28)을 중심으로 경사시킴으로써, 굴취프레임(20)의 지중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유압실린더(Ca); 감지휠(40)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굴취날(22)의 지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휠 높이감지수단; 굴취프레임의 경사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굴취 프레임 경사감지수단; 그리고 감지휠 높이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굴취날(22)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제1유압실린더(Ca)를 통하여 굴취 프레임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굴취날이 설정된 깊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Peanut harvest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depth of digging}
본 발명은 땅콩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지인 두둑에서 땅콩을 채취하기 위한 굴취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땅콩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땅콩 수확기에 대한 선행 특허 문헌으로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6-0079010호에 의하여 제안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하여 공개된 기술 내용은 땅콩 수확을 위한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기는 하나,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한 구조는, 실질적으로 굴취 깊이의 자동 조절이라는 측면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하면서 땅콩을 수확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주행형 땅콩수확기에서, 주행 중 자동으로 굴취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땅콩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이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굴취 깊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땅콩 수확의 효율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 땅콩수확기는, 주행본체와; 상기 주행본체에 대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단부에는 수확을 위하여 지중으로 파고 들어가는 굴취날과, 굴취날의 상부에서 지면을 따라 주행하고, 기준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이러한 기준위치에서 상하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감지휠를 구비하는 굴취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본체에 대하여 굴취프레임을 지지축을 중심으로 경사시킴으로써, 굴취프레임의 지중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유압실린더; 감지휠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굴취날의 지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휠 높이감지수단; 굴취프레임의 경사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굴취 프레임 경사감지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실제 수확작업이 진행되는 곳의 일정 거리 앞에서, 주변속레버 감지센서에 의하여 전진이 감지되면 제1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굴취프레임을 회전시켜서 굴취프레임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값이 정해진 경사에 이르기까지 굴취날이 지중으로 들어가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제 수확하는 경우 정해진 깊이에서 효율적인 수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감지휠은, 지지축에 의하여 굴취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프레임과, 상기 휠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휠 지지링크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감지휠 높이 감지수단은 휠 지지링크의 높이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휠 지지링크와 연결된 포텐셔미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수확기는, 감지휠을 굴취프레임에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축에 의하여 굴취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 휠프레임과, 좌우 휠프레임의 단부에서 연장된 상하 휠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휠프레임; 감지휠을 지지하고, 상하 휠프레임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기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휠 지지링크; 상하 휠프레임의 내부에 들어간 휠 지지링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휠지지링크 감지센서; 그리고 굴취프레임과 좌우 휠프레임사이에 설치되어, 휠 지지링크 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휠 지지링크를 기준위치로 세팅하기 위한 제2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삭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땅속의 땅콩을 수확하는 땅콩수확기의 굴취날은 항상 일정한 지중 깊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장 효율적으로 땅콩을 수확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땅콩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땅콩 수확기의 부분 확대도를 같이 도시한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땅콩 수확기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땅콩 수확기의 단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땅콩 수확기의 깊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다음에는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는, 주행 가능한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는 주행본체(10)와, 상기 주행본체(10)에 지지되어 있는 굴착프레임(20)을 포함하고 있다. 엔진 등과 같은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는 주행본체(10) 자체는 알려진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주행을 위하여 설치되는 예를 들면 크롤러 등으로 구성되는 주행부(12)와, 수확기 본체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조작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운전부(14)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굴착프레임(20)은 주행본체(10)에 대하여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운전부(14)에는 땅콩수확기의 전체적인 주행 및 굴취 제어를 위한 다양한 조작장치가 구비되는데, 예를 들면 HST의 제어를 통하여 주행본체(10)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주변속레버와 조향제어를 위한 조향레버(파워스티어링 레버)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는, 굴취 깊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싱수단(포텐셔미터)과 이러한 센싱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장치(유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 땅콩수확기는, 주행본체(10)의 전진 또는 후진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주변속레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4)에 설치되는 주변속레버(18)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주변속레버 감지센서(Sa)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4)에 설치되는 주변속레버(18)는 전후방향의 동작으로 전진 및 후진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변속레버(18)의 회동 움직임은 제1지지축(18c)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주변속레버(18)는 지지브라켓(18a)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주변속레버 감지센서(Sa)는 예를 들면 포텐셔미터로 구성되고 있고, 제1포텐셔미터(Sa)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포텐셔미터(Sa)는, 그것과 연결된 포크(Sp)가 지지브라켓(18a)에 설치되는 연동돌기(18b)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포크(Sp)는 통상 포텐셔미터에 조립된 상태로 현재 판매되고 있고, 제1포텐셔미터(Sa)는 포크(Sp)의 회동 각도에 따라서, 현재 주변속레버(18)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여기서 주변속레버(18)의 위치를 알 수 있다는 것은, 주변속레버(18)가 전진 상태인가 후진 상태인가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의 확대도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에는 굴취프레임 감지센서(Sb)가 설치되어 있다. 굴취프레임 감지센서(Sb)는,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굴취프레임(2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굴취프레임(20)의 전방 단부에는 굴취날(32)이 설치되어 있는데, 굴취프레임 감지센서(Sb)는 굴취프레임(2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궁극적으로는 굴취날(32)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굴취프레임 감지센서(Sb)는 포텐셔미터로 구성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포텐셔미터(Sb)는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하여 굴취프레임(20)의 회동을 감지하는 것이고, 굴취프레임(10)의 일부분(29)과 연결되어 연동하는 연동링크(26)의 타단부가 포텐셔미터(Sa)의 포크(Sp)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하는 풀취프레임(10)의 회전 각도는 연동링크(26)를 통하여 포텐셔미터(Sa)에 전달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취프레임(20)의 선단부에는 감지휠(40)이 설치되어 있다. 굴취날(22)이 지중에서 일정한 깊이로 파고 들어간 상태로 주행됨에 비하여, 이러한 감지휠(40)은 지면을 타고 구르게 된다. 이러한 감지휠(40)은 휠지지링크(42)에 연결되어 있는데, 휠지지링크(42)는 상하 휠프레임(44)의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잇다.
휠프레임(44,46)은, 굴취프레임(20)에 대하여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대략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휠프레임(46)과 좌우 휠프레임(26)의 단부에서 연장된 상하 휠프레임(44)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휠프레임(44,46)은 굴취프레임(20)에 대하여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라고 정의될 수 있고, 휠지지링크(42)는 휠프레임 중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하 휠프레임(44) 내부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상하 휠프레임(44)에는 상하 방향으로 슬롯(45)이 성형되어 있고, 휠지지링크(42)에 설치된 연동돌기(47)가 슬롯(45)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휠지지링크 감지센서(제3포텐셔미터)(Sc)의 포크(Sp)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휠프레임(44)의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기준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휠지지링크(42)가 기준위치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휠지지링크 감지센서, 즉 제3포텐셔미터(Sc)는 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땅콩수확기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취프레임(20)은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제1유압실린더(Ca)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즉, 주행본체(10)에 하단부가 지지되고, 동작 피스톤이 굴취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는 제1유압실린더(Ca)에 의하여 굴취프레임(20)이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포텐셔미터(Sa)는 주변속레버의 전진 또는 후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제1포텐셔미터(Sa)와 제1유압실린더(Ca)의 연동 제어에 대한 예를 들면, 제1포텐셔미터에 의하여 주변속레버의 상태가 감지되면, 즉 주행본체의 후진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하여 굴취프레임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어는 실질적으로 후진이 수행되는 도중 지중에 있는 굴취 부분이 예상치 못한 동작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지휠(40)도 상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제2유압실린더(Cb)가 설치된다. 제2유압실린더(Cb)의 상단부는 굴취프레임(2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으며, 제2유압실린더(Cb)의 동작 피스톤은 좌우 휠프레임(46)에 핀연결(46a)되어 있다. 따라서 제2유압실린더(Cb)의 피스톤이 신장되면 감지휠(40)이 하강하고, 제2유압실린더(Cb)의 피스톤이 수축하면 감지휠(40)이 상승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2유압실린더(C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지휠(40)이 항상 기준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기초하여, 본 발명 조절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도 6을 같이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땅콩수확기의 실제 작업이 시작되기 전, 초기 세팅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땅콩재배지(두둑)에서 실제 수확작업이 진행되는 곳에서 일정 거리(예를 들면 1-2m) 앞에서 준비 작업을 실시한다. 즉 땅콩수확기가 이동하는 동안에는 굴취프레임(20)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있기 때문에, 재배지에 도착하면 굴취프레임(20)이 실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 상태로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운전석 조작장치(110)를 조작하는데, 이러한 조작은 예를 들면 조향레버를 일회 터치하는 것으로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운전석의 다른 레버 또는 버튼을 수행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운전석 조작장치(110), 예를 들면 조향레버를 간단하게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110)는 제1유압실린더(Ca)를 조작하여 굴취날(22)이 재배지의 지면에 접촉하도록 굴취프레임(20)을 하강시킨다.
실제 수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땅콩수확기가 주행을 시작해야 함과 동시에 굴취날(22)이 지면에서 지중으로 일정 깊이 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현재 땅콩수확기의 현재 위치는 실제 땅콩이 재배되는 지점에서 일정 거리(예를 들면 1-2m) 앞에 있다. 이러한 현재 위치에서 주행을 시작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주변속레버(120)를 조작하게 된다. 여기서 땅콩수확기에서 주변속레버는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서도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HST에서의 사판의 각도 및 회전수와 관련되고, 주행본체(10)의 전진 및 후진, 그리고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레버이다.
작업자가 주변속레버(120)를 조작하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제1포텐셔미터(Sa)는 주행본체(10)가 전진한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포텐셔미터(Sa)의 감지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주변속레버(120)의 조작 신호는 직접 제어부(100)로 전달되어 실제 주행을 위한 다른 신호처리(엔진 및 HST 등)도 같이 진행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하여 일정 거리(예를 들면 1-2m) 주행하면서, 제어부(100)는 제1유압실린더(Ca)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까지 굴취프레임(20)을 하강시킬 것을 명령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00)가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한다는 것은 제1유압실린더(Ca)로의 오일의 출입 포트를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유압실린더(Ca)가 원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일정거리(예를 들면 1-2m) 주행본체(10)가 주행하게 되면, 굴착날(22)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깊이까지 지중으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굴착날(22)이 지중으로 들어가는 깊이는, 궁극적으로는 굴착프레임(20)의 경사 각도에 의하여 정해질 것이고, 이러한 굴착프레임(20)의 경사 각도는 제어부(110)에 미리 저장된 값이다. 따라서 제2포텐셔미터(Sb)에 의하여 감지되는 값이 정해진 경사에 이르기까지, 제1유압실린더(Ca)는 굴착프레임(20)을 경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굴착프레임(20)이 정해진 경사도를 가지게 되면, 굴착날(22)도 정해진 깊이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2유압실린더(Cb)는 감지휠(40)이 기준위치에 세팅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즉, 제2유압실린더(Cb)가 동작함으로써, 상하 휠프레임(44) 및 좌우 휠프레임(46)이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연동돌기(47)가 슬롯(45) 내부에서 중앙위치에 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동돌기(47)의 위치를 기준위치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기준위치는 감지휠(4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실제 땅콩 수확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는 실제 수확을 위한 세팅이 완료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주변속레버(120)가 주행을 계속하는 상태로 있어도 유지되고, 주변속레버(120)가 중립상태로 되어 굴착날(22)이 현재 지중 깊이를 유지한 상태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는 실제 땅콩 재배지의 직전에 세팅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상태 이후에는 실제 주행 및 땅콩 수확이 진행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 땅콩수확기가 땅콩을 수확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굴취날(22)이 지중으로 일정 깊이 들어간 상태로 주행하면서 수확이 진행된다. 그러나 재배지의 경사도, 재배지의 흙의 상태 등에 따라서 굴취날(22)이 위치하는 지중 깊이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적 상태에 의하여 굴취날(22)의 깊이가 변하는 것은 효율적인 땅콩 수확을 방해할 수 있다.
즉, 땅콩의 수확 동작에서는, 굴취날(22)이 정해진 깊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행본체(10)의 주행에 대하여, 굴취날(22)이 정해진 깊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굴착날(22)의 깊이 제어를 수행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휠(40)은 휠지지링크(42)가 상하 휠프레임(44)의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상하 휠프레임(44)에 대하여 항상 정해진 기준위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준위치는, 예를 들면 휠지지링크(42)와 연결되어 있는 연동돌기(47)가 슬롯(50)에서 정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감지휠(40)의 기준위치는, 휠 지지링크(42)에 설치된 연동돌기(47)가 제3포텐셔미터(Sc)의 포크(Sp)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제어부(100)에서 항상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에 따른 외부 환경에 의하여, 굴착날(22)이 정해진 깊이보다 더 깊에 땅속을 파고 들어갈 수 있다. 굴착날(22)이 정해진 기준 깊이 이상으로 땅을 파고 들게 되면, 지면과 접촉하면서 구름 접촉하는 감지휠(40)은 상대적으로 높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 즉, 굴착날(22)과 감지휠(4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서 감지휠(40)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감지휠(40)의 상승은 상하휠프레임(44)의 내부에서 연동돌기(47)를 상승시키게 된다.
연동돌기(47)가 상승하게 되면, 제3포텐셔미터(Sc)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3포텐셔미터(Sc)를 통하여 감지휠(40)이 상승하였다는 신호를 접수한 제어부(100)는,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하여 굴취프레임(10)이 상승하도록 한다. 굴취프레임(10)이 상승하게 되면, 실제로는 굴취날(22)도 같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굴취날(22)의 상승은 제3포텐셔미터(Sc)에 의하여 감지된다.
굴취날(22)의 상승을 감지휠(40)을 통하여 감지하는 제3포텐셔미터(Sc)의 감지값은 다시 제어부(100)로 피드백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감지휠(40)이 기준위치에 오게 되면[연동돌기(47)가 기준위치에 오게 되면], 제3포텐셔미터(Sc)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제어부(100)는 굴취프레임(20)을 정지시키도록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는 굴착날(22)이 기준 깊이보다 더 깊에 내려가는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외부 환경에 의하여 굴착날(22)이 기준 깊이보다 상승하여 더 얕은 깊이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제어를 실시하는 것은 당연하고, 이러한 제어는 굴취날(22)이 기준 깊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드백 제어를 정리하면, 감지휠(40)이 항상 기준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부(100)는 제3포텐셔미터(Sc)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함으로써, 굴취날(22)이 정해진 깊이(기준 깊이)로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주행본체
20 ..... 굴취프레임
26 ..... 연동링크
28 ..... 지지축
40 ..... 감지휠
42 ..... 휠 지지링크
44 ..... 상하 휠프레임
46 ..... 좌우 휠프레임
47 ..... 연동돌기
48 ..... 지지축

Claims (4)

  1. 주행본체(10)와;
    주행본체(10)의 전후진을 위하여 조작되는 주변속레버;
    주변속레버의 전진 또는 후진상태를 감지하는 주변속레버 감지센서(Sa);
    주행본체(10)에 대하여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단부에 설치되어 수확을 위하여 지중으로 파고 들어가는 굴취날(22)과, 굴취날(22)의 상부에서 지면을 따라 주행하는 감지휠(40)를 구비하는 굴취프레임(20);
    굴취프레임(20)의 경사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굴취프레임 감지센서(Sb);
    주행본체(10)에 대하여 굴취프레임(20)을 지지축(28)을 중심으로 경사시킴으로써, 굴취날(22)의 지중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유압실린더(Ca); 그리고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로 구성되고;
    제어부(100)는, 실제 수확작업이 진행되는 곳의 일정 거리 앞에서, 주변속레버 감지센서(Sa)에 의하여 전진이 감지되면 제1유압실린더(Ca)를 이용하여 굴취프레임(20)을 회전시켜서 굴취프레임 감지센서(Sb)에 의하여 감지되는 값이 정해진 경사에 이르기까지 굴취날(22)이 지중으로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휠프레임(44,46)은, 지지축(48)에 의하여 굴취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 휠프레임(46)과, 좌우 휠프레임(46)의 단부에서 연장된 상하 휠프레임(44)으로 구성되고;
    감지휠(40)은, 상하 휠프레임(44)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휠 지지링크(42)에 의하여 지지되는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굴취날(22)이 지중으로 들어가도록 제어하기 전에, 실제 수확작업이 진행되는 곳의 일정 거리 앞에서 운전석 조작장치(110)의 조작이 감지되면 굴취날(22)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굴취프레임(20)을 하강시키도록 제어하는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4. 주행본체(10)와;
    주행본체(10)에 대하여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단부에 설치되어 수확을 위하여 지중으로 파고 들어가는 굴취날(22)과, 굴취날(22)의 상부에서 지면을 따라 주행하는 감지휠(40)를 구비하는 굴취프레임(20);
    굴취프레임(20)의 경사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굴취프레임 감지센서(Sb);
    주행본체(10)에 대하여 굴취프레임(20)을 지지축(28)을 중심으로 경사시킴으로써, 굴취날(22)의 지중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유압실린더(Ca);
    감지휠(40)을 굴취프레임(20)에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축(48)에 의하여 굴취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 휠프레임(46)과, 좌우 휠프레임(46)의 단부에서 연장된 상하 휠프레임(44)으로 구성되는 휠프레임(44,46);
    감지휠(40)을 지지하고, 상하 휠프레임(44)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기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휠 지지링크(42);
    상하 휠프레임(44)의 내부에 들어간 휠 지지링크(4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휠지지링크 감지센서(Sc); 그리고
    굴취프레임(20)과 좌우 휠프레임(46)사이에 설치되어, 휠 지지링크 감지센서(Sc)의 신호에 기초하여, 휠 지지링크(42)를 기준위치로 세팅하기 위한 제2유압실린더(Cb)로 구성되는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KR1020180138656A 2018-11-13 2018-11-13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KR102187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656A KR102187733B1 (ko) 2018-11-13 2018-11-13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656A KR102187733B1 (ko) 2018-11-13 2018-11-13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842A KR20200055842A (ko) 2020-05-22
KR102187733B1 true KR102187733B1 (ko) 2020-12-08

Family

ID=7091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656A KR102187733B1 (ko) 2018-11-13 2018-11-13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7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329A (ja) * 2000-02-28 2001-08-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接地式刈高さセンサー構造
JP2007236333A (ja) * 2006-03-10 2007-09-20 Yanmar Co Ltd 自走式収穫機
JP2008271840A (ja) * 2007-04-27 2008-11-13 Yanmar Co Ltd 根菜収穫機
KR101833133B1 (ko) * 2016-06-24 2018-02-27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327A (ko) * 2008-11-05 2010-05-13 윤태욱 굴취 깊이 조절기구를 갖는 수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329A (ja) * 2000-02-28 2001-08-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接地式刈高さセンサー構造
JP2007236333A (ja) * 2006-03-10 2007-09-20 Yanmar Co Ltd 自走式収穫機
JP2008271840A (ja) * 2007-04-27 2008-11-13 Yanmar Co Ltd 根菜収穫機
KR101833133B1 (ko) * 2016-06-24 2018-02-27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842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3345A1 (en) Ripper autodig system implementing machine acceleration control
CA2867728C (en) Snow plow
JP6521691B2 (ja) ショベル
KR102190060B1 (ko) 초기세팅 기능을 가지는 땅콩수확기
KR102187733B1 (ko)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
EP2876212B1 (en) Snow plow
KR20210000439A (ko) 땅콩수확기의 굴착 깊이 조절장치
KR20240032733A (ko) 굴착기 및 다른 동력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04588A1 (en) Automatic Depth and Traction Control for Ripping Machines
JPS63287407A (ja) 耕耘機におけるロ−タリ−カバ−装置
JP3632779B2 (ja) 移動農機
JP2016015956A (ja) 移植機
JP7142596B2 (ja) 移植機
JP3578706B2 (ja) 作業車のローリング制御構造
JP2003339206A (ja) 作業機の制御装置
JP4589175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KR20240024073A (ko) 굴착기 및 다른 동력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444637B2 (ja) 移植機
JP2527042B2 (ja) 対地作業機の油圧昇降制御装置
JP3408863B2 (ja) 田植機の昇降制御システム
JP2564818B2 (ja) 畑用歩行型苗植機
JP2016098507A (ja) 対地作業車両
JP2009240180A (ja) 田植機
JP2000236716A (ja) 苗植機のローリング制御装置
JPH0771419B2 (ja) 苗植機等のロ−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