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446B1 - 결구야채 수확기 - Google Patents

결구야채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446B1
KR100270446B1 KR1019930014751A KR930014751A KR100270446B1 KR 100270446 B1 KR100270446 B1 KR 100270446B1 KR 1019930014751 A KR1019930014751 A KR 1019930014751A KR 930014751 A KR930014751 A KR 930014751A KR 100270446 B1 KR100270446 B1 KR 10027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abbage
harvester according
vegetable
harv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215A (ko
Inventor
토시유키 코부치
토오루 아베
야스오 미사와
Original Assignee
코바시 이치로오
고바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232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08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155292U external-priority patent/JP256599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611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604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611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57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576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02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10281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118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1028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11816A/ja
Application filed by 코바시 이치로오, 고바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바시 이치로오
Publication of KR94000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cabbage or lettu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확기는, 그 후방부가 기체에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프레임을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유압실린더를 보유한다. 그리고, 한 쌍의 스크루우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는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결구야채를 뽑아내는 뽑음부와 뽑아낸 야채를 장치의 후방부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후방부에는 야채를 처리하기 위한 작업부가 설치된다.

Description

결구야채 수확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수확기의 측면도.
제3도는 수확기의 평면도.
제4도는 수확기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제5도는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 평면도.
제7도는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 변형예의 평면도.
제8도는 스크루우컨베이어의 부분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제2실시예의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1도는 스크루우컨베이어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부분의 평면도.
제13도는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컨베이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16도 및 제17도는 회전방향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제18도는 스크루우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확기 2 : 기체
2a : 크로올러 3 : 엔진
4 : 오일펌프 5 : 변속기
6 : 스크루우컨베이어 7 : 조종부
8 : 작업대 9 : 컨테이너
10 : 포오크리프트 11 : 가이드
12 : 회전날 13 : 스크루우
14 : 지지프레임 18 : 유압실린더
22 : 레이킹리일 24 : 지지아암
27,28 : 아치 33 : 호울딩벨트장치
36 :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 37 : 이랑추적휘일
43 : 유압실린더
본 발명은, 양배추, 양상치, 호배추 등의 결구(結球)야채를 수확하기 위한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결구야채를 수확하기 위한 수확기로서 각종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종래의 수확기는, 포장(圃場)에 식생(植生)하고 있는 양배추를 뽑아내어 그 양배추를 수확기의 후방으로 반송하는 한 쌍의 스크루우컨베이어를 보유하며, 양배추의 근경부(根莖部)를 결구부로부터 절단해서, 처리된 양배추를 컨테이너 내에 수용한다.
종래의 수확기에서는, 근경부가 결구부 직하(直下)에서 정확하게 절단되지 못하고, 또한 결구부가 손상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결구야채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機體)와, 기체를 지지 및 이동시키는 한 쌍의 크로올러(crawler)와, 변속기를 통해 크로올러를 구동시키는 엔진을 보유하는 결구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뒷부분이 기체인 회전작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지지프레임과,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프레임을 지지하는 유압실린더장치와,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각각 복수의 스크루우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스크루우컨베이어로 구성되며 결구야채를 뽑아내는 뽑음부(pickup section)와 뽑아낸 야채를 장치의 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있는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와, 각각의 스크루우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과, 뽑아낸 야채를 처리하기 위해 기체의 후방에 설치된 작업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결구야채 수확기(1)는, 기체(2)와, 기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기체(2)의 하부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크로올로(2a)(2a)를 보유하고 있다. 또, 기체(2)의 중앙부에 엔진(3)을 탑재해서, 변속기(5)를 통해 크로올로(2a)와 수확기(1)의 다른 부분에 엔진(3)의 동력을 전달한다.
변속기(5)는, 벨트와 풀리장치를 통해 그 입력축이 엔진(3)이 접속되는 유압무단변속장치(HST)와, 변속기어장치, 한 쌍의 조향클러치, 자동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력을 연속적으로 전달할 뿐 아니라, 불연속적으로도 전달한다. 그리고, 차동장치의 케이스에는 브레이크장치가 자동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변속기(5)내에는 오일펌프(4)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2)의 상부, 엔진(3) 측방에는 수확기(1)를 조종하기 위한 조종부(7)가 설치되어 있다. 조종부(7) 후방에는 운전자가 올라서는 발판(40)이 설치되고, 그 발판(40) 위에는 의자형상의 운전석(41)이 장착되어 있다. 이 운전석(41)은 운전자가 착석하고 있는 동안에 시선방향을 변화할 수 있도록 선회하게 되어 있다.
기체(2)의 전반에는, 포장에서 결구야채를 뽑아내어 수확기(1)위로 반송하는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36)가 장착되어 있다.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36)는, 결구야채를 뽑아내고 뽑혀진 결구야채를 반송하는 한 쌍의 스크루우컨베이어(6)와, 결구야채를 뽑을 때 결구부를 긁어모으기 위한 레이킹리일(raking reel)과, 반송되는 결구부를 누르기 위한 호울딩벨트장치(33)로 구성된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36)는 아래쪽으로 경사진 한 쌍의 지지프레임(14)을 보유한다. 프레임(14)은 스크루우컨베이어를 따라 뻗도록 조인트(25)에서 구부러져 있다. 스크루우컨베이어의 각 스크루우는 상응하는 프레임(14)에 부착되어 있다. 각 프레임(14)은 그 후단부에 한 쌍의 브래킷(16)을 보유하여서, 축(17)의 주위로 회전작동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또한, 프레임(14)은 기체(2)에 장착된 한 쌍의 진퇴가 자유로운 유압실린더(18)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스크루우컨베이어(6)는 수직면내에서 그 선단을 승강시키기 위해 축(17) 주위로 회전작동 되도록 되어 있다.
각 지지프레임(14)의 선단에는 가이드(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11)의 경사는 적당히 조절될 수 있다.
제6도를 참조하면, 각 가이드(11), 포장의 흙을 수확기(1)의 좌우측으로 안내하는 스위퍼(sweeper)(11b)와, 스위퍼(11b)의 상부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캡(11c)과, 캡(11c)으로부터 돌출되는 로드(11a)를 보유하고 있다.
로드(11a)는 바깥쪽을 향해 V자 형상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한쪽 가이드(11)에는 결구야채를 파내기 위해 로드(11a)(11a) 사이에 돌출되어 있는 굴취날(digger blade)(11d)이 장착되어 있다. 각 스크루우컨베이어(6)는 4개의 스쿠루우(13a)(13b)(13c)(13d)로 분할되어서, 스크루우가 파손되었을 때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11)의 캡(11c)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스쿠루우(13a)는 축에 의해 스크루우(13b)에 접속되어 있고, 스크루우(13c)도 축에 의해 스크루우(13d)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크루우(13b)는 유니버설조인트(23)에 의해 스크루우(13c)에 접속되어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각도로 경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크루우(13b)의 스크루우피치는, 나머지 스크루우의 스크루우피치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한쪽 스크루우컨베이어의 스크루우 길이는 다른 쪽 스크루우컨베이어의 대응하는 스크루우와 다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우(13a)(13b)가 뽑음부(6a)를 형성하고, 스크루우(13c)가 제1반송부(6b)를, 또한 스크루우(13d)가 제2반송부를 형성하고 있다.
각 스크루우는 3개의 축(15)에 의해 프레임(14)에 탄성적으로 부착된다.
특히, 스크루우(13a)(13b)사이 및 스크루우(13b)(13c)사이에 설치된 축과 유니버설조인트(23)로부터 뻗어있는 축상에는 링(15b)들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각 링은, 프레임(14)에 고착되어 있는 축(15)에 접속되어 있다. 각 축(15) 주위에는 스프링(15a)이 설치되어서, 스크루우컨베이어(6) 사이의 거리가 반송하는 야채의 크기에 따라 확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쪽 프레임의 후단부의 아래 부분에는 기체(2)에 장착되는 변속기(5)에 접속된 변속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변속장치(19)의 출력축은 체인장치를 통해 구동기구(20)(20a)에 접속되어 있고, 구동기구(20)는 스크루우(13d)를 앞쪽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베벨기어장치(21)를 통해 스크루우(13d)에 접속되어 있다. 또, 구동기구(20a)는 대응하는 스크루우의 반대쪽 스크루우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베벨기어장치(21a)를 통해 다른쪽 스크루우(13d)에 접속되어 있다. 작동시에는, 스크루우가 회전함에 따라서, 가이드(11)의 로드(11a)에 의해 파내어진 야채의 결구부는 조종부(7)쪽을 향해서 스크루우컨베이어(6)의 위쪽으로 반송된다.
제2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스크루우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야채의 근경부를 자동적으로 절단하기 위한 회전날(12)이, 제1반송부(6h)의 시단(始端)에 인접하는 한쪽 프레임(14)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다. 그 회전날은 휘어질 수 있는 와이어(35)를 통해 변속기(5)로부터 공급되는 엔진(3)의 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프레임(14)에 호울딩벨트장치(33)를 지지하도록 한 쌍의 아치(27)(28)가 장착되어 있다. 아치(27)(28)의 상부는 한 쌍의 평행파이프(2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호울딩벨트장치(33)는 스크루우컨베이어(6)와 나란하게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프레임(30)과 스크루우컨베이어(6)위로 반송되는 야채를 누르기 위해 프레임(30)상을 주행하는 무한호울딩벨트(26)로 구성된다. 뒤쪽 아치(27)의 내측레그(leg)에는 링크(31)의 한쪽 끝이 회전작동이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링크(31)의 다른쪽 끝은 프레임(30)의 후단에 회전작동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프레임(30)은 앞쪽 아치(28)의 상부에 부착된 한 쌍의 스프링(3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벨트와 스크루우 사이의 거리를 야채의 크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화 된다. 링크(31)는 프레임(30)의 중앙부 또는 전방부에 배치되어도 좋다. 벨트(26)는, 그 외측면 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는 복수의 직사각형 휘어질 수 있는 돌기(26a)를 보유하고 있다. 이 돌기는 불필요한 경우 생략할 수도 있다.
프레임(30)은 벨트(26)를 지지하는 전방 및 후방로울러(30a)(30b)를 보유한다. 후방로울러(30b)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와이어(34)를 통해 스크루루컨베이어(6)의 구동기구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로울러(30b)가 회전되면 벨트(26)의 하부가 스크루우와 동일한 속도로, 즉, 야채의 진행 속도로 뒤쪽을 향해 구동된다.
레이킹리일(22)은, 지지아암(24)과 전동케이스(24a) 및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36)를 통해 프레임(14)의 전방부에 장착되어 있다. 레이킹리일(22)은, 한 쌍의 휘일(22a)과, 지지아암(24) 및 전동케이스(24a)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허브와, 휘일(22a) 사이에 뻗어있는 복수의 원호형상 탄성튜우브(22b)를 보유하여 케이지(cage)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아암(24)과 전동케이스(24a)는, 호울딩벨트장치(33)의 전방아아크(28)에 부착된 한 쌍의 스프링(24b)에 의해 지지된다.
전동케이스(24a)는, 스크루우컨베이어(6)의 구동기구(20)로부터 외측휘일(22a)에 엔진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장치를 수용한다. 프레임(14)의 전방부에는 한 쌍의 측면연결부재(39)가 고정되고, 각 연결부재(30)에는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로드(39a)를 통해 이랑추적휘일(ridge tracing wheel)(37)이 연결되어 있다. 휘일(37)이 포장의 이랑의 양측부를 따라 굴러서, 수확기(1)가 운전 중에 포장의 이랑을 자동적으로 추적하므로, 운전자가 수확기의 구동 중에 포장의 야채에 대한 작업을 할 수 있다. 각 휘일(37)의 차축은 캠버각과 같이 수평면내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휘일(37) 사이의 거리는 연결부재(39)를 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스크루우컨베이어(16) 뒤쪽에는 운전자가 야채의 근경부를 절단하는 작업대(8)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대 위에는 격자(8a)가 설치되어 있는데, 생략할 수도 있다. 또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8)의 후방에는, 포오크리프트(10)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수직경사레일(42)이 설치되어 있다. 포오크리프트(10)는 로울러와 체인장치를 통해 유압실린더(43)에 연결되어서, 각 레일(42)에 형성된 수직홈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포오크리프트(10)에는 뽑아낸 야채를 그 내부에 수용 보관할 수 있도록 약 200kg의 용량을 보유하는 대형의 컨테이너(9)가 장착된다. 포오크리프트(10)는, 제2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축(10a)을 중심으로 작업대(8) 쪽으로 접힌다.
스크루우컨베이어(6)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제7도를 참조하면, 각 스크루우컨베이어는 5개의 스크루우(13a)∼(13e)로 구성된다. 스크루우(13a)는 V자 형상으로 개방된다. 각 프레임(14)에는, 구동축(14a)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구동축(14a)의 후단은 베벨기어장치(21b)를 통해 구동기구(20)(20a)에 연결되고, 그 선단은 베벨기어장치(21c)를 통해 스크루우(13a)의 선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선단스크루(13a)는 구동기구(20)(20a)에 의해 회전된다.
제8도를 참조하면, 스크루우컨베이어(6)의 변형된 스크루우(45)는, 뽑음스크루우(pickup screw)(45A), 제1반송스크루우(45B), 제2반송스크루우(45C)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크루우는 그 끝부분에 축구멍을 보유한다. 스크루우컨베이어(6)의 프레임(14)에 연결된 중공지지부재(45a)는 드러스트/레이디얼 부싱(45d)과 0-링(45c)를 개재하여 제2반송스크루우(45C)의 후단구멍 내에서 지지되고 있다. 지지부재(45a)는 조인트(45e)를 통해 스크루우에 부착된 휘어질 수 있는 관(45f)가 설치되는 구멍(45b)을 보유한다. 가요성관(45f)에는 제2반송스크루우(45C)를 회전시키기 위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공급된다. 제1반송스크루우(45B)를 제2반송스크루우(45C)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기 위해서, 스크루우컨베이어(6)의 프레임(14)에 연결된 중공지지부재(45a)가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스크루우(45B)(45C)의 구멍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휘어질 수 있는 관(45f)이 조인트(45e)를 통해 스크루우(45C)(45B)에 연결되어서, 스크루우(45B)를 회전시킨다.
뽑음스크루우(45A)의 구멍내에는 다수의 분기(branch)를 보유하는 중공지지부재(45a)가 삽입된다. 휘어질 수 있는 관이 설치되는 한쪽 분기는 제1반송스크루우(45B)의 구멍내에 삽입되어 드러스트/레이디얼부싱(45d) 및 0-링(45c)에 의해 지지되어서, 스크루우(45A)를 스크루우(45B)에 연결한다.
다른쪽 분기에는 엔진의 동력이 공급되는 휘어질 수 있는 관(45f)이 설치되어 스크루우(45A)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뽑음스크루우(45A)는 제1 및 제2반송스크루우(45B)(45C)와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즉, 뽑음스크루우(45A)는 외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및 제2반송스크루우(45B)(45C)는 내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뽑음스크루우(45A)는 스크루우(45B)(45C)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수확기(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수확기(1)를 포장 쪽으로 운행할 때, 유압실린더(18)는 스크루우컨베이어(6)의 프레임(14)이 축(17)을 중심으로 해서 위쪽으로 회동하도록 확장된다. 다라서, 프레임(14)과 그 끝의 가이드(11)가 들어 올려진다. 이와 동시에 이랑추적휘일(37)도 들어 올려져 지면에서 떨어진다. 그 결과, 수확기(1)가 크로올러(2a)에 도로 및 포장위를 용이하게 주행될 수가 있다. 양배추 등과 같은 결구야채를 수확하는 포장에서, 이랑추적휘일(37)사이의 걸리는 이랑의 폭과 일치하도록 조절된다. 유압실린더(18)를 수축시켜서, 이랑추적휘일(37)의 이랑의 양측분에 내려놓고, 가이드(11)의 로드(11a)와 뽑음스크루우(13a)의 전방부를 지면에 삽입시킨다.
엔진(3)이 전방으로 구동되면, 수확기(1)는 크로올러(2a) 위로 주행한다. 이와 동시에, 스크루우컨베이어(6), 호울딩벨트장치(26) 및 레이킹리일(22)도 구동된다. 로드(11a)는 양측으로부터 그 루우트(root)부에서 양배추의 결구부를 파지한다. 수확기(1)가 앞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로드(11a)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11)의 굴취날(11d)이 근경부를 절단하고, 스위퍼(11b)가 가이드(11)로부터 흙을 옆쪽으로 밀어낸다. 레일킹리일(22)은 결구부를 지면으로부터 잡아 뽑아서 스크루우(13) 위로 얹어 놓도록 결구부를 긁어 모은다. 스크루우컨베이어(6)의 회전에 의해서, 양배추의 결구부는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36)의 후방쪽을 향해 스크루우 상에서 위쪽으로 반송된다. 호울딩벨트장치(36)의 호울딩벨트(26)상의 돌기(26a)는 양배추의 자세를 조정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는데 유용하다. 스크루우 아래쪽의 회전날(12)도 회전되어서, 소정위치에서 벨트(26)에 의해 파지된 양배추의 근경부를 자동적으로 절단한다.
벨트(26)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34)가 휘어질 수 있는 와이어이므로, 호울딩벨트장치(33)는 양배추의 크기에 따라 소정범위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36)의 프레임은, 가이드(11)가 이랑추적후일(37)과 함께 수직방향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축(17)에 회전작동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따라서, 수확기(1)가 포장의 기복을 용이하게 추종할 수가 있어서, 효과적으로 야채를 수확할 수가 있다. 동력을 회전날(12)에 전달하는 휘어질 수 있는 와이어(35)는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36)가 수직방향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스크루우컨베이어의 끝부분에 도달하는 양배추의 결구부는 작업대(8)위로 낙하한다. 그러면, 작업자가 칼로 결구부의 하부줄기 및 최외측 잎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결구부를 포오크리프트(10)상의 컨테이너(9)내로 던져 넣고, 절단된 줄기 및 잎을 포장으로 내던진다.
컨테이너(9)가 텅 비어 있는 작업개시시에는 포오크리프트(10)를 위쪽으로 들어 올려서, 컨테이너 내로 야채가 낙하할 때 야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컨테이너 내의 처리된 결구부의 양이 증가하면 포오크리프트(10)를 점차적으로 하강시킨다. 포오크리프트(10)를 지지하는 사이드레일(42)은 경사져 있으므로, 수확기(1)의 무게중심은 야채가 뽑혀져서 수확기의 후부가 무거워지더라도 대략 중앙부에서 유지된다.
수확 도중에, 이랑추적휘일(37)은 이랑의 양측부위를 굴러서 이랑을 따라 기체(2)를 자동적으로 안내한다. 수확기(1)가 이랑 끝에 도달하면, 운전자가 주행방향을 전환한다. 그 이외에는, 운전자는 뽑아낸 야채를 처리하는 작업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수확작업에는 단지 한 사람의 작업자만이 필요하다. 컨테이너(9)가 야채로 가득 채워지면, 수확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유압실린더(18)를 확장시켜서,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36) 및 이랑추적휘일(37)을 들어 올린다. 그 후, 수확기(10)를 이랑쪽으로 주행시키거나, 수확이 종료된 포장이 한쪽 부분으로 주행시켜서, 포오크리프트(10)를 하강시켜 가득 찬 컨테이너(9)를 내려 놓고, 새로운 컨테이너를 재치해서 수확작업을 재개한다. 내려놓은 컨테이너(9) 내의 야채는 다른 작업자에 의해 포장되어 출하된다. 변속기(5)는, 크로올러(2), 엔진(3), 작업부(7), 중앙의 작업대(8) 및 후방의 포오크리프트(10)의 전방에 배설되므로, 수확기(1)는 기체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해 균형이 잘 유지된다. 따라서, 수확기의 작업성과 효율성뿐만 아니라 주행성, 조향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다. 또, 변속기(5)가 기체(2)의 종방향 중앙부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수확기(1)가 최소 반경으로 안정하게 선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제9도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호울딩벨트장치(33)에서, 프레임(30)에는 각각 스프링(51)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의 아암(50)이 회전작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각 아암(50)의 하단에는 한 쌍의 누름로울러(52)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로울러는 하부주행벨트를 스크루우컨베이어(6) 쪽으로 힘을 더하여 반송되는 결구야채를 누른다. 누름로울러(52)는 야채의 크기에 따라 위쪽으로 이동된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우(13a)는 헤드(13f)를 보유하고 있고, 가이드(11f)는 스크루우에 목초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11f)의 방지동작을 확실하기 위해 가이드(11f) 근방에는 사이드플레이트(53)가 부착된다. 벨브(26)의 위쪽에는 흙이 벨트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폰지로울러(60)가 설치되어 있다. 제13도, 제16도 및 제17도는 스크루우컨베이어의 여러 가지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제18도는 스크루우구동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뽑음스크루우(13a)는 스크루우(13b)(13c)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축(54)에 의해 구동되며, 기어(55)(56) 및 축(57)을 통해 변속기에 연결되어 있다. 스크루우(13b)(13c)는 축(59)을 통해 변속기에 연결된 기어(57)(58)에 의해 회전된다.

Claims (31)

  1. 기체(2)와, 기체를 지지 및 이동시키는 한 쌍의 크로올러(2a)와, 변속기(5)를 통해 크로올러를 구동시키는 엔진(3)을 보유하는 결구야채 수확기에 있어서, 뒷부분이 기체에 회전작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지지프레임(14)과,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프레임을 지지하는 유압실린더장치(18)와,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각각 복수의 스크루우(13a)(13b)(13c)(13d)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스크루우컨베이어(6)로 구성되며 결구야채를 뽑아내는 뽑음부(16a)와 뽑아낸 야채를 장치의 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부(6b)(6c)를 구비하고 있는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36)와, 각각의 스크루우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과, 뽑아낸 야채를 처리하기 위해 기체의 후방에 설치된 작업부(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처리된 야채를 수용하기 위해 작업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컨테이너(9)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스쿠루우컨베이어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결구야채의 근경부를 절단하는 절단날(1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4. 제1항에 있어서,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의 반송부 위쪽에 설치되는 무한벨트를 보유하는 호울딩벨트장치(3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5. 제1항에 있어서, 포장의 이랑을 추적하기 위해서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의 뽑음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휘일(37)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6. 제1항에 있어서, 수확기(1)를 조종하기 위해서 작업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조종장치(7)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7. 제1항에 있어서, 컨테이너(9)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리프트(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8. 제1항에 있어서, 결구야채를 파내기 위해 뽑음부의 아래에 설치되는 굴취날(11d)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9.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전단날(12)과 전기한 호울딩벨트장치의 벨트(26)를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제1구동수단은 뽑음부의 스크루우와 반송부의 스크루우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반송부는 뽑음부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12. 제1항에 있어서, 한쪽 스크루우컨베이어의 스크루우의 길이는 다른쪽 스크루우컨베이어의 대응하는 스크루우의 길이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13. 제1항에 있어서, 한쪽 스크루우컨베이어의 스쿠루우의 경사각은 다른쪽 스크루우컨베이어의 대응하는 스크루우의 경사각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스크루우컨베이어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프레임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1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크루우컨베이어의 전기한 스크루우는 서로 작동적으로 접속되고, 전기한 제1구동수단은 각각의 스크루우컨베이어를 그 후단에서 구동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16.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뽑음부의 위쪽에는 결구야채를 긁어 모으기 위해서 설치되는 레이킹리일(2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17. 제1항에 있어서, 뽑음부의 양측 스크루우는 V자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18. 제1항에 있어서, 뽑음부의 앞부분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돌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1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19.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엔진(3)은 기체의 중앙부에 배설되고, 전기한 변속기(5)는 기체의 앞부분에 배설되며, 전기한 작업부는 기체의 옆부분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0. 제1항에 있어서, 반송부의 스크루우는 그 후단이 제1구동수단에 작동적으로 접속되고, 뽑음부의 스크루우는 그 앞부분이 제1구동수단에 작동적으로 접속되어서 각각 구동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1. 제1항에 있어서, 뽑음부 및 반송부의 스쿠루우는 반송속도를 변환시키기 위해 서로 피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2. 제4항에 있어서, 호울딩벨트장치는 그 후단부가 기체에 회전작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3. 제4항에 있어서, 호울딩벨트장치의 벨트(2)는 복수의 레이킹돌기(26b)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4. 제4항에 있어서, 호울딩벨트장치의 벨트를 스크루우컨베이어장치 쪽으로 힘을 더하기 위한 복수의 누름로울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5. 제4항에 있어서, 호울딩벨트장치는 수직하게 이동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6. 제4항에 있어서, 호울딩벨트장치는 그 앞부분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그 후방부가 링크(31)를 통하여 기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7. 제5항에 있어서, 각 휘일(37)은 수직위치로 조절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8. 제9항에 있어서, 제2구동수단은 절단날과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해 휘어질 수 있는 와이어(35)(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29. 제16항에 있어서, 레이킹리일은 대향하는 원형휘일(22a)(22a)과 원형휘일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관(2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30.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115)의 옆쪽에 설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5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31. 제20항에 있어서, 뽑음부의 스크루우를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수단의 일부는 지지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구야채 수확기.
KR1019930014751A 1992-07-30 1993-07-30 결구야채 수확기 KR100270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23235 1992-07-30
JP4223235A JP2910889B2 (ja) 1992-07-30 1992-07-30 結球野菜収穫機
JP92-71552 1992-09-18
JP7155292U JP2565997Y2 (ja) 1992-09-18 1992-09-18 野菜収穫機におけるスクリューコンベア
JP93-36112 1993-02-01
JP93-36111 1993-02-01
JP03611193A JP3160410B2 (ja) 1993-02-01 1993-02-01 結球野菜収穫機
JP03611293A JP3305793B2 (ja) 1993-02-01 1993-02-01 結球野菜収穫機
JP93-45768 1993-02-10
JP04576893A JP3290232B2 (ja) 1993-02-10 1993-02-10 結球野菜収穫機
JP5102819A JPH06311817A (ja) 1993-04-28 1993-04-28 結球野菜収穫機
JP5102818A JPH06311816A (ja) 1993-04-28 1993-04-28 結球野菜収穫機
JP93-102819 1993-04-28
JP93-102818 1993-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215A KR940005215A (ko) 1994-03-21
KR100270446B1 true KR100270446B1 (ko) 2000-12-01

Family

ID=2756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751A KR100270446B1 (ko) 1992-07-30 1993-07-30 결구야채 수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04700A (ko)
EP (1) EP0584965B1 (ko)
KR (1) KR100270446B1 (ko)
DE (1) DE69305296T2 (ko)
ES (1) ES209558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0294B1 (fr) * 1995-10-26 1997-12-19 Abc Metal Sarl Systeme de cueillette de choux brocolis
US5799474A (en) * 1996-05-14 1998-09-01 Tanimura & Antle, Inc. Baby greens harvester
US6199703B1 (en) 1997-09-24 2001-03-13 Gregory M. Boese Vegetable harvester
US6003293A (en) * 1996-09-25 1999-12-21 Boese; Gregory M. Vegetable harvester
DE19959873A1 (de) * 1999-12-10 2001-06-13 Basf Ag Oxidationsreaktionen unter Verwendung von gemischtleitenden sauerstoffselektiven Membranen
US20070251203A1 (en) * 2006-04-26 2007-11-01 Deere &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Dual conveyor system for a combine feeder house
US7555888B1 (en) 2008-03-18 2009-07-07 Boese Aaron M Pull type pepper harvester
US20120102907A1 (en) 2010-10-28 2012-05-03 Dole Fresh Vegetables, Inc. Mechanical Produce Harvester
US8312701B1 (en) * 2011-06-10 2012-11-20 Dole Fresh Vegetables, Inc. Decoring mechanism with mechanized harvester
CN103797968A (zh) * 2014-01-02 2014-05-21 黑龙江省畜牧机械化研究所 半悬挂式大白菜收获机
CN105248040B (zh) * 2015-11-20 2017-03-22 启东市机关液化气有限责任公司 一种白菜自动收割机
CN106068877B (zh) * 2016-06-17 2018-02-16 福建农林大学 根茎类作物收获机
CN108307784A (zh) * 2018-04-24 2018-07-24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 一种农业自动化菠萝采摘机器
CN109906746B (zh) * 2019-04-30 2024-03-01 山东农业大学 一种工作时免弧度调头的垄作胡萝卜收获机及使用方法
CN110100571B (zh) * 2019-06-11 2021-11-16 四川农业大学 一种新型自动化甘蓝收获机
CN110741806B (zh) * 2019-11-25 2024-05-31 桂林航天工业学院 旋转轨道式桑叶采摘机
CN112604987A (zh) * 2020-12-17 2021-04-06 广州市永合祥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大田菠萝采收车
DE102022102727B3 (de) 2022-02-05 2023-04-20 Karl-Wilhelm Türks Erntemaschine für Kohlkopf-Gemüse, und Verfahren zum Ernten von Kohlkopf-Gemüs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9117A (en) * 1968-04-09 1971-06-29 William R Wadsworth Harvesting apparatus
GB1242491A (en) * 1969-03-14 1971-08-11 Leonardus Adrianus Dingeman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s for harvesting, planting and treating crops
DE2133285C2 (de) * 1971-07-05 1982-11-04 Heinrich 3052 Bad Nenndorf Bleinroth Erntemaschine für Kopfkohl
US3731477A (en) * 1972-01-24 1973-05-08 J Coon Harvester for headed vegetables
US3827503A (en) * 1972-07-27 1974-08-06 C Hansen Harvesting machine for cabbage, or the like
US3858660A (en) * 1972-09-14 1975-01-07 William F Wadsworth Feed conveyor apparatus
US3821987A (en) * 1972-12-04 1974-07-02 Cornell Res Foundation Inc Lettuce harvesting apparatus
US3855760A (en) * 1973-04-05 1974-12-24 Reynolds Tobacco Co R Pepper harvester
FR2628933B1 (fr) * 1988-03-25 1991-11-08 Maine Loire Chambre Agricultur Dispositif pour recolter des ombelles, notamment d'oignons ou de poireau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5296D1 (de) 1996-11-14
KR940005215A (ko) 1994-03-21
DE69305296T2 (de) 1997-02-13
ES2095581T3 (es) 1997-02-16
EP0584965A1 (en) 1994-03-02
US5404700A (en) 1995-04-11
EP0584965B1 (en) 199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446B1 (ko) 결구야채 수확기
US2241423A (en) Self-propelled cotton picking machine
JP2008289416A (ja) 野菜収穫機
US4180965A (en) Tobacco harvester
US2708504A (en) Automatic power corn rake device
KR200224977Y1 (ko)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JP2000316355A (ja) ねぎ収穫機の畝崩し装置
JPH02174607A (ja) 葉たばこ収穫装置
JP4194170B2 (ja) 歩行型結球野菜収穫機
CA1096182A (en) Tobacco harvester
JP3455342B2 (ja) 農産物収穫機
JP3353776B2 (ja) 苗箱並べ機
JP3667438B2 (ja) 走行式芋蔓処理機
US2580432A (en) Beet harvester with lifter
JP2861802B2 (ja) 苗箱並べ機
JP3160410B2 (ja) 結球野菜収穫機
JP3305795B2 (ja) 結球野菜収穫機
JP3290232B2 (ja) 結球野菜収穫機
JP3305793B2 (ja) 結球野菜収穫機
JP3273819B2 (ja) 結球野菜収穫機
JP3541058B2 (ja) 自走式根菜収穫機
JP3513458B2 (ja) 根菜類収穫機
JP2586350Y2 (ja) 農産物収穫機
JP2891232B2 (ja) 苗箱並べ機
JP2852988B2 (ja) 結球野菜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