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947B1 -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947B1
KR101716947B1 KR1020150013758A KR20150013758A KR101716947B1 KR 101716947 B1 KR101716947 B1 KR 101716947B1 KR 1020150013758 A KR1020150013758 A KR 1020150013758A KR 20150013758 A KR20150013758 A KR 20150013758A KR 101716947 B1 KR101716947 B1 KR 10171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coupling
blade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847A (ko
Inventor
이천희
Original Assignee
이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희 filed Critical 이천희
Priority to KR102015001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9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3/00Harvest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부속장치를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기 위한 부착판(101)과, 적재함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기 위한 안착부(10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103)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스탠드(20)와; 상기 본체(10)를 밀어서 이동하기 위한 핸들(3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레 형태의 본체 상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콤팩트한 구조에 의해 운반이나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쟁기날이나 제초날 등 다양한 부속장치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케 함으로써 다용도로 활용 가능케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 {Manual walk-agricultural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으로 밀고 다니도록 구성된 수레 형태의 본체 상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쟁기날이나 제초날 등 다양한 부속장치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케 함으로써 다용도로 활용 가능케 한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농사에 필요한 모든 작업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많은 농작업이 기계화되었다.
일 예로서 과거 벼농사를 지을 때는 소의 힘을 이용하여 쟁기로 논을 갈고, 사람이 직접 논에 모를 심고, 다 자란 벼를 낫으로 베고, 베어낸 벼를 털어서 탈곡하는 등의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트랙터를 이용하여 논을 갈고, 사람이 모를 심던 것을 '이앙기'로 대신하게 되었으며, 벼를 낫으로 베고, 털어서 탈곡하던 것을 '콤바인'이 대신하는 등 많은 농작업에 있어서 영농기계화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기계를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영농기계화에도 불구하고, 급경사지에 농지가 형성되어 있거나, 농지의 크기나 형상이 농기계를 이용하기 불가능할 정도로 작고, 울퉁불퉁한 경우에는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모든 작업을 아직도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진행하게 된다.
대표적인 예로서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 존재하는 다랭이논과 같이 농지가 산비탈 등고선을 따라 원래 지형 그대로의 모습이 가지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농기계를 이용한 농사가 불가능한 지역이다.
이러한 농지에서는 일반적인 농기계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다만 물건이나 수확한 농작물 등을 운반하기 위한 손수레 정도만 사용 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생활 문화의 발전과 주 5일 근무제가 정착됨에 따라서 주말에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그에 따라서 도시 외곽에 존재하면서도 농업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서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농지를 33㎡(10평) 내외의 작은 크기로 분할하여 도시 지역 사용자들에게 텃밭 형태로 임대함으로써 주말에 교외에서 자신이 직접 먹을 농작물을 소규모로 재배하는 '주말농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말농장과 같이 도시에 사는 사용자가 주말마다 도시 외곽의 주말농장을 찾아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전문적인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고, 가족이 소비하기 위하여 쉽게 재배할 수 있는 농작물을 소규모로 재배하는 것이기 때문에 농기계를 쓰지 않고 재배가 가능한 상추, 고추 등 밭작물을 주로 재배하게 된다.
그러나 소규모라 하더라도 농사를 지어본 경험이 없는 주말농장 소유자가 밭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33㎡ 내외의 밭을 갈고, 작물을 심은 후, 잡초를 제거하고, 직접 수확하여 운반하는 작업을 기계의 도움 없이 수작업으로 할 경우에는 상당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주말농장을 경작하는 경우에는 값비싼 고가의 농기계를 이용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차량에 적재 가능한 크기의 작은 손수레 정도를 물건이나 수확한 농작물 등을 운반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고작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211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137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851호
농가나 소규모 주말농장을 경작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손수레는 기존에도 다양하게 개발된 바 있는데, 종래 기술이 적용된 손수레의 대표적인 예를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손수레(90)는 적재함(901)과, 상기 적재함(901)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902)와, 이 바퀴(902)의 후방에 양측으로 구비된 스탠드(903)와, 상기 적재함(901)의 후방에 구비된 2개의 손잡이(90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손수레는, 적재함에 옮기고자 하는 적재물, 예컨대, 농사에 필요한 각종 비료나 퇴비, 농기구 등을 적재한 후,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를 인력으로 약간 들어올린 후, 사용자가 미는 동작을 취하며 이동하면 바퀴가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며, 이동 과정에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은 손잡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재물을 운반을 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바퀴가 닿아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과, 손수레를 미는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진 논두렁이나 밭고랑 등과 같이 비교적 좁은 곳에서 적재물을 운반하는 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손수레는 적재함과 바퀴를 지지하며 손잡이를 연장하여 형성한 프레임이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주말농장을 경작하는 사용자와 같이 집과 농지 간의 거리가 멀어서 차를 이용하여 농지를 찾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종래의 손수레가 차의 트렁크 등에 적재하기에는 부피가 너무 크고, 무거워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수레는 적재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용도 이외의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그 크기나 부피에 비해서 실용성이나 기능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다수의 설치공(101a)을 구비한 부착판(101)과, 전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되 각각 좌우 일정 간격으로 돌출형 걸림돌부(102a)를 구비하여 다공성 벽체를 가진 상자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한 안착부(102)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공회전 가능케 설치한 바퀴(103)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일측에 회전부(201)를 회전 가능케 힌지 결합한 스탠드(20)와;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01)를 상기 본체(10) 일측에 회전 가능케 체결수단(302)으로 체결한 핸들(3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레 형태의 본체 상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콤팩트한 구조에 의해 운반이나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쟁기날이나 제초날 등 다양한 부속장치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케 함으로써 다용도로 활용 가능케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는 본체 상부에 적재함을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케 함과 동시에 핸들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전체 길이와 크기를 콤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소형 차량의 트렁크에도 쉽게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운반이나 보관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체에 쟁기날이나 제초날 등 다양한 부속장치들을 탈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농기계를 사용하기 곤란한 특이농지나 소규모 농지에서 기계 없이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한 대로 적재물의 운반뿐만 아니라, 논밭을 갈고 잡초를 제거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함으로써 실용성이나 기능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의 실시 예에 따른 상자 설치 상태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의 실시 예에 따른 쟁기 설치 상태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날 설치 상태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의 실시 예에 또 다른 제초날 설치 상태 측면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손수레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는 부속장치를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기 위한 부착판(101)과, 적재함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기 위한 안착부(10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103)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스탠드(20)와; 상기 본체(10)를 밀어서 이동하기 위한 핸들(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10)는 다수의 설치공(101a)을 구비한 부착판(101)과, 전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되 각각 좌우 일정 간격으로 돌출형 걸림돌부(102a, 102b)를 구비하여 다공성 벽체를 가진 상자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한 안착부(102)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공회전 가능케 설치한 바퀴(103)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판(101)의 설치공(101a)은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를 형성하되, 설치공(101a)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102)는 상기 부착판(101)의 상부에 전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되, 전방 안착부(102)에는 좌우 일정 간격으로 한 쌍의 걸림돌부(102a)를 상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후방 안착부(102)에는 좌우 일정 간격으로 한 쌍의 걸림돌부(102b)를 전방으로 돌출 형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후방 안착부(102)의 걸림돌부(102b) 하부에는 요입홈(102c)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다공성의 바닥판과 벽체로 구성된 일반적인 플라스틱상자(40)를 상기 안착부(102)에 거치하면 상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102a)는 플라스틱상자(40)의 바닥판에 형성된 구멍(401)에 끼워지고, 상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102b)는 플라스틱상자(40)의 일측벽에 형성된 구멍(402)에 끼워지거나, 플라스틱상자(40)의 벽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요입홈(102c)에 끼워지면서 플라스틱상자가 안착부(102)에 고정됨으로써 플라스틱상자가 탈부착 가능한 적재함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플라스틱상자(40)의 크기는 전방 안착부와 후방 안착부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크기의 것을 사용하되, 가로길이 60㎝, 세로길이 35㎝, 높이 20㎝ 정도의 일반적인 플라스틱상자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만, 상기 전방 안착부와 후방 안착부 간의 거리는 고정적이므로 플라스틱상자의 가로길이나 높이가 다른 플라스틱상자는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바퀴(103)는 본체(1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103)를 설치하되, 부피와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나의 바퀴(103)만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스탠드(20)는 본체(10) 일측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기 위한 회전부(201)와, 상기 본체(1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한 지지발(202)과, 상기 본체(10)의 하중을 지탱한 상태에서 스탠드(20)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본체(10)의 하중이 가해지는 지지돌부(20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201)는 스탠드(20)의 양측 상부에 돌출 형성하여 스탠드(20)를 본체(10)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부(201)를 본체(10)의 후방 단부에 볼트너트 결합함으로써 본체(10)의 부착판(101) 저면에 부속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스탠드(2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고정한다.
이때, 후방으로 회전한 회전부(201)의 고정은 회전부(201)를 본체(10)에 결합한 볼트너트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후방 상부로 회전한 스탠드(20)와 본체(10) 상부를 연결하는 걸림돌부(102a)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나, 스탠드(20)를 후방 상부로 회전하였을 때, 스탠드(20)의 지지발(202)이 본체(10)의 상단부에 밀착되면서 그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발(202)은 스탠드(20)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하되 지면에 안정적으로 접지하도록 지면과 평면이 되는 평탄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평탄면은 스탠드(20)를 후방으로 회전시켰을 때, 평탄면이 본체(10)의 상단부에 밀착되면서 스탠드(20)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지지돌부(203)는 판재로 형성된 스탠드(20)의 양측에서 내향으로 절곡 형성함으로써 스탠드(20)를 내려서 스탠드(20)가 본체(10)를 지지할 때, 지지돌부(203)의 상단부가 본체(1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본체(10)의 하중이 스탠드(20)에 가해지게 하여 스탠드(2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탠드(2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상기 핸들(30)은 대략 "U" 자 형으로 되어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01)를 상기 본체(10) 일측에 회전 가능케 체결수단(302)으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 핸들(30)은 봉체를 밴딩 성형하되, 상기 결합부(301)는 견고하고 정밀한 결합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결합부(301)가 설치되는 본체(10)의 일측 외면과 긴밀한 밀착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301)를 본체(10) 일측에 결합함에 있어서, 본체(10) 일측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상측으로 연장시켜 각도 조절이 가능케 연결로드(104)를 설치한 후, 상기 연결로드(104)의 상단부에 핸들(30)의 결합부(301)를 체결수단(302)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301)는 상기 연결로드(104)의 단면 형상에 따라서 연결로드(104)와 긴밀하게 밀착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예로서 연결로드(103)를 봉체로 형성하는 경우에, 결합부(301)의 단면 형상은 연결로드(103)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호형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로드(103)를 판재로 형성하는 경우에 결합부(301)의 단면 형상은 납작한 평판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로드(104)는 본체에 각도 조절 가능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30)의 결합부(301)와 연결로드(104)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은 볼트(302a)와, 체결너트(302b)로 구성하되, 핸들(30)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위치로 회전시키거나, 핸들(30)을 접기 위하여 본체(10) 상부로 회전시킬 때, 체결수단인 볼트(302a)와 체결너트(302b)의 풀고 조임이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너트(302b)에는 그립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한편, 상기 본체(10)의 부착판(101)에 형성된 설치공(101a)에는 다양한 부속장치를 볼트너트 결합하여 탈부착 가능하다.
상기 부속장치는 상부에 형성된 결합볼트를 상기 설치공(101a)에 투입하여 너트로 체결하고, 후방에는 결합부(301)를 돌출 형성한 고정판(501)과; 상기 고정판(501) 하단부 전면에 일체로 형성한 지지판(502)과; 상기 지지판(50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한 경사판(503)과; 일단부는 상기 경사판(503)의 후면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고정판(501)의 결합부(301)에 결합하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504a)을 구비하여 경사판(503)의 고정각도를 유지하는 연결판(504)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쟁기날을 상기 본체(10)의 부착판(101)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를 수동으로 밀어서 논, 밭의 경운이나 밭고랑의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속장치는 상부에 형성된 결합볼트를 상기 설치공(101a)에 투입하여 너트로 체결하고, 양단부는 하향으로 절곡 형성한 제2고정판(601)과; 상기 제2고정판(601)의 양단부 간에 탈부착 가능케 결합하는 제초판(602)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제초날(60)을 상기 본체(10)의 부착판(101)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표토를 수평으로 얕게 경기하는 과정에서 잡초를 뽑아내거나, 잡초의 뿌리를 절단하여 잡초를 말라죽게 함으로써 잡초의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속장치는 가로판(701)을 상기 부착판(101)에 형성된 설치공(101a)에 볼트너트 결합하고, 상기 가로판(701)과 일체로 된 세로판(702)의 하단부를 쇄기형으로 형성한 후 전방으로 절곡한 제2제초날(70)을 상기 본체(10)의 부착판(101)에 좌우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표토를 일정 깊이로 경기하면서 뿌리가 깊은 잡초를 뽑아냄으로써 잡초의 제거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는 기본적으로 적재함이 없고, 핸들(30)의 회전시켜 접거나 펼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매우 간소하고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손으로 들어서 쉽게 운반할 수 있을 정도로 가벼워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은 부피로 인해 자동차의 트렁크 등에 쉽게 적재하여 운반,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적재물 운반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핸들(30)을 회전시켜 사용위치로 옮기고, 체결수단(302)을 이용해 핸들(3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한 후, 본체(10)의 안착부(102)에 플라스틱상자(40)를 거치하여 고정함으로써 플라스틱상자(40)가 적재함이 되어 다양한 적재물을 플라스틱상자(40)에 담아 옮길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는 적재함 기능을 하는 플라스틱상자(40)를 본체(10)의 안착부(102)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적재함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만 본체(10)에 플라스틱상자(4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10)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본체(10)의 이동이나, 운반, 보관 등의 편의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적재함을 대신하는 플라스틱상자(40)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에 맞는 플라스틱상자를 구입하여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과 범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는 적재물 운반뿐만 아니라, 쟁기날이나 제초날(60)과 같은 부속장치를 본체(10)의 부착판(101)이 탈부착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논, 밭의 경운이나 밭고랑의 형성 및 잡초의 제거 등 다양한 작업에 활용 가능하다.
즉,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본체(10)의 부착판(101) 저면에 경운날(50)을 설치한 상태에서 핸들(30)을 이용하여 본체(10)를 전방으로 밀면서 이동하면 경운날(50)에 의해 흙이 경운, 파쇄되기 때문에 본체(10)의 진행 방향에 따라서 밭고랑의 형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운날(50)의 경사판(503) 각도 조절을 통해서 밭고랑의 폭 조절도 가능함으로써 도시인이 운영하는 주말농장과 같은 소규모 농지의 경우에 원동기에 의해 가동되는 전문적인 농기계 없이도 농작물 재배를 위한 농지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본체(10)의 부착판(101) 저면에 제초날(60)을 설치한 상태에서 핸들(30)을 이용하여 본체(10)를 전방으로 밀면서 이동하면 제초날(60)이 표토를 수평으로 얕게 경기하는 과정에서 잡초를 뽑아내거나, 잡초의 뿌리를 절단하여 잡초를 말라죽게 함으로써 작은 잡초의 제거가 가능하다.
아울러, 뿌리가 깊고 크며 군락을 이른 잡초 등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괭이날처럼 형성된 제2제초날(70)을 본체(10)의 부착판(101)에 좌우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한 후, 핸들(30)을 이용하여 본체(10)를 전방으로 밀면서 이동하면 평면상에서 볼 때, 갈고리처럼 설치된 제2제초날(70)이 표토를 일정 깊이로 경기하면서 뿌리가 깊은 잡초를 뽑아냄으로써 크고, 군락을 이룬 잡초 등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본체 101: 부착판
101a: 설치공 102: 안착부
102a: 걸림돌부 102c: 요입홈
103: 바퀴 104: 연결로드
20: 스탠드 201: 회전부
202: 지지발 203: 지지돌부
30: 핸들 301: 결합부
302a: 볼트 302b: 체결너트
40: 플라스틱상자 401, 402: 구멍
50: 경운날 501: 고정판
501a: 결합부 502: 지지판
503: 경사판 504: 연결판
504a: 통공 60: 제초날
601: 제2고정판 602: 제초판
70: 제2제초날 701: 가로판
702: 세로판

Claims (5)

  1. 다수의 설치공(101a)을 구비한 부착판(101)과, 전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되 각각 좌우 일정 간격으로 돌출형 걸림돌부(102a)를 구비하여 다공성 벽체를 가진 상자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한 안착부(102)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공회전 가능케 설치한 바퀴(103)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일측에 회전부(201)를 회전 가능케 힌지 결합한 스탠드(20)와;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01)를 상기 본체(10) 일측에 회전 가능케 체결수단(302)으로 체결한 핸들(30)을 포함하여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를 구성하고,
    상기 부착판(101)에는 부속장치를 볼트너트 결합하여 탈부착 가능케 하는 설치공(101a)을 더 구비하되,
    상기 부속장치는, 상부에 형성된 결합볼트를 상기 설치공(101a)에 투입하여 너트로 체결하고, 후방에는 결합부(301)를 돌출 형성한 고정판(501)과; 상기 고정판(501) 하단부 전면에 일체로 형성한 지지판(502)과; 상기 지지판(50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한 경사판(503)과; 일단부는 상기 경사판(503)의 후면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고정판(501)의 결합부(301)에 결합하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504a)을 구비하여 경사판(503)의 고정각도를 유지하는 연결판(504)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쟁기날이나,
    상부에 형성된 결합볼트를 상기 설치공(101a)에 투입하여 너트로 체결하고, 양단부는 하향으로 절곡 형성한 제2고정판(601)과; 상기 제2고정판(601)의 양단부 간에 탈부착 가능케 결합하는 제초판(602)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제초날(60)이나,
    상기 부속장치는 가로판(701)을 상기 부착판(101)에 형성된 설치공(101a)에 볼트너트 결합하고, 상기 가로판(701)과 일체로 된 세로판(702)의 하단부를 쇄기형으로 형성한 후 전방으로 절곡하여 상기 본체(10)의 부착판(101)에 좌우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 제2제초날(70)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13758A 2015-01-28 2015-01-28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 KR10171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758A KR101716947B1 (ko) 2015-01-28 2015-01-28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758A KR101716947B1 (ko) 2015-01-28 2015-01-28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47A KR20160092847A (ko) 2016-08-05
KR101716947B1 true KR101716947B1 (ko) 2017-03-15

Family

ID=5671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758A KR101716947B1 (ko) 2015-01-28 2015-01-28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53B1 (ko) * 2020-05-07 2021-04-13 이수영 농기구
KR102336059B1 (ko) * 2021-08-30 2021-12-06 주식회사 진성하이텍 농기구
US11945485B2 (en) 2021-07-02 2024-04-02 The Nolan Company Single wheeled knuckle carr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568A (ko) 2021-10-01 2023-04-10 정희주 텃밭용 쟁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846Y2 (ko) * 1988-07-14 1993-09-30
KR200313851Y1 (ko) 2002-12-31 2003-05-22 서영춘 손수레
KR200431211Y1 (ko) 2006-08-23 2006-11-23 지석찬 알루미늄관을 이용한 농업용 손수레
KR200451374Y1 (ko) * 2009-03-26 2010-12-10 박상진 농업용 손수레
KR200459780Y1 (ko) * 2009-12-22 2012-04-18 제주특별자치도 브로콜리 수확 운반기
KR20110122070A (ko) * 2011-09-15 2011-11-09 송창건 화분 운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53B1 (ko) * 2020-05-07 2021-04-13 이수영 농기구
US11945485B2 (en) 2021-07-02 2024-04-02 The Nolan Company Single wheeled knuckle carrier
KR102336059B1 (ko) * 2021-08-30 2021-12-06 주식회사 진성하이텍 농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47A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328B1 (en) Mobile garden tool center
KR101716947B1 (ko) 수동식 보행형 농작업기
US6179061B1 (en) Seat operable lawn treatment device
US20190166753A1 (en) Reconfigurable tillage system
KR101292792B1 (ko) 제초기
US8033552B1 (en) Universal attachment device for sulkies
GB2133977A (en) Garden tool trolley
US3200890A (en) Orchard cultivator
US8079423B2 (en) Cultivating tool
EP3601015B1 (fr) Tracteur multitache electrique
US5761887A (en) Platform attachment for lawn mower
US20080079227A1 (en) Tool cart and dolly apparatus
US10668952B1 (en) Lawn care trailer system
KR101137328B1 (ko) 보행형 다목적 제초기
US7665675B2 (en) Rolling watering system
US20060059882A1 (en) Rake-Hoe TM
KR101960094B1 (ko) 비료살포기용 거치대
US6708776B2 (en) Turf manicuring drag net apparatus
US20050274532A1 (en) Ground improvement device
KR20230047568A (ko) 텃밭용 쟁기
US2529614A (en) Power-driven agricultural and like implements
US5632345A (en) Rototiller skirt assembly
US6131670A (en) Rotary tiller attachment to facilitate towing
US5415234A (en) Rotor tiller skirt assembly
Pressman Equipment and tools for small-scale intensive crop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