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637B1 -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 Google Patents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637B1
KR102337637B1 KR1020190096239A KR20190096239A KR102337637B1 KR 102337637 B1 KR102337637 B1 KR 102337637B1 KR 1020190096239 A KR1020190096239 A KR 1020190096239A KR 20190096239 A KR20190096239 A KR 20190096239A KR 102337637 B1 KR102337637 B1 KR 102337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
main frame
vertical frame
shiel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258A (ko
Inventor
이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농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농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농테크
Priority to KR1020190096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6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6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5/00Carriers for supporting persons when working in the field, e.g. while thinning be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6Means to protect against weather
    • A47C7/666Means to protect against weather of enclosure type with side pan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퀴 및 메인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작업 시트를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는, 메인 프레임에서 작업 시트보다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수직 프레임, 메인 프레임에서 작업 시트보다 후방에 설치되는 제2 수직 프레임, 제1 수직 프레임과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종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차광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WORKING CHAIR HAVING SUNSHADE FOR FARMER}
본 발명은 농사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광막을 갖는 농사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7600호는 "농사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등받이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물의 재배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할 수 있는 작업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농사용 작업의자는 프레임을 중심으로 바퀴, 나선축으로 체결된 시트 및 등받이를 구비하며, 나선축을 수용하는 축지관을 프레임에 용접으로 용접하여 제공한다. 하지만, 햇볕이 내리쬐는 환경에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4237호는 "농업용 전동 편이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동으로 작동하면서, 비가림이나 해가림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파라솔을 포함하고 있다. 작업을 하면서 햇볕을 가릴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전반적으로 너무 넓은 폭을 차지하며, 밭고랑이 웬만큼 넓지 않으면 양측에 배치된 고추나무 등의 농업 대상물이 다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역시, 한국등록특허 제10-0881215호에도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등록특허는 고추, 토마토 같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밭에서 고랑을 작업자가 앉은 상태로 통과하면서 농작물을 효과적으로 수확하고 운반할 수 있는 운반차를 제시하고 있다. 해당 등록특허에서도 차광수단으로서 파라솔을 꼽을 수 있는 깃대 꽂이 형상의 삽입대를 제공하지만, 역시 파라솔을 이용하면 햇볕을 충분히 가릴 수 없으며, 밭 고랑을 통과하면서 농작물을 훼손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을 보조할 수 있으며, 밭 고랑 사이를 통과하면서도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퀴 및 메인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작업 시트를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는, 메인 프레임에서 작업 시트보다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수직 프레임, 메인 프레임에서 작업 시트보다 후방에 설치되는 제2 수직 프레임, 제1 수직 프레임과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종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차광막을 포함할 수 있다.
파라솔을 꼽을 수 있는 파라솔 꽂이를 통해서 파라솔을 작업의자에 적용하는 것은 선행기술에서도 언급되어 있지만, 파라솔은 360도 동일한 크기로 제공되며, 측면에서 경사지게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할 수 없고, 농작물의 잎을 다치지 않게 하면서 밭 고랑을 통과하기도 매우 어렵다.
차광막은 종방향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붕 차광부, 지붕 차광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차광부, 및 지붕 차광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수직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차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차광부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는데, 무게추에 의해서 전방 차광부가 아래로 쳐져서 전방으로부터의 햇볕을 차단하고, 무게추를 기준으로 전광 차광부가 농작물을 좌우로 스치듯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무게추 외에 로프 등을 이용하여 전방 차단부를 아래 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할 수 있으며, 후방 차단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제1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 횡방향 프레임 및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횡방향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횡방향 프레임 및 제2 횡방향 프레임이 지붕 차광부, 전방 차광부 및 후방 차광부의 좌우 폭을 지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종방향 프레임은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 차광부, 지붕 차광부 및 후방 차광부를 측면 기준으로 아치 형상으로 지지하고 평면 기준으로 유선형 또는 나뭇잎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종방향 프레임은 횡방향에 비해 종방향으로 긴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막 및 종방향 프레임이 평면을 기준으로 유선형 또는 나뭇잎, 보트(boat) 형상으로 형성되어 농작물을 좌우로 스치듯 통과할 수가 있다.
농작물 사이의 밭 고랑이 좁기 때문에 작업의자의 폭을 넓게 유지하는 경우 작업 및 통과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메인 프레임은 단일 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중공의 스틸 바 또는 알루미늄 바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메인 프레임 상에 작업 시트가 복수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2명 이상의 작업자가 동시에 통과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메인 프레임을 길게 연장하고, 메인 프레임 상에서 작업 시트의 전방으로 받침 및 받침 상에서 농작물 또는 농작물용 바구니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링을 더 제공할 수가 있다.
제1, 제2 수직 프레임을 메인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프레임에서 작업 시트의 후방에 고정되는 등받이 베이스, 등받이 베이스에 결합되는 등받이 프레임, 등받이 프레임에 장착되는 등받이,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프레임 중간 지지대 및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레임 하부 지지대는 제2 수직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고, 프레임 중간 지지대는 제2 수직 프레임을 통과하도록 하고 이를 지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농사용 작업의자는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을 보조할 수 있으며, 밭 고랑 사이를 통과하면서도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차광막을 상부에 고정하되, 전후로 농작물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할 수가 있으며, 이를 위해 무게추를 이용하여 전방 차광부와 후방 차광부가 좌우로 자유롭게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시트의 자리 변경이 용이하고, 전체적인 조립 및 재배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구조로 개선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농사용 작업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농사용 작업의자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에서 작업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에서 시트 고정 구조를 종래와 비교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사용 작업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농사용 작업의자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100)는 메인 프레임(110), 메인 프레임(110)의 전후로 장착되는 바퀴(130), 바퀴 결합부(140), 작업 시트(120), 제1 수직 프레임(210), 제2 수직 프레임(220), 종방향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시트(120)의 후방으로 등받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에 설치되는 등받이 베이스(182), 등받이 베이스(182)에 결합되는 등받이 프레임(186), 등받이 프레임(186)에 장착되는 등받이(18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등받이가 장착되지 않았지만, 메인 프레임(110)의 전단에도 등받이 베이스(182) 및 등받이 프레임(186)과 동일한 구조가 제공되며, 전방의 등받이 프레임(186)에 인접하게 메인 프레임(110) 상에 받침(126)이 장착되고, 그 받침(126)에 대응하여 상부에는 등받이 프레임(186)을 매개로 고정 링(128)이 장착된다.
전방의 등받이 프레임(186)에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프레임 중간 지지대(196) 및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인출 또는 삽입되는 프레임 하부 지지대(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의 프레임 하부 지지대(192)는 단부에 제1 수직 프레임(2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지지홈(19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연장된 프레임 중간 지지대(196)는 그 단부가 고리 형상(198)으로 형성되어 제1 수직 프레임(210)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등받이(180)가 장착된 후방의 등받이 프레임(186)에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프레임 중간 지지대(196) 및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인출 또는 삽입되는 프레임 하부 지지대(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의 프레임 하부 지지대(192)는 단부에 제2 수직 프레임(22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지지홈(194)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방으로 연장된 프레임 중간 지지대(196)는 그 단부도 고리 형상(198)으로 형성되어 제2 수직 프레임(220)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직 프레임(210)의 상단에는 제1 횡방향 프레임(240)이 형성되고, 제2 수직 프레임(220)의 상단에도 제2 횡방향 프레임(24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수직 프레임(210)과 제2 수직 프레임(220)은 종방향 프레임(230)에 의해서 다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 제1 수직 프레임(210), 종방향 프레임(230) 및 제2 수직 프레임(220)은 측면에서 사다리꼴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종방향 프레임(230), 제1 횡방향 프레임(240) 및 제2 횡방향 프레임(245) 상으로 차광막(250)이 제공될 수 있다. 차광막(250)은 천연 소재 또는 합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직물이나 그물 또는 비닐막처럼 다양한 소재로 제공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 소재를 그물과 같이 엮은 농사용 그늘 그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프레임(2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붕 차광부(252), 지붕 차광부(252)로부터 연장되어 제1 수직 프레임(2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차광부(254), 및 지붕 차광부(252)로부터 연장되어 제2 수직 프레임(220)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차광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차광부(254) 및 후방 차광부(256)의 단부에는 무게추(260)가 달려 아래로 쳐지도록 할 수 있으며, 무게추(260)에 의해서 전방 차광부(254)는 전방으로부터의 햇볕을 차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전방 차광부(254) 및 후광 차광부(256)가 무게추(26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삼각형 형상으로 재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차광부 및 후광 차광부는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삼각형이 아닌 차광부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무게추에 의해 아래로 당겨지는 부분 외에는 좌우 농작물에 거슬리지 않고 하늘거리면서 통과할 수 있으며, 무게추 역시 위아래로 들썩거리면서 소정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의자(100)가 밭 고랑을 통과하면서 좌우로 자란 농작물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작업자는 좌우에서 고추와 같은 열매를 획득하여 고정 링(128)에 장착된 농작물 바구니에 담을 수 있다.
이 경우, 농작물의 잎이 밭 고랑을 향해 연장되어 작업의자와 부딪힐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무게추(260)를 기준으로 전방 차광부(254)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고, 농작물이 있어도 이를 빗겨 나가면서 전진이 가능하기 때문에 농작물에 대한 훼손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들어오는 햇볕은 농작물이 막아 줄 수 있으며, 상면으로 들어오는 햇볕은 차광막(250)이 막아 주기 때문에 작업자는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도면에서 작업의자(100)는 좌우 농작물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지만, 농작물에 따라서 작업의자의 높이는 그와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높이도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 수직 프레임을 교체하거나 상하로 길이가 가변 가능한 수직 프레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에서 작업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작업 시트(120)의 나사축(125)을 고정하기 위해 메인 프레임(110)을 좌우에서 고정하는 제1 시트 고정 하우징(160)과 제2 시트 고정 하우징(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너트(150)와 제2 너트(152)는 제1 시트 고정 하우징(160)과 제2 시트 고정 하우징(170) 사이에 개재되어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메인 프레임(1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제공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단일 금속 바를 재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에는 시트(120)의 나사축(125)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시트 나사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시트 나사홀(112)이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만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너트(150)와 제2 너트(152)는 메인 프레임(110)의 시트 나사홀(112)에 대응하여 상하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너트(150)와 제2 너트(152)를 메인 프레임(110) 상에 정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제1 시트 고정 하우징(160) 및 제2 시트 고정 하우징(170)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시트 고정 하우징(160) 및 제2 시트 고정 하우징(170)은 나사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외면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시트 고정 하우징(160) 및 제2 시트 고정 하우징(170)은 상호 결합되면서 제1 너트(150)와 제2 너트(15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시트 고정 하우징(160) 및 제2 시트 고정 하우징(170)은 메인 프레임(110)의 좌우에서 결합된다. 제1 시트 고정 하우징(160)은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너트(150) 및 제2 너트(152)의 반쪽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홈(162)을 형성하며, 제2 시트 고정 하우징(170)은 같은 제1 너트(150) 및 제2 너트(152)의 다른 반쪽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홈(172)을 형성한다.
제1 수용홈(162) 및 제2 수용홈(172)은 제1 너트(150) 및 제2 너트(152)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육각 기둥의 반쪽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기타 너트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에서 시트 고정 구조를 종래와 비교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안정된 결합을 위해 상하로 길게 연장된 축지관(10)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하로 긴 축지관(10)은 약 50mm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우며, 특히 기성의 너트 2개를 구입하는 것보다 현저하게 높은 비용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축지관(10)을 고정하기 위해서 금속의 프레임에 해당 구조를 상하로 용접을 해야 하는데, 용접을 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용접의 흔적으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해결할 수 없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종래의 다른 경우에서는 기성의 너트(20)를 사용할 수가 있다. 하지만, 너트(20)를 사용하게 되면 너트(20)를 용접으로 고정해야 하는데, 앞서 언급한 용접의 단점, 즉 불량 발생 및 외관의 손상 등을 해결할 수가 없다.
특히, 2개의 너트(20)를 사용하면, 너트(20) 들이 조금만 틀어져도 시트의 나사축이 결합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시트의 나사축에 너트(20)를 미리 결합하고, 너트(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20) 간의 간격을 조절하고 용접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제1 시트 고정 하우징(160)과 제2 시트 고정 하우징(170) 중 어느 하나에 제1 너트(150)와 제2 너트(152)를 삽입하고, 메인 프레임(110)의 목적된 시트 나사홀(112)에 인접한 위치에서 2개의 시트 고정 하우징(160, 170)을 나사 및 너트로 고정하는 것으로 간단히 너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의 흔적과 같이 외부가 손상되거나 외관상 보기 싫은 부분이 발생하지도 않는다.
또한, 너트나 시트 고정 하우징에 손상이 발생하여도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해당 부속을 분해하여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보수가 가능하다. 반면,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서 너트나 용접 등에 손상이 생기면 부분 보수가 불가능하며, 작업의자를 새로 사거나 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참고로, 수용부 내에서 제1 너트(150) 및 제2 너트(152)는 상하로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너트(150, 152)들의 미세한 상하 조정에 의해서 시트(120)의 나사축(125)이 제1 너트(150), 시트 나사홀(112) 및 제2 너트(152)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가 있다.
메인 프레임(110)에 시트 나사홀(112)이 복수개로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작업 시트(120)의 나사축(125)을 메인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한 후, 원하는 시트 나사홀(112)의 위치로 시트 고정 하우징(160, 170)을 이동시켜서 시트(12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발명에서 "너트"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이 가능한 육각 너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반드시 대중적인 너트일 필요는 없지만, 특별히 주문 제작할 필요 없이 시판되고 너트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 시트(120) 및 바퀴(130)는 메인 프레임(110)을 중심으로 결합되며, 바퀴(130)를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하기 위해서 바퀴 결합부(140)가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바퀴 결합부(140)는 메인 프레임(110)에 밀착하는 밀착판 및 밀착판의 양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바퀴축이 통과하는 축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축 고정부에는 사용되는 바퀴축을 통과 및 지지하기 위한 축 허브가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 베이스(182)는 메인 프레임(110)의 전단 및 후단에 장착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나사 체결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등받이 베이스(182)는 합성수지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등받이 프레임(186)의 하단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 지지홈(194)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 지지홈(194)은 등받이 프레임(186)의 형상에 따라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180)도 간단히 조립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하며, 등받이의 위치, 크기 등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는 메인 프레임(110), 메인 프레임(110)의 전후로 장착되는 바퀴(130), 바퀴 결합부, 작업 시트(120), 등받이(180), 제1 수직 프레임(210), 제2 수직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아치 형상으로 제공되는 종방향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른 차광막(250')도 아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치 형상의 종방향 프레임(230')은 탄소 섬유 등을 이용한 폴대와 같은 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텐트의 폴대처럼 탄성적으로 굴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게추(260)가 차광막(250')의 전단 및 후단에 제공되지만,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등을 이용하여 차광막(250') 및 종방향 프레임(230')의 전단 및 후단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차광막(250') 및 종방향 프레임(230')은 측면을 기준으로 아치 형상으로 제공되지만, 평면을 기준으로 유선형이나 나뭇잎, 보트(boat) 모양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작업의자는 메인 프레임(110), 메인 프레임(110)의 전후로 장착되는 바퀴(130), 바퀴 결합부, 작업 시트(120), 등받이(180), 제1 수직 프레임(210), 제2 수직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수직 프레임(210) 및 제2 수직 프레임(220)의 상단에서 종방향 프레임(231)은 전후로 길게 연장된 타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른 차광막(251)도 평면적으로 유선형, 나뭇잎, 보트 형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종방향 프레임(231)은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평면 요소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유선형 또는 나뭇잎, 보트(boat) 형상으로 형성되어 농작물을 좌우로 스치듯 통과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게추(260)가 차광막(251)의 전단 및 후단에 제공되지만, 다르게는 로프 등을 이용하여 차광막(251)의 전단 및 후단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농사용 작업의자 110:메인 프레임
120 : 시트 130 : 바퀴
140 : 바퀴 결합부 150 : 제1 너트
152 : 제2 너트 160 : 제1 시트 고정 하우징
170 : 제2 시트 고정 하우징 180 : 등받이

Claims (10)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작업 시트를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상기 작업 시트보다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상기 작업 시트보다 후방에 설치되는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종방향 프레임;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차광막;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붕 차광부 및 상기 차광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차광부의 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에 구속되지 않고, 상기 전방 차광부의 단부에는 무게추가 설치되며, 상기 무게추에 의해서 상기 전방 차광부가 아래로 쳐져서 전방으로부터의 햇볕을 차단하고, 상기 무게추를 기준으로 상기 전방 차광부가 농작물을 좌우로 스치듯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상기 지붕 차광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차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 횡방향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횡방향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횡방향 프레임 및 상기 제2 횡방향 프레임이 상기 지붕 차광부, 상기 전방 차광부 및 상기 후방 차광부의 좌우 폭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은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차광부, 상기 지붕 차광부 및 상기 후방 차광부를 아치 형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은 횡방향에 비해 종방향으로 긴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광막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이 농작물을 좌우로 스치듯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단일 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상기 작업 시트가 복수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상기 작업 시트의 전방에 받침 및 상기 받침 상에 농작물 또는 농작물용 바구니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링이 더 장착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상기 작업 시트의 후방에 고정되는 등받이 베이스, 상기 등받이 베이스에 결합되는 등받이 프레임,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장착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프레임 중간 지지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하부 지지대는 제2 수직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 중간 지지대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KR1020190096239A 2019-08-07 2019-08-07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Active KR102337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39A KR102337637B1 (ko) 2019-08-07 2019-08-07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39A KR102337637B1 (ko) 2019-08-07 2019-08-07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258A KR20210017258A (ko) 2021-02-17
KR102337637B1 true KR102337637B1 (ko) 2021-12-09

Family

ID=7473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239A Active KR102337637B1 (ko) 2019-08-07 2019-08-07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6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77Y1 (ko) * 2000-03-14 2000-09-01 권달용 농작물 수확작업기
KR200337839Y1 (ko) * 2003-09-02 2004-01-13 백은기 딸기수확관리기구조
KR101324237B1 (ko) * 2011-05-20 2013-11-01 김주현 농업용 전동 편이 작업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491U (ko) * 2016-08-11 2018-02-21 박범진 이륜차용 차광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77Y1 (ko) * 2000-03-14 2000-09-01 권달용 농작물 수확작업기
KR200337839Y1 (ko) * 2003-09-02 2004-01-13 백은기 딸기수확관리기구조
KR101324237B1 (ko) * 2011-05-20 2013-11-01 김주현 농업용 전동 편이 작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258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527645C3 (de) Erntemaschine für in Reihe stehende Halmfrüchte
US20070187999A1 (en) Canopy frame particularly applicable to deck chairs, garden chairs, beach chairs and the like
US2778654A (en) Garden tool cart
US4821353A (en) Beach mat with adjustable sun shade
KR102337637B1 (ko) 차광막을 포함하는 농사용 작업의자
FR2941594A1 (fr) Machine agricole pour derouler et poser un film ou voile, notamment en grande largeur, sur des cultures, et utilisation de celle-ci pour le deroulement et la pose d'un film sur des cultures.
KR101809043B1 (ko)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
KR102306948B1 (ko) 그물망을 이용한 고추 줄기 지지 장치
US1750054A (en) Transplanting machine
GB2196826A (en) Lawn mowers
US6708473B2 (en) Lawnmower handle assembly
KR100881215B1 (ko)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KR102139828B1 (ko) 농사용 작업의자
KR101941272B1 (ko)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US20170143126A1 (en) Canopy Apparatus for Lawn Chair/Wheel Chairs
US3172679A (en) Vehicle for the cultivation of market produce, particularly for the picking of strawberries
US4720233A (en) Tractor frame for tractor-mounted implement
KR200445648Y1 (ko) 멀칭용 롤수레
US20070111766A1 (en) Combine harvester having spreader for crop residues
US2705445A (en) Cultivator attachment
US6708776B2 (en) Turf manicuring drag net apparatus
US7051500B2 (en) ATV mower deck adapter
US5632345A (en) Rototiller skirt assembly
KR101594738B1 (ko) 농용 작업차량용 캐빈
KR200292431Y1 (ko) 농작물 수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