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712A -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 Google Patents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712A
KR20210064712A KR1020190153234A KR20190153234A KR20210064712A KR 20210064712 A KR20210064712 A KR 20210064712A KR 1020190153234 A KR1020190153234 A KR 1020190153234A KR 20190153234 A KR20190153234 A KR 20190153234A KR 20210064712 A KR20210064712 A KR 20210064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mber
seat
ventila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영
Original Assignee
(주)영민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민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영민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153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4712A/ko
Publication of KR2021006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가 앉는 시트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시트부에 위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상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시트 통풍 챔버부, 상기 등받이부에 위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등받이 통풍 챔버부, 시트 통풍 챔버부와 등받이 통풍 챔버부를 연결하는 연결 챔버부, 연결 챔버부에 위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부분과 등이 지지되는 부분에 공기를 송풍하는 챔버 구조를 적용하여 송풍량을 시트부와 등받이부 전체에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 시 쾌적한 환경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제공하고, 운전 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하나의 송풍기로 등받이부와 시트부에 송풍이 각각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한다.

Description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Ventilation chamber and Car sea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수지재 등의 완충재질로 제조된 안착부와 등받이부가 비닐 재질, 천, 인공 가죽, 천연 가죽 등의 시트 커버로 감싸진 구조를 가진다.
즉, 자동차용 시트는 완충재를 비닐 재질, 천, 인공 가죽, 천연 가죽 등의 시트 커버로 감싸진 구조를 가져 통풍이 잘되지 않아 여름철 운행 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쪽에 땀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여름철 장기간 운전 중 자동차 시트에 앉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쪽에 땀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운전 시 운전 집중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 시트에 통풍 기능이 부여된 통풍 시트가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특허로 한국특허공개 제 2018-0037679 호 '자동차용 통풍 시트'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 2018-0037679 호 '자동차용 통풍 시트'는 차량의 시트 패드에 에어를 직접 토출하는 관통채널을 형성하여, 에어공급수단으로부터의 에어가 관통 채널을 통하여 시트 패드 위로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 2018-0037679 호 '자동차용 통풍 시트'는 차량의 시트 패드에 에어를 직접 토출하는 관통채널을 형성하여 사용 중 시트 패드에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 2018-0037679 호 '자동차용 통풍 시트'는 쿠션역할을 하는 완충재인 차량의 시트 패드에 에어를 직접 토출하는 관통채널을 형성하므로 탑승자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탑승자의 체중에 의해 시트 패드가 변형되면서 관통 채널을 막아 송풍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어느 한 방향으로 송풍량이 집중되면서 송풍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탑승자에게 오히려 더 불쾌감을 주고, 운전 시 집중도를 더 크게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운전 시 어느 한 방향으로 송풍량이 집중되어 운전자가 놀라는 경우 운전 집중도를 크게 저하시켜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 2018-0037679 호 '자동차용 통풍 시트'는 등받이와 안착부에만 공기를 송풍 시켜 탑승자의 주변 환경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국특허공개 제 2018-0037679 호 '자동차용 통풍 시트'(2018년04월13일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시트부와 등받이부에서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부분과 등이 지지되는 부분에 공기를 송풍하는 챔버 구조를 적용하여 송풍량을 시트부와 등받이부 전체에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대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나의 송풍기로 등받이부와 시트부에 송풍이 각각 가능하도록 한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대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탑승자의 목쪽으로도 송풍이 가능한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대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부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설치되는 통풍 챔버이며, 상기 시트부에 위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상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시트 통풍 챔버부, 상기 등받이부에 위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등받이 통풍 챔버부, 시트 통풍 챔버부와 등받이 통풍 챔버부를 연결하는 연결 챔버부, 연결 챔버부에 위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 챔버부는 상기 송풍기가 위치되는 제1연결 챔버부재, 상기 시트 통풍 챔버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 챔버부재, 상기 등받이 통풍 챔버부에 연결되는 제3연결 챔버부재, 상기 제1연결 챔버부재와 상기 제2연결 챔버부재를 연결하며 복수의 주름을 구비하여 휘어질 수 있는 제1주름 챔버부재, 상기 제1연결 챔버부재와 상기 제3연결 챔버부재를 연결하며 복수의 주름을 구비하여 휘어질 수 있는 제2주름 챔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받이 통풍 챔버부는 상기 연결 챔버부와 연결되는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 상기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 하단부가 상기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에 연결되는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 및 상기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에 연결되는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와 상기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는 탑승자의 요추 부분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 하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와 상기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는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와 상기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의 폭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중앙 부분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등받이부에 지지되는 탑승자의 요추가 중앙 부분의 빈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와 상기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는 복수의 주름을 구비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목방향 공기 토출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 내에는 공기를 목방향 공기 토출부로 안내하는 목방향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격벽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는 전면과 후면, 상면, 하면, 제1측면, 제2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 형성 격벽부는 상기 제1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측면 유로 격벽, 상기 제2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측면 유로 격벽 및 상기 상면과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 단부 측이 상기 제1측면 유로 격벽의 상단과 상기 제2측면 유로 격벽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로 형성 격벽부는 상기 제1측면 유로 격벽, 상기 제2측면 유로 격벽, 상기 상부 유로 격벽을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쪽으로 복수의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측면 유로 격벽의 하부와 상기 제2측면 유로 격벽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목방향 공기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 개폐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로 개폐부는 상기 제1측면 유로 격벽과 상기 제2측면 유로 격벽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단부 측이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목방향 공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판부재 및 상기 밸브판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밸브판부재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목방향 공기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단부 측이 상기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의 출구와 상기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의 출구 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의 출구와 상기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의 출구에서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 상기 목방향 공기 유로로 흐르게 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시트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상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으로 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풍 챔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부분과 등이 지지되는 부분에 공기를 송풍하는 챔버 구조를 적용하여 송풍량을 시트부와 등받이부 전체에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 시 쾌적한 환경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제공하고, 운전 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송풍기로 등받이부와 시트부에 송풍이 각각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의 목쪽으로 공기를 송풍 시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한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에 탑승하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10), 시트부(10)의 뒤쪽에 세워져 위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20)를 포함한다.
시트부(1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쿠션 역할을 하는 완충재질의 시트부재와 시트부재를 감싸는 시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등받이부(2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쿠션 역할을 하는 완충재질의 등받이부재와 등받이부재를 감싸는 등받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시트부(10)와 등받이부(20)는 공지의 자동차용 시트에서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트부(10)는 탑승자가 앉는 부분으로 상면으로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고, 등받이부(20)는 시트부(10)에 앉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는 시트부(10)에 위치되어 시트부(10)의 상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시트 통풍 챔버부(100), 등받이부(20)에 위치되어 등받이부(20)의 전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를 포함한다.
시트 통풍 챔버부(100)는 상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의 시트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100a)이 위치되어 내부로 송풍기(400)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시트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100a)을 통해 배출시킨다.
또한,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는 전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의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이 위치되어 내부로 송풍기(400)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을 통해 배출시킨다.
시트부(10)에는 시트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100a)과 연결되는 시트 통풍구멍(11)이 복수로 위치되고, 등받이부(20)에는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과 연결되는 등받이 통풍구멍(21)이 복수로 위치된다.
시트부(10)와 등받이부(20)에 위치되는 시트 통풍구멍(11)과 등받이 통풍구멍(21)은 각각 완충재질의 시트부재와 완충재질의 등받이부재에 위치되는 것으로 공지의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시트 통풍 챔버부(100)와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는 각각 사각형태의 챔버로 내부에 각각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 한다.
시트 통풍 챔버부(100)는 내부에 복수의 시트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100a)을 포함하는 시트 통풍용 공간(100b)이 위치되고,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는 내부에 복수의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을 포함하는 등받이 통풍용 공간(200b)이 위치된다.
시트 통풍 챔버부(100)와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는 연결 챔버부(300)에 의해 내부 공간이 연결된다.
연결 챔버부(300)의 일단부 측은 시트 통풍 챔버부(100)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연결 챔버부(300)의 타단부 측은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의 후면에서 하부 측에 연결된다.
연결 챔버부(300)에는 송풍기(400)가 위치되어 송풍기(400)의 작동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각각 시트 통풍 챔버부(100)와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로 전달되게 된다.
연결 챔버부(300)는 시트 통풍 챔버부(100) 내의 시트 통풍용 공간(100b)과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 내부의 시트 통풍용 공간(100b)을 연결한다.
연결 챔버부(300)는 송풍기(400)가 위치되는 제1연결 챔버부재(310), 시트 통풍 챔버부(100)에 연결되는 제2연결 챔버부재(320),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에 연결되는 제3연결 챔버부재(330), 제1연결 챔버부재(310)와 제2연결 챔버부재(320)를 연결하며 복수의 주름을 구비하여 휘어질 수 있는 제1주름 챔버부재(340), 제1연결 챔버부재(310)와 제3연결 챔버부재(330)를 연결하며 복수의 주름을 구비하여 휘어질 수 있는 제2주름 챔버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챔버부(300)는 제1주름 챔버부재(340) 및 제2주름 챔버부재(350)가 휘어지면서 시트 통풍 챔버부(100)와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자동차용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등받이부(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시트부(1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전, 후 이동이 가능한 전동 시트 구조가 적용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등받이부(20)의 각도 조절 또는 시트부(10)의 높낮이 조절 시 제1주름 챔버부재(340) 및 제2주름 챔버부재(350)가 휘어지면서 시트 통풍 챔버부(100)와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통풍 챔버부(200)는 연결 챔버부(300)와 연결되는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 하단부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에 연결되는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하단부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에 연결되는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를 포함한다.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는 각각 직사각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의 챔버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는 각각 전면에 복수의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이 위치되어 각각 등받이부(20)의 전면으로 송풍기(400)에 의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한다.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는 탑승자의 요추 부분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 하 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로 연결된다.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는 측방향 즉,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의 폭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등받이부(20)의 중앙 부분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등받이부(20)에 지지되는 탑승자의 요추가 중앙 부분의 빈 공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탑승자가 시트부(10)에 앉아 등받이부(20)에 등을 지지할 때 탑승자의 요추 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이 없어 요추부분이 쿠션역할을 하는 등받이부(20)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장기간 앉아 있는 경우 불편함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챔버부는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로 분리되고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로 연결되어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를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는 통로가 좁은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고, 이에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는 복수의 주름을 구비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등받이부(20)의 형상에 따라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의 위치를 변경하여 위치시킬 수 있고,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는 복수의 주름이 압축되어 접혀지는 경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의 간격을 좁히게 되고, 복수의 주름이 펼쳐져 확장되는 경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와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210)의 간격을 넓히게 된다.
한편,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의 상부에는 등받이부(20)의 상부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가 위치된다.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는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의 상면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등받이부(20)의 상부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탑승자의 목쪽에 공기가 송풍될 수 있도록 한다.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는 등받이부(20)의 상면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등받이부(20)에 위치되는 목방향 공기구멍과 연결되어 등받이부(20)의 상부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는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의 중앙에 위치되어 등받이부(20)의 상면 중앙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탑승자의 목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 챔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 내에는 공기를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로 안내하는 목방향 공기 유로(260a)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격벽부(260)가 위치된다.
유로 형성 격벽부(260)는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의 측면과 상부면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의 측면과 상부면 사이에 공기를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로 안내하는 목방향 공기 유로(260a)를 형성한다.
더 상세하게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는 전면과 후면, 상면, 하면, 제1측면, 제2측면을 포함하는 사각 형상의 챔버이고, 4개의 각 모서리부는 라운드 처리된다.
그리고,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의 하면에는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가 중앙에서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는 제1측면과 제2측면의 하부 측에 위치되는 라운드진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되게 위치된다.
유로 형성 격벽부(260)는 제1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측면 유로 격벽(261), 제2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측면 유로 격벽(262), 상면과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 단부 측이 제1측면 유로 격벽(261)의 상단과 제2측면 유로 격벽(262)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유로 격벽(263)을 포함한다.
유로 형성 격벽부(260)는 제1측면 유로 격벽(261), 제2측면 유로 격벽(262), 상부 유로 격벽(263)을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쪽으로 복수의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이 위치된다.
유로 형성 격벽부(260)는 외측으로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의 제1측면, 제2측면, 상면의 사이에 목방향 공기 유로(260a)를 형성하고 안쪽으로 복수의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이 위치되는 등받이 공기 토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간과 복수의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간을 구분한다.
유로 형성 격벽부(260)는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간과 복수의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간을 구분하여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와 복수의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200a)을 통해 공기가 각각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유로 형성 격벽부(260)는 제1측면 유로 격벽(261)과 제2측면 유로 격벽(262)을 통해 양 제1측면과 제2측면의 사이로 각각 공기 유로를 형성하여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로 토출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측면 유로 격벽(261)의 하부와 제2측면 유로 격벽(262)의 하부에는 각각 목방향 공기 유로(260a)를 개폐하는 유로 개폐부(270)가 위치된다.
유로 개폐부(270)는 목방향 공기 유로(260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로 공기가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유로 개폐부(270)는 제1측면 유로 격벽(261)과 제2측면 유로 격벽(26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단부 측이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목방향 공기 유로(260a)를 개폐하는 밸브판부재(271), 밸브판부재(271)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밸브판부재(271)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목방향 공기 유로(260a)의 양 쪽 입구측을 각각 개폐한다.
그리고, 밸브판부재(271)는 제1측면 유로 격벽(261)의 하단부와 제2측면 유로 격벽(262)의 하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회전되어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의 상부 측과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를 통해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판부재(271)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목방향 공기 유로(260a)를 개방한 상태에서 단부 측이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의 출구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의 출구 측에 각각 위치된다.
밸브판부재(271)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30)의 출구와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240)의 출구에서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 목방향 공기 유로(260a)로 흐르게 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목방향 공기 토출부(25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탑승자의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부분과 등이 지지되는 부분에 공기를 송풍하는 챔버 구조를 적용하여 송풍량을 시트부(10)와 등받이부(20) 전체에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 시 쾌적한 환경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제공하고, 운전 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송풍기(400)로 등받이부(20)와 시트부(10)에 송풍이 각각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의 목쪽으로 공기를 송풍 시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시트부 11 : 시트 통풍구멍
20 : 등받이부 21 : 등받이 통풍구멍
100 : 시트 통풍 챔버부
100a : 시트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 100b : 시트 통풍용 공간
200 : 등받이 통풍 챔버부 200a :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
200b : 등받이 통풍용 공간 210 :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
220 :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 230 :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
240 :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 250 : 목방향 공기 토출부
260 : 유로 형성 격벽부 260a : 목방향 공기 유로
261 : 제1측면 유로 격벽 262 : 제2측면 유로 격벽
263 : 상부 유로 격벽 270 : 유로 개폐부
271 : 밸브판부재 300 : 연결 챔버부
310 : 제1연결 챔버부재 320 : 제2연결 챔버부재
330 : 제3연결 챔버부재 340 : 제1주름 챔버부재
350 : 제2주름 챔버부재 400 : 송풍기

Claims (7)

  1. 탑승자가 앉는 시트부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시트부에 위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상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시트 통풍 챔버부, 상기 등받이부에 위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등받이 통풍 챔버부, 시트 통풍 챔버부와 등받이 통풍 챔버부를 연결하는 연결 챔버부 및 연결 챔버부에 위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통풍 챔버부는,
    상기 연결 챔버부와 연결되는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
    상기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
    하단부가 상기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에 연결되는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 및
    상기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에 연결되는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등받이 연결 덕트부재와 상기 제2등받이 연결 덕트부재는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와 상기 하부 등받이 챔버부재의 폭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중앙 부분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등받이부에 지지되는 탑승자의 요추가 중앙 부분의 빈 공간에 위치될 수 있는
    통풍 챔버.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 챔버부는
    상기 송풍기가 위치되는 제1연결 챔버부재,
    상기 시트 통풍 챔버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 챔버부재,
    상기 등받이 통풍 챔버부에 연결되는 제3연결 챔버부재,
    상기 제1연결 챔버부재와 상기 제2연결 챔버부재를 연결하며 복수의 주름을 구비하여 휘어질 수 있는 제1주름 챔버부재 및
    상기 제1연결 챔버부재와 상기 제3연결 챔버부재를 연결하며 복수의 주름을 구비하여 휘어질 수 있는 제2주름 챔버부재
    를 포함하는
    통풍 챔버.
  3. 제1항에서,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목방향 공기 토출부가 위치되는
    통풍 챔버.
  4. 제3항에서,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 내에는 공기를 목방향 공기 토출부로 안내하는 목방향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격벽부가 위치되는
    통풍 챔버.
  5. 제4항에서,
    상기 상부 등받이 챔버부재는 전면과 후면, 상면, 하면, 제1측면, 제2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 형성 격벽부는,
    상기 제1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측면 유로 격벽,
    상기 제2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측면 유로 격벽 및
    상기 상면과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 단부 측이 상기 제1측면 유로 격벽의 상단과 상기 제2측면 유로 격벽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유로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 형성 격벽부는 상기 제1측면 유로 격벽, 상기 제2측면 유로 격벽, 상기 상부 유로 격벽을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쪽으로 복수의 등받이 통풍용 공기 배출구멍이 위치되는
    통풍 챔버.
  6. 제5항에서,
    상기 제1측면 유로 격벽의 하부와 상기 제2측면 유로 격벽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목방향 공기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 개폐부가 위치되는
    통풍 챔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통풍 챔버,
    탑승자가 앉는 시트부 및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통풍 챔버는 상기 시트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상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으로 공기를 통풍시키는
    자동차용 시트.
KR1020190153234A 2019-11-26 2019-11-26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20210064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234A KR20210064712A (ko) 2019-11-26 2019-11-26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234A KR20210064712A (ko) 2019-11-26 2019-11-26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712A true KR20210064712A (ko) 2021-06-03

Family

ID=7639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234A KR20210064712A (ko) 2019-11-26 2019-11-26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471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5509B2 (en) * 2020-09-08 2022-05-10 Atieva, Inc. Seat cushion-extension ventilation with primary fan
KR102416233B1 (ko) * 2021-07-08 2022-07-01 조근현 전동 이송형 고추 수확기
KR20220126601A (ko) * 2021-03-09 2022-09-16 조근현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KR102442724B1 (ko) * 2021-09-16 2022-09-22 덕일산업 주식회사 통풍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KR20230099736A (ko) 2021-12-27 2023-07-05 (주)영민하이테크 통풍 챔버와 덕트의 연결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679A (ko) 2016-10-05 2018-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통풍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679A (ko) 2016-10-05 2018-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통풍 시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5509B2 (en) * 2020-09-08 2022-05-10 Atieva, Inc. Seat cushion-extension ventilation with primary fan
KR20220126601A (ko) * 2021-03-09 2022-09-16 조근현 송풍 시트구조를 갖는 고추 수확기
KR102416233B1 (ko) * 2021-07-08 2022-07-01 조근현 전동 이송형 고추 수확기
KR102442724B1 (ko) * 2021-09-16 2022-09-22 덕일산업 주식회사 통풍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KR20230099736A (ko) 2021-12-27 2023-07-05 (주)영민하이테크 통풍 챔버와 덕트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4712A (ko)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US7506924B2 (en) Motor vehicle seat having an air supply device
US5645319A (en) Passenger's pillow
JP3786701B2 (ja) 車両の椅子に通気する装置
JP4469390B2 (ja) 車両用シート
US7527329B2 (en) Seat, in particular a vehicle seat, with means for deviating a ventilation flow based on Coanda effect
KR20110091080A (ko) 차량 시트용 통풍 장치
JP2018093921A (ja) 空調シート
JP7267674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0125990A (ja) 車両用シート
US20200180478A1 (en) Blower device for rear seat
JP2003034116A (ja) 空調装置
JP2019201859A (ja) 空調シート
JP2018039298A (ja) 車両用シート
KR100778593B1 (ko) 자동차용 냉난방 통풍시트의 열전소자 장착구조
JP2004276852A (ja)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US20190299826A1 (en) Seat air conditioner
US11260721B2 (en) Motor vehicle
JP2006137362A (ja) 座席用空調装置
JP2021079010A (ja) シート
JP7439679B2 (ja) シート空調装置
JP7457253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
JP2022079139A (ja) パーティション装置
JP6795386B2 (ja) 空調シート
JPH04236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