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784A -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 Google Patents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784A
KR20190125784A KR1020180050031A KR20180050031A KR20190125784A KR 20190125784 A KR20190125784 A KR 20190125784A KR 1020180050031 A KR1020180050031 A KR 1020180050031A KR 20180050031 A KR20180050031 A KR 20180050031A KR 20190125784 A KR20190125784 A KR 20190125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persion panel
seat
horizontal structure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영
전의식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영민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영민하이테크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784A/ko
Publication of KR2019012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42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with circulation of air through a layer inside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착석부 및 착석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착석부 및 등받이부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이송하는 이송덕트, 이송덕트와 연결되어 이송된 공기를 상기 등받이부로 가이드 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일면과 연결되어 이송된 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 분산 패널과 공기 분산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쿠션부는 공기 분산 패널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한 공기를 차량용 시트에 고르게 토출시킬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VENTILATION SEAT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BENT PORTION OF HORIZONTAL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통풍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부와 등받이부 각각에 팬이 구비되어 있으며, 팬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되는 경로의 구조를 개선하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에 관한 것이다.
공간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내지 공기의 흐름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공조 장치를 사용하며, 특히 차량과 같이 밀폐되어 있는 공간은 이러한 공조 장치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공조 장치는 에어컨과 히터로 구성되는 냉·난방 장치가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전면, 측면 등에서 공기를 제공하나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차량용 시트에는 상술한 냉·난방 장치에 의존한 공기가 제공되지 않아 차량 탑승자의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일 요인으로 작용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절기의 경우 공개특허 제10-2004-0098290호에서 개시된 것과 같이 차량용 시트의 내부에 열선을 구비하고 차량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난방효과를 전달함으로써 쾌적한 승차감과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었다.
또한 하절기의 경우 등록특허 제10-1280775호에서 개시된 것과 같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일정한 형상의 공기 이송 홀을 거쳐 시트에 형성되는 공기 토출용 홀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냉방효과를 전달함으로써 쾌적한 승차감과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었다.
다만, 상술한 구성에 의한 통풍용 시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공기 이송용 홀과 공기 흡입용 팬에 의해 차량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는 경우 이물감을 주어 승차감이 불편하며, 또한 승차감을 향상시키고자 상기 공기를 가이드 하는 공기 이송용 홀의 재질을 메모리 폼과 같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며 외력을 흡수하는 재질을 사용할 경우 차량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여 시트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공기 이송용 홀에 형성되는 공간이 막혀 원활한 공기의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 의한 통풍용 시트의 경우 차량 탑승자에 의해 시트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흡입한 공기가 차량용 시트에 생기는 미세한 틈으로 새는 경우가 발생하며 팬에 부하가 걸려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8290호 (2004.11.2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0775호 (2013.06.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써 흡입한 공기를 차량용 시트에 고르게 토출시키고, 차량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이물감을 최소화 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며, 차량용 시트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패널에 전해지는 외력을 최소화 하여 원활한 공기의 유동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는 착석부 및 상기 착석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 및 등받이부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이송하는 이송덕트와 상기 이송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된 공기를 상기 등받이부로 가이드 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일면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된 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 분산 패널과 상기 공기 분산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공기 분산 패널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덕트로부터 공기 분산 패널로 유입되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공기유로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부직포와 상기 공기 분산 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적어도 한번 이상 굴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송덕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착석부 및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분산 패널은, 상기 착석부에 구비되는 제1공기 분산 패널과 상기 등받이부에 구비되는 제2공기 분산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공기 분산 패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착석부에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공기 분산 패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한 공기를 차량용 시트에 고르게 토출시킬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이물감을 최소화 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시트 내부에 구비되는 이송덕트 및 공기 분산 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 하여 원활한 공기의 유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시트 내부에 구비되는 팬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 하여 팬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의 내부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직포, 공기 분산 패널 및 지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의 공기분산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의 공기분산패널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는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고자 사람의 등을 3부분으로 구분하여 등이 굽어지는 기준점을 등의 중간지점이라 표현하고 상기 등의 중간지점의 상부에 뒷목과 근접하게 위치하는 지점을 등의 상부지점 상기 등의 중간지점의 하부에 꼬리뼈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지점을 등의 하부지점이라 칭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 시트의 내부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 시트 등받이부의 후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 시트는 탑승자가 앉게 되는 착석부(200)와 상기 착석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부(100)를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등받이부의 내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팬(110)과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이송하는 이송덕트(130)와 상기 이송덕트에 의해 이송된 공기를 상기 등받이부로 가이드하는 부직포(150)과 상기 부직포의 일면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된 공기를 상기 등받이부로 분산시켜 토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2공기 분산 패널(170)과 상기 제2공기 분산 패널(170)의 일변에 구비되는 쿠션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공기 분산 패널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부직포(150)과 제2공기 분산 패널(170)은 바람직하게는 겹쳐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190)가 상기 부직포와 공기 분산 패널을 감싸며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160)은 부직포(150)과 제2공기 분산 패널(170)사이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번 이상 굴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을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덕트(130)는 상기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부재(131)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등받이부(100)에 가해지는 외력 중 수직한 방향에 대해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외력 중 수평한 방향에 대해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로 나뉘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지지수단(160)과 이송덕트(13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31)는 탑승자가 등받이부에 기대어 등받이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쿠션부(190), 제2공기 분산 패널(170), 부직포(150)에 순차적으로 압력이 가해져 상기 팬(110)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상기 팬(110)에 부하가 걸리는 경우 팬을 통해 이송되는 공기가 상기 부직포(150)의 이송덕트(130) 측면으로 유출될 수 있으며 또한 팬(110)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일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착석부(200)에도 상기 등받이부(1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탑승자의 신체부위가 직접 맞닿는 쿠션부(290), 상기 쿠션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공기 분산 패널(270), 상기 제1공기 분산 패널의 하부에 구비되는 부직포(250)과 지지수단(26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공기 분산 패널(270)은 탑승자의 편안한 탑승감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면적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가 연결되어 상기 착석부(200)에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2공기 분산 패널(170)과 마찬가지로 주름부가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 시트의 측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 시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직포, 공기 분산 패널, 지지수단, 이송덕트 및 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 및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 시트의 등받이부(100)와 착석부(200)는 각각 팬(110,210)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기 위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팬에 연결되는 이송덕트(130,230), 부직포(150,250)과 지지수단(160,260), 제1공기 분산패널(270) 및 제2공기 분산 패널(170)이 차례로 겹쳐지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팬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가 상기 등받이부 및 착석부의 측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 분산 패널(170,27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17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173)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상기 쿠션부(190,290)에 형성되어 공기 토출 통로(180,280)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등받이부 및 착석부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쿠션부(190,290)의 하부에 있는 구성요소들에게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쿠션부에 형성된 홀로 토출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공기 분산 패널(17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부(171)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름부(171)는 상기 공기 분산 패널(170)을 3등분 하여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사람의 등을 설명의 편의상 3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할 경우 사람의 등은 등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등의 상부지점과 등의 하부지점이 굽어질 수 있는 것으로써 이와 대응되어 상기 주름부(171)가 형성될 수 있어 중간지점과 상부지점이 휘어지는 부분에 주름부가 하나 구비되고, 상기 중간지점과 하부지점이 휘어지는 부분에 주름부가 하나 구비되어 탑승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산패널(300)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산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산패널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산패널(300)은 크게 봐서 팬(3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팬지지부(311), 이송덕트(320), 공기분산패널 몸체(312,313)가 일체 성형 또는 조립 성형될 수 있다.
팬지지부(311)는 팬(3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고, 이송덕트(320)는 팬(310)의 공기주입부와 공기분산패널 몸체(312,313)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공기분산패널 몸체(312,313)는 팬(310)과 이송덕트(3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밀폐형 공간을 갖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330)가 형성된다.
이송덕트(320)는 팬(310)의 공기주입부와 공기분산패널 몸체(312,313)와의 연결시, 팬(310)과 공기분산패널 몸체(312,313)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짧은 덕트길이로 통풍 LOSS를 최소화할 수 있다.
공기분산패널 몸체(312,313)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분산패널 몸체(312,313)는 상면과 하면이 조립되는 형태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면(312)은 차량의 시트에 따른 차종에 따라 다양한 공기토출부(330) 위치를 갖는 제품으로 하여 하면(313)과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차량별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돌기(340)는 공기분산패널(300)의 상면과 하면의 내부 밀폐공간을 확보하고, 착좌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기토출부(330)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산패널(300)은 공기흐름을 유도하는 수평구조와 수직구조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착좌시에 운전자의 체중에 의해 휘어지도록 하여 안락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공기분산패널(300)은 도 6에서 이송덕트(320)로부터 공기분산패널(300) 내측으로 흐르는 공기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공기분산패널(300)에서 공기흐름이 수직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직구조의 제1 절곡부(350)와 공기부산패널(300) 내의 공기흐름을 구획하는 수평구조의 제2 절곡부(360)를 갖는다.
이때, 제1 절곡부(350)는 측단면에서 볼 때, 상면(312) 내측 하부로 볼록한 형태(351)를 갖고, 마주하는 하면(313)에 대각선 방향으로 하면(313) 내측 상부로 볼록한 형태(352)를 가짐으로서, 물결모양이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절곡부(350)의 상면(312)과 하면(313)을 외측에서 보면 오목한 형태를 갖고,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즉, 제1 절곡부(350)의 상면(312)과 하면(313) 사이에 내측으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볼록한 형태를 갖게 되면, 공기흐름에 있어 유로가 좁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볼록한 부분을 서로 마주하는 위치를 피해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모양이 되도록 함으로써, 휘어짐과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2 절곡부(360)는 공기분산패널(300) 내부 공간에서 공기흐름을 구획하면서 공기흐름방향으로 볼 때, 좌우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평구조를 갖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절곡부의 상면(312)과 하면(313) 사이에 내측으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볼록한 형태를 갖도록 하여 착좌시 공기분산패널(300)이 좌우로 휘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산패널(300)은 상단부에서 볼때,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 좁은 통로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다가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팬(310)과 연결되는 이송덕트(320)에서 공기유로가 내측으로 확산되도록 공기분산패널(300)의 내벽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분산패널(300)의 내벽구조에 따른 공기흐름을 원활히 하도록 제2 절곡부(360)의 일단이 이송덕트(320) 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시작되어 공기분산패널(300)의 이송덕트(320)로부터 대각선 형태로 확산되는 내측벽과 평행하도록 일부 절곡된 공기유로 유도부(361)를 갖는다.
이러한 제2 절곡부(360)의 일부 절곡된 공기유로 유도부(361)는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형태로 확산되는 공기분산패널(300)의 이송덕트(320) 측으로부터 대각선으로 확산되는 내벽 형태에 따라 절곡되어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산패널(300)은 백시트와 쿠션시트에 각각 개별 적용하는 2-Blower 형태로 고유 송풍음색이 낮고 개별 송풍량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등받이부
200 : 착석부
110,210,310 : 팬
130,230,320 : 이송덕트
131,231 : 탄성부재
150,250 : 부직포
160,260 : 지지수단
170,270,300 : 공기 분산 패널
171 : 주름부
173,330 : 공기 토출부
190,290 : 쿠션부
311 : 팬지지부
312 : 공기분산패널 몸체상부
313 : 공기분산패널 몸체하부
340 : 돌기
350 : 제1 절곡부
351 : 상면 내측 볼록부분
352 : 하면 내측 볼록부분
360 : 제2 절곡부
361 : 공기유로 유도부

Claims (7)

  1. 착석부 및
    상기 착석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 및 등받이부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이송하는 이송덕트와
    상기 이송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된 공기를 상기 등받이부로 가이드 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일면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된 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 분산 패널과
    상기 공기 분산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공기 분산 패널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덕트로부터 공기 분산 패널로 유입되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공기유로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부직포와 상기 공기 분산 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적어도 한번 이상 굴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덕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착석부 및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산 패널은,
    상기 착석부에 구비되는 제1공기 분산 패널과
    상기 등받이부에 구비되는 제2공기 분산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 분산 패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착석부에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 분산 패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등받이부에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KR1020180050031A 2018-04-30 2018-04-30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KR20190125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031A KR20190125784A (ko) 2018-04-30 2018-04-30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031A KR20190125784A (ko) 2018-04-30 2018-04-30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84A true KR20190125784A (ko) 2019-11-07

Family

ID=6857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031A KR20190125784A (ko) 2018-04-30 2018-04-30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57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915A (ko) 2020-10-27 2022-05-04 (주)영민하이테크 시트 통풍 시스템
CN114929515A (zh) * 2020-01-08 2022-08-19 株式会社电装 座椅空调装置
KR20230032423A (ko) 2021-08-31 2023-03-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290A (ko) 2003-05-14 2004-1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열선시트 어셈블리 및 그 동작방법
KR101280775B1 (ko) 2011-11-21 2013-07-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통풍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290A (ko) 2003-05-14 2004-1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열선시트 어셈블리 및 그 동작방법
KR101280775B1 (ko) 2011-11-21 2013-07-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통풍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9515A (zh) * 2020-01-08 2022-08-19 株式会社电装 座椅空调装置
KR20220055915A (ko) 2020-10-27 2022-05-04 (주)영민하이테크 시트 통풍 시스템
KR20230032423A (ko) 2021-08-31 2023-03-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924B2 (en) Motor vehicle seat having an air supply device
KR20190125784A (ko)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US10743671B2 (en) Air conditioning seat
WO2015064036A1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US20070200398A1 (en) Climate controlled seat
KR101984728B1 (ko) 차량용 통풍 시트
KR20140089301A (ko) 채널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US20200180478A1 (en) Blower device for rear seat
US10245920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KR20210064712A (ko) 통풍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US11072266B2 (en) Vehicle seat
KR100778593B1 (ko) 자동차용 냉난방 통풍시트의 열전소자 장착구조
KR20190125733A (ko) 수직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KR20190125732A (ko) 어댑터 구조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US11433790B2 (en) Air duct for ventilation seat and ventilation seat having same for vehicle
KR101565776B1 (ko) 차량용 시트의 통풍장치
KR102354831B1 (ko) 통풍 기능을 갖는 의자
JP2003252036A (ja) 送風式温調シート
JP5176588B2 (ja) シート送風装置
KR102201521B1 (ko) 차량 통풍시트의 넥벤트 설치구조
JP5812698B2 (ja) 空調椅子及び空調システム
JP6798880B2 (ja) 椅子、及び、空調システム
JP6798879B2 (ja) 椅子の座、椅子、及び、空調システム
JP2011217868A (ja) 空調式シート
KR20230032423A (ko)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