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423A -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423A
KR20230032423A KR1020210115244A KR20210115244A KR20230032423A KR 20230032423 A KR20230032423 A KR 20230032423A KR 1020210115244 A KR1020210115244 A KR 1020210115244A KR 20210115244 A KR20210115244 A KR 20210115244A KR 20230032423 A KR20230032423 A KR 2023003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seat
cushion
ai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15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2423A/ko
Publication of KR2023003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42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with circulation of air through a layer inside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쿠션과 시트 백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는 두 개의 통풍 시트와 별도로 시트 백의 뒷면에도 통풍 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자동차를 이용해서 캠핑할 때처럼 시트 백을 앞으로 젖혀서 쿠션에 겹쳐지게 해 놓은 상태에서 새로 설치된 통풍 시트를 통해 온기나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 넓어진 트렁크 공간 안에서 통풍이 잘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냉·난방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시트 백의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통풍 시트가 삼방 밸브를 통해 시트 백의 앞쪽과 뒤쪽으로 공기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절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VENTILATION APPARATUS INSTALLED IN THE SEAT OF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과 시트 백의 서로 마주하는 면과 더불어 시트 백의 후면에도 통풍 시트를 장착함으로써, 쿠션 위로 시트 백을 젖혀서 사용할 때도 통풍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자동차를 이용해서 캠핑할 때처럼 시트 백을 쿠션 위로 젖혀서 사용할 때도 편리하고 편안하게 통풍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시트 백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설치된 통풍 시트에 공급되는 공기의 절환은 삼방 밸브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공급 절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계절에 따라 온기나 냉기를 공급하여 냉·난방이 이루어지게 이와 함께 통풍 등을 목적으로 통풍 시스템(V)이 장착된다. 통풍 시스템(V)은 자동차용 시트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앉았을 때 쿠션(C)과 시트 백(B)에서 공기가 방출하게 해서 시트에 앉은 운전자나 탑승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앉아있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통풍 시스템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5784호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가 개시된다. 그 구성은 착석부 및 착석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착석부 및 등받이부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이송하는 이송 덕트, 이송 덕트와 연결되어 이송된 공기를 상기 등받이부로 가이드 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일면과 연결되어 이송된 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 분산 패널과 공기 분산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쿠션부는 공기 분산 패널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흡입한 공기를 차량용 시트에 고르게 토출시킬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33578호
시트 백의 통풍 매트 상에, 통풍 매트의 채널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커버링 레이어와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배기홀이 관통 형성함으로써, 승객의 신체특성에 무관하게 시트 백 통풍성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배기 순환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배기 순환구조를 통해, 승객 착좌시의 밀폐조건을 해소하여 차량 내부의 냉기를 지속적으로 흡입하고, 이를 통해 착좌부의 온도를 하강시켜 승객의 열쾌적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실용 제20-0492044호
공기 청정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용 통풍 시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커버 일측에 장착된 송풍기에 필터를 구성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정화된 공기의 배출에 따른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안착되되, 전면에는 다수의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공기 배출공으로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장착된 자동차용 통풍 시트 커버에서, 상기 송풍기는, 송풍 모터가 내부에 구성되는 송풍 하우징과; 상기 송풍 하우징의 흡입 측에 구성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기존의 통풍 시스템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쿠션(C)과 시트 백(B)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송풍기(20)에 연결된 통풍 시트(1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통풍 시트(10)는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2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게 되고, 상기 공간부(11)에는 공급받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쪽 면에 여러 개의 통풍 구멍(1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기존의 통풍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최근 자동차를 이용한 캠핑이 늘어나면서 트렁크 공간을 활용해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처럼 트렁크 공간을 활용하려면 자동차 시트를 앞으로 당겨서 시트 백을 접어야 한다.
(2) 이처럼 트렁크 공간을 활용하려고 시트 백을 접은 상태로 두면 기존의 통풍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3) 이는, 자동차 시트를 접음에 따라 트렁크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는 있으나, 넓어진 트렁크 공간에 대해 통풍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공기 순환이나 냉·난방 등의 효율이 떨어진다.
(3) 특히, 자동차 실내에서 트렁크 부분은 운전석이 있는 부분과 비교하여 냉·난방 시설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트렁크 부분에서 잠을 잘 때처럼 오랜 시간을 트렁크 부분에서 보내야 할 때는 환기와 냉·난방에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5784호 (공개일: 2019.11.07)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33578호 (공개일: 2020.03.30) 한국등록실용 제20-0492044호 (등록일: 2020.07.2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과 시트 백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는 두 개의 통풍 시트와 별도로 시트 백의 뒷면에도 통풍 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자동차를 이용해서 캠핑할 때처럼 시트 백을 앞으로 젖혀서 쿠션에 겹쳐지게 해 놓은 상태에서 새로 설치된 통풍 시트를 통해 온기나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넓어진 트렁크 공간 안에서 통풍이 잘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냉·난방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시트 백의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통풍 시트가 삼방 밸브를 통해 시트 백의 앞쪽과 뒤쪽으로 공기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절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렁크 공간을 넓게 확보하려고 쿠션 위에 놓이도록 시트 백을 앞으로 젖혔을 때 이 시트 백의 뒷면에 설치된 통풍 시트를 통해 통풍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트렁크 공간을 활용할 때 충분한 환기와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은, 쿠션(C)과 시트 백(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에서, 쿠션(C) 위에 설치된 제1통풍 시트(100); 시트 백(B)의 앞쪽 면에 설치되는 제2통풍 시트(200') 및 시트 백(B)의 뒤쪽 면에 설치되는 제3통풍 시트(200");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제1통풍 시트(100)와 제2통풍 시트(200') 및 제3통풍 시트(200")에 공급하는 송풍기(300); 및 상기 제2통풍 시트(200')와 상기 제3통풍 시트(200")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하는 절환 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절환 수단(400)은, 삼방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300)는, 쿠션(C)에서 시트 백(B)을 펼쳐서 사용할 때는 쿠션(C)과 시트 백(B)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상기 제1통풍 시트(100)와 상기 제2통풍 시트(200')로 통풍이 이루어지게 하고, 쿠션(C) 위에 시트 백(B)이 접혔을 때는 상기 제3통풍 시트(200")로만 통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시트 백의 뒷면에도 통풍 시트를 구성함에 따라 쿠션을 중심으로 시트 백이 앞으로 젖혀진 상태나 뒤로 펼쳐진 상태에서도 이 뒷면에 설치된 통풍 시트를 통해 냉·온기 공급이나 통풍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이때, 쿠션을 중심으로 시트 백이 앞으로 젖혀진 상태에서도 시트 백 뒷면에 장착된 통풍 시트를 통해 냉·온기 공급과 통풍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때에 따라 시트 백을 앞으로 젖혀서 사용할 때도 냉·온방 효과와 통풍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특히, 자동차를 이용하여 캠핑할 때처럼 자동차 시트를 자동차 앞으로 잡아당긴 다음, 쿠션을 중심으로 시트 백을 앞으로 젖혀서 트렁크 공간을 생활공간 등으로 활용할 때도 넓어진 트렁크 공간에 충분한 냉·온기 공급과 더불어 통풍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시트에 설치되는 통풍 시스템을 갖춘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시트에 설치되는 통풍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통풍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풍 시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용 시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 백에 구성된 두 개의 통풍 시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시스템을 장착한 자동차용 시트를 이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통풍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V)에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제1통풍 시트(100), 제2통풍 시트(200'), 제3통풍 시트(200"), 송풍기(300), 그리고 절환 수단(40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제3통풍 시트(200")는 시트 백(B)의 배면에 설치되어 쿠션(C)과 마주하게 시트 백(B)을 앞으로 젖혀서 사용할 때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트렁크 공간을 확장하는 등 자동차용 시트를 앞으로 젖힌 상태에서도 트렁크 공간에서 냉·난방 공급과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환 수단(400)으로는 삼방 밸브를 이용함으로써, 송풍기(300)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제2통풍 시트(200')와 제3통풍 시트(200") 중 어느 하나에 쉽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C'와 'B'는 자동차용 시트를 구성하는 쿠션과 시트 백을 나타낸다. 또한,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냉·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가. 제1 내지 제3통풍 시트
제1 내지 제3통풍 시트(100, 200', 2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같은 구성으로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구분된다. 이에, 여기서는, 통풍 시트에 관해서는 장착 위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제2통풍 시트(2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도 4]와 같이, 상기 제1통풍 시트(100)는 쿠션(C)의 윗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통풍 시트(200')는 이 쿠션(C)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시트 백(B)의 앞면, 즉 상기 제1통풍 시트(100)와 마주하게 시트 백(B)에 장착되며, 상기 제3통풍 시트(200")는 시트 백(B)의 뒷면에 장착된다.
이처럼 장착된 제1 내지 제3통풍 시트(100, 200', 200")는, [도 4] 및 [도 5]와 공기조화장치에 연결된 후술할 송풍기(300)에 연결되어 냉·온기를 공급받아 냉·난방과 통풍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3통풍 시트(100, 200', 200")는 여러 개의 통풍 구멍(211)이 관통 형성된다. 이처럼 통풍과 냉·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은 아래에서 제2통풍 시트(2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통풍 시트(200')는, [도 5]와 같이, 시트 백(B)의 앞면에 설치되어 자동차 시트에 앉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등 부분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통풍 시트(200')에는 내부에 넓게 공간 부분(210)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 부분(210)은 상기 제2통풍 시트(200)')의 넓이 전체에 걸쳐 가능한 한 넓게 구성함으로써, 후술할 송풍기(300)를 통해 공급받은 냉·온기를 제2통풍 시트(200') 면적 전반에 걸쳐 배출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통풍 시트(200')에는, [도 5]와 같이, 한쪽 면에 상기 공간 부분(210)과 통하도록 여러 개의 통풍 구멍(211)이 형성된다. 통풍 구멍(211)은 상기 공간 부분(210)에 공급된 냉·온기가 제2통풍 시트(200') 전체에서 골고루 분산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상기 제1 내지 제3통풍 시트(100, 200', 2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후술할 송풍기(300)를 통해 냉기나 온기를 공급받는다.
나. 송풍기
송풍기(3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급받는 냉기나 온기를 상술한 제1 내지 제3통풍 시트(100, 200', 200")에 공급하여 냉·난방과 통풍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ing)는 본 발명에 따라 냉기와 온기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장치일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에 미리 장착되어 자동차 실내에 냉·온기를 공급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기(300)는 공기조화장치에 연결되어 냉기와 온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송풍기(300)는 자동차 실내의 내기를 상술한 제1 내지 제3통풍 시트(100, 200', 200")에 공급하여 순환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송풍기(300)를 통해 공급되는 냉·온기는, [도 4] 및 [도 5]에서, 제1통풍 시트(100)와 제2통풍 시트(200')에 공급되거나, 제3통풍 시트(200")에만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즉, 상기 송풍기(300)는 쿠션(C) 측에만 냉·온기를 공급하거나 시트 백(B)으로만 냉·온기를 공급하거나, 쿠션(C)과 시트 백(B)에 동시에 냉·온기를 공급할 수 있게 제어된다.
한편, 상기 송풍기(300)를 통해 시트 백(B)으로 공급되는 냉·온기는 후술할 절환 수단(400)을 통해 공급 방향이 결정되게 된다.
다. 절환 수단
절환 수단(40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송풍기(300)에서 시트 백(B)으로 공급되는 냉·온기를 제2통풍 시트(200')와 제3통풍 시트(200") 중 어느 한 곳으로 공급하게 한다.
이는, 상기 절환 수단(400)을 통해, 상기 송풍기(300)를 통해 공급된 냉·온기가 시트 백(B)의 앞쪽으로 배출하게 할지 그 뒤쪽으로 배출하게 할지 결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쿠션(C)에서 시트 백(B)이 펼쳐져서 자동차용 시트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앉을 때는 상기 절환 수단(400)을 통해 제2통풍 시트(200')에 냉·온기가 공급되게 하고, [도 5] 및 [도 6]과 같이 쿠션(C)과 마주하게 시트 백(B)이 앞으로 젖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절환 수단(400)을 통해 제3통풍 시트(200")에 냉·온기가 공급되게 구성함으로써, [도 6]과 같이 트렁크 바닥을 확장할 때처럼 자동차 시트에서 시트 백을 앞으로 젖혀서 사용할 때도 냉·온기를 이용하여 트렁크 공간의 냉·난방과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트렁크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시트 백을 쿠션 앞으로 젖혀서 사용할 때도 시트 백의 뒷면에 설치된 통풍 시트를 통해 냉·온기를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를 이용하여 캠핑할 때처럼 시트 백을 앞으로 젖혀서 사용할 때도 트렁크 공간 안에서 냉·난방과 더불어 통풍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200', 200": 제1, 제2, 제3통풍 시트
210: 공간 부분
211: 통풍 구멍
300: 송풍기
400: 절환 수단

Claims (3)

  1. 쿠션(C)과 시트 백(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에서,
    쿠션(C) 위에 설치된 제1통풍 시트(100);
    시트 백(B)의 앞쪽 면에 설치되는 제2통풍 시트(200') 및 시트 백(B)의 뒤쪽 면에 설치되는 제3통풍 시트(200");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제1통풍 시트(100)와 제2통풍 시트(200') 및 제3통풍 시트(200")에 공급하는 송풍기(300); 및
    상기 제2통풍 시트(200')와 상기 제3통풍 시트(200")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하는 절환 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절환 수단(400)은,
    삼방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송풍기(300)는,
    쿠션(C)에서 시트 백(B)을 펼쳐서 사용할 때는 쿠션(C)과 시트 백(B)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상기 제1통풍 시트(100)와 상기 제2통풍 시트(200')로 통풍이 이루어지게 하고,
    쿠션(C) 위에 시트 백(B)이 접혔을 때는 상기 제3통풍 시트(200")로만 통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KR1020210115244A 2021-08-31 2021-08-31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KR20230032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244A KR20230032423A (ko) 2021-08-31 2021-08-31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244A KR20230032423A (ko) 2021-08-31 2021-08-31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423A true KR20230032423A (ko) 2023-03-07

Family

ID=8551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244A KR20230032423A (ko) 2021-08-31 2021-08-31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242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84A (ko) 2018-04-30 2019-11-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KR20200033578A (ko) 2018-09-20 2020-03-3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풍 시트
KR200492044Y1 (ko) 2019-07-11 2020-07-27 문소연 공기 청정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용 통풍 시트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84A (ko) 2018-04-30 2019-11-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KR20200033578A (ko) 2018-09-20 2020-03-3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풍 시트
KR200492044Y1 (ko) 2019-07-11 2020-07-27 문소연 공기 청정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용 통풍 시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4308B2 (ja) シート空調装置
US10279714B2 (en)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252650B2 (en) Vehicle seat with thermal comfort system
US10173561B2 (en) Seat device operatively connected to HVAC apparatus
US7827805B2 (en) Seat climate control system
JP3835329B2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US20070001489A1 (en) Vehicle seat with thermal elements
JP200134151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520288A (ja) 車両シート
US20080290702A1 (en) Ergonomically designed portable cooling seat
US7837270B2 (en) Vehicle seat having a ventilation system
US20190283636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JP7095533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04020231A1 (ja) 乗り物用シート
JP2008104834A (ja) 自動車用冷暖房通風シートの熱電素子装着構造
US20090042501A1 (en) Localized Air Distribution System
KR20230032423A (ko)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통풍 시스템
CN215921986U (zh) 车辆用座椅
JP2003235676A (ja) 車両の座席構造
JPH1178484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H08175157A (ja) バス用空調装置
JPH03297414A (ja) 通風シート
JPH0550848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8003307A1 (ja) シート送風装置
JP7005239B2 (ja) 車両の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