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267B1 -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267B1
KR101941267B1 KR1020160094942A KR20160094942A KR101941267B1 KR 101941267 B1 KR101941267 B1 KR 101941267B1 KR 1020160094942 A KR1020160094942 A KR 1020160094942A KR 20160094942 A KR20160094942 A KR 20160094942A KR 101941267 B1 KR101941267 B1 KR 101941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late
horizontal
palle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103A (ko
Inventor
배기웅
Original Assignee
오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찬 filed Critical 오종찬
Priority to KR1020160094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2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2Load-carriers, rollers therefor
    • B65G2812/18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의 천장 파이프에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일바(100); 상기 레일바(100)에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는 롤러부(210)와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높낮이조절부(220)를 포함하는 운반대(200); 상기 운반대(200)와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적재판(330)이 형성되는 운반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반장치의 반복사용으로 인해 레일바의 처짐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운반장치도 같이 처지게 되어 운반의 불편함을 야기하거나 심한 경우 운반장치의 운행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천장파이프와 레일바를 잇는 걸림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레일바를 상향 조정하고 레일바의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상기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운반대의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비닐하우스의 종류나 높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비닐하우스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비닐하우스에 재배하는 작물의 종류, 작업종류 등에 따라 운반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에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셋째, 운반대와 운반판의 간편한 탈착이 가능하여 운반장치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운반판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의 통상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차형 운반판과 연결되는 운반대의 경우 그 폭이 넓어 운반과 보관에 불편을 야기하여 여성이나 어린이가 운반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는 점에 비추어 절첩수단을 구비하여 중앙부에서 절첩되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이동과 보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운반판의 경우 접이식 구조이어서 보관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이동이나 보관에 편의성을 제공하며, 운반장치의 필요성이 떨어지는 경우 또는 당장에는 필요없으나 곧 필요한 경우에 분리하고 다시 곧바로 장착한다면 노동력 손실과 생산력 감소로 이어지게 되므로 이를 장착한 상태에서 접어둘 수 있게 함으로써, 이동의 편의성을 추구하면서도 노동력 손실과 생산력 감소 등의 문제점을 덜 수 있다.
다섯째, 통상의 운반장치의 경우 일측방에 수확물 등 피운반물을 적재하는 경우 기울어지게 되어 피운반물이 운반장치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테두리에 돌출되는 턱을 형성하는 제품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제안의 경우는 턱의 존재로 피운반물의 적재와 하역에 불편함을 초래하였는 바, 본 발명은 적재판을 상방으로 경사를 두게 하거나 적재판의 중앙부를 하방으로 절곡되게 하여, 일측방에 적재하여 운반장치가 기울어지더라도 테두리에 돌출되는 턱의 존재없이도 피운반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적재와 하역에 편의성을 더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A VERSATILE DEFORMABLE TRANSPORT EQUIPMENT IN THE GREEN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높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온실)라 함은, 내부의 보온을 통해 작물의 성장에 적당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동절기는 물론 하절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비닐하우스는, 지면에 종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열로 세워지는 활형상의 골조(이하, "활형골조"라 칭함)들과, 이 활형골조들의 상부 또는 측부를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방향 직선골조(이하, "종형골조"라 칭함), 및 상기 활형,종형골조들을 덮어 내부를 보온하기 위하여 활형 및 종형골조들 덮는 비닐커버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닐하우스는, 간단히 저가로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냉기의 차단력이 우수한 비닐커버를 이용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충분한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대부분의 농가에서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업체류, 근체류, 과채류, 화훼류, 과수류 등과 같은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한편, 운반장치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농업 등의 각종 생산 현장에서 농작물이나, 관련 자재들의 운반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운반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외발 운반 수단의 경우 운반물을 적재하여 좌우 균형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는 반면, 어느 정도 숙련된 작업자에 의할 경우 농업 현장의 불규칙적인 표면이나, 좁은 길을 이동하는데 매우 적합한 장점이 있어 대부분의 농가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는 운반 수단이다. 그러나 이러한 외발 운반 수단은 주행 시와 같이 속도가 붙은 상태에서는 좌우 균형 유지가 용이하나, 주행 속도가 떨어지거나,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위해 정지시킬 시에는 균형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바퀴가 여러 개인 운반 수단의 경우에는 논밭의 고랑 사이를 운전하거나, 비닐하우스와 같이 좁은 공간에 적용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또한, 비닐하우스에서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관련 자재를 운반하는 경우 운반 장치의 이송과 정지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바,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운송 수단에 의하면 대차에 운반물을 선적한 후 운반 수단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운반 수단의 손잡이가 형성된 일측으로 매번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손잡이를 들어서 이동시킨 후 다시 내려서 하부의 받침대로 정차시키는 힘든 작업이 동원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시 작물과 작물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확물을 채집하여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할 경우 바구니나 운반수레가 작물과 접촉하여 작물의 부러지거나 열매 같은 수확대상물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하여 수확물을 운반시 충격력에 의해 수확물이 손상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통해 손상을 입은 수확물은 상품적 가치가 저하되어 판매가 불가능하며 판매되더라도 저렴하게 판매되어 금전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닐하우스에서는 돔 형태로 형성되는 천장부분의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제안되었던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를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931호(공개일자: 2010년05월07일)는 비닐하우스의 천장파이프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는 몸체부와, 수확물 바구니나 기자재 등과 같은 견인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견인물을 천장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운반함으로써 작물이 손상되는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운반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걸림대가 삼각형 형상이라 수확바구니의 이동시 움직임이 발생하며, 수확바구니의 용량에 한계가 있어 수확바구니가 가득차면 일일이 이동시켜야 하고, 수확바구니가 천장부분에 매달려 있어 수확물을 담기 위해 낮은 공간과 높은 공간을 오가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의 손실이 초래되고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골 사이로 이동을 위해서는 매달린 수확바구니를 피해서 다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931호(공개일자: 2010년05월07일)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운송 수단이 가지는 대차에 운반물을 선적한 후 운반 수단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운반 수단의 손잡이가 형성된 일측으로 매번 이동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손잡이를 들어서 이동시킨 후 다시 내려서 하부의 받침대로 정차시키는 힘든 작업이 동원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시 작물과 작물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확물을 채집하여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할 경우 바구니나 운반수레가 작물과 접촉하여 작물의 부러지거나 열매 같은 수확대상물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종래의 비닐하우스에서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하여 수확물을 운반시 충격력에 의해 수확물이 손상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넷째, 종래의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통해 손상을 입은 수확물이 상품적 가치가 저하되어 판매가 불가능하며 판매되더라도 저렴하게 판매되어 금전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다섯째,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돔 형태로 형성되는 천장부분의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여섯째, 종래 제안되었던 비닐하우스 내의 운반장치의 문제점인 수확바구니의 용량에 한계가 있어 수확바구니가 가득차면 일일이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 수확바구니가 천장부분에 매달려 있어 수확물을 담기 위해 낮은 공간과 높은 공간을 오가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의 손실이 초래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및 골 사이로 이동을 위해서는 매달린 수확바구니를 피해서 다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는,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의 천장 파이프에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일바; 상기 레일바에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 하단에 연결되는 높낮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운반대; 상기 운반대와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적재판이 형성되는 운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ㄷ자 형상으로, 상부의 수평부분 하부에 롤러가 연결되어 상기 롤러와 상기 레일바 상부가 슬라이딩 연결되며, 상부의 수평부분 단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하부의 수평부분은 상기 높낮이조절부와 연결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롤러부의 하부 수평부분과 연결되는 수평연결부;와 상기 수평연결부와 상기 운반판을 연결하는 수직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는, 수직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으로, 일측에 물건을 걸어둘 수 있는 고리를 다수 형성하며, 상기 수평연결부와 상부가 연결되며,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속이 빈 수직방향의 파이프 형상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구멍을 미리 지정된 거리마다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조절외측부; 상기 조절외측부의 속 빈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조절외측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조절외측부의 관통된 구멍과 대응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조절내측부; 및 상기 조절외측부와 상기 조절내측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외측부와 상기 조절내측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조절내측부 하단부 일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운반판을 탈착하기 위해 상기 조절내측부 외경보다 폭이 넓은 플레이트 형상의 탈착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절외측부의 단부에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는 고정지지판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지지판, 상기 조절외측부 및 상기 조절내측부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된 구멍으로 핀을 삽입하되, 상기 핀의 중앙부에 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핀의 몸체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판 내측 간에 형성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부는 상기 수평연결부의 중앙부와의 연결과 상기 수평연결부의 양 단부와의 각각 연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부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수직 연결부를 가지는 상기 운반대는, 상기 수평연결부의 중앙부에서 절첩되어 반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수평연결부는 중앙부에서 양단되고, 양단된 상기 수평연결부의 인접하는 각 단부를 연결하는 제1절첩수단; 상기 양단된 수평연결부의 각 단부와 각각 수직 하방향으로 상부가 연결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상기 제1수직지지대의 하부와, 상기 수평연결부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외측부의 측면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수평지지대; 상기 제2수직지지대의 하부와, 상기 수평연결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외측부의 측면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2수평지지대; 상기 제1수평지지대와 상기 제2수평지지대의 인접하는 각 단부를 연결하는 제2절첩수단; 및 상기 제1수평지지대와 상기 제2수평지지대를 평행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걸쇠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반판은, 상기 탈착걸이부와 탈착되도록 연결되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와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적재판과 하부가 연결되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직재; 상기 수직재와 연결되는 적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부가 상기 수평연결부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의 상기 탈착부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재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가 삽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운반판과 상기 운반대가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부가 상기 수평연결부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의 상기 탈착부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일 수직재의 전면과 타 수직재의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가 삽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운반판과 상기 운반대가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반대와 상기 운반판을 탈착하는 수단으로, 상기 운반대의 상기 수직연결부는, 단부측에서 폭이 좁아 지도록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폭이 좁은 단부의 양 측면의 중앙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1연결부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1연결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1걸림부; 상기 제2연결부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2연결부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2연결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2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일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 회동하여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의 단부측 전면과 후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운반판의 상기 수직재는, 수직방향의 긴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직연결부의 단부가 삽입가능한 폭을 가지며, 상기 수직재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수직연결부의 단차와 상기 수직연결부의 폭이 좁은 단부 끝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길이만큼 길이를 가지는 홀이 형성된 제1걸림홀과 제2걸림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반대의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비닐하우스의 종류나 높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비닐하우스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비닐하우스에 재배하는 작물의 종류, 작업종류 등에 따라 운반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에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셋째, 운반대와 운반판의 간편한 탈착이 가능하여 운반장치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운반판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의 통상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대차형 운반판과 연결되는 운반대의 경우 그 폭이 넓어 운반과 보관에 불편을 야기하여 여성이나 어린이가 운반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는 점에 비추어 절첩수단을 구비하여 중앙부에서 절첩되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이동과 보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운반대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운반대와 운반판의 결합 모습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대규모 적재판을 갖는 운반대를 펼쳐진 상태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대규모 적재판을 갖는 운반대를 접혀진 상태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탈착수단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운반대와 운반판 탈착수단의 연결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운반장치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농업 등의 각종 생산 현장에서 농작물이나, 관련 자재들의 운반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운반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외발 운반 수단의 경우 운반물을 적재하여 좌우 균형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는 반면, 어느 정도 숙련된 작업자에 의할 경우 농업 현장의 불규칙적인 표면이나, 좁은 길을 이동하는데 매우 적합한 장점이 있어 대부분의 농가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는 운반 수단이다. 그러나 이러한 외발 운반 수단은 주행 시와 같이 속도가 붙은 상태에서는 좌우 균형 유지가 용이하나, 주행 속도가 떨어지거나,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위해 정지시킬 시에는 균형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바퀴가 여러 개인 운반 수단의 경우에는 논밭의 고랑 사이를 운전하거나, 비닐하우스와 같이 좁은 공간에 적용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또한, 비닐하우스에서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관련 자재를 운반하는 경우 운반 장치의 이송과 정지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바,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운송 수단에 의하면 대차에 운반물을 선적한 후 운반 수단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운반 수단의 손잡이가 형성된 일측으로 매번 이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손잡이를 들어서 이동시킨 후 다시 내려서 하부의 받침대로 정차시키는 힘든 작업이 동원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시 작물과 작물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확물을 채집하여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할 경우 바구니나 운반수레가 작물과 접촉하여 작물의 부러지거나 열매 같은 수확대상물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이용하여 수확물을 운반시 충격력에 의해 수확물이 손상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불어, 종래의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바구니나 운반수레를 통해 손상을 입은 수확물은 상품적 가치가 저하되어 판매가 불가능하며 판매되더라도 저렴하게 판매되어 금전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돔 형태로 형성되는 천장부분의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레일바, 운반대 및 운반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운반대의 절첩으로 인한 장치의 운반 편의성, 보관 편의성 및 골 사이로 이동의 용이함으로 인한 작업의 효율을 제고하며, 높이조절을 통하여 비닐하우스의 높이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운반대에 돌출된 고리에 각종 장치 등을 걸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탈착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는바, 아래에서 구성별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운반대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운반대와 운반판의 결합 모습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대규모 적재판을 갖는 운반대를 펼쳐진 상태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대규모 적재판을 갖는 운반대를 접혀진 상태의 일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탈착수단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에 있어서 운반대와 운반판 탈착수단의 연결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로써 함께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의 천장 파이프에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일바(100); 상기 레일바(100)에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는 롤러부(210)와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높낮이조절부(220)를 포함하는 운반대(200); 상기 운반대(200)와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적재판(330)이 형성되는 운반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바(100)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가 천장파이프(10)를 따라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레일바(100)는 상기 롤러부(210)에 부착되어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롤러가 굴러 길이방향으로 상기 운반장치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대가 되는 파이프나 긴 막대 형상이 될 수 있다. 재질은 가볍고 길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면 관계없다.
상기 운반대(2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바(100)와 상기 운반판(300)과 연결하는 부재로서,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운반판(300)의 높이를 비닐하우스의 높이, 작업종류 및 재배작물 등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나 기타 수확물 바구니 등을 걸어 이동과 사용에 편리성을 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운반대(200)는 상기 롤러부(210)와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부(210)는, 상기 레일바(100)의 상부에 슬라이딩 연결되어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를 비닐하우스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롤러부(210)는, ㄷ자 형상으로, 상부의 수평부분 하부에 롤러가 연결되어 상기 롤러와 상기 레일바(100) 상부가 슬라이딩 연결되며(본 명세서에서 슬라이딩이란 상기 레일바(100)에서 롤러가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칭함), 상부의 수평부분 단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부(212)를 포함하며, 하부의 수평부분은 상기 높낮이조절부(220)와 연결된다. 즉 상기 롤러부(210)의 상부 수평부분 하부에 연결될 롤러가 상기 레일바(100)위에 얹혀 져서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레일바(100)위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212)는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바(1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수평부분의 말단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롤러와 상기 레일바(10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만약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바(100)에서 이탈되려 하는 경우라도 상기 레일바(100)가 상기 이탈방지부(212)에 부딪히게 되어 다시 상기 롤러가 제자리 즉 상기 레일바(100) 상부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의 안정적인 운용을 제공한다.
상기 롤러부(210)의 형상이 ㄷ자 형상인 것은 상기 레일바(100)가 ㄷ자 형상의 홈에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높낮이조절부(220)가 상기 롤러와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롤러와 상기 높낮이조절부(220)가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기 운반판(300)으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모멘트의 발생없이 그대로 레일바(100)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장치에 부하가 작게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운반대(200)의 수직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운반대(200)의 하단과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여러 종류의 작업에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롤러부(210)의 하부 수평부분과 연결되는 수평연결부(222);와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상기 운반판(300)을 연결하는 수직연결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연결부(222)는 상기 높낮이조절부(220)와 상기 롤러부(210)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연결부(222)는 수평 바와 같은 형상으로 양단부에서 상기 롤러부(210)와 각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210)와의 연결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 등으로 가능하며 용접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상부가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으로, 일측에 물건을 걸어둘 수 있는 고리를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는 조절외측부(226)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는데, 고리 형상은 반원 모양, '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띌 수 있다. 이러한 고리는 물건이나 작업복 등을 걸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적재판 없이도 상기 고리에 걸어 수확바구니 등을 간단히 이송할 수 있는 등 다용도로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속이 빈 수직방향의 파이프 형상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구멍을 미리 지정된 거리마다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조절외측부(226);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속 빈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관통된 구멍과 대응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조절내측부(228); 및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고정하는 고정부(230); 상기 조절내측부(228) 하단부 일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운반판(300)을 탈착하기 위해 상기 조절내측부(228) 외경보다 폭이 넓은 플레이트 형상의 탈착걸이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부(210)와 연결되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상기 운반판(300)과 연결하는 상기 수직연결부(224)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하는 상기 조절외측부(226),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빈 속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상기 조절내측부(228) 및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30)가 포함되며,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와 나사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일치시키고 상기 일치된 구멍으로 볼트를 관통 삽입하고 반대편으로 관통되어 나온 볼트의 끝단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높낮이 조절은 상기 구멍이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상하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여(상기 조절외측부(226)에는 하나의 관통된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운반판(300)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상기 조절외측부(226)로 깊이 삽입하여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총길이를 짧게 한 후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구멍을 일치시켜 고정부(230)로 고정하게 되고, 상기 운반판(300)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상기 조절외측부(226) 얕게 삽입하여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총길이를 길게 한 후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구멍을 일치시켜 고정부(230)로 고정하게 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와 같은 볼트와 너트로 할 수도 있으나, 상기 고정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단부에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는 고정지지판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지지판(234), 상기 조절외측부(226) 및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된 구멍으로 핀(236)을 삽입하되, 상기 핀(236)의 중앙부에 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지지부(237)를 형성하고, 상기 핀의 몸체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지지부(237)와 상기 고정지지판(234) 내측 간에 형성되는 스프링(238)을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고정부(230)의 구조의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핀(236)의 두부를 잡아당기면 스프링(238)은 압축되면서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관통된 구멍에서 핀(236)이 인출되고, 높이조절을 한 뒤,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구멍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핀(236)을 놓게 되면 상기 핀(236)은 상기 스프링(238)의 복원력으로 앞으로 전진하여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지지부(237)의 일측면과 상기 조절외측부(226)가 맞닿게 되며, 상기 스프링(238)의 복원력으로 상기 핀(236)이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지속되게 되어 상기 핀(236)이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고정되어 상기 높낮이조절부(22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탈착걸이부(232)는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끝단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끝단에 연결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운반판(30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조정결과를 그대로 상기 운반판(300)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조절내측부(228)가 상기 조절외측부(226)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운반판(300)의 높낮이가 조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탈착걸이부(232)는 평평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할 수 있고 이러한 플레이트 형상의 일측면과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하단 일측면과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탈착부(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폭보다 크게 하여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양 측으로 상기 탈착걸이부(232)의 양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돌출되는 부위가 상기 탈착부(310)의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운반판(300)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반판(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대(200)와 연결되어 수확물 등 피운반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운반판(300)은,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탈착되도록 연결되는 탈착부(310); 상기 탈착부(310)와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적재판(330)과 하부가 연결되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직재(320);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되는 적재판(330);을 포함할수 있다.
상기 운반대(200)는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연결부(224)가 한 개인 경우이고, 두 번째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연결부(224)가 두 개인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이는 적재판(330)의 규모가 소규모인 경우와 대규모인 경우로 구별된다. 또한 적재판(330)의 규모에 따라 운반판(300)의 형상과 크기에 차이가 있어 마찬가지로 두 종류로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적재판(330)의 규모 즉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에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연결됨으로써 한 개의 상기 수직연결부(224)를 갖는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단부에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연결되어 두 개의 상기 수직연결부(224)를 갖는지에 따라 구별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적재판(330)의 규모가 소규모인 경우로서,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한 개인 운반대(200)이고, 상기 운반판(300)은 수직재(320)가 한 개인 운반판(300)이 된다. 즉 수직방향의 하중을 한 축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운반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210)와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로 구성되며,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수평연결부(222), 상기 수직연결부(224)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측에 상기 롤러부(210)가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에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연결된다.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 및 상기 고정부(230)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하단에는 탈착걸이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운반판(300)은, 탈착부(310), 수직재(320) 및 적재판(330)을 포함한다.
상기 탈착부(310)는,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삽입 및 인출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의 탈착을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재(320)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탈착부(310)는 상기 운반대(200)의 수직연결부(224)가 한 개인 바 상기 운반대(200)의 상기 수직재(320)도 한 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 개의 상기 수직연결부(224) 더 자세히는 한 개의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하단부 일측에 연결되는 탈착걸이부(232)에, 한 개의 상기 수직재(320)의 전 후면에 연결되는 탈착부(310)가 삽입 및 인출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의 탈착 결합이 이루어진다. 착탈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운반대(200)의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중심축과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수직재(320)의 중심축을 일치시키도록 하며, 상기 수직재(320)에 부착된 상기 탈착부(310)의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수직연결부(224)에 연결된 탈착걸이부(232)가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중심축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결하여 하중으로 인한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운반대(200)에서 상기 운반판(300)을 이탈시키는 경우, 상기 수직재(320)를 수직 상방향으로 들어 상기 탈착부(310)의 ㄷ자 형상의 홈에서 상기 탈착걸이부(232)를 이탈시킨후 측방향으로 빼내면 상기 운반판(300)이 이탈되게 된다. 이러한 착탈방법은 상기 운반판(300)의 규모가 대규모로 상기 수직재(320)와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두 개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수직재(320)는 한 개의 수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재판(330)과 연결되어 상기 적재판(330)을 상기 운반대(200)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적재판(330)은, 수확물 등 피운반물을 적재하는 부재로, 상기 수직재(320)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지면과 평행 되는 피운반물을 적재할 수 있는 소규모의 사각판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각판은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보다 사각 형상의 외곽을 가지고 외곽 사이에 살대가 연결된 형태로 하여 자체 하중을 줄일 수도 있다.
두 번째, 적재판(330)의 규모가 대규모로 큰 경우로서,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두 개인 운반대(200)이다. 즉 수직방향의 하중을 두개의 축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운반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210)와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로 구성되며,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수평연결부(222), 상기 수직연결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측에 상기 롤러부(210)가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측에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 및 상기 고정부(230)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내측부(228)의 하단에는 탈착걸이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수직 연결부를 가지는 상기 운반대(200)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에서 절첩되어 반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수평연결부(222)는 중앙부에서 양단되고, 양단된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인접하는 각 단부를 연결하는 제1절첩수단(240); 상기 양단된 수평연결부(222)의 각 단부와 각각 수직 하방향으로 상부가 연결되는 제1수직지지대(242)와 제2수직지지대(244); 상기 제1수직지지대(242)의 하부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측면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수평지지대(246); 상기 제2수직지지대(244)의 하부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측면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2수평지지대(248); 상기 제1수평지지대(246)와 상기 제2수평지지대(248)의 인접하는 각 단부를 연결하는 제2절첩수단(250); 및 상기 제1수평지지대(246)와 상기 제2수평지지대(248)를 평행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걸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의 소규모 적재판(330)을 갖는 상기 운반대(200)와 달리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두 개의 수직연결부(224)를 갖고, 상기 두 개의 수직연결부(224)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살대가 상기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가 된다. 또한 이러한 지지대는 상기 운반대(200)의 크기가 커 이를 보관하고 이동하기에 불편하여 접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적재판(330)을 형성하는 상기 운반대(200)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면, 상부에 롤러부(210), 중앙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하부에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의 프레임은 좌우측이 중간에서 접혀지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절첩수단은 문의 회동에 관계하는 경첩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운반대(200)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위치하여 절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한다. 상기 걸쇠부(260)는 상기 제1수평지지대(246)에 긴 막대가 회동하도록 힌지 고정되며, 상기 제2수평지지대(248)에 상기 긴 막대가 수용될 수 있는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형상의 수용부가 고정되어, 상기 긴 막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됨으로서 상기 긴 막대가 지지대 역할을 하여 상기 운반대(200)의 중앙부에서 접혀지지않게 된다. 접을때는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긴 막대를 분리하면 상기 긴 막대는 더 이상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어 접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대규모 적재판(330)을 갖는 경우 상기 운반대(200)는 상기 운반판(300)과 탈착을 상기 소규모 적재판(330)을 갖는 첫 번째와 다른 구조를 통해 이룰 수도 있다. 첫째는 상기 소규모 적재판(330)을 갖는 첫 번째와 동일한 구조를 통해 실현 가능하며, 둘째는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조절내측부(228), 상기 조절외측부(226) 및 고정부(230)의 구조를 배제하고 단순히 수직연결부(224)의 하단에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탈착걸이부(232) 여러 개를 형성토록 하여 각 높이마다 달리 탈착부(310)를 연결함으로서 상기 운반판(300)의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반판(300)은, 탈착부(310), 수직재(320) 및 적재판(33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일 수직재(320)의 전면과 타 수직재(320)의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이 연결되는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운반대(200)의 수직연결부(224)보다 안쪽으로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수직재(320)가 위치하여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각 내측면과 상기 수직재(320)의 각 외측면이 맞닿도록 하여, 상기 수직재(320)의 각 외측면에 연결된 상기 탈착부(310)와 상기 수직연결부(224)에 연결된 탈착걸이부(232)를 삽입 및 인출 연결함으로써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를 탈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규모 적재판(330)을 갖는 운반판(300)의 수직재(320)는, 두 개로 구성되며, 상기 운반대(200)의 두 개의 수직연결부(224)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각 수직재(320)는 상기 적재판(330)의 전방과 후방의 각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판(330)을 안정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상기 탈착부(310)와 달리, 또 다른 탈착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재판(330)의 규모에 관계없이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을 탈착하는 수단으로, 상기 운반대(200)의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단부측에서 폭이 좁아 지도록 단차(280)가 형성되며, 상기 폭이 좁은 단부의 양 측면의 중앙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282)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286); 상기 제1연결부(282)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1연결부(282)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1연결부(282)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1걸림부(284); 상기 제2연결부(286)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2연결부(286)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2연결부(286)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2걸림부(288);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282)와 상기 제2연결부(286)의 일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 회동하여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측 전면과 후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수직재(320)는, 수직방향의 긴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가 삽입가능한 폭을 가지며, 상기 수직재(320)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수직재(320)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차(280)와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이 좁은 단부 끝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길이만큼 길이를 가지는 홀이 형성된 제1걸림홀(382)과 제2걸림홀(38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측은 단차(280)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상부보다 폭이 좁도록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폭이 좁은 단부측은 상기 수직재(32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 폭이 좁은 단부 중앙부에 상기 제1연결부(282) 및 제2연결부(286)가 측면이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282)는 제1걸림부(284)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286)는 상기 제2걸림부(288)에 연결되면서, 중앙부에서 상기 제1연결부(282)와 제1걸림부(284)는 시계방향, 상기 제2연결부(286)와 상기 제2걸림부(288)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걸림부(284)의 상면은 상기 수직연결부(224) 단부측의 전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은 상기 수직연결부(224) 단부측의 후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은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가 상기 수직재(3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하면이 상기 수직재(320)와 맞닿으면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가 상기 수직재(3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는 회동하면서 접혀져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 전,후면에 맞닿도록 접촉하여 삽입된다. 삽입되면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끝단이 상기 제1걸림홀(382)과 상기 제2걸림홀(386)에 이르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홀(386)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1걸림부(284) 및 제2걸림부(288)가 펼쳐지면서 상기 수직재(32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재(320)를 내리게 되면(상기 수직재(320)를 놔 중력으로 하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제1걸림홀(382)의 상부와 상기 제1걸림부(284)의 상면이 접촉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걸림홀(386)의 상부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접촉하여 상기 수직재(320)의 전후방으로 상기 제1걸림홀(382)과 제2걸림홀(386)이 돌출되는 형상을 띠면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보다 매끄럽게 상기 걸림홀을 빠져나가도록 상기 제1걸림부(284) 및 제2걸림부(288)의 끝단의 단면을 직각으로 형성하지 않고, 하부가 라운딩 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걸림홀(382) 및 제2걸림홀(386)의 상부도 마찬가지로 라운딩 처리가 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반대(200)와 운반판(300)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수직재(320)를 상방향으로 조금 들어올린후 상기 제1걸림부(284)와 제2걸림부(288)를 접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전,후면과 접촉하게 한 후 상기 수직재(320)를 하방향으로 빼내면 상기 운반대와 상기 운반판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를 결합하거나 이동에 편리하도록 상기 운반판(300)을 들기 쉽게 상기 수직재(320) 일측면에 손잡이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는, 운반장치의 반복사용으로 인해 레일바의 처짐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운반장치도 같이 처지게 되어 운반의 불편함을 야기하거나 심한 경우 운반장치의 운행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천장파이프와 레일바를 잇는 걸림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레일바를 상향 조정하고 레일바의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상기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운반대의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비닐하우스의 종류나 높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비닐하우스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비닐하우스에 재배하는 작물의 종류, 작업종류 등에 따라 운반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에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운반대와 운반판의 간편한 탈착이 가능하여 운반장치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운반판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의 통상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차형 운반판과 연결되는 운반대의 경우 그 폭이 넓어 운반과 보관에 불편을 야기하여 여성이나 어린이가 운반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는 점에 비추어 절첩수단을 구비하여 중앙부에서 절첩되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이동과 보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레일바
200: 운반대 210: 롤러부
220: 높낮이조절부 222: 수평연결부
224: 수직연결부 226: 조절외측부
228: 조절내측부 230: 고정부
232: 탈착걸이부 234: 고정지지판
236: 핀 237: 스프링지지부
238: 스프링 240: 제1절첩수단
242: 제1수직지지대 244: 제2수직지지대
246: 제1수평지지대 248: 제2수평지지대
250: 제2절첩수단 260: 걸쇠부
280: 단차 282: 제1연결부
284: 제1걸림부 286: 제2연결부
288: 제2걸림부
300: 운반판
310: 탈착부 320: 수직재
330: 적재판 382: 제1걸림홀
386: 제2걸림홀

Claims (9)

  1.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의 천장 파이프에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일바(100);
    상기 레일바(100)에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는 롤러부(210)와 상기 롤러부(210) 하단에 연결되는 높낮이조절부(220)를 포함하는 운반대(200);
    상기 운반대(200)와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적재판(330)이 형성되는 운반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210)는,
    ㄷ자 형상으로, 상부의 수평부분 하부에 롤러가 연결되어 상기 롤러와 상기 레일바(100) 상부가 슬라이딩 연결되며, 상부의 수평부분 단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부(212)를 포함하며, 하부의 수평부분은 상기 높낮이조절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220)는,
    상기 롤러부(210)의 하부 수평부분과 연결되는 수평연결부(222);와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상기 운반판(300)을 연결하는 수직연결부(224);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수직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으로, 일측에 물건을 걸어둘 수 있는 고리를 다수 형성하며,
    상기 수평연결부(222)와 상부가 연결되며,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속이 빈 수직방향의 파이프 형상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구멍을 미리 지정된 거리마다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조절외측부(226);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속 빈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관통된 구멍과 대응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조절내측부(228); 및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외측부(226)와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고정하는 고정부(230);
    상기 조절내측부(228) 하단부 일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운반판(300)을 탈착하기 위해 상기 조절내측부(228) 외경보다 폭이 넓은 플레이트 형상의 탈착걸이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단부에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는 고정지지판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지지판(234), 상기 조절외측부(226) 및 상기 조절내측부(228)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된 구멍으로 핀(236)을 삽입하되, 상기 핀(236)의 중앙부에 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지지부(237)를 형성하고, 상기 핀의 몸체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지지부(237)와 상기 고정지지판(234) 내측 간에 형성되는 스프링(238)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수직 연결부를 가지는 상기 운반대(200)는,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중앙부에서 절첩되어 반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수평연결부(222)는 중앙부에서 양단되고, 양단된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인접하는 각 단부를 연결하는 제1절첩수단(240);
    상기 양단된 수평연결부(222)의 각 단부와 각각 수직 하방향으로 상부가 연결되는 제1수직지지대(242)와 제2수직지지대(244);
    상기 제1수직지지대(242)의 하부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측면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수평지지대(246);
    상기 제2수직지지대(244)의 하부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외측부(226)의 측면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2수평지지대(248);
    상기 제1수평지지대(246)와 상기 제2수평지지대(248)의 인접하는 각 단부를 연결하는 제2절첩수단(250); 및
    상기 제1수평지지대(246)와 상기 제2수평지지대(248)를 평행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걸쇠부(260);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판(300)은,
    상기 탈착걸이부(232)와 탈착되도록 연결되는 탈착부(310);
    상기 탈착부(310)와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적재판(330)과 하부가 연결되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직재(320);
    상기 수직재(320)와 연결되는 적재판(330);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하단에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탈착걸이부(232) 여러 개를 형성토록 하여 각 높이마다 달리 탈착부(310)를 연결함으로서 상기 운반판(300)의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부(224)가 상기 수평연결부(222)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운반대(2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탈착부(310)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ㄷ자 형상의 각 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재(320) 중 하나의 전면과 상기 수직재(320) 중 나머지 하나의 후면에 상기 ㄷ자 형상의 하부 수평부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탈착걸이부(232)가 삽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운반판(300)과 상기 운반대(200)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200)와 상기 운반판(300)을 탈착하는 수단으로,
    상기 운반대(200)의 상기 수직연결부(224)는,
    단부측에서 폭이 좁아 지도록 단차(280)가 형성되며,
    상기 폭이 좁은 단부의 양 측면의 중앙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282)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286);
    상기 제1연결부(282)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1연결부(282)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1연결부(282)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1걸림부(284);
    상기 제2연결부(286)와 일단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평판 형상이되, 상기 제2연결부(286)가 연결된 일단부측 중앙부가 상기 제2연결부(286)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타단의 하부는 라운딩된 제2걸림부(288);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282)와 상기 제2연결부(286)의 일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 회동하여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측 전면과 후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운반판(300)의 상기 수직재(320)는,
    수직방향의 긴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상면이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부가 삽입가능한 폭을 가지며,
    상기 수직재(320)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단차(280)와 상기 수직연결부(224)의 폭이 좁은 단부 끝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제1걸림부(284)와 상기 제2걸림부(288)의 길이만큼 길이를 가지는 홀이 형성된 제1걸림홀(382)과 제2걸림홀(3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KR1020160094942A 2016-07-26 2016-07-26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KR101941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42A KR101941267B1 (ko) 2016-07-26 2016-07-26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42A KR101941267B1 (ko) 2016-07-26 2016-07-26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103A KR20180012103A (ko) 2018-02-05
KR101941267B1 true KR101941267B1 (ko) 2019-01-23

Family

ID=6122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942A KR101941267B1 (ko) 2016-07-26 2016-07-26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955B1 (ko) 2018-09-04 2020-04-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80B1 (ko) * 2005-01-10 2006-06-30 정이모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KR101455278B1 (ko) * 2013-05-10 2014-10-31 (주)대인친환경 비닐하우스용 물품운반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755U (ko) * 1998-10-02 2000-05-06 김영진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100046931A (ko) 2008-10-28 2010-05-07 강동운 비닐하우스 내 작업용 운반장치
KR20140047804A (ko) * 2012-10-15 2014-04-23 여영윤 하우스용 작물 수확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80B1 (ko) * 2005-01-10 2006-06-30 정이모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KR101455278B1 (ko) * 2013-05-10 2014-10-31 (주)대인친환경 비닐하우스용 물품운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103A (ko)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3223B2 (en) Convertible stocking cart
US7320472B2 (en) Cart for stocking inventory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1941267B1 (ko)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KR101941265B1 (ko)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절첩형 운반판
US20140217247A1 (en) Bag support assembly
KR101941272B1 (ko) 비닐하우스 내의 측면수확기
US6942111B2 (en) Trolley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rticles along a rail system
KR102113134B1 (ko) 기능성 낚시대 캐리어
KR20100046931A (ko) 비닐하우스 내 작업용 운반장치
KR200171865Y1 (ko) 비닐 하우스용 운반장치
CN210971834U (zh) 适用于多种包装袋的移动式撑袋架
KR20180062299A (ko) 비닐하우스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중력을 이용한 물건 운반기
US6860364B1 (en) Cart and ladder combination
KR101235287B1 (ko)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KR200477470Y1 (ko)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0459780Y1 (ko) 브로콜리 수확 운반기
KR200353593Y1 (ko) 운반용 걸이
KR20110041828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200483296Y1 (ko) 농산물 수확용 포대 걸이대
KR200239494Y1 (ko) 작물 운반 수레
CN219312808U (zh) 折叠手推车
JP3396741B2 (ja) 吊下移動用台車
KR100285204B1 (ko) 비닐하우스용물건이송장치
US2989275A (en) Collapsible floral rack
JP6920941B2 (ja) 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