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828A -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828A
KR20110041828A KR1020090098835A KR20090098835A KR20110041828A KR 20110041828 A KR20110041828 A KR 20110041828A KR 1020090098835 A KR1020090098835 A KR 1020090098835A KR 20090098835 A KR20090098835 A KR 20090098835A KR 20110041828 A KR20110041828 A KR 20110041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coupled
bar
lower portion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한
Original Assignee
김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한 filed Critical 김명한
Priority to KR102009009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1828A/ko
Publication of KR2011004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2Load-carriers, roll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8Rails or swi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농작물의 관리 및 수확 작업시 사용되는 도구나 수확한 농작물의 이송시 이송 편의를 위해 창안된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희망 이송물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신속성과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이송장치 상부 및 하부로 주행부를 구비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한 이송장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과제 달성을 위해 창안된 본 발명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는 비닐하우스 내 천정에 형성되는 중심축(S)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그 형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중심축(S)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직사각 박스 형태의 브라켓(11)과 중심축(S)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2) 및 레일(12)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 롤러(13)로 구성되는 상부 주행부(10)와, 상기 상부 주행부(10)의 하부에 결합되되 다수 개의 결합공(21a)이 형성된 제 1 수직바(21) 및 상기 제 1 수직바(21)의 하부에 결합되되 다수 개의 결합공(22a)이 형성된 제 2 수직바(22)와, 다수 개의 결합공(23a)이 형성되되 제 1 수직바(21)와 제 2 수직바(22)를 결합 고정시키는 수평바(23)와, 수직바(21, 22)와 수평바(23)간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24)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부(20)와, 제 2 수직바(22)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고정구(31) 및 고정구(31)의 내부로 마련되는 탄성부재(34)와, 결합공(32a)이 형성되어 고정부재(33)에 의해 높이조절부(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결속구(32)와 하부에 형성되는 이송 바퀴(35)로 구성되는 하부 주행부(30)로 구성되어 희망 이송물의 이송이 신속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안전하여 효율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이송장치의 구현을 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 이송장치는 비닐하우스 내부 작업 중 작업자가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농작물의 관리 및 수확에 사용되는 도구를 운반할 시 유용하게 쓰이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로 작업자가 일일이 보관 부재에 담아 나르던 기존의 운송방식에 비해 작업자의 노동과 수고를 덜게 되어 편리하며 이송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일정거리 이격된 간격으로 한 쌍의 롤러를 배치하여 수직바 및 수평바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보관 부재의 불균형적인 중량에 세심한 관리를 필요로 했던 단일 롤러에 의지해 주행하는 기존 이송장치의 구조적인 불안정을 없애고 구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이송장치에 구성되는 탄성부재 및 지면과 맞닿아 이송하는 바퀴가 마련되는 하부 주행부로 인해 이송장치 하부에 이송물을 적재시 하중을 하부로 분산시켜 분담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장치 상부에 걸리는 중량 부담을 덜어주어 일층 안정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비닐하우스, 이송롤러, 이송장치, 농작물 이송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 Transportation device for greenhouse }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농작물의 관리 및 수확 작업시 사용되는 도구나 수확한 농작물의 이송시 이송 편의를 위해 창안된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희망 이송물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신속성과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이송장치 상부 및 하부로 주행부를 구비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한 이송장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비닐 골조물 내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도록 설치되는 비닐하우스는 농작물이 기후 및 외기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농지에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작업자가 비닐하우스 내에서 농작물의 관리작업이나 농작물의 수확작업시 그에 사용되는 도구나 농작물을 일일이 손수레나 바구니 등에 담아 일일이 운반하여야 하는 실정이어서, 인력의 낭비 및 작업시간 및 효율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다수 존재하였다.
따라서 농작 관리도구 및 농작물을 작업자가 일일이 운반하여야 하는 종래의 농작물 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닐하우스 내에 이송장치를 마련하여 이를 활용하도록 하는 바, 상기 이송장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 이송 희망 물품이 담겨지는 보관 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보관 부재는 비닐하우스 내부 천정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봉 및 중심축에 이송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이를 기준으로 비닐하우스 내에서 전진 및 후진하여 이송운동하게 되며, 이를 위해 연결 부재와 이송 롤러가 마련되어 이송장치를 구성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를 꾀하였다.
상기 이송장치는 보관 부재에 각종 농작물 및 그를 수확하기 위한 각종 도구 및 비료 등 희망하는 이송물품이 담겨진 보관 부재를 연결 부재를 이용해 비닐하우스 상부 지지봉에 연결 설치하여 작업자가 이송장치를 롤러 등의 조력을 받아 희망 목적지까지 밀어 운반토록 하여, 작업자의 노동을 덜어주며 보다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시간을 단축시켜 주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송장치는 이송장치의 보관 부재에 담겨진 이송물의 무게에 따라 좌측 및 우측의 중량의 상이함에 따라 균형이 맞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상부 하중의 불균형이 심화될 시 이송물이 보관 부재에서 탈락되거나 나아가 보관 부재가 이송장치로부터 탈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농작물 이송의 용이 성을 위해 설치되는 이송장치가 오히려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 이송장치는 지면에서 부상한 상태로 이송되어 지는 것으로, 상기 이송장치의 구조상 이송 롤러가 이송물의 무게 뿐 아니라 이송장치 자체의 중량까지 부담하여 이송시켜야 하므로, 이는 이송장치에 부담을 주게 되어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비닐하우스 내에서 농작물 및 농작도구의 이송시 이송물 및 이송 부재의 탈리 없이 희망 이송물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이송장치를 구현토록 하여 이송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 과제 달성을 위해 창안된 본 발명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는 비닐하우스 내 천정에 형성되는 중심축(S)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그 형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중심축(S)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직사각 박스 형태의 브라켓(11)과 중심축(S)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2) 및 레일(12)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 롤러(13)로 구성되는 상부 주행부(10)와, 상기 상부 주행부(10)의 하부에 결합되되 다수 개의 결합공(21a)이 형성된 제 1 수직바(21) 및 상기 제 1 수직바(21)의 하부에 결합되되 다수 개의 결합공(22a)이 형성된 제 2 수직바(22)와, 다수 개의 결합공(23a)이 형성되되 제 1 수직바(21)와 제 2 수직바(22)를 결합 고정시키는 수평바(23)와, 수직바(21, 22)와 수평바(23)간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24)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부(20)와, 제 2 수직바(22)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고정구(31) 및 고정구(31)의 내부로 마련되는 탄성부재(34)와, 결합공(32a)이 형성되어 고정부재(33)에 의해 높이조절부(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결속구(32)와 하부에 형성되는 이송 바퀴(35)로 구성되는 하부 주행부(30)로 구성되어 희망 이송물의 이송이 신속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안전하여 효율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이송장치의 구현을 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 이송장치는 비닐하우스 내부 작업 중 작업자가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농작물의 관리 및 수확에 사용되는 도구를 운반할 시 유용하게 쓰이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로 작업자가 일일이 보관 부재에 담아 나르던 기존의 운송방식에 비해 작업자의 노동과 수고를 덜게 되어 편리하며 이송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일정거리 이격된 간격으로 한 쌍의 롤러를 배치하여 수직바 및 수평바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보관 부재의 불균형적인 중량에 세심한 관리를 필요로 했던 단일 롤러에 의지해 주행하는 기존 이송장치의 구조적인 불안정을 없애고 구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이송장치에 구성되는 탄성부재 및 지면과 맞닿아 이송하는 바퀴가 마련되는 하부 주행부로 인해 이송장치 하부에 이송물을 적재시 하중을 하부로 분산시켜 분담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장치 상부에 걸리는 중량 부담을 덜어주어 일층 안정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농작물의 관리 및 수확 작업시 사용되는 도구나 수확한 농작물의 이송시 이송 편의를 위해 창안된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희망 이송물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신속성과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이송장치 상부 및 하부로 주행부를 구비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한 이송장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는 비닐하우스 내 천정에 형성되는 중심축(S)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그 형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중심축(S)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직사각 박스 형태의 브라켓(11)과 중심축(S)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2) 및 레일(12) 상에서 주행하는 롤러(13)로 구성되는 상부 주행부(10)와, 상기 상부 주행부(10)의 하부에 결합되되 다수 개의 결합공(21a)이 형성된 제 1 수직바(21) 및 상기 제 1 수직바(21)의 하부에 결합되되 다수개의 결합공(22a)이 형성된 제 2 수직바(22)와, 다수개의 결합공(23a)이 형성되되 제 1 수직바(21)와 제 2 수직바(22)를 결합 고정시키는 수평바(23)와, 수직바(21, 22)와 수평바(23)간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24)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부(20)와, 제 2 수직바(22)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고정구(31) 및 고정구(31)의 내부로 마련되는 탄성부재(34)와, 결합공(32a)이 형성되어 고정부 재(33)에 의해 높이조절부(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결속구(32)와 하부에 형성되는 이송바퀴(35)로 구성되는 하부 주행부(30)로 구성되어 희망 이송물의 이송이 신속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안전하여 효율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이송장치의 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 이송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2a ~ 도2c는 본 발명 이송장치의 구성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살펴보면 도 2a는 상부 주행부(1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높이조절부(2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c는 하부 주행부(3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이송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이송장치가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비닐하우스 내에 설치되어 희망 이송물을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본 발명 이송장치에서 우선, 상부 주행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최상단에 직사각 박스 형태의 브라켓(11)이 마련되되, 상기 브라켓(11)은 비닐하우스(P) 내 중앙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중심축(S)의 하부로 다수 개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브라켓(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비닐하우스(P)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비닐하우스 중심축(S)과 평행하도록 한 쌍의 레일(12)이 형성되게 되며, 한 쌍의 레일(12) 상에서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 롤러(13)가 형성되어 전진 및 후진함으로써 궁극적인 이송물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하며, 주행 롤 러(13)의 하부로는 후술하는 높이 조절부(20)와의 결합을 위해 수평의 연결바(14)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주행 롤러(13)는 평행한 한 쌍의 레일(12) 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나의 레일(12)에 하나의 주행 롤러(13)가 배치되어 하나의 조를 이루도록 결합되되, 이격된 거리로 두 개조 형성시켜 균형적인 구조물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레일(12)과 맞닿는 롤러(13) 중심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롤러(13)의 이탈없이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상부 주행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20)는 수직바 및 수평바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바, 다수 개의 결합공(21a)이 형성된 제 1 수직바(21) 및 다수 개의 결합공(22a)이 형성된 제 2 수직바(22)와 다수 개의 결합공(23a)이 형성된 수평바(23)가 마련되어 상호간 결합하게 된다.
그의 상세한 결합구성을 살펴보면, 연결바(14) 양단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네 개의 제 1 수직바(21)가 결합되어 상부 주행부(10)와 높이 조절부(20)간을 결합시키며, 연결바(14)의 전방 및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수직바(21) 사이로는 제 2 수직바(22)가 하나씩 배치되어 결합되되, 상기 제 1 수직바(21)와 제 2 수직바(22)를 결합시켜주는 수평바(23)가 제 1 수직바(21)의 전방 및 후방으로 결합되고, 고정부재(24)가 수평바(23)의 결합공(23a)과 제 1 수직바(21) 및 제 2 수직바(22)의 결합공(21a, 22a)을 관통하여 고정하여 줌으로써 높이 조절부(20)의 구성부재가 견고히 결합되게 된다.
수직바(21, 22) 및 수평바(2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의 구성은 다수의 결합공(21a, 22a, 23a)을 형성함으로써, 비닐하우스(P)의 높이 및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제 2 수직바(22)의 높이를 가변하여 고정하여 줌으로써 비닐하우스구조 및 이송조건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높이조절부(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주행부(30)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구된 원통형의 고정구(31)가 마련되고, 다수 개의 결합공(32a)이 형성되되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결속구(32)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구(31)와 제 2 수직바(22)를 결속시켜 결합시키게 되는 구성을 갖게 되며 고정부재(33)를 마련하여 결합공(22a, 31a, 32a)에 관통시킴으로써 제 2 수직바(22)와 고정구(31)를 결속구(32)에 의해 하나의 구조로 일체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구(31) 내에는 지지봉(34a) 및 그의 외주연에 권취된 스프링(34b)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34)가 내제되게 되며, 최하부에는 지지봉(34a)과 연계되되 지면과 평행한 한 쌍의 연결바(35)를 형성하고, 그의 하부로는 지면을 주행하는 이송 바퀴(36)를 마련한다.
상기 하부 주행부(30)는 연결바(35) 상에 이송물을 적재시 그의 무게로 인해 연결바(35)에 연계된 지지봉(34a)이 하강하게 되고 그에 구속된 스프링(34b)은 구속 공간이 좁아져 압축되게 되며, 지지봉(34a) 및 연결바(35)의 하강으로 인해 이송 바퀴(36) 또한 지면과 맞닿게 하강된다.
상기 구성은 이송장치 하부의 이송물의 적재 하중으로 인한 지면과 이송장치 간 마찰의 충격을 완화하며, 또한, 하부 이송장치의 주행시 탄성부재(34)가 마찰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조력하면서 이송 바퀴(36)가 지면과 맞닿아 주행하게 되어, 상부의 하중을 하부로 분산시켜 줌으로써 일층 안전된 구조의 이송장치가 재현되어 이송물의 안전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사시도
도 2a ~ 2c는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설치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P : 비닐하우스 S : 중심축
1 : 이송장치 10 : 상부 주행부
11 : 브라켓 12 : 레일
13 : 주행 롤러 14 : 연결바
20 : 높이조절부 21 : 제 1 수직바
21a, 22a, 23a, 31a, 32a, 32b : 결합공
22 : 제 2 수직바 23 : 수평바
24 : 고정부재 30 : 하부 주행부
31 : 고정구 32 : 결속구
33 : 고정부재 34 : 탄성부재
35 : 연결바 36 : 이송 바퀴

Claims (2)

  1. 비닐하우스 내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중심축(S)의 하부로 설치되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중심축(S)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다수 개의 브라켓(11)과 브라켓(11)을 관통하여 중심축(S)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2) 및 한 쌍이 하나의 조를 이루어 레일(12)상에 형성되되 이격된 거리로 두 개조 배치되는 주행 롤러(13)로 구성되는 상부 주행부(10)와,
    상기 상부 주행부(10)의 하부에 결합되되 다수 개의 결합공(21a)이 형성된 제 1 수직바(21) 및 제 1 수직바(21)의 하부에 결합되되 다수 개의 결합공(22a)이 형성된 제 2 수직바(22)와, 다수 개의 결합공(23a)이 형성되되 제 1 수직바(21)와 제 2 수직바(22)를 결합 고정시키는 수평바(23) 및 이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24)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부(20)와,
    높이조절부(2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부 하중을 분산하여 주행하도록 하는 주행 수단이 구비된 하부 주행부(30)로 구성되어 이송물이 신속하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주행부(30)는 제 2 수직바(22)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고정구(31) 와 지지봉(34a) 및 그의 외주연에 권취된 스프링(34b)으로 구성되어 고정구(31)에 내제된 탄성부재(34)와, 다수 개의 결합공(32a)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부(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결속구(32)가 마련되되, 높이조절부(20)와의 결합을 위해 결속구(32)를 관통하는 고정부재(33)와, 지지봉(34a)의 하부로 연계되되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연결바(35) 및 그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송 바퀴(36)로 구성되어 이송장치 하부에 이송물이 적재될 시 이송 바퀴(36)가 지면과 맞닿아 이송장치가 주행하도록 하여, 하중을 분산시켜 안전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1020090098835A 2009-10-16 2009-10-16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20110041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35A KR20110041828A (ko) 2009-10-16 2009-10-16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35A KR20110041828A (ko) 2009-10-16 2009-10-16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828A true KR20110041828A (ko) 2011-04-22

Family

ID=4404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835A KR20110041828A (ko) 2009-10-16 2009-10-16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18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0893A (zh) * 2017-01-05 2017-05-31 齐齐哈尔通联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温室棚内载人载物小车
KR200491990Y1 (ko) * 2020-03-24 2020-07-14 형정문 약재 분사용 무인 방제장치
KR20210101123A (ko) * 2020-02-07 2021-08-18 김정훈 레일 무인 주행 운반 로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0893A (zh) * 2017-01-05 2017-05-31 齐齐哈尔通联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温室棚内载人载物小车
KR20210101123A (ko) * 2020-02-07 2021-08-18 김정훈 레일 무인 주행 운반 로봇
KR200491990Y1 (ko) * 2020-03-24 2020-07-14 형정문 약재 분사용 무인 방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504846A (en) Tomato harvester
KR101617706B1 (ko)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KR20140047804A (ko) 하우스용 작물 수확 운반장치
KR20110041828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US2357549A (en) Beet loading apparatus
WO2006010220A1 (en) Produce handling apparatus
KR20180000126U (ko)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US4369871A (en) Elevator conveyor for tomatoes or the like
KR20180062299A (ko) 비닐하우스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중력을 이용한 물건 운반기
Nagasaki et al. Development of a table-top cultivation system for robot strawberry harvesting
KR20080070803A (ko)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JP3167359U (ja) 圃場搬送ブリッジ及びこのレールの上を安定して走行可能なタイヤを具備する圃場搬送台車、並びに両者で構成された圃場搬送システム
KR101528100B1 (ko) 비닐하우스용 운반구
KR200253207Y1 (ko) 농작물 운반수레
KR20200099871A (ko) 수확물 이송 장치
KR101941267B1 (ko)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KR100856853B1 (ko) 목재 운반장치
KR102611490B1 (ko) 이송경로 전환구조를 갖는 하우스용 운반대차의 이송 가이드 구조체
JP2547707Y2 (ja) 苗箱収納枠搬送用フレーム
JP6893041B2 (ja) 収穫箱載置装置
KR20110129004A (ko) 다용도 농작물 운반기
KR102024031B1 (ko) 작물 수확 장치
KR20180000485U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JP3211730U (ja) カボチャ収穫機
US2312075A (en) Potato picking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