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85U -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85U
KR20180000485U KR2020160004642U KR20160004642U KR20180000485U KR 20180000485 U KR20180000485 U KR 20180000485U KR 2020160004642 U KR2020160004642 U KR 2020160004642U KR 20160004642 U KR20160004642 U KR 20160004642U KR 20180000485 U KR20180000485 U KR 201800004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house
main frame
uni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웅
Original Assignee
정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웅 filed Critical 정태웅
Priority to KR2020160004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485U/ko
Publication of KR20180000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2Load-carriers, roll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8Rails or switches
    • B65G2812/182
    • B65G2812/18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레일(100)과 상기 레일을 타며 이동하는 운반부(200)로 구성되는 하우스용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00)은, 서로 다른 무한궤도를 이루며 각각 구성되고, 상기 운반부(200)는, 다수의 프레임이 수직 수평으로 조합되어 구성되는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게 구성되어 상기 레일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롤러부(220)와, 양측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적재플레이트(230)가 구성됨으로써, 하우스의 내부에 작물 또는 화물을 운반하는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무한궤도 방식의 레일의 구성으로 하우스 내부에 순환될 수 있게 이동됨에 따라 작업자들의 작업의 편리성을 부여되고, 운반부의 이동 시 레일과 롤러부의 구성으로 흔들림을 최소화함은 물론, 운반부에 많은 작물 및 화물을 싣을 시에도 상호간의 결합과 견고한 고정력을 가짐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House carrying equipment that improves the fixation}
본 고안은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레일을 타며 이동하는 운반부의 이동 시 흔들림 없이 작업자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내의 땅바닥은 평탄하지 못하며, 질퍽거려 손수레를 사용하여 비닐하우스 온실내의 성숙된 농작물의 수집, 운반이나 각종농자재를 운반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하우스에 있어서는 농작물의 수집 및 운반을 위하여 작물을 심는 두둑과 두둑 사이의 이랑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 위를 주행하는 궤도차를 설치하여 하우스내의 각종 농사일에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우스의 바닥에 레일을 깔고 그 위에 궤도차를 설치하여 농작물을 수집 운반하는 것은 농사에 매우 편리하게 하나 성토나 복토,시비 등을 위해 흙을 파해칠 경우나 작물을 바꿔 심을 경우에는 바닥에 깔린 레일을 제거하고 다시 설치하여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레일 위를 주행하는 궤도차는 차체 높이가 낮기 때문에 높은 곳의 열매를 따거나 할 경우에는 일일이 허리를 굽혔다 펴는 수고를 해야만 했었다.
또한, 궤도차의 이동을 위한 레일을 설치 시에는 작물의 재배면적이 줄어듦에 따라 수확량이 감소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하우스의 하부에 레일을 설치하지 않고 하우스의 상부에 레일을 설치한 후, 그 레일에 작물 및 기타 운반하려는 화물 등을 싣어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운반장치의 경우 앞서 설명한 문제점이 개선되기는 하였으나, 운반장치의 이동 시 흔들림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로 인해 적재한 작물 또는 기타 화물 등의 이탈을 초래할 수가 있고, 대체적으로 직선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6-0036904호 (1996.11.1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2633호 (2011.10.13)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하우스의 상부에 무한궤도 방식의 레일을 구성하되, 서로 다른 궤도를 가지도록 제 1레일과 제 2레일로 각각 구성되는 레일을 구성하여 작업자들이 하우스의 내부에서 이동 시 상기 레일의 구조를 통해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레일을 타며 이동하는 운반부를 구성하되, 다수의 프레임을 수직, 수평으로 조합하여 메인프레임을 구성하여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상기 제 1, 2레일에 안착될 수 있는 레일부를 각각 구성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작물 또는 기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플레이트를 구성하여 상기 운반부의 이동 시 흔들림이 전혀 없도록 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하우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레일(100)과 상기 레일을 타며 이동하는 운반부(200)로 구성되는 하우스용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00)은, 서로 다른 무한궤도를 이루며 각각 구성되고, 상기 운반부(200)는, 다수의 프레임이 수직 수평으로 조합되어 구성되는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게 구성되어 상기 레일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롤러부(220)와, 양측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적재플레이트(230)가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레일을 타며 흔들림을 방지토록 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상기 운반부(200)의 롤러부(220)는 운반부(220)가 레일을 타며 이동 시 코너진 부분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360˚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이동의 원활함을 제공토록 함은 물론,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하부 일측과 상기 적재플레이트(230)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200)의 이동 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300)를 구성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코자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에 의하면, 하우스의 내부에 작물 또는 화물을 운반하는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무한궤도 방식의 레일의 구성으로 하우스 내부에 순환될 수 있게 이동됨에 따라 작업자들의 작업의 편리성을 부여되고, 운반부의 이동 시 레일과 롤러부의 구성으로 흔들림을 최소화함은 물론, 운반부에 많은 작물 및 화물을 싣을 시에도 상호간의 결합과 견고한 고정력을 가짐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레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도 4의 a, b, c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본 고안은 하우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레일을 타며 이동하는 운반부의 이동 시 흔들림 없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하우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레일(100)과 상기 레일을 타며 이동하는 운반부(200)로 구성되는 하우스용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00)은, 서로 다른 무한궤도를 이루며 각각 구성되고, 상기 운반부(200)는, 다수의 프레임이 수직 수평으로 조합되어 구성되는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게 구성되어 상기 레일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롤러부(220)와, 양측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적재플레이트(230)가 구성된다.
상기 레일(10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성되는 제 1레일(110)과 상기 제 1레일(110)보다 큰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성되는 제 2레일(120)이 하우스의 상측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운반부(200)는, 메인프레임(210)과, 롤러부(220)와, 적재플레이트(23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도 1,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직프레임(211)과 수평프레임(215)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상부에 하나의 수평프레임(215)이 구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215)의 양측에 직교방향으로 각각의 수평프레임(215)이 구성된다.
여기서, 도 1,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평방향으로 구성되는 수평프레임(215)의 하부양측으로 수직프레임(211)이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프레임(213)의 하부에는 하기될 적재플레이트(300)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부로 꺾임되는 즉, 고리 형태의 걸림부(2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수평프레임(211, 215)을 조합하여 전체적인 뼈대를 구성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211)의 일측과 수평프레임(215)의 일측을 연결하여 수직, 수평프레임(211, 215)의 견고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강프레임(217)이 구성된다.
상기 보강프레임(217)의 경우 수직 수평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직, 수평프레임(211, 215)이 뒤틀리지 않도록 하여 메인프레임(210)의 전체적인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고, 상기 메인프레임(210)이 프레임들이 조합되어 뼈대를 형성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무게를 경량화시킴으로써, 레일(100)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롤러부(220)는 도 1,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21)과, 롤러케이스(223)와, 롤러(225)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수평프레임(215)의 상부에 이격되게 각각의 롤러부(220)가 구성된다. 즉,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성되는 수평프레임(215)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는 한 쌍의 롤러부(220)가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수평프레임(215)과 볼트 등의 통상의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브라켓(221)은 완전히 고정된 형태가 아닌, 회전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그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볼트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볼트를 이용하여 브라켓(221)과 수평프레임(215)을 고정시킨 후,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볼트에 삽입시켜 조임하되, 2개의 너트를 이용하여, 너트와 수평프레임(215)과 유격을 두어, 상기 브라켓(2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롤러부(220)는 브라켓(221)이 운반부(200)가 레일을 타며 이동 시 코너진 부분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360˚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우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레일(100)을 타면서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케이스(223)와 롤러(2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21)의 상부 일측과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225)가 상기 롤러케이스(223)의 내부에 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케이스(223)는 양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220)가 실질적으로 레일(100)에 안착되어 이동될 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부(220)의 결합을 위하여 수평프레임(215)에는 별도의 결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적재플레이트(230)는 양측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작물 또는 화물을 적재하는 구성이다.
상기 적재플레이트(230)는 도 1,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측에 걸림홈(231)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수직프레임(211)에 형성된 걸림부(213)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적재플레이트(230)는 상기 수직프레임(211)과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교체가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적재플레이트(230)는 도 1,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부(233)가 구성되어, 작물 또는 화물을 적재시 안전성을 더할 수 있게 된다.
도 1,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하부 일측과 상기 적재플레이트(230)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200)의 이동 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300)가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재(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11)과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3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결합부(310)에서 연장되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적재플레이트(30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결합부(320)로 형성된다.
즉, 하나의 수직프레임(211)에 상기 프레임결합부(310)가 결합되고, 하부 양측이 상기 적재플레이트(300)에 결합되게 됨으로써, 메인프레임(210)과 적재플레이트(300)의 결합력과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에 의하면, 하우스의 내부에 작물 또는 화물을 운반하는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무한궤도 방식의 레일의 구성으로 하우스 내부에 순환될 수 있게 이동됨에 따라 작업자들의 작업의 편리성을 부여되고, 운반부의 이동 시 레일과 롤러부의 구성으로 흔들림을 최소화함은 물론, 운반부에 많은 작물 및 화물을 싣을 시에도 상호간의 결합과 견고한 고정력을 가짐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100 : 레일 110 : 제 1레일 120 : 제 2레일
200 : 운반부
210 : 메인프레임 211 : 수직프레임 213 : 걸림부
215 : 수평프레임 217 : 보강프레임
220 : 롤러부 221 : 브라켓 223 : 롤러케이스
225 : 롤러
230 : 적재플레이트 231 : 걸림홈 233 : 보강부
300 : 고정부재
310 : 프레임결합부 320 : 플레이트결합부

Claims (3)

  1. 하우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레일(100)과 상기 레일을 타며 이동하는 운반부(200)로 구성되는 하우스용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00)은, 서로 다른 무한궤도를 이루며 각각 구성되고,
    상기 운반부(200)는,
    다수의 프레임이 수직 수평으로 조합되어 구성되는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게 구성되어 상기 레일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롤러부(220)와,
    양측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적재플레이트(2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200)의 롤러부(220)는,
    상기 운반부(200)가 레일을 타며 이동 시 코너진 부분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360˚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하부 일측과 상기 적재플레이트(230)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200)의 이동 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20160004642U 2016-08-10 2016-08-10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1800004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642U KR20180000485U (ko) 2016-08-10 2016-08-10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642U KR20180000485U (ko) 2016-08-10 2016-08-10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85U true KR20180000485U (ko) 2018-02-21

Family

ID=6138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642U KR20180000485U (ko) 2016-08-10 2016-08-10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48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706B1 (ko)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CN109760757A (zh) 一种用于丘陵山区林果运输,能自动调平的小车
KR101810380B1 (ko) 비닐하우스 설치용 수확물 운반장치
JP6138580B2 (ja) 圃場内利用ローラコンベア搬送装置
JP3992574B2 (ja) 農業用温室の簡易搬送装置
KR20140047804A (ko) 하우스용 작물 수확 운반장치
US20200276998A1 (en) Parcel cart
KR20180000485U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하우스용 운반장치
CN106864472A (zh) 运输车和运输系统
KR101904304B1 (ko) 균형유지가 가능한 운반기구
KR20110041828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101626146B1 (ko)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CN204978654U (zh) 田间轨道输送装置
CN215400163U (zh) 一种用于汽车零件的物流运输框
KR20180062299A (ko) 비닐하우스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중력을 이용한 물건 운반기
KR200474297Y1 (ko) 대형 트레일러용 상차빔
KR102611490B1 (ko) 이송경로 전환구조를 갖는 하우스용 운반대차의 이송 가이드 구조체
KR20200099871A (ko) 수확물 이송 장치
CN213153500U (zh) 一种鸡苗存放小车
JP3198299U (ja) 建築材料搬送用台車
CN219545928U (zh) 一种用于牧草培育运送机器人的轨道
US9527425B2 (en) Gravity biased load constraining device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JP6893041B2 (ja) 収穫箱載置装置
US20240191494A1 (en) Bracing arrangement
CN203902611U (zh) 圆柱搬运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