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146B1 -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146B1
KR101626146B1 KR1020140107668A KR20140107668A KR101626146B1 KR 101626146 B1 KR101626146 B1 KR 101626146B1 KR 1020140107668 A KR1020140107668 A KR 1020140107668A KR 20140107668 A KR20140107668 A KR 20140107668A KR 101626146 B1 KR101626146 B1 KR 101626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ortion
frame
horizontal bar
rigid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429A (ko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1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물을 수평을 유지한 채로 통과할 수 있는 가변 마디를 갖는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강성 기둥들과 기둥들의 상부 끝단들을 연결시키는 수평봉과, 상기 강성 기둥들의 하단을 연결시키는 하부 수평바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수평봉 사이를 가로지르며 결합되는 가이드 수단 및 가이드 수단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리프트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며 3열 이상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퀴와, 바퀴를 프레임과 연결시키는 지지바와, 지지바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마디로서 프레임에 대한 지지바의 각도를 가변시키거나 또는 프레임에 대한 지지바의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변마디, 로 이루어지는 레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종 장애물 때문에 지게차나 크레인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의 중량물의 인양 및 운반이 가능하게 되는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Spider lift carrier}
본 발명은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애물을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가변 레그부를 갖는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시설에서 사용되는 리프트 캐리어 또는 트롤리는 통상적으로 프레임과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바퀴와 프레임 상부에 장비 인양 리프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리프트 캐리어는 수평단면상 사각형으로서 네 귀퉁이에 바퀴가 구비된다.
그런데 각종 산업시설에서는 곳곳에 여러 가지 적재물, 설비, 요철, 돌출물, 배관 등의 방해물들이 산재하여 리프트 캐리어의 사용 가능한 범위가 제한되거나 방해물의 이동 및 제거에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리프트 캐리어는 중량물의 운반에 많이 쓰이므로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방해물 위를 통과할 수 있는 리프트 캐리어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히 발전소 등의 옥상에는 고압송전선이 있고 높은 고도와 인양물의 과동한 중량으로 인하여 크레인의 근접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발전소 옥상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실내 공기 정화용 배기 팬은 중량이 2톤을 초과하고 옥상의 고도는 30m 이상이며 고압선과 인접되는 곳에 설치되어 크레인 등 중장비의 진입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현장에서 자체 제작 사용되는 트로리 등의 인양장비는 높이 조절이 불가하고 중량물 인양 후 장비 내에서 이동을 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장비의 수평을 맞출 수가 없어 중량물 이동시 전도, 전복 될 위험이 있으며 주변 작업자도 위험에 노출된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설비나 그 부속물의 이동용 장비가 목적물까지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 목적물 까지 이동하여 목적물을 안정적으로 인양시킬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절실하다.
종래의 리프트 캐리어 관련 기술을 보면, 이러한 문제의식을 해결시킨 사례는 아직 찾아볼 수 없으며 관련기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의 두 가지 종래기술을 들 수 있다.
첫 번째는 도1에 도시된 공개특허공보 제1999-024349호(공개일자: 1999. 04. 06.)에 개시된 적재 높이점이 일정한 공압식 이동 대차이다.
상기 기술은 적재되는 제품의 중량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압력 조절기(8)가 구비되고 공기예비저장탱크(2)와 공압실린더(1), 그리고 충전 및 배출구(3)가 마련되어 적재시의 높이점과 무적재시의 높이점(11)이 동일선상에 유지될 수 있음으로써 적재 작업이 용이해지고 적재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동 대차에 관한 기술이다.
다만 상기 종래 기술은 앞서 언급된 것처럼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두 번째는 도2에 도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51688호(공개일자: 2007. 05. 18)에 개시된 개선된 스트래들 캐리어이다.
상기 두 번째 기술은 바퀴(5)상의 2개의 대체로 평행한 종방향 거더(girder)(4)로 형성된 제어 가능한 이동형 타이어 캐리어(3)를 갖는 섀시(2)로 대체로 이루어지며, 이 타이어 캐리어(3) 상에는 소정 하물(8, 43)을 집어 올리는 수단(7)이 설치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6)이 마련되는 개선된 스트래들 캐리어(1)에 관한 기술로서, 폭방향으로 조절되거나 접혀질 수 있어, 섀시가 폭방향으로 수축되거나 접혀지고 상기 프레임이 하강된 경우에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 내부로 진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기 두 번째 종래기술 역시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어 사용 가능한 지역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999-024349호(공개일자: 1999. 04. 06.)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51688호(공개일자: 2007. 05. 18)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리프트 캐리어에 있어서 장애물 위로 통과가 가능하게 되는 가변 마디가 구비되는 3열 이상의 레그부가 마련되는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는, 복수개의 강성 기둥들과 기둥들의 상부 끝단들을 연결시키는 수평봉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수평봉 사이를 가로지르며 결합되는 가이드 수단 및 가이드 수단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리프트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며 3열 이상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퀴와, 바퀴를 프레임과 연결시키는 지지바와, 지지바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마디로서 프레임에 대한 지지바의 각도를 가변시키거나 또는 프레임에 대한 지지바의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변마디, 로 이루어지는 레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변마디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바와 프레임의 결합 각도를 가변시키는 힌지축과, 지지바의 가변 각도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기둥들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기둥들을 수평으로 연결시키는 수평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수평봉 또는 수평지지바에 부착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는 바람직하게는 바퀴와 지지바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보조판과, 보조판을 관통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여 프레임의 부분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수평계에 의한 수평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기둥의 하부 끝단을 진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하부 수평바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바퀴는 바람직하게는 3열이며, 3열의 바퀴는 상기 하부 수평바에 나란히 연결되고, 상기 레그부는 가운데 바퀴에 연결되는 가변마디가 하부 수평바를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변위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에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바닥에 놓여진 장애물 위로 통과가 가능하여 배관으로 둘러싸인 지역의 시설물도 인양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장애물에 상관없이 중량물의 인양이 가능하므로 지역에 제한 없는 안정적인 중량물의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
셋째, 수평계가 구비되어 중량물의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
도1과 도2는 종래기술에 관한 정면도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의 레그부와 레그부의 가변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가 장애물 위를 통과하는 모습을 시간 순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에서 3열 레그부의 장애물 통과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에서 변위 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에서 변위 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에 수평계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간단하게 살펴본 다음 각 구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각 구성간의 유기적인 작용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는 프레임(10)과, 리프트부(20)와, 레그부(3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은 복수개의 강성 기둥(11)들과 강성 기둥(11)들의 상부 끝단들을 연결시키는 수평봉(13)과, 상기 강성 기둥(11)들의 하단을 연결시키는 하부 수평바(37)로 이루어진다.
리프트부(20)는 수평봉(13) 사이를 가로지르며 결합되는 가이드 수단(21) 및 가이드 수단(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크레인(23)으로 이루어진다.
레그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하중을 지지하며 3열 이상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퀴(33)와, 바퀴(33)를 프레임(11)과 연결시키는 지지바(31)와, 지지바(31)를 상기 프레임(10)에 결합시키는 마디로서 프레임(10)에 대한 지지바(31)의 각도를 가변시키거나 또는 프레임(10)에 대한 지지바(31)의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변마디(3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변마디(35)는, 평행한 두 측판과 두 측판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형성되며 강성 기둥(11)이 두 측판 사이에 삽입되고 연결판이 강성 기둥(11) 하부에 배치되며 강성 기둥(11)과 두 측판을 모두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축(351)으로 강성 기둥(11)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두 측판에는 힌지축(351)과 이격된 지점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제1관통공(356)이 형성되는 힌지 브래킷(354)과, 1/4 원호 형상의 판으로서 상기 강성 기둥(11)에 부착되고 상기 힌지축(351)을 중심으로 힌지 브래킷(354)이 회전될 때 두 개의 제1관통공(356)이 회전되며 이루는 원호 상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어 힌지 브래킷(354)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관통공(356)과 연통 가능한 제2관통공(357)이 형성되는 조절판(352)과, 제1관통공(356) 및 제2관통공(357)을 동시에 관통하는 핀 형상의 강성부재로 형성되는 스토퍼(35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강성 기둥(11)에는 힌지 브래킷(354)이 강성 기둥(11)의 저면에 배치될 때 제1관통공(356)과 연통되는 제3관통공(358)이 형성된다.
그리고 레그부(30) 중 최 선단의 레그부와 최 후미 레그부 사이의 레그부는 상기 하부 수평바(37)에 설치되되, 하부 수평바(37)와 가변마디(35) 사이는 보조 강성 기둥(12)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절판(352)은 보조 강성 기둥(12)에 부착되며, 제3관통공(358)은 보조 강성 기둥(12)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레그부(30) 중 최 선단의 레그부와 최 후미 레그부 사이의 레그부는 보조 강성 기둥(12)과 하부 수평바(37)의 연결부위에 하부 수평바(37)를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변위수단(39)을 더 포함한다.
변위수단(39)은 구름 동작을 하는 롤러(391)와, 대향되는 두 측판과 두 측판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지고 두 측판 사이에 상기 롤러(391)가 배치되어 롤러(39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브래킷(393)과, 상기 두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부착되고 측판을 관통하여 롤러(391)를 회전시키는 핸들(39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수평바(37) 저면에는 롤러(391) 이동을 안내하는 홈 형태의 가이드레일(371)이 형성되고,
또는 상기 변위수단(39)은 하부 수평바(37)를 감싸며 하부 수평바(37)를 따라 이동 가능한 블록 형상의 고정대(395)와, 고정대(395)의 양측면 및 저면을 감싸는 탈착 브래킷(396)과, 탈착 브래킷(396)의 양 측면과 고정대(395) 및 하부 수평바(37)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부재(39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위수단(39)이 없을 경우에는 레그부(30)는 4열로 됨이 바람직하며 만일 레그부(30)가 3열인 경우에는 도7 또는 도8에 도시되는 변위수단(39)이 중앙의 레그부(30)에는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되어야 한다.
이때 도4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가변마디(35)는 지지바(31)와 프레임(10)의 결합 각도를 가변시키는 힌지축(351)과, 지지바(31)의 가변 각도를 고정시키는 스토퍼(35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레임(10)은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강성 기둥(11)들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강성 기둥(11)들을 수평으로 연결시키는 수평 지지바(1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9를 참조하면, 프레임(10)은 바람직하게는 수평봉(13) 또는 수평지지바(15)에 부착되는 수평계(17)를 더 포함하고,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레그부(30)는 바퀴(33)와 지지바(31)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보조판(32)과, 보조판(32)을 관통하는 높이 조절 수단(36)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평계(17)와 보조판(32) 및 높이 조절 수단(36)은 안정적인 중량물의 인양을 위한 것으로서 자세한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프레임(10)은 도6을 참조하면 강성 기둥(11)의 하부 끝단을 진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하부 수평바(37)를 더 포함하고, 레그부(30)는 바람직하게는 3열로서 상기 하부 수평바(37)에 나란히 연결되고, 레그부(30)가 3열일 경우에는 3열의 레그부(30) 중 중앙의 레그부(30)에는 하부 수평바(37)를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변위수단(39)을 더 포함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므로 다음부터는 각 구성과 구성들 간의 결합관계 및 상호작용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레임(10)은 통상의 리프트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수평단면이 사각형을 이루고 각 모서리마다 수직으로 강성 기둥(11)이 세워지며 강성 기둥(11)의 상부와 하부 및 그 중간부위를 각각 수평으로 연결시키는 수평봉(13)이 구비된다.
수평봉(13)의 연결지점과 개수 등은 반드시 도3의 프레임(10)과 동일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봉(13) 외에 프레임(10) 전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평 지지바(15)가 구비될 수 있다. 수평지지바(15)는 도3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상부에는 리프트부(20)가 설치된다. 리프트부(20)는 가이드 수단(21)과 크레인(23)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수단(21)으로 인하여 크레인(23)의 수평 이동이 가능해진다. 크레인(23) 및 가이드 수단(21)은 반드시 도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종래의 여러 가지 제품이 쓰일 수 있다.
프레임(10)의 하단에는 프레임(10) 전체를 바닥으로부터 지지시켜 주는 레그부(30)가 마련된다. 레그부(30)는 바퀴(33)와, 바퀴(33)를 프레임(10)과 연결시켜주는 지지바(31)와, 지지바(31)와 프레임(10) 사이에 결합되는 가변마디(3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퀴(33)에는 바퀴를 고정시켜 주는 주지의 바퀴 고정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바퀴 고정 수단에 의하여 중량물의 인양 작업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가 안정적으로 정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바퀴 고정 수단은 이미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레그부(30)의 일 실시예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레그부(30)에서 가변마디(35)는 반드시 도 4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9에 도시된 변위 수단(39)의 실시예와 동일할 수도 있다.
레그부(30)에 마련되는 가변 마디(3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가 장애물 위를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부위로서 프레임(10)에 대하여 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결합되거나 또는 프레임(10)에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가변 마디(35)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이며 도9는 탈착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이다. 도9에 도시된 것은 가변 마디(35)가 아닌 변위수단(39)이지만 가변 마디(35)도 도9의 변위수단(39)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4의 가변 마디(35)는 힌지 브래킷(354)의 두 개의 암 사이에 강성 기둥(11)의 하부 끝단이 감싸지듯이 배치되고 힌지 브래킷(354)의 두 개의 암과 강성 기둥(11)의 하부 끝단을 모두 관통하는 힌지 축(351)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힌지 브래킷(354)의 두 개의 암 끝단 인접부위에는 제1관통공(356)이 형성된다.
또한 힌지 축(351)을 중심으로 힌지 브래킷(354)이 회전될 때 제1관통공(356)이 지나가는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조절판(352)이 강성 기둥(11)의 하부 끝단에 수직 방향을 따라 부착되며 조절판(352)에는 제1관통공(356)의 임의의 궤적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제2관통공(357)이 형성되어 힌지 브래킷(354)에 의한 레그부(30)의 임의의 회전 각도에서 레그부(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353)가 제1관통공(356) 및 임의의 제2관통공(357)을 모두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레그부(30)가 강성기둥(11)들과 나란하게 수직으로 되어 바퀴(33)가 지면에 접촉될 때 강성 기둥(11)의 하부 끝단 바로 위에서 제1관통공이 강성 기둥(11)과 겹치는 지점의 강성기둥(11)에 제3관통공(358)이 형성되어 레그부(30)가 수직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2관통공(357)의 개수에는 제한은 없으며 장애물(3)의 높이에 따라 필요한 각도만큼 레그부(30)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도5에는 가변 마디(35)에 의하여 레그부(30)의 각도가 가변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가 앞에 놓인 장애물(3) 위를 통과하는 장면이 시간 순서로 도시되어 있다.
도5의 각 장면은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차례로 시간순서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가 마치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 즉 화살표B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처럼 보이나 화살표 B는 시간순서를 나타낸 것이며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의 진행 방향은 왼쪽을 향하는 방향인 화살표 A의 방향이다.
그리고 앞서 도3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레그부(30)는 도7 또는 도 8에 도시된 변위수단(39)이 없을 경우에는 4열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6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7 또는 도8의 변위수단(39)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되어야 한다.
한편 가변 마디(35)는 도9에 도시되어 있는 변위 수단(39)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9의 변위 수단(39)을 가변 마디(35)라고 볼 때 도9의 가변마디(35)는 도4의 가변 마디(35)의 각도가 조절 방식이 아니라 탈착에 의하여 장애물(3)과의 접촉이 회피된다. 도9의 가변 마디로 장애물 위를 통과시키는 원리는 도5에서 레그부(30)를 회전시키는 대신 레그부(30)를 분리시킴으로써 장애물(3) 위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가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9의 가변 마디(35)는 변위 수단(39)을 설명할 때 다시 후술하기로 한다.
도6에는 변위수단(39)에 의하여 레그부(30)가 3열만 구비되어도 장애물(3) 위를 통과할 수 있게 되는 원리가 개념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5에는 레그부(30)가 4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진행방향의 선두 레그부(30)와 후미의 레그부(30) 사이에 배치되는 레그부(30)의 위치가 가변될 수만 있다면 3열의 레그부(30)로도 장애물의 통과가 가능하게 된다.
즉, 도6에서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가 도5와 마찬가지로 도면상 왼쪽으로 진행될 때 장애물(3)을 만나는 경우 O와 O' 위치의 레그부(30)를 일단 수평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며 중간의 레그부(30)는 P와 P'위치에 배치시키면 무게 중심이 중간의 레그부(30)와 후위의 레그부(30) 사이에 있게 되어 스파이더 캐리어의 수평이 유지된다. 그리고 장애물(3)이 O와 O'위치 및 R과 R'위치 사이에 있게 될 때는 O와 O'위치의 레그부(30)는 다시 수직으로 내려서 지면에 접촉시키고 중간의 레그부(30)는 분리시키거나 혹은 수평으로 회전시켜 장애물(3)과의 접촉을 회피시킨다. 마지막으로 장애물(3)이 R과 R'위치의 레그부(30)와 만나게 될 때는 R과 R'위치의 레그부(30)는 분리시키거나 수평으로 회전시키고 그 전에 중간의 레그부(30)는 Q와 Q'위치에 배치시키게 되면 역시 레그부(30)의 수평이 유지된다.
따라서 레그부(30)를 3열로 배열시킬 때는 중간의 레그부(30)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러한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변위 수단(39)이다.
변위 수단(39)은 도7과 도8에 도시되어 있다. 두 가지는 별개의 실시예이며 도7은 중간의 레그부(30)가 하부 수평바(37)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 것이고 도8의 실시예는 중간의 레그부(30)가 탈착 가능하게 된 것이다.
한가지 특기할만한 점은 중간의 레그부(30)가 하부 수평바(37)를 따라 이동되는 경우에는 변위 수단(39)과 가변 마디(35)는 서로 별개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중간의 레그부(30)의 바퀴는 계속 지면과 접촉되는 상태이므로 장애물(3)을 만날 때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여야 장애물(3)의 회피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도8에서처럼 중간의 레그부(30)가 탈착이 되는 경우에는 도4 및 도7에 도시된 가변마디가 없어도 된다. 따라서 도8의 변위 수단(39)은 변위 수단(39)임과 동시에 중간 레그부(30)의 가변 마디(35)도 되는 것이다.
참고로, 중간 레그부(30) 뿐만아니라 선두 레그부(30)와 후미 레그부(30)도 도8의 변위 수단(39)이 곧 가변 마디(35)로 채택될 수 있다. 장애물(3)이 위치하는 지점의 레그부(30)는 장애물(3)과 접촉만 되지 않으면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가 통과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도7의 변위 수단(39)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부 수평바(37)의 저면에 가이드 레일(371)이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371)을 따라 롤러(391)가 움직이며, 롤러(391)의 양 축을 지지시키는 롤러 브래킷(393)의 저면에 짧은 수직봉이 연결되며 상기 수직봉에는 가변 마디(35)가 연결되어 가변마디(35) 아래의 지지바(31)를 포함하는 레그부(30)를 가변시키게 된다.
롤러 브래킷(393)에서 롤러(391) 축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주지의 베어링이 결합되며 롤러(391) 축에서부터 연결되며 롤러 브래킷(393)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핸들(392)에 의하여 수동으로 중간 레그부(3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앞서 서술한 바대로 도7의 변위 수단(39)이 채택될 경우에는 반드시 변위 수단(39) 아래에 가변 마디(35)가 구비되어야 한다. 다만, 변위 수단(39)의 구체적인 형태와 원리는 반드시 도7의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중간 레그부(30)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떤 공지된 기술이라도 채택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8의 변위수단(39)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부 수평바(37) 상에 복수개의 고정대(395)가 배치되고 이 고정대(395)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상의 탈착 브래킷(396)이 구비되며 탈착 브래킷(396)의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바(31)를 포함하는 레그부(30)가 배치된다. 고정대(395)와 탈착 브래킷(396)의 결합은 고정대(395) 및 탈착 브래킷(396)을 모두 관통하는 체결부재(397)에 의하며, 하나 보다는 둘 이상의 체결 부재(397)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체결부재(397)만 있을 경우에는 체결부재(397)가 일종의 힌지 축으로 작용되어 레그부(30)가 직립 형태를 유지하기 힘들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탈착형 변위수단(39)은 반드시 도8의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탈착이 가능한 다른 공지의 수단이 있다면 어떤 것이든 채택 가능할 것이다.
도8에서 선두의 레그부(30)와 후미의 레그부(30)의 가변 마디(35)는 도4의 가변 마디(35)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앞서 서술하였듯이 도8의 변위수단(39)이 도4의 가변마디 대신에 탈착형 가변마디(35)로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도9에는 수평계(17)가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중량물의 인양 작업시 수평이 제대로 맞춰지지 않으면 심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리프트 캐리어 전체가 기울어질 수도 있어서 작업자에게 위험한 상황이 닥칠 수도 있으며 중량물의 파손이 유발될 수도 있으므로 수평을 잡는 것도 중요한 점이다. 따라서 수평계(17)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며 수평계(17)의 부착 위치는 반드시 도9의 위치로 고정될 필요는 없고 작업에 유리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3: 장애물 10: 프레임
11: 강성 기둥 12: 보조 강성 기둥
13: 수평봉 15: 수평지지바
17: 수평계 20: 리프트부
21: 가이드 수단 23: 크레인
30: 레그부 31: 지지바
32: 보조판 33: 바퀴
35: 가변 마디 36: 높이 조절 수단
37: 하부 수평바 39: 변위수단
351: 힌지축 352: 조절판
353: 스토퍼 354: 힌지 브래킷
356: 제1관통공 357: 제2관통공
358: 제3관통공 371: 가이드레일
391: 롤러 392: 핸들
393: 롤러 브래킷 395: 고정대
396: 탈착 브래킷 397: 체결부재

Claims (5)

  1. 복수개의 강성 기둥(11)들과 강성 기둥(11)들의 상부 끝단들을 연결시키는 수평봉(13)과, 상기 강성 기둥(11)들의 하단을 연결시키는 하부 수평바(37)를 포함하는 프레임(10);과,
    상기 수평봉(13) 사이를 가로지르며 결합되는 가이드 수단(21) 및 가이드 수단(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크레인(23)을 포함하는 리프트부(20);와,
    상기 프레임(10)의 하중을 지지하며 3열 이상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퀴(33)와, 바퀴(33)를 프레임(11)과 연결시키는 지지바(31)와, 지지바(31)를 상기 프레임(10)에 결합시키는 마디로서 프레임(10)에 대한 지지바(31)의 각도를 가변시키거나 또는 프레임(10)에 대한 지지바(31)의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변마디(35),로 이루어지는 레그부(30); 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마디(35)는,
    평행한 두 측판과 두 측판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강성 기둥(11)이 두 측판 사이에 삽입되고 연결판이 강성 기둥(11) 하부에 배치되며 강성 기둥(11)과 두 측판을 모두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축(351)으로 강성 기둥(11)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두 측판에는 힌지축(351)과 이격된 지점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제1관통공(356)이 형성되는 힌지 브래킷(354)과,
    1/4 원호 형상의 판으로서 상기 강성 기둥(11)에 부착되고 상기 힌지축(351)을 중심으로 힌지 브래킷(354)이 회전될 때 두 개의 제1관통공(356)이 회전되며 이루는 원호 상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어 힌지 브래킷(354)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관통공(356)과 연통 가능한 제2관통공(357)이 형성되는 조절판(352)과,
    제1관통공(356) 및 제2관통공(357)을 동시에 관통하는 핀 형상의 강성부재로 형성되는 스토퍼(35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성 기둥(11)에는 힌지 브래킷(354)이 강성 기둥(11)의 저면에 배치될 때 제1관통공(356)과 연통되는 제3관통공(358)이 형성되며,
    상기 레그부(30) 중 최 선단의 레그부와 최 후미 레그부 사이의 레그부는 상기 하부 수평바(37)에 설치되되, 하부 수평바(37)와 가변마디(35) 사이는 보조 강성 기둥(12)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절판(352)은 보조 강성 기둥(12)에 부착되며, 제3관통공(358)은 보조 강성 기둥(12)에 형성되고,
    상기 레그부(30) 중 최 선단의 레그부와 최 후미 레그부 사이의 레그부는 보조 강성 기둥(12)과 하부 수평바(37)의 연결부위에 하부 수평바(37)를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변위수단(39);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변위수단(39)은 구름 동작을 하는 롤러(391)와, 대향되는 두 측판과 두 측판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지고 두 측판 사이에 상기 롤러(391)가 배치되어 롤러(39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브래킷(393)과, 상기 두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부착되고 측판을 관통하여 롤러(391)를 회전시키는 핸들(39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수평바(37) 저면에는 롤러(391) 이동을 안내하는 홈 형태의 가이드레일(371)이 형성되고,
    또는 상기 변위수단(39)은 하부 수평바(37)를 감싸며 하부 수평바(37)를 따라 이동 가능한 블록 형상의 고정대(395)와, 고정대(395)의 양측면 및 저면을 감싸는 탈착 브래킷(396)과, 탈착 브래킷(396)의 양 측면과 고정대(395) 및 하부 수평바(37)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부재(39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기둥들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기둥들을 수평으로 연결시키는 수평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수평봉 또는 수평지지바에 부착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는 바퀴와 지지바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보조판과, 보조판을 관통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5. 삭제
KR1020140107668A 2014-08-19 2014-08-19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KR101626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668A KR101626146B1 (ko) 2014-08-19 2014-08-19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668A KR101626146B1 (ko) 2014-08-19 2014-08-19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29A KR20160022429A (ko) 2016-03-02
KR101626146B1 true KR101626146B1 (ko) 2016-06-02

Family

ID=5558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668A KR101626146B1 (ko) 2014-08-19 2014-08-19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9981B1 (ko) * 2022-06-28 2024-10-18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의 2차 인명사고 방지용 대피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38Y1 (ko) * 2016-04-27 2019-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트롤리
KR102065882B1 (ko) * 2019-06-26 2020-01-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직형 대형전동기 분해 점검용 탑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해 점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851Y1 (ko) 2002-12-31 2003-05-22 서영춘 손수레
KR200466376Y1 (ko) 2011-10-26 2013-04-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카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74U (ja) * 1993-07-26 1995-02-10 旭エンジニアリング工業株式会社 クレ−ンとフォ−クを備えた手押し搬送車
KR19990024349A (ko) 1997-09-01 1999-04-06 고병기 적재 높이점이 일정한 공압식 이동 대차
BE1016851A3 (nl) 2005-11-15 2007-08-07 Combinus Bv Met Beperkte Aansp Verbeterde portaalwagen.
KR20140080704A (ko) * 2012-12-14 2014-07-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운반 돌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851Y1 (ko) 2002-12-31 2003-05-22 서영춘 손수레
KR200466376Y1 (ko) 2011-10-26 2013-04-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9981B1 (ko) * 2022-06-28 2024-10-18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의 2차 인명사고 방지용 대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29A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6264B2 (en) Freight rack
KR102326550B1 (ko) 관절식 암을 갖는 트롤리
EP1206368A1 (en)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or cradle
CN103470097A (zh) 一种隔离网片及装载隔离网片的运输车
JP2016532616A5 (ko)
US20170015532A1 (en) Moving crane
JP5769961B2 (ja) 構造物の架設方法及び撤去方法
JP2016088669A (ja) リフト装置
KR101626146B1 (ko)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KR101406690B1 (ko) 판재 이송용 대차
JP5611518B2 (ja) 運搬台車
KR101160273B1 (ko) 교량공사용 스트래들 캐리어
JP6124595B2 (ja) 重量物運搬具
JPH082874A (ja) 搬送装置
US20240316374A1 (en) A Fall Restraint Apparatus for a Grid Framework Structure
JPH07251936A (ja) 荷の積み降ろし装置
JP2011088681A (ja) 高所用台車
WO20141670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radioactive waste containers
CN203714347U (zh) 一种医疗器械的运输装置
JP6841250B2 (ja) 自動倉庫
JP2004307136A (ja) 搬送装置
JP3240716U (ja) 地上式消火栓の搬送機構。
JP2849377B2 (ja) 重量物搬送装置
CN214399669U (zh) 一种多功能平衡运输车
JP2002362213A (ja) 車両用荷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