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207Y1 - 농작물 운반수레 - Google Patents

농작물 운반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207Y1
KR200253207Y1 KR20010022570U KR20010022570U KR200253207Y1 KR 200253207 Y1 KR200253207 Y1 KR 200253207Y1 KR 20010022570 U KR20010022570 U KR 20010022570U KR 20010022570 U KR20010022570 U KR 20010022570U KR 200253207 Y1 KR200253207 Y1 KR 200253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cart
cart
present
crop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22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대성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10022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2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02Load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 운반수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논, 밭에서 수확한 농작물을 효과적으로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각각의 대차를 밭 고랑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시킨 후, 이를 하나의 수레로 구성하여 많은 양의 농작물을 폭 넓게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는 농작물 운반수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강 파이프로 연결된 프레임이 지지 파이프와 조절구로 형성된 각각의 대차에 조립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되므로 인하여 하나의 수레로 구성된 상태에서 조절구에 수용된 프레임의 간격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농작물 운반수레를 제공하여 논밭에서 수확된 농작물을 보다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작물 운반수레{A handcart carring farm products}
본 고안은 농작물 운반수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논, 밭에서 수확한 농작물을 효과적으로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각각의 대차를 밭 고랑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시킨 후, 이를 하나의 수레로 구성하여 많은 양의 농작물을 폭 넓게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는 농작물 운반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 지역에서 각종 농작물을 밭에서 재배한 후, 수확철이 되면 수십명의 작업자들이 수확용 용기를 들고 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수확하게 된다.
그리고 수확용 용기가 채워지면 작업자는 고랑 끝으로 운반한 다음 새로운 용기로 상기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황에 따라 수확한 농작물을 곳곳에 쌓아두면 리어카와 같은 수레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이동시커거나 차량이 밭 중앙에 까지 진입하여 농작물을 실어나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리어카와 같은 수레는 폭이 작아 고랑 사이로 이동하기에는 부적합하여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차량 진입시에는 작업의 능률은 크게 높일 수는 있으나 다른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하는 2차적인 문제가 있어 사용이 극히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먼저 대차와 대차를 연결시킬 수 있는 프레임에 의해 하나의 수레로 형성되어 보다 많은 양의 농작물을 적재하여 고랑과 고랑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농작물 운반수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수의 보강 파이프로 연결된 프레임이 지지 파이프와 조절구로 형성된 각각의 대차에 조립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되므로 인하여 하나의 수레로 구성된 상태에서 조절구에 수용된 프레임의 간격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농작물 운반수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농작물 운반수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농작물 운반수레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농작물 운반수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운반수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운반수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1. 핸들
12. 구동바퀴 13. 조절구
14. 지지 파이프 15. 보강 파이프
16. 적재공간 17. 수레
18. 이동 파이프 19. 고정부재
20. 대차 21. 하부 프레임
본 고안은 논, 밭에서 수확한 농작물을 효과적으로 적재하여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대차와 대차를 각각 형성하여 프레임의 조립에 의해 하나의 운반수레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농작물 운반수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농작물 운반수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농작물 운반수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운반수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운반수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농작물 운반수레는 다음과 같은 구조와 구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강 파이프(15)에 고정된 프레임(10)은 상하측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핸들(11)을 고정시켜 작업자가 용이하게잡고 이동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조절구(13)에 조립과 분리가 손쉽게 되도록 파이프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조절구(13)는 대차(20)를 형성시키는 지지 파이프(14)와 일체로 구성시켜 프레임(10)에 삽입시켜 고정부재(19)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대차(20)는 각각 형성시켜 프레임(10)에 양측으로 조립시키는 것이 타당하며, 상황에 따라 고정부재(19)를 풀어 대차(20)와 대차(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농작물 운반수레의 원활한 작동과 안정된 이동을 위해서 4개의 구동바퀴(12)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황에 따라 각각의 대차(20)에 조립되는 구동바퀴(12)의 숫자를 늘릴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의 구동바퀴(12)는 지지 파이프(14)와 연결된 하부 프레임(21)에 고정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과 같이 농작물 운반수레를 이동시킬때에는 밭 사이에 형성된 고랑과 고랑사이로 구동바퀴(12)를 진입시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작업자는 운반수레(17)에 형성된 핸들(11)을 잡고 이동 하므로 큰 무리는 없다.
또한, 작업자는 최초 운반수레(17)에 조립된 구동바퀴(12)의 간격을 밭고랑의 간격으로 맞추어야 하므로 이때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조절구(13)에 삽입된 프레임(10)을 분리시켜 그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이때, 조절구(13) 하측에 형성된 고정부재(19)는 상기 프레임(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조절구(13)에서 프레임(10)은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운반수레를 분해하여 보관시에는 상기 조절구(13)에서 프레임(10)을 분리하면 도 1과 같이 각각의 대차(20)도 동시에 분리되면서 별개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 분리되는 운반수레(17)를 다시 조립시킬 때에는 상기의 공정을 반복하면 되는데, 먼저 프레임(10)을 지지 파이프(14)와 일체로 형성된 조절구(13)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19)를 체결하면 양측으로 형성된 대차(20)에프레임(10)이 견고히 지지되면서 하나의 운반수레(17)로 조립이 되는 것이다.
즉, 상기의 운반수레(17)에는 넓은 적재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작업자가 수레를 밭고랑 사이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가면서 수확된 농산물을 적재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운반수레(17)에는 4개의 구동바퀴(12)가 고정되어 있어 표면이 불규칙한 고랑에서도 안정된 자세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중량의 물품을 실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물품을 보다 간편하게 이동시키므로써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논밭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과수원, 축사 등의 개방된 장소에도 적용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운반수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특징과 함께 논밭에서 수확된 농작물을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과수원, 축사 등에서도 상기 운반수레를 이용하여 작업을 간편화함으로써 최소의 노력과 시간을 들여 많은 양의 생산품을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농작물 운반수레에 있어서,
    다수의 보강 파이프로 연결된 프레임을 지지 파이프와 조절구로 형성된 각각의 대차에 조립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운반수레로 형성시키는 수단과; 상기 조절구에 삽입된 프레임의 간격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대차의 전체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운반수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에서 프레임을 분리시키면 양측으로 조립된 대차도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운반수레
KR20010022570U 2001-07-25 2001-07-25 농작물 운반수레 KR200253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2570U KR200253207Y1 (ko) 2001-07-25 2001-07-25 농작물 운반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2570U KR200253207Y1 (ko) 2001-07-25 2001-07-25 농작물 운반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207Y1 true KR200253207Y1 (ko) 2001-11-23

Family

ID=4208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22570U KR200253207Y1 (ko) 2001-07-25 2001-07-25 농작물 운반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2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089B1 (ko) * 2009-03-02 2009-08-13 심덕수 농작물용 이동수레
WO2009107960A2 (ko) * 2008-02-26 2009-09-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농기계 운반 로봇 시스템
KR20190137731A (ko) * 2019-11-22 2019-12-11 황상진 재배지용 농산물 운반 대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7960A2 (ko) * 2008-02-26 2009-09-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농기계 운반 로봇 시스템
WO2009107960A3 (ko) * 2008-02-26 2009-11-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농기계 운반 로봇 시스템
KR100912089B1 (ko) * 2009-03-02 2009-08-13 심덕수 농작물용 이동수레
KR20190137731A (ko) * 2019-11-22 2019-12-11 황상진 재배지용 농산물 운반 대차
KR102254005B1 (ko) * 2019-11-22 2021-05-21 황상진 재배지용 농산물 운반 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3207Y1 (ko) 농작물 운반수레
US20100044125A1 (en) Game/supply carrier
WO2006010220A1 (en) Produce handling apparatus
KR200263899Y1 (ko) 비닐 하우스용 농산물 운반수레
KR20170060707A (ko) 농약 살포기의 바퀴구조
KR20110041828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JP3090386U (ja) 軌陸両用搬送台車
KR200265743Y1 (ko) 열매수확용 운반기
KR101960094B1 (ko) 비료살포기용 거치대
KR200313851Y1 (ko) 손수레
JP3199048U (ja) 農作業用キャリア
KR102254005B1 (ko) 재배지용 농산물 운반 대차
ITSA20000002A1 (it) "apparato per il distacco e la raccolta delle olive e di frutti pendenti in genere".
KR20080108170A (ko) 다용도 농작업기
JPH04103476A (ja) 農用作業車
JP2023018602A (ja) 運搬台車
JP2992990B1 (ja) 多目的に利用可能な畝間走行運搬車
JP5131943B1 (ja) 採花運搬用台車
KR200266169Y1 (ko) 농산물 수확 운반차
KR20030042786A (ko) 열매수확용 운반기
JP2007029024A (ja) 農作物運搬装置
JP3036353U (ja) 果実収穫搬送用三輪カート
JPH0210887Y2 (ko)
KR20160079193A (ko)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농업용 운반기
KR20240040247A (ko) 외발궤도 전동 운반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