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803A -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803A
KR20080070803A KR1020080066227A KR20080066227A KR20080070803A KR 20080070803 A KR20080070803 A KR 20080070803A KR 1020080066227 A KR1020080066227 A KR 1020080066227A KR 20080066227 A KR20080066227 A KR 20080066227A KR 20080070803 A KR20080070803 A KR 20080070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ont wheel
support frame
rear wheel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2018B1 (ko
Inventor
박복이
Original Assignee
박복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복이 filed Critical 박복이
Priority to KR102008006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0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4Adaptations of gearing for driving, loading or unlo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6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self-propell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농작물의 수확 시에 사용되는 운반차의 운전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정도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운반차(1)는 단층 내지 복층구조의 지지프레임(2) 하부 전후로 각각 한 쌍의 전륜(3)과 후륜(4)을 구비하며, 전륜(3)을 좌우로 회동시켜 운반차(1)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방향전환수단(5)을 설치하되, 상기 방향전환수단(5)은 전륜포크(3a) 상부에 조절레버(6)에 의해서 조작되도록 설치하고, 부가적으로 지지프레임(2)과 전륜(3) 및 후륜(4) 사이에 현가장치(7)를 개재되게 구성하며, 후륜(4)에 전동수단을 설치하여 운반차(1)를 자동으로 운행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운반차(1)의 진행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정도로 전환할 수 있고, 방향전환이 사용자 위주로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며, 농작물의 수확 시 작업성을 배가시켜 농작물의 수확 효율을 월등히 상승시키며, 비포장 농로에서라도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오르막 등의 경사로 등에서 보다 손쉽게 운반차(1)를 운행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농작물, 운반차, 지지프레임, 방향전환수단, 조절레버, 현가장치, 전동수단

Description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Transport car for harvesting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종 농작물의 수확 시에 사용되는 운반차의 운전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정도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딸기 등과 같은 밭작물을 수확할 때 밭고랑을 따라 바퀴가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수확하는 즉시 상기 운반차에 실린 수개의 박스나 바구니에 농작물을 담아 수확한 농작물을 한 번에 대량으로 집하지(集荷地)나 보관창고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운반차의 경우 프레임 하부 전후로 각각 한 쌍의 전륜과 후륜을 구비하고, 밭고랑을 따라 전진 내지 후진할 수 있도록 전체 바퀴가 고정되어 있던 구조로서, 이러한 경우 통상의 하우스(=비닐하우스) 등에서 농작물의 수확이 끝난 후에 농작물을 가득 실은 운반차가 출구를 나올 시 통로가 비좁고, 밭고랑과 이동로가 수직으로 꺾여 있어서 이동로로 나오기가 곤란하고, 특히 전륜과 후륜이 고정되어 있어서 방향전환이 어려워 농작물이 가득 실린 운반차를 사용자가 들어서 방향을 전환하는 등으로 인해 번거롭고 힘이 들어서 농민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나이가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었으며, 젊은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수확의 효율이 떨어지고, 방향전환 시 상해를 입거나 농작물이 떨어져서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근자에 운반차의 바퀴를 자유 회전되는 캐스터로 대체하여 방향전환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운반차가 개발되어 왔으나 이러한 자유 회전식 캐스터의 경우 운반차를 밭고랑을 따라 밀고 다닐 시 임의로 회전되어 운반차가 밭으로 들어가게 되어 캐스터에 의해서 수확이 이루어지지도 않은 농작물까지 심각하게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캐스터에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장치를 부가하였으나, 사용자가 쪼그리고 앉은 상태에서 농작물을 수확하면서 운반차의 2~4바퀴(캐스터)에 장치된 이러한 고정장치를 조작하기가 어렵고 번거로울 수밖에 없어서 실용성이 극히 떨어지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운반차의 전륜(前輪)에 방향전환수단을 설치하고, 방향전환이 농작물을 수확하는 사용자 위주로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농작물의 수확 시 작업성을 배가시키며, 농작물의 수확 후 집하지나 보관창고로의 이송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를 구성하되, 상기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는 단층(單層) 내지 복층(複層)구조의 지지프레임 하부 전후로 각각 한 쌍의 전륜과 후륜을 구비한 것으로서, 전륜을 좌우로 회동시켜 운반차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단에 전륜이 축 설치된 전륜포크 상부에 후단부가 운반차의 후방을 향하는 조절레버에 의해서 조작되는 방향전환수단을 설치한다. 부가적으로 지지프레임과 전륜 및 후륜 사이에 완충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현가장치를 개재되게 구성하며, 후륜에는 전동수단을 설치하여 운반차를 자동으로 운행가능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운반차의 전륜에 방향전환수단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레버를 조작하기만 하면 운반차의 진행 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정도로 전환할 수 있고, 방향전환이 농작물을 수확하는 사용자 위주로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며, 이로 인하여 농작물의 수확 시 작업성을 배가시켜 농작물의 수확 효율을 월등히 상승시키며, 농작물의 수확 후 집하지나 보관창고로의 이송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전륜, 후륜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현가장치에 의해 비포장 농로에서 사용 시 수확한 농작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오르막 등의 경사로 등에서 사용할 시 전동수단을 작동시켜서 보다 손쉽게 운반차를 운행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운반차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단면도 및 전면(前面)도로서, 본 발명은 딸기 등의 각종 농작물을 수확할 시 수확한 농작물을 담는 박스나 바구니를 수개 적재하여 한 번에 다량의 농작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운반차(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운반차(1)는 농작물이나 농작물을 담은 박스 또는 바구니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1a)이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단층 내지 복층구조의 지지프레임(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의 하부 전후로 각각 한 쌍의 전륜(3)과 후륜(4)을 좌우 대향되게 설치하되, 상기 지지프레임(2) 하부 전방에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전륜지지대(2a)를 일체로 형성하고, 지지프레임(2) 하부 후방에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 중공형 후륜지지대(2b)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전륜지지대(2a)에는 하단에 전륜(3)이 축 설치된 전륜포크(3a)를 자유 회전되게 결합 구성하며, 후륜지지대(2b)에는 하단에 후륜(4)이 축 설치된 후 륜포크(4a)를 고정되도록 결합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륜(3)이 축 설치된 전륜포크(3a)의 상부에 운반차(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레버(6)의 조작에 의해 전륜(3)을 전방 좌우로 각각 45도 정도까지 회동시키기 위한 방향전환수단(5)을 설치하되, 상기 방향전환수단(5)은 지지프레임(2)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51)에 상단이 베어링(52)으로 자유 회전되게 하향 설치된 제1축(53)과, 브래킷(51)의 하부로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축(53)이 관통 지지되는 지지편(54)과, 제1축(53)의 하단에 중심부가 고정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에 장공(56)이 각각 형성된 조절편(55)과, 조절편(55) 좌우 양단의 장공(56)에 볼트, 너트 등으로 이루어진 제2축(57)에 의해서 일측 단부가 결합 구성되며 타측 단부가 각각 좌우 전륜포크(3a)의 상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편(5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편(55)의 중앙 후측에는 조절편(55)의 좌우 길이에 직교되며 운반차(1)의 후방으로 단부가 뻗치도록 길게 형성된 조절레버(6)의 일단을 고정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1)는 필요에 의해서 도 4의 제2실례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2)의 하부에 형성된 전륜지지대(2a)와 전륜(3)이 축 설치된 전륜포크(3a) 사이에 완충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현가장치(7) 양단을 탄성 지지되게 구성하고, 지지프레임(2)의 하부에 형성된 후륜지지대(2b)와 후륜(4)이 축 설치된 후륜포크(4a) 사이에 현가장치(7) 양단을 탄성 지지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6의 제3실례에 의하면 상기 방향전환수단(5)을 갖는 운반차(1) 에 구동스위치(9)의 온, 오프 조작에 의해서 운반차(1)를 자동으로 운행되도록 전동수단(8)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전동수단(8)은 지지프레임(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배터리(81)와, 구동스위치(9)의 온, 오프 조작에 의해서 배터리(81)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배터리(81)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 구성된 전동모터(82)와, 전동모터(82)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박스체(83)에 일단이 연결 구성되며 지지프레임(2)에 설치된 베어링(84)에 의해 자유 회전되게 좌우로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전동축(85)과, 좌우 전동축(85)의 외측 단부에 축 설치된 구동스프로킷(86)과, 구동스프로킷(86)과 체인(88) 연결되어 후륜포크(4a) 하단에 축 설치된 후륜(4) 내측으로 후륜(4)과 함께 축 설치된 종동스프로킷(87)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기어박스체(83)는 양측으로 독립된 전동축(85)을 설치하여 운반차(1)가 전후 직진운행을 할 시에는 양측 후륜(4)을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되게 하며, 운반차(1)가 전후로 방향전환을 위해 곡선운행을 할 시에는 양측 후륜(4)을 상이한 회전비, 즉 내측 후륜(4)은 천천히 회전되며 외측 후륜(4)은 빠르게 회전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는 공지된 기술로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기 전동수단(8)의 배터리(81)와 전동모터(82)의 지지프레임(2)에서의 설치 위치는 운반차(1)의 전체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전방에 배터리(81)를 위치시키고, 후방에 기어박스체(83)를 갖는 전동모터(82)를 설치하여 균형을 맞춰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전동수단(8) 중 구동스프로킷(86)과 종동스프로킷(87) 및 체인(88) 대신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및 벨트(또는 타이밍벨트)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조절레버(6)를 가운데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2) 흐방에 별도의 스토퍼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스토퍼의 구성을 별도로 도시치 아니하였으나, 조절레버(6)가 정중앙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의 일측에 물음표 형상의 걸고리를 자유 회전되게 축 설치하여 지지프레임(2)이 가운데 위치할 시 걸고리를 회전시켜 지지프레임(2)에 걸리도록 하여 지지프레임(2)이 가운데에서 좌우 양측으로 임의로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스토퍼를 걸고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1)는 종래 고정된 4륜을 갖던 운반차(1)의 전륜(3)에 방향전환수단(5)을 설치하여 조절레버(6)에 의해서 원하는 방향으로 운반차(1)를 운행할 수 있고, 여기에 현가장치(7)와 전동수단(8)을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수확한 농작물의 안정된 이송과 함께 사용자가 밀지 않고 자동으로 운행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수동 및 자동 겸용의 운반차(1)를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것으로서 이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운반차(1)의 지지프레임(2) 상부에 고정 설치된 적재판(1a)에 수확한 농작물을 바로 적재하거나 수개의 박스 내지 바구니를 안치시켜 농작물을 다량으로 실으면서 전륜(3)과 후륜(4)이 밭고랑을 따라 전진 내지 후진하면서 수확 작업을 계속적으로 행하되, 이때에는 조절레버(6)를 운반차(1)의 후방 가운데 위치하도록 하여 전후 직진운행만을 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후 농작물을 적정하게 수확한 후에 사용자가 밀어 수동으로 운행하거나 구동스위치(9)를 조작하여 전동수단(8)을 작동시켜서 자동으로 운행을 하여 집하지나 보관창고로 농작물을 이송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수확된 농작물의 이송 시 밭고랑에서 농로로 나올 때에나 농로상에서 굽거나 꺾인 길을 만나게 되면 조절레버(6)에 의해서 방향전환수단(5)을 조작하여 운반차(1)의 운행 방향을 결정하여 운반차(1)를 회전시키면 되는 것으로서, 이를 도 7a 내지 7b와 더불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농로가 좌측으로 굽거나 꺾여 있을 경우에는 도 7a와 같이 조절레버(6)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지지프레임(2)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51)에 상단이 베어링(52)으로 자유 회전되게 설치되며 지지편(54)에 관통 지지된 방향전환수단(5)의 제1축(53)을 중심으로 조절편(55)이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이와 더불어 조절편(55) 양단에 제2축(57)에 의해 결합 구성된 회동편(58)이 전륜지지대(2a)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전륜포크(3a) 및 전륜(3)을 회동시키게 되는바, 조절편(55)이 우측으로 회전하면 조절편(55)의 좌측 단부는 전진하고 우측 단부는 후진하게 되며, 이때 장공(56)을 타고 제2축(57)이 조절편(55)의 양 단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조절편(55)의 좌측 단부에 결합 구성된 좌측 회동편(58)이 좌측 전륜지지대(2a)를 중심으로 전진하여 좌측 전륜포크(3a)와 전륜(3)이 좌측으로 회동하게 되며, 조절편(55)의 우측 단부에 결합 구성된 우측 회동편(58)이 우측 전륜지지대(2a)를 중심으로 후진하여 우측 전륜포크(3a)와 전륜(3)이 좌측으로 회동하게 되어 운반차(1) 전체가 그대로 좌측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져서 좌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농로가 우측으로 굽거나 꺾여 있을 경우에는 도 7b와 같이 조절레 버(6)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도 7a와 반대로 조절편(55)이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양측 회동편(58)을 회동시켜 전륜포크(3a) 및 전륜(3)이 우측으로 회동하게 되어 운반차(1) 전체가 우측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져서 우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현가장치(7)는 하단이 각각 전륜포크(3a)와 후륜포크(4a)에 각각 지지되고, 상단이 각각 전륜지지대(2a)와 후륜지지대(2b)를 받치는 구조로서, 농로가 비포장으로 노면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운반차(1)의 요동을 줄여서 적재판(1a)에서부터 수확한 농작물이 떨어지는 경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동스위치(9)에 의해서 작동하는 전동수단(8)은 운반차(1)를 사용자가 직접 밀지 않아도 자동으로 운행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 구동스위치(9)를 조작하여 배터리(81)의 전원을 전동모터(82)로 공급해서 작동시키면 기어박스체(83)에서 운반차(1)가 직진하고 있을 경우에는 지지프레임(2)에 베어링(84)으로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좌우 전동축(85)을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시켜 구동스프로킷(86)과 체인(88) 연결된 종동스프로킷(87)을 회전시켜서 양측 후륜(4)을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하므로 운반차(1)가 곧게 나아가게 되며, 조절레버(6)로 방향전환수단(5)을 조작하여 운반차(1)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진행하고 있을 시에는 전동모터(82)의 회전력을 좌우 전동축(85)으로 회전비를 상이하게 전달시켜서 양측 후륜(4)을 상이하게 회전되도록 하므로 운반차(1)가 무리 없이 자연스럽게 좌측 내지 우측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1)는 상세한 설명에서와 같이 밭이나 논 등 의 농작물 경작지에서 수확 시에 사용됨은 물론이고, 일반 농가에서 비료나 사료 등의 운반 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그 밖에도 가정에서부터 각종 산업현장에 이르기까지 중량물의 운반이나 대량의 물품을 한 번에 운반코자 할 시 어디에서나 사용 가능함과 더불어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운반차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 중 방향전환수단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로서, 운반차의 좌회전 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 중 방향전환수단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로서, 운반차의 우회전 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운반차 1a:적재판
2:지지프레임 2a:전륜지지대
2b:후륜지지대 3:전륜
3a:전륜포크 4:후륜
4a:후륜포크 5:방향전환수단
51:브래킷 52:베어링
53:제1축 54:지지편
55:조절편 56:장공
57:제2축 58:회동편
6:조절레버 7:현가장치
8:전동수단 81:배터리
82:전동모터 83:기어박스체
84:베어링 85:전동축
86:구동스프로킷 87:종동스프로킷
88:체인 9:구동스위치

Claims (3)

  1. 적재판(1a)이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단층 내지 복층구조의 지지프레임(2)을 구비하고, 지지프레임(2) 하부 전방에 형성된 전륜지지대(2a)에 하단으로 전륜(3)이 축 설치된 전륜포크(3a)를 자유 회전되게 결합 구성하며, 지지프레임(2) 하부 후방에 형성된 후륜지지대(2b)에 하단으로 후륜(4)이 축 설치된 후륜포크(4a)를 고정되게 결합 구성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1)에 있어서;
    상기 운반차(1)는
    지지프레임(2)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51)에 상단이 베어링(52)으로 자유 회전되게 하향 설치된 제1축(53)과,
    브래킷(51)의 하부로 간격을 유지토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축(53)이 관통 지지되는 지지편(54)과,
    제1축(53)의 하단에 중심부가 고정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에 장공(56)이 각각 형성된 조절편(55)과,
    조절편(55) 좌우 양단의 장공(56)에 볼트, 너트 등으로 이루어진 제2축(57)에 의해서 일측 단부가 결합 구성되며, 타측 단부가 각각 좌우 전륜포크(3a)의 상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편(58)으로 이루어진 방향전환수단(5)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편(55)의 중앙 후측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운반차(1)의 후방으로 단부가 뻗치도록 길게 형성된 조절레버(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륜지지대(2a)와 전륜포크(3a) 사이 및 후륜지지대(2b)와 후륜포크(4a) 사이에 양단이 탄성 지지토록 구성된 현가장치(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반차(1)에 구동스위치(9)의 온, 오프 조작에 의해서 운반차(1)를 자동으로 운행되도록 설치되며,
    지지프레임(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배터리(81)와, 구동스위치(9)의 온, 오프 조작에 의해서 배터리(81)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배터리(81)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 구성된 전동모터(82)와, 전동모터(82)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박스체(83)에 일단이 연결 구성되며 지지프레임(2)에 설치된 베어링(84)에 의해 자유 회전되게 좌우로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전동축(85)과, 좌우 전동축(85)의 외측 단부에 축 설치된 구동스프로킷(86)과, 구동스프로킷(86)과 체인(88) 연결되어 후륜포크(4a) 하단에 후륜(4) 내측으로 후륜(4)과 함께 축 설치된 종동스프로킷(87)으로 이루어진 전동수단(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KR1020080066227A 2008-07-08 2008-07-08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KR10088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227A KR100882018B1 (ko) 2008-07-08 2008-07-08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227A KR100882018B1 (ko) 2008-07-08 2008-07-08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803A true KR20080070803A (ko) 2008-07-31
KR100882018B1 KR100882018B1 (ko) 2009-02-05

Family

ID=3982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227A KR100882018B1 (ko) 2008-07-08 2008-07-08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0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45B1 (ko) * 2009-07-30 2012-01-31 하나로테크 주식회사 이랑 이동용 대차
KR20170126384A (ko) * 2016-05-09 2017-11-17 서정현 농업용 다목적 작업보조장비
KR20230043489A (ko) 2021-09-24 2023-03-31 장석근 자주식 운반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742A (ko) 2015-02-16 2016-08-24 (주)슈닉스 농작물 운반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944A (ko) * 1997-05-30 1998-12-05 임경채 농업용 비닐피복기의 현가장치
KR20020097387A (ko) * 2001-06-20 2002-12-31 대한민국(충남대학교) 구기자 수확기
KR200408379Y1 (ko) 2005-11-25 2006-02-08 김경환 조향기구가 구비된 무빙카트
KR200435299Y1 (ko) * 2006-07-28 2007-01-16 권상현 농업용 다용도 운반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45B1 (ko) * 2009-07-30 2012-01-31 하나로테크 주식회사 이랑 이동용 대차
KR20170126384A (ko) * 2016-05-09 2017-11-17 서정현 농업용 다목적 작업보조장비
KR20230043489A (ko) 2021-09-24 2023-03-31 장석근 자주식 운반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018B1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018B1 (ko)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US20100320010A1 (en) Vehicle with level-adjusting arrangement
US20150075880A1 (en) Electric cart for facilitating the harvesting of berries and other crops
US2520835A (en) Harvesting tractor and drive control therefor
KR200422848Y1 (ko) 농산물 운반용 수레
JP5357722B2 (ja) 乗用型田植機
US20100044125A1 (en) Game/supply carrier
KR101377046B1 (ko) 전동 수레
KR101387989B1 (ko)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CN212605220U (zh) 一种农用搬运车的车轮安装装置
JP5608131B2 (ja) コンバイン
KR200383441Y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적재함탑재식 퇴비살포장치
CN201091124Y (zh) 自走式玉米脱粒机
KR200424149Y1 (ko) 전동 운반차
KR20110041828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US5358370A (en) Un-winder for hay bales
US5904035A (en) Hay inverter
CN216834083U (zh) 一种电驱动轻载式板车
KR102531318B1 (ko) 자주식 운반차
KR200253207Y1 (ko) 농작물 운반수레
KR102541616B1 (ko)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KR101132037B1 (ko) 과일 채소류 박스 하우징의 운반구
CN202050671U (zh) 播种机
KR200446339Y1 (ko) 1륜 손수레
KR20100069821A (ko) 다기능 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