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848Y1 - 농산물 운반용 수레 - Google Patents

농산물 운반용 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848Y1
KR200422848Y1 KR2020060013338U KR20060013338U KR200422848Y1 KR 200422848 Y1 KR200422848 Y1 KR 200422848Y1 KR 2020060013338 U KR2020060013338 U KR 2020060013338U KR 20060013338 U KR20060013338 U KR 20060013338U KR 200422848 Y1 KR200422848 Y1 KR 200422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s
main shaft
railing
front whee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덕
권상현
전연호
Original Assignee
권상현
전연호
이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상현, 전연호, 이병덕 filed Critical 권상현
Priority to KR2020060013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8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8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농산물 운반용 수레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충전식 베터리를 이용하여 구동시킴으로서 무공해 및 저소음 작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농산물 또는 농자재 등을 보다 편리하게 이송 운반할 수 있게 함으로서 농가의 일손을 줄이고 생산성 및 생산원가를 절감하는데 일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가장자리에 난간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난간에 착탈식으로 된 제2난간이 구비된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 저면에 고정브라켓트에 의해 장착 고정된 구동장치부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부는 전륜 및 후륜으로 구비된 두쌍의 바퀴와, 전륜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끔 조향기능을 가진 수평레버식 핸들, 그리고 한 쌍의 후륜 사이에 설치되어 후륜의 양바퀴에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 및 모터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베터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기능을 가진 수평레버식 핸들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끔 장착구성되며 하단에는 전륜의 주축에 연결된 수직로드 양측과 와이어로서 연결되는 조향판을 고정 설치함으로서 수평레버식 핸들을 좌 또는 우측으로 돌릴때 전륜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또, 상기 기어박스에 클러치를 더 장착하면 동력전달 및 동력차단이 가능하게 되며 이 경우 주행과정에서 잠시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때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농산물 운반용 수레에 따르면, 충전 베터리에 의해 전진하게 됨에 따라 환경오염 및 힘이 들 염려가 없고, 또 소형제작이 가능하여 외부 경작지는 물론 비닐하우스의 좁은 통로에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농산물 운반용 수레를 제공한다.
농산물 운반수레, 조향장치, 기어박스, 수레, 자동수레.

Description

농산물 운반용 수레{a car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적재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우측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본 고안은 농산물 운반용 수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베터리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켜 전진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핸들 및 조향장치에 의해 방향전환이 가능하게끔 하고, 더불어 소형화가 용이하여 좁은 통로로도 간편하게 운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작물의 재배, 비료 및 사료의 이송, 수확 등 다양한 작업에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농산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상의 수레는 하나의 바퀴로 적재함을 지탱하는 외바퀴 수레와, 한쌍의 바퀴가 축으로 연결된 양바퀴수 레가 주류를 이루는데 이들 수레는 모두 인력에 의해 밀거나 끌수 있게끔 구성된 것이어서 힘이 많이 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외바퀴 수레는 지면을 구르는 바퀴가 하나이기 때문에 밭이나 비닐하우스 내부의 좁은 통로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반면 수레에 실은 물품의 하중이 모두 외바퀴에 실리기 때문에 지면에 모래가 많거나 굳지 않으면 잘 구르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따름은 물론, 수레의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력으로서 양쪽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지탱해 주어야 함에 따라 힘이 많이 들면서 번거롭고 불편한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또, 한쌍의 바퀴로 돈 수레의 경우는 좌우 어느 한쪽으로 쓰러질 염려가 없어 안정적이기는 하지만 수레자체가 수평으로 놓여질 수 없는 구성이기에 짐을 실고 내릴때 주의를 요하게 되며, 이 또한 수작업으로 밀어야 함으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농민들이 밀거나 당기지 않아도 자동으로 이송되고, 방향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져서 안정적으로 농산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수레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농산물 운반용 수레(100)는,
가장자리에 난간(11)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난간(11)에 착탈식으로 된 제2 난간(12)이 구비된 적재대(1)와, 상기 적재대(1) 저면 전후부에 고정브라켓트(21)에 의해 장착 고정되는 구동장치부(2)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부(2)는 지지프레임(2a)의 전후부에 장착되어 전륜(22) 및 후륜(22')으로 구비된 두쌍의 바퀴와, 전륜(22)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끔 조향기능을 가진 수평레버식 핸들(23), 그리고 한 쌍의 후륜(22') 사이에 설치되어 후륜(22')의 양바퀴에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24) 및 모터(25)와, 상기 모터(25)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베터리(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기능을 가진 수평레버식 핸들(23)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끔 장착 구성되며, 하단에는 전륜의 주축(27)에 연결된 수직로드(27') 양측과 와이어(28)(28')로서 연결되는 조향판(23')을 고정 설치함으로서 수평레버식 핸들(23)을 좌 또는 우측으로 돌릴때 전륜(22)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또, 상기 기어박스(24)에 클러치(29)를 더 장착하면 동력전달 및 동력차단이 가능하게 되며 이 경우 주행과정에서 잠시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어박스(24)는 모터(25) 축에 장착된 베벨기어(24a)에 의해 주축(24c)에 장착된 베벨기어(24b)가 치합구동하면서 주축(24c)을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주축(24c)의 반대편에 장착된 스퍼어기어(24d)도 주축(24c)과 함께 동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주축(24c)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후륜(22')의 축(22a)을 관통 장착하되, 상기 축(22a)에는 클러치(29)에 의해 축(22a)을 타고 이송하는 클러치기어(24e)를 장착구성함으로서 클러치(29)에 의한 동력의 전달 및 차단이 원 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충전용 베터리(26)의 전원에 의해 마치 차량처럼 자동으로 저속운행된다. 따라서 작업자, 즉 농민은 수평레버식 핸들(23)로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조절해주기만 하면 되며, 운행 중 잠시 정지시켜야 할 경우에는 클러치(29)로서 동력을 차단시켜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적재대(1) 위에 농산물이나 각종 자재 등 운반이 필요한 물품을 안착시킨다. 이때 많은 양의 농산물이나 자재를 높이 적재하여 운반하고자 할 때는 난간(11)에 제2난간을 끼워 난간의 높이를 높임으로서 많은 양의 농산물이나 자재를 안정적으로 적층운반시킬 수 있게 한다.
또, 위와 같이 농산물이나 자재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운반할 때는 베터리(26)의 동력이 모터(25)를 구동시켜 베벨기어(24a)가 주축(24c)을 회전시킴에 따라 주축(24c)과 함께 회전하는 스퍼어기어(24d)가 클러치기어(24a)를 회전시킴으로서 후륜(22')이 구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농산물 운반용 수레(100)가 전진하게 된다. 또, 위 과정에서 수평레버식핸들(23)을 좌 또는 우로 돌리게 되면 상기 수평레버식핸들(23)의 하부에 장착고정된 조향판(23')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전륜(22)과 연결된 와이어(28)(28')를 조작하게 됨으로서 전륜의 방향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수레를 사용하는 작업자, 즉 농민은 수레(100)를 따라 가면서 수평레버식핸들(23)을 좌 또는 우로 돌려가면 방향전환을 해 주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주행과정에서 잠시 멈추어야 할 경우에는 동력을 끄지 않고 클러치(29)를 이용하여 스퍼어기어(24d)에 접속구동하는 클러치기어(24e)를 분리시켜주면 되며, 이 경우 자연적으로 축(22a)에 전달되던 동력이 끊어지게 되어 주행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충전용 베터리(26)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후륜이 구동하여 저속 운행되도록 한 구성임에 따라 소음이 적으면서 조작이 편리하고, 화석연료 등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를 이용함에 따라 환경오염이 발생될 염려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레(100)는, 충전 베터리에 의해 전진하게 됨에 따라 환경오염 및 힘이 들 염려가 없고, 또 소형으로 제작가능하여 외부 경작지는 물론 비닐하우스의 좁은 통로에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농산물 운반용 수레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난간(11)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난간(11)에 착탈식으로 된 제2난간(12)이 구비된 적재대(1)와, 상기 적재대(1) 저면 전후부에 고정브라켓트(21)에 의해 장착 고정되는 구동장치부(2)로 구성하되,
    상기 구동장치부(2)는 지지프레임(2a)의 전후부에 장착되어 전륜(22) 및 후륜(22')으로 구비된 두쌍의 바퀴와,
    전륜(22)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끔 조향기능을 가진 수평레버식 핸들(23),
    그리고 한 쌍의 후륜(22') 사이에 설치되어 후륜(22')의 양바퀴에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24) 및 모터(25)와,
    상기 모터(25)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베터리(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기능을 가진 수평레버식 핸들(23)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끔 장착 구성되며,
    하단에는 전륜의 주축(27)에 연결된 수직로드(27') 양측과 와이어(28)(28')로서 연결되는 조향판(23')을 고정 설치함으로서 수평레버식 핸들(23)을 좌 또는 우측으로 돌릴때 전륜(22)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운반용 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24)는 모터(25) 축에 장착된 베벨기어(24a)에 의해 주축(24c)에 장착된 베벨기어(24b)가 치합구동하면서 주축(24c)을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주축(24c)의 반대편에 장착된 스퍼어기어(24d)도 주축(24c)과 함께 동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주축(24c)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후륜(22')의 축(22a)을 관통 장착하되, 상기 축(22a)에는 클러치(29)에 의해 축(22a)을 타고 이송하는 클러치기어(24e)를 장착구성함으로서 클러치(29)에 의한 동력의 전달 및 차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운반용 수레.
KR2020060013338U 2006-05-18 2006-05-18 농산물 운반용 수레 KR200422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338U KR200422848Y1 (ko) 2006-05-18 2006-05-18 농산물 운반용 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338U KR200422848Y1 (ko) 2006-05-18 2006-05-18 농산물 운반용 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848Y1 true KR200422848Y1 (ko) 2006-07-31

Family

ID=4177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338U KR200422848Y1 (ko) 2006-05-18 2006-05-18 농산물 운반용 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84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74Y1 (ko) 2009-03-26 2010-12-10 박상진 농업용 손수레
KR101078414B1 (ko) 2011-04-26 2011-10-31 권기원 트랙터용 트레일러
KR101361738B1 (ko) 2012-02-20 2014-02-13 송길동 레일 운반기
KR101876287B1 (ko) * 2016-12-29 2018-07-09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운반차
KR102397272B1 (ko) 2021-12-10 2022-05-13 근우테크 주식회사 육로 및 레일 주행 겸용 농업용 운반차
KR20230088555A (ko) 2021-12-10 2023-06-20 근우테크 주식회사 자율주행이 가능한 농업용 운반차
KR20230134709A (ko) 2022-03-15 2023-09-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발 타입 자율 주행 수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74Y1 (ko) 2009-03-26 2010-12-10 박상진 농업용 손수레
KR101078414B1 (ko) 2011-04-26 2011-10-31 권기원 트랙터용 트레일러
KR101361738B1 (ko) 2012-02-20 2014-02-13 송길동 레일 운반기
KR101876287B1 (ko) * 2016-12-29 2018-07-09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운반차
KR102397272B1 (ko) 2021-12-10 2022-05-13 근우테크 주식회사 육로 및 레일 주행 겸용 농업용 운반차
KR20230088555A (ko) 2021-12-10 2023-06-20 근우테크 주식회사 자율주행이 가능한 농업용 운반차
KR20230134709A (ko) 2022-03-15 2023-09-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발 타입 자율 주행 수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2848Y1 (ko) 농산물 운반용 수레
KR200435299Y1 (ko) 농업용 다용도 운반차
KR200438679Y1 (ko) 운전 안정도가 유지되는 4륜구동 운반차
US20150075880A1 (en) Electric cart for facilitating the harvesting of berries and other crops
KR200453679Y1 (ko) 덤프적재함이 구비된 4륜구동 운반차
KR101387989B1 (ko)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CN203958456U (zh) 一种正反两用电动三轮车
KR200483458Y1 (ko) 제초기 및 관리기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무한궤도 운반기
CN204713236U (zh) 一种高通过性遥控三轮农用机车
KR100882018B1 (ko)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KR100766544B1 (ko) 복토수단을 갖는 4륜 구동 운반차
KR100672743B1 (ko) 농업용 운반기구
CN206427087U (zh) 一种快件搬运小推车
KR101132037B1 (ko) 과일 채소류 박스 하우징의 운반구
CN204055532U (zh) 一种全冠苗木短途运输车
JP2006320234A (ja) 施肥装置付き田植機
TWM550968U (zh) 育苗盤排盤機
CN207476175U (zh) 一种多功能电动农用一体机
CN201833875U (zh) 一种机动越野型独轮状履带式手扶平板运输车
KR101707857B1 (ko) 비닐하우스 작업용 운반장치
KR20090009518A (ko) 동력 운반기
KR101493153B1 (ko) 농업용 작업기
KR102541616B1 (ko)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CN202050671U (zh) 播种机
KR20080011453A (ko) 비료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