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989B1 -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 Google Patents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989B1
KR101387989B1 KR1020120064049A KR20120064049A KR101387989B1 KR 101387989 B1 KR101387989 B1 KR 101387989B1 KR 1020120064049 A KR1020120064049 A KR 1020120064049A KR 20120064049 A KR20120064049 A KR 20120064049A KR 101387989 B1 KR101387989 B1 KR 101387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gear
fixing hole
cent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012A (ko
Inventor
전연호
박춘숙
Original Assignee
근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우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근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989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onvertible from a one-axled vehicle to a two-axle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62B1/18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comprising an additional wheel, e.g. mounted on the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3One motor drives one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및 금속봉을 이용해 “ㄷ”자 형태로 절곡되며, 절곡된 하부 양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홀을 갖는 차체프레임, 상기 차체프레임에 연장형성되며, 전후이송레버 및 브레이크레버가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차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 상기 차체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연장 형성된 단부가 차체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외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홀을 갖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 내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를 갖는 모터,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는 바퀴가 중앙에 구비되고, 일측에 제2기어를 갖는 축이 연결 구비되며, 제2기어가 제1기어와 연동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부가 제1고정홀에 볼트 결합되고, 하부 후방이 제2고정홀에 볼트 결합되며, 내측에 수납을 위한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기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 상기 차체프레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며, 동력원과 연결되어 동력원으로부터 공급받은 기전력을 모터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 상기 차체프레임의 하부 후방 양측에 각각 지면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상부가 각각 고정되며, 하부가 지면을 향하여 구비되는 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One-wheel electric Cart of agriculture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본 발명은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가 밭고랑과 같은 좁은 공간이나 경사가 심한 비탈길, 과수원과 같이 나무가 우거진 곳에서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 중심에 따라 동력원의 위치를 손쉽게 이동하여 사용자가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를 사용할 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차는 산업현장이나 농가에서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특히 농가에서는 경운기, 트랙터 등을 포함하는 대형 운반수단의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좁은 밭고랑이나 과수원 등의 나무가 울창하거나 경사가 심한 곳 등에 사용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운반차가 인력에 의존하여 운행되며, 비탈길이나 산길, 진흙탕 등의 험한 지형에 부적합하고, 또 바퀴가 구덩이에 빠지면 인력으로 쉽게 빠져나오지도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의 우리나라 농촌은 젊은 층이 도외지로 빠져나가 고령화되어 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운반차는 노인뿐만 아니라 젊은 사람이 사용하기에도 힘에 겨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422848호(명칭: 농산물 운반용 수레)에서 충전배터리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켜 전진하도록 구성하여 작물의 재배, 비료 및 사료의 이송, 수확 등 다양한 작업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동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나 좁은 밭고랑과 같은 곳에서 수레가 방향 전환을 할 시에는 핸들과 연결된 전륜의 각도에 따라 일정한 회전반경만큼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바퀴 수레를 사용하였으나 화물의 무게에 충전배터리의 무게까지 더해짐으로 인하여 외바퀴 수레를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가 밭고랑과 같은 좁은 공간이나 경사가 심한 비탈길, 과수원과 같이 나무가 우거진 곳에서도 동력원과 구동부를 구비하여 손쉽게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의 이동 및 방향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에 화물을 적재할 시에 화물의 무게 중심에 따라서 동력원을 내입한 케이스의 위치를 이동하여 사용자가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를 사용할 시에 적은 힘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 및 금속봉을 이용해 “ㄷ”자 형태로 절곡되며, 절곡된 하부 양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홀을 갖는 차체프레임, 상기 차체프레임에 연장형성되며, 전후이송레버 및 브레이크레버가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차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 상기 차체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연장 형성된 단부가 차체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외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홀을 갖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 내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를 갖는 모터,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는 바퀴가 중앙에 구비되고, 일측에 제2기어를 갖는 축이 연결 구비되며, 제2기어가 제1기어와 연동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부가 제1고정홀에 볼트 결합되고, 하부 후방이 제2고정홀에 볼트 결합되며, 내측에 수납을 위한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기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 상기 차체프레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며, 동력원과 연결되어 동력원으로부터 공급받은 기전력을 모터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 상기 차체프레임의 하부 후방 양측에 각각 지면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상부가 각각 고정되며, 하부가 지면을 향하여 구비되는 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는 밭고랑과 같은 좁은 공간이나 경사가 심한 비탈길, 과수원과 같이 나무가 우거진 곳에서도 동력원과 구동부를 구비하여 손쉽게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의 이동 및 방향전환을 할 수 있으며,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에 화물을 적재할 시에 화물의 무게 중심에 따라서 동력원을 내입한 케이스의 위치를 이동하여 사용자가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를 사용할 시에 적은 힘으로도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의 케이스를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에 캐스터를 구비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스가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에 조절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케이스에 상부브라켓 및 하부브라켓이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케이스에 레일이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케이스에 레일이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는 차체프레임(10)과, 차체프레임(10)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20)와, 차체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30)과, 차체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40)과,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50)와,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부(60)와, 지지프레임(4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케이스(70)와, 케이스(70)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80)과, 동력원(80)과 연결되어 동력원(8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모터(50)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90)와, 차체프레임(10)의 하부 후방 양측에 각각 지면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지지부(100)와, 지지부(100)에 상부가 각각 고정되며, 하부가 지면을 향하여 구비되는 조절구(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는 파이프 및 금속봉을 이용해 “ㄷ”자 형태로 절곡되며, 절곡된 하부 양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홀(12)을 갖는 차체프레임(10)이 구비된다.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연장형성되며, 전후이송레버(22) 및 브레이크레버(24)가 구비되는 손잡이(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20)에 구비되는 전후이송레버(22) 및 브레이크레버(24)는 전후이송레버(22)를 사용하여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를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브레이크레버(24)는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를 정지 또는 출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20)에는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조절레버(26)도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상부에는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적재함(30)은 차체프레임(10)에 착탈식으로 조립되어 구비되며, 화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지면을 향하여 각각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연장 형성된 단부가 차체프레임(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외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홀(42)을 갖는 지지프레임(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40)은 후술되는 케이스(70)를 지지프레임(40)의 외측에 각각 구비할 시에 각각의 케이스(70)가 차체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차체프레임(10)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며, 제2고정홀(42)의 간격은 차체프레임(10)에 형성되는 제1고정홀(12)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전방 내측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52)를 갖는 모터(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터(50)는 통상적인 DC모터를 사용하는 것이나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전진과 후진을 가능하게 하면서, 저속에서의 운행을 원활히 하고, 급출발 및 급감속에도 원활히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사이에는 바퀴(62)가 중앙에 구비되고, 일측에 제2기어(68)를 갖는 축(64)이 연결 구비되며, 제2기어(68)가 제1기어(52)와 연동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부(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축(64)은 지지프레임(40)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브라켓(69)을 사용하여 연결 형성되며, 축(64)의 일측에는 제2기어(68)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일측에는 제1기어(52), 제2기어(68) 및 체인(66)을 감싸는 형태의 커버(13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부가 제1고정홀(12)에 볼트(120) 결합되고, 하부 후방이 제2고정홀(42)에 볼트(120) 결합되며, 내측에 수납을 위한 공간을 갖는 케이스(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70)는 상부와 하부 후방의 양측에 각각 제1고정홀(12) 및 제2고정홀(4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79)이 형성되어 각각 볼트(120)로 차체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40)에 결합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70)는 도 7에서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부에 제1고정홀(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71)이 형성된 평판형의 상부브라켓(73)이 양측에 구비되며, 하부 후방에는 제2고정홀(42)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72)이 형성된 평판형의 하부브라켓(74)이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 볼트(120)로 차체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40)에 결합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70)는 내측에 구비되는 후술되는 동력원(80)이 먼지나 물 등의 오염물질로 부터 오염되어 고장을 일으키지 않게 방진 및 방수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70)는 사용자가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에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시에 화물의 무게 중심에 따라서 차체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되는 케이스(70) 위치를 이동하여 사용자가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를 사용할 시에 적은 힘으로도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70)의 내측에는 모터(50)에 기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80)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동력원(80)은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많이 사용되는 12volt의 배터리가 사용되며, 각각 구비되는 동력원을 직렬연결하여 24volt의 기전력을 모터(50)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며, 동력원(80)과 연결되어 동력원(80)으로부터 공급받은 기전력을 모터(50)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9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는 전후이송레버(22), 브레이크레버(24) 및 속도조절레버(26)와도 연결되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하부 후방 양측에 각각 지면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지지부(1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00)는 원통형의 관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지부(100)를 관통하는 결합공(10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00)에 상부가 각각 결합 고정되며, 하부가 지면을 향하여 구비되는 조절구(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절구(110)는 도 6에서와 같이 상부가 지지부(100)에 내입되고,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14)이 지지부(110)의 결합공(102)에 볼트(120) 결합되어 고정되며, 하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반원형의 하부가 5~10°로 외향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나 농업용 운반차(2)가 사용되는 장소나 환경에 따라 각각의 조절구(110)를 교체 장착하여 반원형의 하부를 5~10°로 내향지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조절구(110)는 반원형의 하부를 대신해 캐스터(112)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캐스터(112)와 바퀴(62)의 최하단은 지면에 수평 안착되며, 안착된 각각의 캐스터(112)와 바퀴(62)의 위치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의 이동시 균형을 이루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구성은 동력원(80)을 내입한 케이스(70)의 상부가 제1고정홀(12)에 볼트(120) 결합되고, 하부 후방이 제2고정홀(42)에 볼트(120) 결합되는 구성이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8 및 도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하부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3고정홀(16)을 갖는 제1암레일(14)이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0)의 하측 외면에는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4고정홀(46)을 외측에 갖는 제2암레일(44)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3고정홀(16)에 대응되는 통공(77)을 갖는 제1수레일(75)이 제1암레일(14)과 볼트(120)로 결합되어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제4고정홀(46)에 대응되는 통공(78)을 갖는 제2수레일(76)이 제2암레일(44)과 볼트(120)로 결합되어 하부 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에는 수납을 위한 공간을 갖는 케이스(70)로 구성되어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는 밭고랑과 같은 좁은 공간이나 경사가 심한 비탈길, 과수원과 같이 나무가 우거진 곳에서도 동력원(80)과 구동부(60)를 구비하여 손쉽게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의 이동 및 방향전환을 할 수 있으며,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에 화물을 적재할 시에 화물의 무게 중심에 따라서 동력원(80)을 내입한 케이스(70)의 위치를 이동하여 사용자가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를 사용할 시에 적은 힘으로도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2)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2 :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10 : 차체프레임
12 : 제1고정홀 14 : 제1암레일
16 : 제3고정홀 20 : 손잡이
22 : 전후이송레버 24 : 브레이크레버
30 : 적재함 40 : 지지프레임
42 : 제2고정홀 44 : 제2암레일
46 : 제4고정홀 50 : 모터
52 : 제1기어 60 : 구동부
62 : 바퀴 64 : 축
66 : 체인 68 : 제2기어
70 : 케이스 73 : 상부브라켓
74 : 하부브라켓 75 : 제1수레일
76 : 제2수레일 90 : 제어부
100 : 지지부 110 : 조절구
112 : 캐스터 120 : 볼트
130 : 커버

Claims (7)

  1. 파이프 및 금속봉을 이용해 “ㄷ”자 형태로 절곡되며, 절곡된 하부 양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홀(12)을 갖는 차체프레임(10);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연장형성되며, 전후이송레버(22) 및 브레이크레버(24)가 구비되는 손잡이(20);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30);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지면을 향하여 각각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연장 형성된 단부가 차체프레임(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외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홀(42)을 갖는 지지프레임(40);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전방 내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52)를 갖는 모터(50);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사이에는 바퀴(62)가 중앙에 구비되고, 일측에 제2기어(68)를 갖는 축(64)이 연결 구비되며, 제2기어(68)가 제1기어(52)와 연동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부(60);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부가 제1고정홀(12)에 볼트(120) 결합되고, 하부 후방이 제2고정홀(42)에 볼트(120) 결합되며, 내측에 수납을 위한 공간을 갖는 케이스(70);
    상기 케이스(70)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기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80);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며, 동력원(80)과 연결되어 동력원(80)으로부터 공급받은 기전력을 모터(50)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90);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하부 후방 양측에 각각 지면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에 상부가 각각 고정되며, 하부가 지면을 향하여 구비되는 조절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70)는 상부에 제1고정홀(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71)이 형성된 평판형의 상부브라켓(73)이 양측에 구비되며, 하부 후방에는 제2고정홀(42)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72)이 형성된 평판형의 하부브라켓(74)이 양측에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10)는 하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반원형의 하부가 5~10°로 외향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10)는 하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반원형의 하부가 5~10°로 내향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10)는 하부에 캐스터(112)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일측에 제1기어(52) 및 제2기어(68)를 감싸는 형태의 커버(1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KR1020120064049A 2012-06-15 2012-06-15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KR101387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049A KR101387989B1 (ko) 2012-06-15 2012-06-15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049A KR101387989B1 (ko) 2012-06-15 2012-06-15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012A KR20130141012A (ko) 2013-12-26
KR101387989B1 true KR101387989B1 (ko) 2014-04-22

Family

ID=4998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049A KR101387989B1 (ko) 2012-06-15 2012-06-15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126B1 (ko) * 2014-01-28 2015-01-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텃밭 작업용 이동식 보조의자
CN109131482A (zh) * 2016-10-28 2019-01-04 王永妍 一种具有减震效果的脆性材料运输车
KR102132875B1 (ko) * 2018-12-11 2020-07-10 주식회사 지이티 물품 운반용 전동카트
CN114524013B (zh) * 2022-02-25 2024-02-02 新疆哈建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工地的渣土搬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62Y1 (ko) 2010-07-29 2010-09-27 정현욱 잎담배용 전동식 운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62Y1 (ko) 2010-07-29 2010-09-27 정현욱 잎담배용 전동식 운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012A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367B1 (ko) 리프트 및 덤프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KR101387989B1 (ko)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KR200435299Y1 (ko) 농업용 다용도 운반차
US20240043073A1 (en) All-terrain utility vehicle and methods thereof
KR200422848Y1 (ko) 농산물 운반용 수레
KR101883704B1 (ko) 독립운전이 가능한 트레일러형 전동운반기
KR200453679Y1 (ko) 덤프적재함이 구비된 4륜구동 운반차
US20240083504A1 (en) Modular, cost-effective, field repairable chassis and mechanical components for heavy duty autonomous robot
KR101377046B1 (ko) 전동 수레
US20070194542A1 (en) Motorized hunting cart
KR101334304B1 (ko) 틸팅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US10779464B1 (en) Self propelled electric broadcast spreader
CN212605220U (zh) 一种农用搬运车的车轮安装装置
CN206749631U (zh) 多用机动小货车
JP3578912B2 (ja) 電動運搬車
JP3090386U (ja) 軌陸両用搬送台車
SI25808A (sl) Samokolnica s pogonom
CN201830628U (zh) 果园动力底盘
KR200182051Y1 (ko) 손수레
CN201432735Y (zh) 不倒翁式独轮手扶拖拉机
JP3246669U (ja) バケット
CN219467470U (zh) 越障车轮组及推车
JP6695485B1 (ja) クローラ式小型運搬車
JP3194915U (ja) 手押し式運搬台車
CN218966932U (zh) 烟田简易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