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738B1 - 레일 운반기 - Google Patents

레일 운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738B1
KR101361738B1 KR1020120016755A KR20120016755A KR101361738B1 KR 101361738 B1 KR101361738 B1 KR 101361738B1 KR 1020120016755 A KR1020120016755 A KR 1020120016755A KR 20120016755 A KR20120016755 A KR 20120016755A KR 101361738 B1 KR101361738 B1 KR 10136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ain body
driving
whee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384A (ko
Inventor
송길동
송호철
Original Assignee
송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길동 filed Critical 송길동
Priority to KR102012001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7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9/00Wheel guards; Bumper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 B61F19/04Bumpers or like collision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8Tool-car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3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레일 운반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바퀴; 및 상기 본체에 대해 공전 및 자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레일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구동부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바퀴에 의해 농어촌 및 과수원 등에서 기구나 물건 및 수확물 등의 무거운 짐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일 운반기{Rail transport}
본 발명은 레일 운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거운 짐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레일 운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농어촌 및 과수원 등에서 기구나 물건 및 수확물 등의 무거운 짐을 나르는데 외발 수레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외발 수레는 사람의 팔 힘에 의존하여 균형을 잡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발 수레는 팔의 힘만으로 기구나 물건 및 수확물 등의 무거운 짐을 운반함과 동시에 외발 수레의 균형까지 잡으면서 이동하여야 하므로 많은 힘이 들고 또한 균형을 잘못 잡으면 수레가 엎어지면서 수레의 짐을 쏟아 버리게 되었다.
이 경우, 무거운 짐을 다시 수레에 담아 이동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등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외발 수레를 이용하여 가다 서기를 반복하며 중량이 무거운 수확물의 수확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하기 문헌 1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수레(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수레 또한 무거운 짐을 실은 상태로 이동할 때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존하고 있어 작업자가 느끼는 피로감은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따라서, 농어촌 및 과수원 등에서 기구나 물건 및 수확물 등의 무거운 짐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개선된 수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66,0472호(1999.10.2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어촌 및 과수원 등에서 기구나 물건 및 수확물 등의 무거운 짐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레일 운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일에서 탈선을 방지하는 레일 운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일 운반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바퀴; 및 상기 본체에 대해 공전 및 자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레일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는 레일 운반기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일렬로 2개가 본체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바퀴는 레일 운반기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일렬로 2개가 상기 구동바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본체의 타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로 구성된 기어박스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은 플렉시블 회전축에 의해 구동바퀴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구동회전체와와, 상기 플렉시블 회전축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구동회전체에 고정설치되는 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바퀴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가이드플레이트 및 회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볼트· 너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외주면 가장자리 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브라켓 및 상기 회전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종동회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균형유지 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 전면과 후면으로 스프링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와 범퍼 사이에는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에 고정설치되어 회전하는 제1종동부와, 상기 제1종동부와 맞물리며 상기 웜기어가 내측에 안착되는 제2종동부 및 상기 구동레버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운반기에 따르면, 구동부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바퀴에 의해 농어촌 및 과수원 등에서 기구나 물건 및 수확물 등의 무거운 짐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국, 무거운 짐을 손쉽게 운반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자전 및 공전하는 레일바퀴에 의해 레일에서의 탈선을 방지한다.
즉, 한 쌍의 레일의 설치시 또는 외력에 의해 한 쌍의 레일의 폭이 일부 변형되더라도 레일바퀴가 자전 및 공전하며 한 쌍의 구동바퀴와 레일바퀴 사이의 폭 또한 한 쌍의 레일의 폭과 일치시킴에 따라 한 쌍의 레일과 한 쌍의 구동바퀴와 레일바퀴는 항상 밀착하여 탈선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바꿔말하면, 레일을 정밀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어 레일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운반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동바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4의 구동바퀴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레일바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레일바퀴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바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운반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동바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6은 도 4의 구동바퀴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레일바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레일바퀴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0은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바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어촌 및 과수원 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운반기(A)는, 농어촌 및 과수원 등에서 기구나 물건 및 수확물 등의 무거운 짐을 수납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00)와,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구동바퀴(300) 및 상기 본체(100)에 대해 공전 및 자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레일바퀴(4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얹혀지며 무거운 짐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12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핸들(130)로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도 1 기준으로 상측)에는 회전축(112)이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12)에는 균형유지 프레임(11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균형유지 프레임(113)의 양단에는 상기 구동바퀴(300)와 레일바퀴(400)가 설치되어 상기 균형유지 프레임(113)은 상기 프레임(110)에 대해 시소동작이 발생하여 구동바퀴(300)와 레일바퀴(400)가 레일에 균일하게 밀착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112)은 균형유지 프레임(113)의 중심을 관통하여 가로지른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에는 배터리 홀더(111)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홀더(111)에는 구동부(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40)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140)는 충전용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배터리(140) 외에도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진행방향 전면과 후면으로 스프링(151)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150)가 설치되어 안전사고 발생시에 피해를 최소화한다.
더욱이, 상기 본체(100)와 범퍼(150) 사이에는 구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152)가 개재되어 있어 본 발명의 레일 운반기(A)의 전진 또는 후진 중에 범퍼(150)와 물체 또는 사람과의 부딪힘이 발생하면 상기 범퍼(150)는 상기 스위치(152)를 눌러주게 되어 상기 구동부(200)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를 도 3과 같이 하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구동바퀴(300)는 레일 운반기(A)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일렬로 2개가 상기 본체(100)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바퀴(400)는 레일 운반기(A)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일렬로 2개가 상기 구동바퀴(300)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본체(100)의 타 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510)와 상기 구동기어(510)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520)로 구성된 기어박스(5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520)의 회전은 플렉시블 회전축(600)에 의해 구동바퀴(300)로 전달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회전축(600)은 공지된 예초기의 엔진 동력을 회전 커터로 전달하도록 사용되는 플렉시블 회전축과 동일하므로 그 구조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상기 구동바퀴(300)는 상기 본체(100)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310)과, 상기 브라켓(310)에 힌지결합되는 구동회전체(320)와, 상기 플렉시블 회전축(600)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브라켓(310)에 설치되는 웜기어(330) 및 상기 웜기어(330)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구동회전체(320)에 고정설치되는 웜휠(3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웜기어(330)는 제1 내지 제3 가이드(331,332,333)에 의해 상기 브라켓(310)에 고정되며, 상기 웜기어(330)의 회전부위에는 베어링(33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회전체(320)와 웜휠(340)은 동일 축 상에 설치되며, 상기 웜휠(340)은 복수 개의 볼트(341)에 의해 상기 구동회전체(32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구동회전체(320)와 웜휠(340)의 회전부위에도 베어링(342)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 기억박스(500), 플렉시블 회전축(600) 및 웜기어(330)를 거친 회전력은 웜휠(340)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회전체(3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바퀴(300)에 의해 농어촌 및 과수원 등에서 기구나 물건 및 수확물 등의 무거운 짐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무거운 짐을 손쉽게 운반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상기 레일바퀴(400)는, 상기 본체(100)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4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420)와, 상기 관통공(미도시)에 삽입되는 볼(430)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20)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4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 가이드플레이트(420) 및 회전플레이트(440)를 고정하는 볼트· 너트(401,402)와, 상기 회전플레이트(440)의 중심에서 외주면 가장자리 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브라켓(450) 및 상기 회전브라켓(450)에 힌지 결합되는 종동회전체(46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동회전체(460)는 베어링(461)을 매개로 회전브라켓(45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440)에 편심되도록 상기 회전브라켓(450)을 매개로 설치된 종동회전체(460)는 공전 및 자전이 이루어진다.
즉, 자전 및 공전하는 레일바퀴(400)에 의해 레일에서의 탈선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레일을 바닥에 설치시 또는 외력에 의해 한 쌍의 레일의 폭이 일부 변형되더라도 레일바퀴(400)가 자전 및 공전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구동바퀴(300)와 레일바퀴(400) 사이의 폭 또한 한 쌍의 레일의 폭과 일치시켜 한 쌍의 레일과 한 쌍의 구동바퀴(300)와 레일바퀴(400)는 항상 밀착하여 탈선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바꿔말하면, 레일을 정밀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어 레일의 설치가 용이하다.
더욱이, 자전 및 공전하는 레일바퀴(400)에 의해 회전각을 갖는 굴곡진 레일도 쉽게 이동할 수 있어 직선형 레일만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구동부(200)의 정·역회전 및 회전정지를 제어하는 조작부(70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가이드(332)는 제3가이드(333)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3가이드(332)는 구동레버(301)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레버(301)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1종동부(302)와, 상기 제1종동부(302)와 맞물리며 내측으로 제2가이드(332)가 안착되는 제2종동부(303)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레버(30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종동부(302)는 제2종동부(303)를 상승시켜 웜기어(330) 또한 상승하여 상기 웜기어(330)와 웜휠(340)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본 발명의 레일 운반기(A)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구동레버(30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종동부(302)는 제2종동부(303)를 하강시켜 웜기어(330) 또한 하강하여 상기 웜기어(330)와 웜휠(340)의 맞물려 본 발명의 레일 운반기(A)는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레버(301)에는 스프링(304)이 설치되어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결국, 본 발명의 레일 운반기의 구동을 수동 또는 자동동작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레일 운반기 100 - 본체
200 - 구동부 300 - 구동바퀴
400 - 레일바퀴 500 - 기어박스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바퀴; 및
    상기 본체에 대해 공전 및 자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레일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운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는 레일 운반기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일렬로 2개가 본체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바퀴는 레일 운반기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일렬로 2개가 상기 구동바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본체의 타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운반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로 구성된 기어박스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은 플렉시블 회전축에 의해 구동바퀴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운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구동회전체와와,
    상기 플렉시블 회전축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구동회전체에 고정설치되는 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운반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바퀴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가이드플레이트 및 회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볼트· 너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외주면 가장자리 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브라켓 및
    상기 회전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종동회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운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균형유지 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균형유지 프레임의 양단에는 구동바퀴와 레일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운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 전면과 후면으로 스프링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운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범퍼 사이에는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운반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에 고정설치되어 회전하는 제1종동부와, 상기 제1종동부와 맞물리며 상기 웜기어가 내측에 안착되는 제2종동부 및 상기 구동레버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운반기.
KR1020120016755A 2012-02-20 2012-02-20 레일 운반기 KR10136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755A KR101361738B1 (ko) 2012-02-20 2012-02-20 레일 운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755A KR101361738B1 (ko) 2012-02-20 2012-02-20 레일 운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384A KR20130095384A (ko) 2013-08-28
KR101361738B1 true KR101361738B1 (ko) 2014-02-13

Family

ID=4921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755A KR101361738B1 (ko) 2012-02-20 2012-02-20 레일 운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525B1 (ko) * 2018-11-12 2019-02-28 최창일 자재 이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736A (ja) 1999-03-06 2000-09-19 Nobumasa Yagi 農作物の運搬車両
KR200422848Y1 (ko) 2006-05-18 2006-07-31 권상현 농산물 운반용 수레
KR20080108170A (ko) * 2007-06-09 2008-12-12 주식회사 케이보배 다용도 농작업기
KR20110005640U (ko) * 2009-12-01 2011-06-09 주식회사 공성 농업용 전동 작업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736A (ja) 1999-03-06 2000-09-19 Nobumasa Yagi 農作物の運搬車両
KR200422848Y1 (ko) 2006-05-18 2006-07-31 권상현 농산물 운반용 수레
KR20080108170A (ko) * 2007-06-09 2008-12-12 주식회사 케이보배 다용도 농작업기
KR20110005640U (ko) * 2009-12-01 2011-06-09 주식회사 공성 농업용 전동 작업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384A (ko)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725B1 (en) Motorized skatedboard
CN105850340A (zh) 电动零转向坐骑式割草机
KR101527485B1 (ko) 접이식 자전거
EP2808235A1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WO2016013365A1 (ja) 自律走行車
US20120012409A1 (en) Power-Assist Hand Truck or Platform Cart
JP2015063237A (ja) 走行車両
CN110546025A (zh) 具有与驱动轮同轴地设置的马达的履带式车辆
JP2022120595A (ja) 電動作業車
EP3560312A3 (en) Lawn mower robot
KR101361738B1 (ko) 레일 운반기
JP6434751B2 (ja) 歩行型運搬用台車
KR101377046B1 (ko) 전동 수레
CN104828187A (zh) 一种自平衡电动独轮摩托车
CN106926952A (zh) 一款集健身与代步于一体的电动自行车
JP7043827B2 (ja) 電動移動体
KR20110005187U (ko) 동력 손수레 제동장치
KR20150001187U (ko) 무한궤도를 구비한 이동 대차
CN104648458B (zh) 一种爬楼车
KR20110007445U (ko) 농작물 수확용 차량
US11413199B2 (en) Electrical assistance device
JP6058417B2 (ja) 自走式台車
KR101709132B1 (ko) 앞바퀴 굴림 안전 자전거
CN214565384U (zh) 一种带连杆传动的推车
US20110297464A1 (en) Self propelled tool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