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485B1 - 접이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접이식 자전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7485B1 KR101527485B1 KR1020100089775A KR20100089775A KR101527485B1 KR 101527485 B1 KR101527485 B1 KR 101527485B1 KR 1020100089775 A KR1020100089775 A KR 1020100089775A KR 20100089775 A KR20100089775 A KR 20100089775A KR 101527485 B1 KR101527485 B1 KR 1015274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inge plate
- hinge
- cam member
- cen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을 수 있고, 접었을 때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접이식 자전거를 개시한다.
이러한 접이식 자전거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앞바퀴와 핸들부가 장착되는 프런트 프레임;과, 페달이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뒷바퀴가 장착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일단으로부터 굽어지게 마련되는 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프런트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접이식 자전거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앞바퀴와 핸들부가 장착되는 프런트 프레임;과, 페달이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뒷바퀴가 장착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일단으로부터 굽어지게 마련되는 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프런트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보관과 운반의 편리를 위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근거리 이동수단의 하나로써, 운동 또는 취미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자전거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는 바퀴, 페달, 손잡이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는 프레임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보관 및 운반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프레임을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자전거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자전거를 접었을 때,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자전거를 접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앞바퀴와 핸들부가 장착되는 프런트 프레임;과, 페달이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뒷바퀴가 장착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일단으로부터 굽어지게 마련되는 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프런트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 프레임은 안장을 장착하기 위한 새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플레이트는 힌지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산형부와, 상기 산형부와 인접하여 형성된 제1골형부를 구비한 제1캠부재와, 일면에 상기 제1산형부에 맞물리는 제2골형부와, 상기 제1골형부에 맞물리는 제2산형부를 구비한 제2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캠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캠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캠부재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레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캠부재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 프레임에 마련된 힌지플레이트의 일면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캠부재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 프레임에 마련된 힌지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캠부재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 프레임에 마련된 힌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축과 결합하기 위한 축결합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 또는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마련된 축결합공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방지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와,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돌기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 프레임에는 상기 페달의 회전 시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뒷바퀴에는 전동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에너지를 축전시키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상기 발전기, 상기 전동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제어유닛(ECU)을 더 포함하고,상기 발전기, 상기 배터리,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ECU)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리어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제1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프레임과 상기 새들 프레임은 제2힌지플레이트를 공유하고, 상기 리어 프레임은 제3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 프레임과 상기 새들 프레임은 상기 제2힌지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플레이트, 상기 제2힌지플레이트, 상기 제3힌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둘 이상은 그 일면에 각각 치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치형부를 통해 서로 맞물려 접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제1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프레임은 제2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새들 프레임은 제3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프레임은 제4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앞바퀴의 회전 중심과 상기 회전축 간의 거리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뒷바퀴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쉽게 자전거를 접을 수 있다.
또한, 자전거를 접었을 때, 부피가 최소화된다.
또한, 자전거를 접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고정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힌지플레이트에 치형부가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고정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고정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힌지플레이트에 치형부가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고정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는 프레임(1)으로 구성되며, 프레임(1)은 프런트 프레임(10)과, 센터 프레임(20)과, 새들 프레임(30)과, 리어 프레임(40)을 포함하며, 프런트 프레임(10)과, 센터 프레임(20)과, 새들 프레임(30)과, 리어 프레임(40)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런트 프레임(10)은 제1힌지플레이트(11), 핸들결합부(12), 그리고 제1힌지플레이트(11)와 핸들결합부(12)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3)를 포함한다.
제1힌지플레이트(11)는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지며, 프런트 프레임(1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굽어지게 마련되며, 굽어지는 각도(α)는 5 도이상 20 도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제1힌지플레이트(11)의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제1보강리브(14)가 마련되며, 제1보강리브(14)의 중심에는 힌지축(50)이 결합할 수 있도록 제1축결합공(15)이 형성된다.
핸들결합부(12)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프런트 프레임(10)의 타단에 마련된다.
핸들결합부(12)는 핸들스테이(130)와 결합되는데, 핸들결합부(12)의 내주면으로는 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있어, 핸들스테이(130)가 핸들결합부(12)의 내주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핸들스테이(130)는 핸들부(120)와 앞바퀴(110)를 프런트 프레임(10)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그 상단은 핸들부(120)와 결합되며 그 하단은 앞바퀴(110)와 결합된다.
핸들스테이(130)의 하단은 앞바퀴(110)를 일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굽어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굽어지는 폭은 앞바퀴(110)의 폭과 같거나 조금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스테이(130)의 하단은 일반적인 자전거에서와 같이 앞바퀴(110)를 양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핸들부(120)는 핸들스테이(13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프레임(140)과, 핸들 프레임(140)에 결합되는 핸들바(150)와, 핸들바(150)에 마련되는 핸들그립(160)을 포함한다.
핸들 프레임(140)은 원형의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단은 핸들스테이(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핸들바(150)와 연결된다.
핸들 프레임(140)은 제1힌지부(170)을 통해 핸들스테이(130)와 연결되므로 제1힌지부(17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힐 수 있다.
핸들바(150)는 원형의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핸들 프레임(140)과 핸들그립(160)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핸들그립(160)은 운행자가 양손으로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핸들그립(160)의 일단에는 브레이크레버(180)가 마련되어, 운행자가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면서 동시에 자전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크레버(180)는 운행자가 핸들그립(160)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손을 폈을 때 손에 걸릴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핸들그립(160)에는 발전기(210)를 통한 답력을 조절하는 동시에 모터(440)의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유닛(미도시)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절유닛(미도시)은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4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터 프레임(20)은 제2힌지플레이트(21), 페달결합부(22), 그리고 제2힌지플레이트(21)와 페달결합부(22)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23)를 포함한다.
제2힌지플레이트(21)는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지며, 센터 프레임(2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굽어지게 마련된다.
제2힌지플레이트(21)의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제2보강리브(24)가 마련되며, 제2보강리브(24)의 중심에는 힌지축(50)이 결합할 수 있도록 제2축결합공(25)이 형성된다.
센터 프레임(20)의 타단에는 페달결합부(22)가 마련되고, 페달결합부(22)의 내부에는 발전기(210)가 마련되며, 이 발전기(210)와 연결되는 회전축(미도시)의 양쪽으로 페달(22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운행자가 페달(220)을 회전시키면 페달(220)의 회전력이 발전기(210)에서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되고, 이러한 발전기(210)의 전기적 에너지는 발전기(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배터리(450)에 축전된다.
새들 프레임(30)은 센터 프레임(20) 및 센터 프레임(20)의 일단에 마련된 제2힌지플레이트(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센터 프레임(20)과 새들 프레임(30)은 2힌지플레이트(21)를 공유하면서 2힌지플레이트(21)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2힌지플레이트(21)는 새들 프레임(30)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2힌지플레이트(21)와 새들 프레임(30)이 이루는 각도(β)는 5 도 이상 2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또한 새들 프레임(30)은 안장결합부(32)와 제2힌지플레이트(21)와 안장결합부(32)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33)를 포함한다.
안장결합부(32)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새들 프레임(30)의 타단에 마련된다.
안장결합부(32)는 그 내주면으로 보조 새들 프레임(310)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보조 새들 프레임(31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새들 프레임(310)은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안장결합부(32)와 연결되고, 타단은 안장(320)과 연결된다.
보조 새들 프레임(310)은 상, 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장결합부(32)와 연결되므로, 보조 새들 프레임(310)을 이동시킴으로써, 안장(3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보조 새들 프레임(310)의 외주면에는 운행자가 안장(320)에 앉을 경우, 운행자의 하중에 의해 보조 새들 프레임(310)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임유닛(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새들 프레임(310)과 안장(320) 사이에는 슬라이딩 유닛(미도시)이 장착되어 있어, 운행자가 자신의 체격에 맞게 안장(320)과 핸들부(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40)은 제3힌지플레이트(41), 뒷바퀴결합부(42), 그리고 제3힌지플레이트(41)와 뒷바퀴결합부(42)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43)를 포함한다.
제3힌지플레이트(41)는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지며, 리어 프레임(4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굽어지게 마련되며, 굽어지는 각도(γ)는 5 도 이상 2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제3힌지플레이트(41)의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제3보강리브(44)가 마련되며, 제3보강리브(44)의 중심에는 힌지축(50)이 결합할 수 있도록 제3축결합공(45)이 형성된다.
뒷바퀴결합부(42)는 뒷바퀴(410)를 일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뒷바퀴결합부(42)는 일반적인 자전거에서와 같이 뒷바퀴(410)를 양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뒷바퀴결합부(42)에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gement System)(미도시)과,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430) 등이 내장될 수 있으며, 제3힌지플레이트(41)와 뒷바퀴결합부(42)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43)에는 발전기(210)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를 축전시키는 메인배터리(450)가 내장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430)은 메인배터리(450), 배터리 관리 시스템(미도시), 모터(44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 관리하고,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예측하고 문제의 배터리를 사전 발견하는 역할을 한다.
한 편, 메인배터리(450)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gement System)(미도시)과,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430)은 뒷바퀴결합부(42) 뿐만 아니라, 제3연결부(43)부에 내장될 수도 있고, 프런트 프레임(10)과, 센터 프레임(20)과, 새들 프레임(30)에도 내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뒷바퀴(410)에는 뒷바퀴(410)를 회전시켜 자전거를 전진시키기 위해 변속구조가 내장된 모터(440)가 장착된다.
모터(440)로는 아우터 로터(Outer rotor) 방식의 구동 방식을 가지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아우터 로터(Outer rotor) 방식이란, 중심축은 고정되고,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외곽에 위치한 로터가 바퀴와 같은 회전체와 연결되어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구성하는 프런트 프레임(10)과, 센터 프레임(20)과, 새들 프레임(30)과, 리어 프레임(4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고정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힌지플레이트에 치형부가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고정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10)과, 센터 프레임(20)과, 새들 프레임(30)과, 리어 프레임(40)은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1힌지플레이트(11)에 마련된 제1축결합공(15)과, 제2힌지플레이트(21)에 마련된 제2축결합공(25)과, 제3힌지플레이트(31)에 마련된 제3축결합공(45)을 통해 힌지축(50)에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힌지축(50)은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를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제1축결합공(15) 내지 제3축결합공(45)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머리부(51), 머리부(51)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 연장부(52), 연장부(52)의 끝단에 형성되는 나사부(53)를 포함한다.
제1축결합공(15), 제2축결합공(25), 및 제3축결합공(45)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51)와, 나사부(53)에 결합되는 조임너트(54)를 통해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를 서로 밀착시키게 된다.
또한 연장부(52)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회전방지돌기(56)가 마련되는데, 후술할 회전방지홈(57)에 삽입되어 힌지축(50)이 제1축결합공(15), 제2축결합공(25), 및 제3축결합공(45) 내부에서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방지돌기(56)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직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힌지축(50)이 제1축결합공(15), 제2축결합공(25), 및 제3축결합공(45) 내부에서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힌지축(50)에 회전방지돌기(56)를 형성하지 않고, 힌지축(50)의 머리부(51)를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힌지플레이트(11, 21, 41)에 다각형 형상의 머리부(51)에 대응하는 수용부(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힌지축(50)이 제1축결합공(15), 제2축결합공(25), 및 제3축결합공(45) 내부에서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축결합공(15), 제2축결합공(25), 제3축결합공(45)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회전방지홈(57)이 마련된다.
회전방지홈(57)은 안쪽으로 회전방지돌기(5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방지돌기(5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축결합공(15) 내지 제3축결합공(45)의 내주면과 연통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방지홈(57)은 회전방지돌기(56)와 결합하여 힌지축(50)이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회전방지돌기(56) 및 회전방지홈(57)이 마련되는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즉, 회전방지돌기(56)가 제1축결합공(15), 제2축결합공(25), 제3축결합공(45)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되고, 회전방지홈(57)이 힌지축(50)에 마련되어도 힌지축(50)이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동일하다.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에는 스토퍼(60)가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60)는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돌기부(61)와 가이드홈(62)으로 구성된다.
돌기부(61)는 제1힌지플레이트(11) 및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홈(62)은 제2힌지플레이트(21)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가이드홈(62)은 다시 돌기부(61)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레일(63)과 돌기부(61)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턱(64) 및 제2걸림턱(65)으로 구성된다.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자전거를 접거나 펼치기 위해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2힌지플레이트(2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를 회동시키게 되면, 돌기부(61)가 가이드홈(62)의 이동레일(63)을 따라 미끄럼 방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레일(63)을 따라 이동하던 돌기부(61)가 이동레일(63)의 일단에 인접한 제1걸림턱(64) 또는 제2걸림턱(65)을 만나게 되면,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되고, 따라서 돌기부(61)와 결합된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2힌지플레이트(2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 때, 돌기부(61)가 제1걸림턱(64)을 만나는 경우, 자전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며, 돌기부(61)가 제2걸림턱(65)을 만나는 경우, 자전거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돌기부(61)와 가이드홈(62)으로 구성된 스토퍼(60)를 마련함으로써, 자전거를 접거나 펼칠 때, 프레임(1) 간의 상대적인 고정 위치를 설정해 놓을 수 있게 되고, 또한, 자전거를 펼친 상태에서 운행할 때, 충격이나 하중 등에 의해 프레임(1)이 고정된 위치에서 벗어나 회전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편의상 돌기부(61)는 제1힌지플레이트(11) 및 제3힌지플레이트(41)에 마련되고, 가이드홈(62)은 제2힌지플레이트(21)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돌기부(61) 및 가이드홈(62)이 마련될 수 있는 위치는 다양하다.
즉, 제1힌지플레이트(11) 및 제3힌지플레이트(41)에 각각 가이드홈(62)을 마련하고, 제2힌지플레이트(21)의 양면에 돌기부(61)를 마련할 수도 있고,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 중 어느 하나에 돌기부(61)를 마련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홈(62)을 마련하며, 제2힌지플레이트(21)에는 이와 대응될 수 있도록 일면에는 가이드홈(62)을 마련하고 타면에는 돌기부(61)를 마련할 수도 있다.
스토퍼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600)는 제1걸림돌기(610)와 제2걸림돌기(620)을 포함한다.
제1걸림돌기(610)는 제1힌지플레이트(11) 및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외주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며, 제2걸림돌기(620)는 제1힌지플레이트(11) 및 제3힌지플레이트(41)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6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제2힌지플레이트(21)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610)는 제2걸림돌기(620)에 걸릴 수 있도록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의 폭 방향, 즉 힌지축(5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2걸림돌기(620)는 제2힌지플레이트(21)의 외주면에 힌지축(5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된 위치에 이격되어 마련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 간의 상대적인 고정 위치를 설정해 놓을 수 있어, 운행자가 손쉽게 자전거를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일면에는 고정유닛(70)이 결합된다.
고정유닛(70)은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를 서로 밀착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써, 제1캠부재(71), 제2캠부재(72), 베어링(73), 접시스프링(74)을 포함한다.
제1캠부재(71)는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일면에 결합, 고정된다.
제1캠부재(71)의 일면에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산형부(711)와 제1산형부(711)와 인접하여 연결된 제1골형부(712)가 형성되고, 제1산형부(711) 및 제1골형부(712)가 형성된 면과 반대의 면에는 고정돌기(713)가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713)는 대략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일면에 마련된 고정홈(715)에 삽입되어, 제1캠부재(71)를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고정돌기(713) 및 고정홈(715)은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즉, 고정돌기(713)가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일면에 마련되고, 고정홈(715)이 제1캠부재(71)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캠부재(71)가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캠부재(71)에 형성되는 제1산형부(711), 제1골형부(712)를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일면에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고정돌기(713) 및 고정홈(715)과 같은 구성은 불필요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제1캠부재(71)의 중심에는 제1캠부재(71)가 힌지축(5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4축결합공(716)이 마련된다.
제2캠부재(72)는 제1캠부재(71)과 면접촉 한 상태에서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구성으로써, 그 일면에는 제1캠부재(71)와 대면할 수 있도록 제1산형부(711)에 맞물리는 제2골형부(722)와 제2골형부(722)와 인접하여 연결된 제2산형부(721)가 형성된다.
또한, 제2캠부재(72)의 중심에는 제2캠부재(72)가 힌지축(5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5축결합공(726)이 마련된다.
제2캠부재(72)의 외측, 즉 제1캠부재(71)와 접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이하 '제2캠부재(72)의 타면'이라 한다.)에는 베어링(73) 및 접시스프링(74)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베어링(73)은 제2캠부재(72)의 타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제2캠부재(72)를 축방향으로 회전지지하여, 제2캠부재(72)가 힌지축(50)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베어링(73)으로는 축방향 지지 기능을 가진 스러스트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시스프링(74)은 베어링(73)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제2캠부재(72)를 축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제2캠부재(72)가 힌지축(50)을 중심으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캠부재(72)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2캠부재(72)를 탄성지지 하는 접시스프링(74)이 압축되어 형성된 유격을 통해 제2캠부재(72)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접시스프링(74) 대신에 접시와셔와 같은 표준 부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시스프링(74)의 외측에는 조임너트(54)가 배치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임너트(54)는 힌지축(50)에 마련된 나사부(53)와 결합되어 고정유닛(70)이 힌지축(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유닛(70)을 구성하는 제1캠부재(71), 제2캠부재(72), 베어링(73), 접시스프링(74)은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외측에 배치되어 힌지축(50)과 순자척으로 축결합된다.
제1캠부재(71)에 구비된 제1산형부(711)와 제2캠부재(72)에 구비된 제2산형부(721)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는 제1캠부재(71)와 제2캠부재(72) 사이의 간격이 최대가 되고, 이 때 제1캠부재(71)는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 방향으로 최대한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 간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결합력이 최대가 되고, 따라서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는 서로 고정되어 회전시킬 수 없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캠부재(72)에 외력을 가하여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2산형부(721)가 제1산형부(711)를 이탈하여 이동하게 된다.
제2캠부재(72)에 외력을 계속 가하게 되면 제1산형부(711)와 제2골형부(722), 제1골형부(712)와 제2산형부(721)가 서로 맞물리게 되고, 제1캠부재(71)와 제2캠부재(72) 사이의 간격이 최소가 되므로, 이 위치에서는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 간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를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를 회전시켜 프레임(1)을 완전히 접거나 펼친 이후에, 다시 제2캠부재(72)를 회전시켜 제1산형부(711)와 제2산형부(721)가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되면, 다시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 간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결합력이 최대가 되어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고정유닛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스프링(74) 및 조임너트(54)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시스프링(74)은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와 조임너트(54) 사이에 개재되어 제1힌지플레이트(11) 또는 제3힌지플레이트(41)를 직접 탄성지지하게 된다.
운행자가 회전축(50)과 결합된 조임너트(54)를 풀게 되면,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 간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를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를 회전시켜 프레임(1)을 완전히 접거나 펼친 이후에, 다시 조임너트(54)를 잠그게 되면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 간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결합력이 강해지면서 자전거가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캠부재(72)의 외주면으로는 레버(90)가 마련된다.
레버(90)는 운행자가 자전거를 접거나 펼치기 위해 제2캠부재(721)를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90)는 손잡이부(91)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91)는 운행자가 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절곡부(9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버(90)를 '∩'형상으로 하여 그 일단은 제2캠부재(72)의 외주면에 결합시키고 그 타단은 힌지축(50)의 머리부(51)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일면에는 치형부(9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치형부(95)는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의 일면으로부터 반복적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는 치형부(95)를 통해 서로 맞물려 접하게 된다.
자전거를 펼친 상태에서 굴곡이 있는 도로를 지나거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점프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는데, 이런 경우 자전거의 프레임(1)에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가 회전축(50), 고정유닛(70), 조임너트(54)에 의해 축방향으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있는 상태라도 위와 같은 충격이 순간적으로 가해지게 되면,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 간의 상대적인 회전(이하 '슬립현상'이라 한다.)이 발생할 수 있다.
치형부(95)는 서로 맞물려 접하므로 제1힌지플레이트(11), 제2힌지플레이트(21), 제3힌지플레이트(41) 간의 상대적인 회전량을 줄이는 일종의 저항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치형부(95)를 구비함으로써 위와 같은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가 펼쳐지고 접히는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앞바퀴(110)와 뒷바퀴(410)는 일직선(D) 상에 배치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앞바퀴(110)와 뒷바퀴(41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자전거를 펼친 상태에서 일직선(D) 상에 배치되는 앞바퀴(110)와 뒷바퀴(410)가 자전거를 접은 상태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은 힌지플레이트(11,21,41)가 프레임(1)의 일단으로부터 굽어지게 마련되고, 또한 힌지플레이트(11,21,41)가 서로 평행하게 맞닿은 상태에서 하나의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이다.
자전거를 접기 위해 제2힌지플레이트(21)를 중심으로 제1힌지플레이트(11) 및 제3힌지플레이트(41)를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프런트 프레임(10)과 제1힌지플레이트(11)가 이루는 굽어진 각 및 리어 프레임(40)과 제3힌지플레이트(41)가 이루는 굽어진 각으로 인해 프런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40)의 단부에는 앞바퀴(110)와 뒷바퀴(410)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110)의 회전축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A)과, 'A'와 평행하면서 힌지축(50)이 제2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만나는 점(K)를 지나는 직선(C) 사이의 거리는 'C'와 뒷바퀴(410)의 회전축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A'와 'C' 사이의 거리와 'A'와 'B' 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자전거를 접은 상태에서 앞바퀴(110)와 뒷바퀴(410)가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센터 프레임(20), 새들 프레임(30), 제2힌지플레이트(21)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제2힌지플레이트(21)는 새들 프레임(3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굽어지게 마련되므로 안장(320)의 중심도 'D'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는 프런트 프레임(10)과, 센터 프레임(20)과, 새들 프레임(30)과, 리어 프레임(40)이 하나의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운행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자전거를 쉽게 접을 수 있고, 자전거를 접었을 때, 부피가 최소화되며, 자전거를 접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경우, 센터 프레임(200)과 새들 프레임(300)이 별개로 구성된다.
프런트 프레임(100)의 일단에는 제1힌지플레이트(111)가 굽어지게 마련되고, 센터 프레임(200)의 일단에는 제2힌지플레이트(211)가 굽어지게 마련되며, 새들 프레임(300)의 일단에는 제3힌지플레이트(311)가 굽어지게 마련되고, 리어 프레임(400)의 일단에는 제4힌지플레이트(411)가 굽어지게 마련된다.
제1힌지플레이트(111), 제2힌지플레이트(211), 제3힌지플레이트(311), 제4힌지플레이트(411)는 힌지축(500)을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0,100 : 프런트 프레임 11,111 : 제1힌지플레이트
20,200 : 센터 프레임 21,211 : 제2힌지플레이트
30,300 : 새들 프레임 40,400 : 리어 프레임
40,400 : 리어 프레임 41,311 : 제3힌지플레이트
50,500 : 힌지축 60,600 : 스토퍼
70 : 고정유닛 90 : 레버
95 : 치형부 110 : 앞바퀴
120 : 핸들부 130 : 핸들스테이
140 : 핸들 프레임 150 : 핸들바
160 : 핸들그립 170 : 제1힌지부
180 : 브레이크레버 210 : 발전기
220 : 페달 310 : 보조 새들 프레임
320 : 안장 410 : 뒷바퀴
410 : 뒷바퀴 411 : 제4힌지플레이트
430 : 전자제어유닛(ECU) 440 : 모터
450 : 메인배터리
20,200 : 센터 프레임 21,211 : 제2힌지플레이트
30,300 : 새들 프레임 40,400 : 리어 프레임
40,400 : 리어 프레임 41,311 : 제3힌지플레이트
50,500 : 힌지축 60,600 : 스토퍼
70 : 고정유닛 90 : 레버
95 : 치형부 110 : 앞바퀴
120 : 핸들부 130 : 핸들스테이
140 : 핸들 프레임 150 : 핸들바
160 : 핸들그립 170 : 제1힌지부
180 : 브레이크레버 210 : 발전기
220 : 페달 310 : 보조 새들 프레임
320 : 안장 410 : 뒷바퀴
410 : 뒷바퀴 411 : 제4힌지플레이트
430 : 전자제어유닛(ECU) 440 : 모터
450 : 메인배터리
Claims (22)
-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앞바퀴와 핸들부가 장착되는 프런트 프레임;과, 페달이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뒷바퀴가 장착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일단으로부터 굽어지게 마련되는 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런트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산형부와, 상기 산형부와 인접하여 형성된 제1골형부를 구비한 제1캠부재와, 일면에 상기 제1산형부에 맞물리는 제2골형부와, 상기 제1골형부에 맞물리는 제2산형부를 구비한 제2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은 안장을 장착하기 위한 새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플레이트는 힌지축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삭제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캠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캠부재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재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 프레임에 마련된 힌지플레이트의 일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재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 프레임에 마련된 힌지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재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 프레임에 마련된 힌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축과 결합하기 위한 축결합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또는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마련된 축결합공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방지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플레이트는 프런트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힌지플레이트와, 상기 센터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2힌지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3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3힌지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와, 상기 제2힌지플레이트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돌기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에는 상기 페달의 회전 시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에는 전동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에너지를 축전시키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상기 발전기, 상기 전동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제어유닛(ECU)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상기 배터리,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ECU)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리어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제1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프레임과 상기 새들 프레임은 제2힌지플레이트를 공유하고, 상기 리어 프레임은 제3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과 상기 새들 프레임은 상기 제2힌지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앞바퀴와 핸들부가 장착되는 프런트 프레임;과, 페달이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뒷바퀴가 장착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그 일단으로부터 굽어지게 마련되는 제1힌지플레이트를, 상기 센터 프레임은 그 일단으로부터 굽어지게 마련되는 제2힌지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프레임은 그 일단으로부터 굽어지게 마련되는 제3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런트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제1,2,3힌지플레이트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2,3힌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둘 이상은 그 일면에 각각 치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치형부를 통해 서로 맞물려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1항에 있어서,
안장을 장착하기 위한 새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제1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프레임은 제2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새들 프레임은 제3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프레임은 제4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의 회전 중심과 상기 힌지축 간의 거리와, 상기 힌지축과 상기 뒷바퀴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9775A KR101527485B1 (ko) | 2010-09-14 | 2010-09-14 | 접이식 자전거 |
EP10841191.9A EP2519436B1 (en) | 2009-12-29 | 2010-12-23 | Folding type bicycle |
CN201080062643.9A CN102725194B (zh) | 2009-12-29 | 2010-12-23 | 折叠式自行车 |
PCT/KR2010/009277 WO2011081359A2 (en) | 2009-12-29 | 2010-12-23 | Folding type bicycle |
US13/520,129 US8801022B2 (en) | 2009-12-29 | 2010-12-23 | Folding type bicy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9775A KR101527485B1 (ko) | 2010-09-14 | 2010-09-14 | 접이식 자전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7917A KR20120027917A (ko) | 2012-03-22 |
KR101527485B1 true KR101527485B1 (ko) | 2015-06-09 |
Family
ID=4613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9775A KR101527485B1 (ko) | 2009-12-29 | 2010-09-14 | 접이식 자전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748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6044A (ko) * | 2017-11-16 | 2019-05-24 | 주식회사 만도 | 접이식 자전거 |
WO2023084546A1 (en) * | 2021-11-15 | 2023-05-19 | Asgeir Matthiasson | Adjustable bik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8024A (ko) | 2012-09-19 | 2014-03-28 | 주식회사 만도 | 전기 자전거 |
KR101473185B1 (ko) | 2012-09-19 | 2014-12-16 | 주식회사 만도 | 접이식 자전거 |
KR101469227B1 (ko) * | 2013-05-27 | 2014-12-12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
KR101579230B1 (ko) * | 2013-10-08 | 2015-12-2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바퀴 정렬형 접이식 자전거 |
WO2015053481A1 (ko) * | 2013-10-08 | 2015-04-16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바퀴 평행 정렬형 접이식 자전거 |
US9381973B2 (en) | 2014-07-17 | 2016-07-0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odular bicycle |
KR101894730B1 (ko) * | 2016-11-28 | 2018-09-04 | 주식회사 원진테크 | 자전거의 접이장치 |
CN111038636B (zh) * | 2018-10-15 | 2020-12-18 | 程宝贤 | 自行车收折结构及自行车收折方法 |
EP3854667A1 (en) * | 2020-01-23 | 2021-07-28 | Linkable S.r.l. | A foldable scoot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69396U (ko) * | 1987-04-24 | 1988-11-04 | ||
JP2003320984A (ja) * | 2002-05-02 | 2003-11-11 | Kiichi Kato | 折り畳み自転車 |
CN1712304A (zh) * | 2004-06-15 | 2005-12-28 | 于士真 | 一种超微型携带式多功能特种结构自行车 |
JP3833894B2 (ja) * | 1997-07-21 | 2006-10-18 | アクセル グループ エヌ. ファウ. | 折り畳み式自転車 |
-
2010
- 2010-09-14 KR KR1020100089775A patent/KR1015274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69396U (ko) * | 1987-04-24 | 1988-11-04 | ||
JP3833894B2 (ja) * | 1997-07-21 | 2006-10-18 | アクセル グループ エヌ. ファウ. | 折り畳み式自転車 |
JP2003320984A (ja) * | 2002-05-02 | 2003-11-11 | Kiichi Kato | 折り畳み自転車 |
CN1712304A (zh) * | 2004-06-15 | 2005-12-28 | 于士真 | 一种超微型携带式多功能特种结构自行车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6044A (ko) * | 2017-11-16 | 2019-05-24 | 주식회사 만도 | 접이식 자전거 |
KR102437885B1 (ko) | 2017-11-16 | 2022-09-01 | 주식회사 만도 | 접이식 자전거 |
WO2023084546A1 (en) * | 2021-11-15 | 2023-05-19 | Asgeir Matthiasson | Adjustable bik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7917A (ko) | 2012-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7485B1 (ko) | 접이식 자전거 | |
EP2519436B1 (en) | Folding type bicycle | |
KR101473185B1 (ko) | 접이식 자전거 | |
EP2842858B1 (en) | A foldable electric bicy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73181B1 (ko) | 접이식 자전거 | |
US8528928B1 (en) | Folding type bicycle | |
JP6880210B2 (ja) | 車両のバッテリ収納装置 | |
US20220041243A1 (en) | Scooter | |
WO2019064596A1 (ja) | 車両のバッテリ収納装置 | |
JP2014141166A (ja) | 自転車用電源装置および自転車 | |
KR101286225B1 (ko) |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 |
KR101638796B1 (ko) | 접이식 자전거 | |
JP2005138825A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 |
KR101537923B1 (ko) | 접이식 자전거 | |
KR101429443B1 (ko) | 전동자전거 | |
KR20120027916A (ko) | 전동자전거 | |
KR101473182B1 (ko) | 접이식 자전거 | |
KR102437885B1 (ko) | 접이식 자전거 | |
JP2007076577A (ja) | ステアリング操作入力装置 | |
JP2004182215A (ja) | 折畳み自転車 | |
CN219008035U (zh) | 旋钮式折叠把横总成及代步车 | |
KR20170098549A (ko) | 전기 자전거의 스탠드 | |
CN216887070U (zh) | 折叠锁组件和代步车 | |
KR102279636B1 (ko) | 크랭크 암의 길이 연장 기능을 하는 페달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장치 | |
KR101183061B1 (ko) | 전동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