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645B1 - 이랑 이동용 대차 - Google Patents

이랑 이동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645B1
KR101108645B1 KR1020090069799A KR20090069799A KR101108645B1 KR 101108645 B1 KR101108645 B1 KR 101108645B1 KR 1020090069799 A KR1020090069799 A KR 1020090069799A KR 20090069799 A KR20090069799 A KR 20090069799A KR 101108645 B1 KR101108645 B1 KR 10110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steering
width
fram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195A (ko
Inventor
이시화
Original Assignee
하나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로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6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랑 이동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이나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좌우 하측에 두 개 이상의 바퀴가 각각 구비되어 이랑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수납부의 좌우측에 구비된 상기 이동부 각각의 바퀴들을 상기 수납부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폭조절수단, 및 상기 수납부와 이동부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바퀴 중 가장 전방에 구비된 각 바퀴를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시켜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량의 농산물과 도구 등을 수납하여 이랑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되, 폭조절수단에 의해 각 이동부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이랑의 폭에 관계없이 농산물과 도구 등을 이동시킬 수 있고, 조향수단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량의 수납과 이동성을 갖게 되어 작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랑, 이동, 운반, 대차, 폭조절, 조향

Description

이랑 이동용 대차{Carrier for moving the ridge and furrow}
본 발명은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과 도구 등을 수납할 수 있고, 이랑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수납부와 이동부를 구비하며, 이 이동부의 폭을 조절하고 조향을 할 수 있는 폭조절수단과 조향수단을 구비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이랑에도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랑 이동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이나 밭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곳으로, 특히 밭은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어 사람들에게 음식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러한 밭은 농작물이 재배되는 두둑과 이 두둑의 사이 배수 및 사람의 이동을 위한 고랑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둑과 고랑을 이랑이라 칭하고 있다.
이랑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되며, 이랑의 두둑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농작물의 씨를 뿌리거나 모종을 심어 재배하게 된다.
이때, 농민들은 직접 씨나 모종을 들고 이동하면서 씨를 뿌리거나 모종을 심게 되는데, 이 과정은 땡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힘들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밭이랑에는 비닐피복을 덮게 되는데, 이 비닐피복은 파종을 위한 밭 두둑의 습기보존 및 잡초의 자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두둑의 상부에 비닐을 피복하게 된다.
이러한 파종과 비닐피복 작업은 밭이 넓을 경우, 그 량이 많아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어 복합적인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동력에 의해 동작되는 농기구를 사용하고 있으나 농기구의 가격이 비싸고, 또 빌려서 사용하더라도 운용을 위한 별도의 비용이 발생됨에 따라 순수 노동에 의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랑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아 농구기를 사용하더라도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어 호환성과 비용절감을 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이랑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와 농산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구비하여 다량의 농산물과 도구를 수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이랑에 따라 그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조향수단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부를 조향할 수 있어 다량의 수납과 이동성을 갖게 되어 작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랑 이동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농작물이나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좌우 하측에 두 개 이상의 바퀴가 각각 구비되어 이랑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수납부의 좌우측에 구비된 상기 이동부 각각의 바퀴들을 상기 수납부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폭조절수단, 및 상기 수납부와 이동부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바퀴 중 가장 전방에 구비된 각 바퀴를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시켜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보조수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수 납부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부와의 간격을 조절함은 물론, 탈부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수납부의 저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내부가 통공되고, 상기 수납부의 전단 및 후단에 각 두 개 이상 구비된 제1높이조절관, 상기 제1높이조절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보조수납부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된 제2높이조절관, 상기 상호 대응되는 제1높이조절관과 제2높이조절관에 양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높이조절봉, 및 상기 제1높이조절관과 제2높이조절관에 구비되어 삽입된 상기 높이조절봉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봉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봉을 제1높이조절관과 제2높이조절관에 삽입하여 그 삽입길이를 결정한 후, 상기 봉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보조수납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높이조절봉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이동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보조수납부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시킨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납부의 양측에 각각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는,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하단부에 바퀴가 설치된 수직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가능하고, 하단부에 바퀴가 설치되는 회전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에는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 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내부가 통공된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삽입된 제2회전축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축고정부재, 상기 이동부의 각 바퀴에 구비되는 피동부재, 상기 피동부재와 제2회전축을 연결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제1회전축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부재에 전달하여 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폭조절수단은, 내부가 통공되며 상기 수납부의 하면에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폭조절관, 내부가 통공되며 상기 제1폭조절관의 전후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폭조절관, 상기 제1폭조절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의 좌우 하측에 구비된 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폭조절봉, 상기 제2폭조절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폭조절봉, 및 상기 제1폭조절관과 제2폭조절관에 구비되어 삽입된 상기 제1폭조절봉과 제2폭조절봉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다수의 폭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폭조절봉과 제2폭조절봉의 삽입깊이를 조절한 후, 상기 폭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1폭조절관과 제2폭조절관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각 이동부의 폭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제1폭조절봉과 제2폭조절봉이 상기 제1폭조절관과 제2폭조절관의 내부를 따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이동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각 이동부의 폭을 자동으로 조절된다.
또한,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수납부의 전면부에 하측으로 구비되되, 중앙부가 통공되고, 하단부 중앙에 고정홈이 형성된 조향베이스프레임, 상기 조향베이스프레임의 후측에 구비되며, 내부가 통공된 조향조절프레임, 상기 조향조절프레임의 내부 통공을 따라 이동되도록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고, 삽입되지 않은 각 단부는 상기 각 이동부의 가장 전방에 위치된 바퀴와 연결되는 조향연결프레임, 상기 조향조절프레임의 전방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향베이스프레임의 통공된 중앙부를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향손잡이, 상기 조향손잡이와 조향조절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조향베이스프레임의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이동부가 전후방향으로 조향되는 조향고정부재, 상기 각 이동부의 폭에 따라 상기 조향연결프레임이 조향조절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호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재, 및 상기 이동부에 연결된 조향연결프레임을 일정 힘이 상측으로 가해질 경우, 수평을 기준으로 상기 조향연결프레임이 상측으로 일정각도 이동되고,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탄성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조향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손잡이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향연결부재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되어 조향고정부재가 상기 조향베이스프레임의 고정홈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조향할 수 있고, 상기 조향손잡이를 놓으면, 상기 조향연결부재의 탄성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조향고정부재가 상기 조향베이스프레임의 고정홈에 끼워져 상기 이동부가 전후방향으로 조향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단속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이랑 이동용 대차의 이동을 단속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랑 이동용 대차에 의하면, 다량의 농산물과 도구 등을 수납하여 이랑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되, 폭조절수단에 의해 각 이동부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이랑의 폭에 관계없이 농산물과 도구 등을 이동시킬 수 있고, 조향수단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량의 수납과 이동성을 갖게 되어 작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에 더 구비된 보조수납부 및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이동부에 구동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폭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조향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조향수단 작동상태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조향수단 작동상태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에 브레이크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랑 이동용 대차(10)는 수납부(100)와 이동부(200), 폭조절수단(300) 및 조향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수납부(100)는 농작물이나 도구 등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동부(200)는 수납부(100)의 하측에 구비되되, 수납부(100)의 좌우 하측에 두 개 이상의 바퀴(215, 217, 225, 227)가 각각 구비된다.
다시 말해, 이동부(200)는 수납부(100)의 좌우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이랑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두둑을 사이에 두고 고랑과 접하며 이동된다.
그리고 폭조절수단(300)은 수납부(100)의 좌우측에 구비된 각 이동부(2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각 이동부(200) 각각의 바퀴들을 수납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후,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이랑의 폭에 따라 이동부(20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함으로, 호환성과 이동성을 향상시켜준다.
조향수단(400)은 수납부(100)와 이동부(200)의 전단에 구비되어 이동부(200)의 바퀴(215, 217, 225, 227) 중 가장 전방에 구비된 각 바퀴(217, 227)를 상하방 향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동부(200)의 이동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즉, 이랑 이동용 대차(10)의 조향을 담당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조향이 이루어진다.
이때, 수납부(100)에는 보조수납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보조수납부(500)는 수납부(100)의 상측에 구비되고, 이 보조수납부(5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600)이 구비된다.
높이조절수단(600)은 보조수납부(500)를 수납부(100)의 상측에서 높이조절은 물론, 탈부착시키는 것으로, 수납되는 농작물 및 도구나 사용자의 키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되어 편리함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100)와 보조수납부(500)의 전단 및 후단에는 각각의 손잡이(110, 510)가 형성되어 이랑 이동용 대차(10)의 이용에 편리함을 더 부여하였으며, 분리된 보조수납부(5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농작물이나 도구가 수납되는 보조수납부(500)의 저면에는 다수의 통공(520)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수납부(100)의 저면에도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수단(600)을 살펴보면, 제1높이조절관(610)과 제2높이조절관(620), 높이조절봉(630), 봉고정부재(640)로 구성된다.
제1높이조절관(610)은 내부가 통공되고, 수납부(100)의 전단 및 후단에 각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제2높이조절관(620)은 제1높이조절관(610)에 대응되도록 보 조수납부(500)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된다.
높이조절봉(630)은 상호 대응되는 제1높이조절관(610)과 제2높이조절관(620)에 양단이 삽입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4개 이상 구비된다.
그리고 봉고정부재(630)는 제1높이조절관(610)과 제2높이조절관(620)에 구비되어 삽입된 높이조절봉(63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1높이조절관(610)과 제2높이조절관(620)을 반지름방향으로 관통하되, 삽입된 높이조절봉(630)을 반지름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6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높이조절봉(630)을 제1높이조절관(610)과 제2높이조절관(620)에 삽입하여 그 삽입길이를 결정한 후, 봉고정부재(640)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킴에 따라 보조수납부(5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600)에는 높이이동부(650)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높이이동부(650)는 다수의 높이조절봉(63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보조수납부(500)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시킬 수 있다.
이는, 보조수납부(500)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불필요한 힘을 사용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편리함을 부가할 수 있다.
이 높이이동부(650)는 적어도 4개 이상 구비되는 높이조절봉(630)을 동시에 이동시킴이 당연하며, 4개 이상 구비되는 높이조절봉(630)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기타 장치들을 더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부(2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10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로 구성된다.
이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는 각각 베이스프레임(212, 222)과 수직프레임(214, 224), 회전프레임(216, 226) 및 다수의 바퀴(215, 217, 225, 227)로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212, 222)은 이동부(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수직프레임(214, 224)은 베이스프레임(212, 222)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하단부에 바퀴(215, 225)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랑 이동용 대차(10)의 후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프레임(216, 226)은 베이스프레임(212, 222)의 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가능하고, 하단부에 바퀴(217, 227)가 설치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어 이동부(200)의 이동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부(200)에는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3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구동부(23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구동부(230)는 구동모터(232)와 제1회전축(233), 제2회전축(234), 축고정부재(235), 피동부재(236) 및 전달부재(238)로 구성된다.
구동모터(232)는 수납부(100)에 구비되고, 제1회전축(233)은 구동모터(232)에 의해 회전되며, 내부가 통공된다.
그리고 제2회전축(234)은 제1회전축(233)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축고정부재(235)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타단이 이동부(200)와 연결되되, 회전 및 길이방 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2회전축(234)의 삽입길이는 폭조절수단(300)에 의해 조절되는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의 사이 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피동부재(236)는 이동부(200)의 각 바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이동부(210)의 바퀴(215, 217)와 제2이동부(220)의 바퀴(225, 227)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다.
일 실시 예로, 제1이동부(210)의 바퀴(215)와 제2이동부(220)의 바퀴(225)에 피동부재(236)가 각각 구비되어 제1이동부(210)의 바퀴(215)와 제2이동부(220)의 바퀴(225)와 동일하게 회전된다.
또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가능한 회전프레임(216, 226)에 설치된 바퀴(217, 227)의 경우, 피동부재(236)가 구비되되, 유니버셜조인트(미 도시) 등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달부재(238)는 피동부재(236)와 제2회전축(234)을 연결하여 구동모터(232)에 의해 제1회전축(233)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제2회전축(234)의 회전력을 피동부재(236)에 전달하여 바퀴(215, 217, 225, 227)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전달부재(238)는 체인이나 벨트 등으로 형성되며, 체인으로 형성될 경우, 피동부재(236)는 스프라켓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도록 제2회전축(234)에도 스프라켓 등의 구동전달부재(미 도시)가 구비됨이 당연하다.
폭조절수단(30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100)의 하측과 각 이동부(2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랑의 폭에 따라 각 이동부(200)의 간격을 조절 하게 된다.
이러한 폭조절수단(300)은 제1폭조절관(310)과 제2폭조절관(320), 제1폭조절봉(330), 제2폭조절봉(340) 및 폭고정부재(350)로 구성된다.
제1폭조절관(310)은 내부가 통공되며 수납부(100)하면에 폭방향으로 구비되고, 제2폭조절관(320)은 내부가 통공되며 제1폭조절관(310)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2폭조절관(320)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폭조절봉(330)은 제1폭조절관(310)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수납부(100)의 좌우 하측에 구비된 이동부(2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것으로, 선택된 제1이동부(210)를 수납부(100)에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제2폭조절봉(340)은 제2폭조절관(320)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이동부(200)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것으로, 선택된 다른 하나의 제2이동부(220)를 수납부(100)에 연결시키게 된다.
폭고정부재(350)는 제1폭조절관(310)과 제2폭조절관(320)에 구비되어 삽입된 제1폭조절봉(330)과 제2폭조절봉(34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다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제1폭조절봉(330)과 제2폭조절봉(340)을 제1폭조절관(310)과 제2폭조절관(320)에 고정시킴에 따라 사이 간격(폭)이 조절된 이동부(200)를 수납부(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폭조절수단(300)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동부(2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이동부(210)의 수직프레임(214)과 제2이동부(220)의 수직프레임(224)에 하나의 폭조절수단(300)이 구비되고, 제1이동부(210)의 회전프레임(216)과 제2이동부(220)의 회전프레임(226)에 다른 하나의 폭조절수단(300)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는, 이동부(200)와 수납부(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활과 폭이 조절된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 사이에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폭조절수단(300)에는 폭이동부(360)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제1폭조절봉(330)과 제2폭조절봉(340)이 제1폭조절관(310)과 제2폭조절관(320)의 내부를 따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폭이동부(360)는 제1폭조절봉(330)과 제2폭조절봉(340)을 자동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폭이동부(360)는 제1폭조절봉(330)과 제2폭조절봉(340)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킴이 당연하며, 하나 이상 구비되는 폭조절수단(300)을 동시에 동작시킴이 바람직하다.
조향수단(400)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랑 이동용 대차(10)를 조향할 수 있는 것으로, 조향베이스프레임(410)과 조향조절프레임(420), 조향연결프레임(430), 조향손잡이(440), 조향고정부재(450), 프레임고정부재(460) 및 조향연결부재(470)로 구성된다.
조향베이스프레임(410)은 수납부(100)의 전면부에 하측으로 구비되되, 중앙부가 통공되고, 하단부 중앙에 고정홈(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향조절프레임(420)은 조향베이스프레임(410)의 후측에 구비되며, 내부가 통공되고, 조향연결프레임(430)은 조향조절프레임(420)의 내부 통공을 따라 이동되도록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고, 삽입되지 않은 각 단부는 각 이동부(200)의 가장 전방에 위치된 바퀴와 연결된다.
다시 말해, 조향연결프레임(430)은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의 각 회전프레임(216, 226)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조향연결프레임(430)을 당기거나 밀었을 경우, 그 힘에 의해 회전프레임(216, 226)을 회전시키기 위함으로, 이랑 이동용 대차(10)의 조향을 하기 위함이다.
조향조절프레임(420)의 양단 내부에 삽입된 각 조향연결프레임(430)은 프레임고정부재(460)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으로, 각 이동부(200)의 폭에 따라 조향연결프레임(430)의 삽입깊이를 결정한 다음, 프레임고정부재(460)로 각각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조향손잡이(440)는 조향조절프레임(420)의 전방으로 구비되어 조향베이스프레임(410)의 통공된 중앙부를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용 대차(10)를 조향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조향손잡이(440)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는 조향을 위해 조향손잡이(440)를 이동시켰을 경우, 회전되면서 조향베이스프레임(41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조향고정부재(450)는 조향손잡이(440)와 조향조절프레임(420) 사이에 구비되며, 조향베이스프레임(410)의 고정홈(412)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이동부(2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조향고정부재(450)를 조향베이스프레임(410)의 고정홈(412)에서 분리시킬 경우, 조향손잡이(440)를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향연결부재(470)는 조향연결프레임(430)과 이동부(200)를 연결시키되,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되, 탄성에 의해 회전된 조향연결프레임(430)을 수평상태로 원위치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조향연결부재(470)는 조향수단(400)을 작업자가 일정 힘을 가하여 상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이며, 작업자가 조향수단(400)을 놓았을 경우, 탄성에 의해 조향수단(400)이 원위치된다.
이러한 조향수단(400)의 작동은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손잡이(44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상호 고정된 조향조절프레임(420)과 조향연결프레임(430)이 조향연결부재(470)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된다.
이는, 조향고정부재(450)를 조향베이스프레임(410)의 고정홈(412)에서 상측으로 이탈시키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 조향손잡이(440)를 좌우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용 대차(10)를 조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용 대차(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조향손잡이(440)를 놓으면, 조향연결부재(470)의 탄성에 의해 상호 고정된 조향조절프레임(420)과 조향연결프레임(430) 및 조향손잡이(440)가 수평상태로 원위치 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조향손잡이(44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조향고정부재(450)가 조향베이스프레임(410)의 고정홈(412)에 끼워지도록 하여 새로운 이랑을 따라 이동용 대차(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용 대차(10)에는 브레이크부(70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용 대차(10)의 이동부(200)를 단속하기 위해 구비되어 평지가 아닌 이랑에서 세워서 작업할 경우, 움직임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레이크부(700)는 각 이동부(200)의 모든 바퀴(215, 217, 225, 227)에 각각 구비되되, 각 이동부(200)의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 브레이크부(700)를 각각 동시에 작동시킴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1이동부(210)의 수직프레임(214)과 제2이동부(220)의 수직프레임(224)에 구비된 브레이크부(700)를 동시에 작동시키고, 제1이동부(210)의 회전프레임(216)과 제2이동부(220)의 회전프레임(226)에 구비된 브레이크부(700)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된다.
이는, 경우에 따라 조향수단(400)을 이용하여 제1이동부(210)의 회전프레임(216)과 제2이동부(220)의 회전프레임(226)만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동시에 작동되는 브레이크부(700)는 별도의 레버나 버튼 등의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작동됨이 당연하며, 구동부(230)와 높이이동부(650) 및 폭이동부(360) 역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에 더 구비된 보조수납부 및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이동부에 구동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폭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조향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조향수단 작동상태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의 조향수단 작동상태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랑 이동용 대차에 브레이크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용 대차 100 : 수납부
200 : 이동부 210 : 제1이동부
220 : 제2이동부 212, 222 : 베이스프레임
214, 224 : 수직프레임 216, 226 : 회전프레임
215, 217, 225, 227 : 바퀴 230 : 구동부
300 : 폭조절수단 310 : 제1폭조절관
320 : 제2폭조절관 330 : 제1폭조절봉
340 : 제2폭조절봉 350 : 폭고정부재
360 : 폭구동모터 400 : 조향수단
410 : 조향베이스프레임 420 : 조향조절프레임
430 : 조향연결프레임 440 : 조향손잡이
450 : 조향고정부재 460 : 프레임고정부재
470 : 조향연결부재 500 : 보조수납부
600 : 높이조절수단 610 : 제1높이조절관
620 : 제2높이조절관 630 : 높이조절봉
640 : 봉고정부재 650 : 높이구동모터
700 : 브레이크부

Claims (11)

  1. 농작물이나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좌우 하측에 두 개 이상의 바퀴가 각각 구비되어 이랑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수납부의 좌우측에 구비된 상기 이동부 각각의 바퀴들을 상기 수납부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폭조절수단; 및
    상기 수납부와 이동부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바퀴 중 가장 전방에 구비된 각 바퀴를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시켜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수납부의 전면부에 하측으로 구비되되, 중앙부가 통공되고, 하단부 중앙에 고정홈이 형성된 조향베이스프레임;
    상기 조향베이스프레임의 후측에 구비되며, 내부가 통공된 조향조절프레임;
    상기 조향조절프레임의 내부 통공을 따라 이동되도록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고, 삽입되지 않은 각 단부는 상기 각 이동부의 가장 전방에 위치된 바퀴와 연결되는 조향연결프레임;
    상기 조향조절프레임의 전방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향베이스프레임의 통공된 중앙부를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향손잡이;
    상기 조향손잡이와 조향조절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조향베이스프레임의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이동부가 전후방향으로 조향되는 조향고정부재;
    상기 각 이동부의 폭에 따라 상기 조향연결프레임이 조향조절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호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재; 및
    상기 이동부에 연결된 조향연결프레임을 일정 힘이 상측으로 가해질 경우, 수평을 기준으로 상기 조향연결프레임이 상측으로 일정각도 이동되고,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탄성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조향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손잡이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향연결부재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되어 조향고정부재가 상기 조향베이스프레임의 고정홈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조향할 수 있고,
    상기 조향손잡이를 놓으면, 상기 조향연결부재의 탄성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조향고정부재가 상기 조향베이스프레임의 고정홈에 끼워져 상기 이동부가 전후방향으로 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 이동용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보조수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수납부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부와의 간격을 조절함은 물론,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 이동용 대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부의 저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랑 이동용 대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내부가 통공되고, 상기 수납부의 전단 및 후단에 각 두 개 이상 구비된 제1높이조절관;
    상기 제1높이조절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보조수납부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된 제2높이조절관;
    상기 상호 대응되는 제1높이조절관과 제2높이조절관에 양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높이조절봉; 및
    상기 제1높이조절관과 제2높이조절관에 구비되어 삽입된 상기 높이조절봉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봉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봉을 제1높이조절관과 제2높이조절관에 삽입하여 그 삽입길이를 결정한 후, 상기 봉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보조수납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 이동용 대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높이조절봉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이동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보조수납부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 이동 용 대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납부의 양측에 각각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는,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하단부에 바퀴가 설치된 수직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가능하고, 하단부에 바퀴가 설치되는 회전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랑 이동용 대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내부가 통공된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 하도록 연결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삽입된 제2회전축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축고정부재;
    상기 이동부의 각 바퀴에 구비되는 피동부재;
    상기 피동부재와 제2회전축을 연결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제1회전축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부재에 전달하여 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랑 이동용 대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수단은,
    내부가 통공되며 상기 수납부의 하면에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폭조절관;
    내부가 통공되며 상기 제1폭조절관의 전후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폭조절관;
    상기 제1폭조절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의 좌우 하측에 구비된 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폭조절봉;
    상기 제2폭조절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폭조절봉; 및
    상기 제1폭조절관과 제2폭조절관에 구비되어 삽입된 상기 제1폭조절봉과 제2폭조절봉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다수의 폭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폭조절봉과 제2폭조절봉의 삽입깊이를 조절한 후, 상기 폭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1폭조절관과 제2폭조절관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각 이동부의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 이동용 대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폭조절봉과 제2폭조절봉이 상기 제1폭조절관과 제2폭조절관의 내부를 따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이동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각 이동부의 폭을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 이동용 대차.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단속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이랑 이동용 대차의 이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 이동용 대차.
KR1020090069799A 2009-07-30 2009-07-30 이랑 이동용 대차 KR10110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799A KR101108645B1 (ko) 2009-07-30 2009-07-30 이랑 이동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799A KR101108645B1 (ko) 2009-07-30 2009-07-30 이랑 이동용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195A KR20110012195A (ko) 2011-02-09
KR101108645B1 true KR101108645B1 (ko) 2012-01-31

Family

ID=4377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799A KR101108645B1 (ko) 2009-07-30 2009-07-30 이랑 이동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82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로보팜코리아 농업용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48B1 (ko) * 2013-03-05 2014-08-04 대한민국 농산물 수확대차
KR102140577B1 (ko) * 2019-11-14 2020-08-03 노진섭 스마트 수레
KR102254005B1 (ko) * 2019-11-22 2021-05-21 황상진 재배지용 농산물 운반 대차
KR102712875B1 (ko) * 2021-11-19 2024-10-07 주식회사 앨비 농업용 4륜차의 윤거가변장치
KR102541616B1 (ko) * 2022-12-15 2023-06-07 김광철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494Y1 (ko) * 2001-03-21 2001-10-08 송석근 작물 운반 수레
KR20020039494A (ko) * 2000-11-21 2002-05-27 노희옥 자동 제본기
KR20040008379A (ko) * 2002-07-18 2004-01-31 한국과학기술원 예제동작을 이용한 영상기반 동작복원방법
KR200408379Y1 (ko) * 2005-11-25 2006-02-08 김경환 조향기구가 구비된 무빙카트
KR20080070803A (ko) * 2008-07-08 2008-07-31 박복이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494A (ko) * 2000-11-21 2002-05-27 노희옥 자동 제본기
KR200239494Y1 (ko) * 2001-03-21 2001-10-08 송석근 작물 운반 수레
KR20040008379A (ko) * 2002-07-18 2004-01-31 한국과학기술원 예제동작을 이용한 영상기반 동작복원방법
KR200408379Y1 (ko) * 2005-11-25 2006-02-08 김경환 조향기구가 구비된 무빙카트
KR20080070803A (ko) * 2008-07-08 2008-07-31 박복이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82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로보팜코리아 농업용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195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645B1 (ko) 이랑 이동용 대차
KR101119858B1 (ko) 이중 축 두둑 성형기
KR101790572B1 (ko) 자동주행기능을 탑재한 모종 이식장치
CN111149454A (zh) 一种对行除草多功能机
KR102472616B1 (ko) 권취와 권출 및 재단 작업이 일괄적으로 실시되는 농업용 멀칭 수레의 구조
KR101578654B1 (ko) 로터리
KR20120122104A (ko)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CN108142075A (zh) 多槽式除草机
KR20110042523A (ko) 동력식 선회날을 갖는 제초기
JP5209335B2 (ja) 膨軟圃場への密植用連続鉢苗移植機
KR200432384Y1 (ko) 수레형 파종기
JP3581216B2 (ja) 人力田植機
JP2002046661A (ja) ハンド農作業機、及びハンド苗植作業機
KR101137328B1 (ko) 보행형 다목적 제초기
JPS6415Y2 (ko)
CN105191548B (zh) 电动多功能农用机
CN212164135U (zh) 一种对行除草多功能机
CN212344379U (zh) 一种手持式园林种植土壤翻动装置
KR102621550B1 (ko) 양방향 전동 피복기
JP2000217402A (ja) 施肥装置付管理機
KR200352560Y1 (ko) 일관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파종기
JP2008099571A (ja) 複数条植え用苗移植機
JP2003038008A (ja) 農作業車
CN2192127Y (zh) 畜力牵引小型多功能农机具
CN221468319U (zh) 一种顺垄变向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