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104A -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 Google Patents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104A
KR20120122104A KR1020110040094A KR20110040094A KR20120122104A KR 20120122104 A KR20120122104 A KR 20120122104A KR 1020110040094 A KR1020110040094 A KR 1020110040094A KR 20110040094 A KR20110040094 A KR 20110040094A KR 20120122104 A KR20120122104 A KR 20120122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member
supply
fork
cart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102011004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2104A/ko
Publication of KR2012012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83Wheeled supports connected to the transported obj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묘종을 이식하는 묘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륜 등의 주행 추진체에 의해서 기계 본체를 이동시키면서 묘종을 이식할 수 있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되면서 묘종을 하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홀을 구비하는 공급 회전반, 상기 공급 회전반의 하측에 형성되고, 공급 회전반의 소정 각도만큼의 매 회전마다 상기 공급 홀과 연통되는 연통 홀, 상기 공급 회전반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하여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레버, 상기 공급 회전반으로부터 공급받은 묘종을 선택적으로 지면에 매설하기 위한 안내 관, 상기 안내 관의 하단에 형성되는 덮개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 구동 레버, 상기 개폐 구동 레버의 양측에 형성되고, 흙을 내측으로 모을 수 있도록 회동되는 포크 부재 및 상기 포크 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포크 구동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TRANSPLANTER DRIVEN BY HAND CART USING FORK}
본 발명은 묘종을 이식하는 묘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륜 등의 주행 추진체에 의해서 기계 본체를 이동시키면서 묘종을 이식할 수 있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외에 묘종 이식기가 다수 공지되어 있으나, 노지와 관련된 제품으로 시설 묘종 농가에서는 수작업으로 각종 묘종을 이식함에 따라 인력부족과 인건비 부담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농가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과거 농업세대의 농민이었던 노인계층이어서 고령화 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며, 시설물의 감가상각비, 이자 비용, 토지 이용료, 농약비 등 경영 상의 요건으로 보아 향후 국내 농업이 직파 및 수작업 이식 단계에서 기계 이식단계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배추와 같이 묘종의 키가 짧은 묘종과 고추, 토마토, 옥수수, 참깨, 콩 등 키가 큰 묘종을 포함하는 이식기가 요구된다.
특히, 종래의 묘종 이식기는 1조식으로 묘종판을 별도로 수송해야 하며 삽식 후 앉아서 재차 흙을 덮어야 하므로 묘종 이식 속도가 느리며 인력 소모가 많아진다. 또한 2인 1조가 되어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나 인건비 측면에서 어려움이 나타난다.
한편 동력 묘종 이식기의 경우, 그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기름 소모가 많기 때문에 농부들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좁은 경지 면적에서 작업 시 회전 반경이 넓으므로 밭이랑의 회손이 심하고, 하우스 내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이외에도, 흙을 덮는 방법으로서 손으로 재차 덮어주거나 대부분 묘종 삽식 후 묘종을 중심으로 2개의 바퀴가 양측에서 흙을 밀어주어 모아주는 방식으로서 습기가 많은 밭에서는 흙을 단단하게 하여 작물의 뿌리 활착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농업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수작업 또는 수동 이식기의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동력 이식기를 사용하더라도 그 사용이 복잡하다는 문제점도 내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는 적은 힘으로도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수의 인력으로도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는 회전되면서 묘종을 하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홀을 구비하는 공급 회전반, 상기 공급 회전반의 하측에 형성되고, 공급 회전반의 소정 각도만큼의 매 회전마다 상기 공급 홀과 연통되는 연통 홀, 상기 공급 회전반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하여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레버, 상기 공급 회전반으로부터 공급받은 묘종을 선택적으로 지면에 매설하기 위한 안내 관, 상기 안내 관의 하단에 형성되는 덮개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 구동 레버, 상기 개폐 구동 레버의 양측에 형성되고, 흙을 내측으로 모을 수 있도록 회동되는 포크 부재 및 상기 포크 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포크 구동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 홀은 상기 공급 회전반의 원주를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 홀은 공급 회전반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때마다 상기 공급 홀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급 회전반의 하측에서 고정지지하는 지지 원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 홀을 통하여 낙하하는 묘종을 하측으로부터 수직으로 통과하며 상기 덮개로 안내하는 안내 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 구동 레버는 상기 덮개의 일단이 와이어와 연결되고, 이러한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덮개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 관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안내 관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단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 관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포크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의 포크 부재의 일단에 와이어가 형성되고, 이러한 와이어를 통하여 당김으로써 포크 부재의 회동을 제어하는 포크 구동 레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레버와 수직하도록 가동 바의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이러한 가동 바의 타단에는 회동 부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왕복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하여 상기 공급 회전반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 회전반은 좌우 복수열로 한 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 홀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의하면, 수동 이식기의 큰 단점인 묘종판을 별도로 수송해야하는 것을 손수레에 정착된 묘종 탑재부에 탑재할 수 있으며 앉아서 하는 작업을 계속 서서 할 수 있으므로 요구되는 인력이 감소된다.
또한 1인으로도 일련의 작업이 가능하므로 인건비가 절약될 뿐만 아니라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기존 동력 이식기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는 양산 시 구조가 간단하므로 1/10의 가격 이하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기름 소모가 전혀 없으며 손수레를 이용하여 바퀴 초장축에 부싱 장치로 본체를 지렛대로 이용하므로 적은 힘으로도 묘종 이식이 가능한 친환경 이식기이다.
또한 회전 반경이 1미터 이내로 좁은 경지면적이나 비닐 하우스 내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이식 후 묘종에 흙을 복토해주는 방법이 사람 손으로 덮어주는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갖기 때문에 활착이 기계식보다 뛰어나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므로 사후 정비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가동 바의 연결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개폐 구동 레버의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안내 관의 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안내 관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안내 관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포크 부재가 내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포크 부재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묘종이 완전히 이식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는 공급 회전반(10), 안내 관(30), 덮개(31) 및 포크 부재(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묘종을 탑재할 수 있는 묘종 탑재부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묘종 탑재부는 공급 회전반(10)의 전방에 2단이나 3단으로 2개소 설치하고, 그 하측에 가이드 레일을 형성함으로써 전후로 슬라이딩하면서 묘종을 공급 회전반(10)에 용이하게 안치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 회전반(10)은 그 하측에 구비되는 프레임(F) 및 지지 원반(11)에 의하여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F)은 상기 공급 회전반(10)이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급 회전반(10)의 원주를 따라 공급 홀(10a)이 원형의 배열로 복수개 형성되고 이러한 공급 홀(10a)를 통하여 묘종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 홀(10a)은 묘종이 동일 공간 대비 운반 및 생산의 증대효과를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이러한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 회전반(10)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레버(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레버(2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좌우로 슬라이딩 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 회전반(10)의 회전을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레버(20)의 단부에는 수직하도록 고정 연결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가동 바(21)가 연결된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가동 바의 연결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가동 바(21)의 양단에는 볼트 및 와셔 등의 결합을 통하여 래칫 렌치(ratchet wrench)와 같이 회동됨으로써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는 회동 부재(23)의 일단을 결합시키고 타단을 상기 공급 회전반(10)의 중심축(23a)에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레버(20)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면 상기 가동 바(21)가 일체로 이동되고 이러한 가동 바(21)의 양단에 연결되는 회동 부재(23)에 의하여 상기 공급 회전반(10)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 회전반(10)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때마다 상기 공급 홀(10a)과 연통하는 하나의 연통 홀(미도시)이 상기 지지 원반(11)에 형성된다. 즉 상기 공급 회전반(10)의 매 회전마다 공급 홀(10a) 및 연통 홀이 연통됨과 동시에 묘종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 원반(11)의 상면과 상기 공급 회전반(10)의 하면 사이에는 상기 회동 부재(23)의 양측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 홀(10a) 및 연통 홀이 일치할 때마다 일시적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탄성 부재(미도시) 및 멈춤 볼(미도시)을 구비하는 래칫 기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칫 기구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공급 회전반(10)이 상기 지지 원반(11)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멈춰지는 기능을 하므로 상기 회동 부재(23)의 양측 회동으로 인한 공급 회전반(10)의 역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묘종이 수직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광하협의 호퍼(미도시)를 구비하고 그 하측에는 묘종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관(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 관(30)은 상기 묘종이 그 내부를 따라 하측으로 낙하하는 궤적을 안내하게 되고, 이러한 안내 관(30)의 하단은 후술하는 덮개(3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묘종이 수직 낙하하는 과정에서 그 낙하 속도가 너무 빠르면 묘종에 손상을 가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 관(30)의 내측벽에는 별도의 보호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방수천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부재를 상기 안내 관(30)의 내측벽 전면에 걸쳐서 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묘종의 외표면에 마찰력을 가하므로 그 낙하 속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 관(30)의 하단은 일측면이 힌지 연결되는 덮개(31)에 의하여 힌지 개폐되도록 형성하고, 이러한 덮개(31)는 상기 덮개(31)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와이어(51)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51)는 후술하는 개폐 구동 레버(4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개폐 구동 손잡이(40)가 구비되어서 이를 파지한 채로 상기 개폐 구동 레버(41)를 악력을 이용하여 가압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51)에 의하여 상기 안내 관(30)의 덮개(31)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안내 관(30)은 하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깊이로 뚫고 들어갈수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 관(30)의 덮개(31)는 상기 개폐 구동 레버(4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와이어를 통하여 개방된 후, 힘을 해제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폐쇄 상태로 갈 수 있도록 별도의 탄성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 구동 손잡이(40)가 상기 안내 관(30)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구동 손잡이(40)의 거치 높이가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다단의 걸림턱(S1, S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S1, S2)을 상기 개폐 구동 손잡이(4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고정높이를 형성한다. 즉, 상기 걸림턱(S1, S2) 중 높은 위치에 있는 제1 걸림턱(S1)에 고정되도록 하면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지고,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제2 걸림턱(S2)에 고정되도록 하면 상기 개폐 구동 손잡이(40)가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안내 관(30)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 깊이로 관통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안내 관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포크 부재가 내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크 부재(50)는 상기 안내 관(3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크 부재(5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소정 길이를 갖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포크 형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크 부재(50)는 상기 안내 관(30)을 중심으로 그 내측으로 회동되도록 형성한다. 포크 부재(50)의 구동은 전술한 덮개(31)를 구동하기 위하여 고정되는 와이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포크 부재(50)가 각각 힌지 연결되고 포크 부재(50)의 일단이 대략 90도로 절곡되는 절곡부(50a)를 각각 구비하며 이러한 절곡부(50a)에 와이어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해제할 수 있는 별도의 포크 구동 손잡이(6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를 이식 장소에 위치시킨 후, 묘종이 탑재되어 있는 묘종 탑재부로부터 탑재부 하단의 레일을 통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트레이(미도시)를 잡아 당겨 공급 회전반(10)의 공급 홀(10a)에 묘종을 공급한다.
이후, 프레임(F)을 상측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면 바퀴(W)를 중심으로 상승하게 되며 내려 놓음과 동시에 안내 관(30) 및 포크 부재(50)가 이식하고자 하는 지면에 대하여 천공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퀴(W)의 이동 거리를 일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거리 가늠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작물에 따라 이식되어야 하는 거리의 간격을 가늠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매 이식 작업마다 전진 또는 후진해야 하는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퀴 및 바퀴의 회전축(미도시)은 부싱을 사용하고 조정판을 이용해 바퀴를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밭이랑의 폭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후, 개폐 구동 손잡이(40)의 개폐 구동 레버(41)를 작동하여 안내 관(30)의 덮개(31)를 개방시킨다.
이후, 공급 회전반(10)의 레버를 작동하여 호퍼 및 안내 관(30)을 통하여 지면 5~7cm까지 수직으로 관통한다. 이때 작물에 따라 그 깊이가 별도로 설정된다.
이후, 안내 관(30)이 중앙 레버를 상측으로 제1 걸림턱(S1)에 고정할 때 묘종이 자중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흘러내리는 흙에 의하여 절반 이상 묻히게 된다. 작물에 따라 안내 관(30)의 깊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 걸림턱(S1)과 제2 걸림턱(S2)의 간격은 5센티미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와 같이 묘종이 절반 정도 덮힌 상태에서 프레임(F)을 소정 거리만큼 올리면서 좌우 레버를 2~3회 작동하면 지면 밑에 삽입되어 있던 포크 부재(50)가 흙을 묘종 측으로 모아 주므로 묘종 상부까지 흙을 덮어주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에 적용되는 포크 부재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묘종이 완전히 이식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묘종 이식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경험칙 상 소요되는 시간은 숙련도에 따라 약 10초 미만 2조씩이므로, 5초에 1개를 심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공급 회전반
10a: 공급 홀
11: 지지 원반
20: 슬라이딩 레버
21: 가동 바
23: 회동 부재
23a: 회전축
30: 안내 관
31: 덮개
31a: 힌지축
40: 개폐 구동 손잡이
41: 개폐 구동 레버
50: 포크 부재
50a: 절곡부
51: 와이어
60: 포크 구동 손잡이
61: 포크 구동 레버
61a: 와이어 피복
61b: 와이어

Claims (10)

  1. 회전되면서 묘종을 하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홀을 구비하는 공급 회전반;
    상기 공급 회전반의 하측에 형성되고, 공급 회전반의 소정 각도만큼의 매 회전마다 상기 공급 홀과 연통되는 연통 홀;
    상기 공급 회전반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하여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레버;
    상기 공급 회전반으로부터 공급받은 묘종을 선택적으로 지면에 매설하기 위한 안내 관;
    상기 안내 관의 하단에 형성되는 덮개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 구동 레버;
    상기 개폐 구동 레버의 양측에 형성되고, 흙을 내측으로 모을 수 있도록 회동되는 포크 부재; 및
    상기 포크 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포크 구동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홀은 상기 공급 회전반의 원주를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 홀은 공급 회전반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때마다 상기 공급 홀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급 회전반의 하측에서 고정지지하는 지지 원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홀을 통하여 낙하하는 묘종을 하측으로부터 수직으로 통과하며 상기 덮개로 안내하는 안내 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레버는,
    상기 덮개의 일단이 와이어와 연결되고, 이러한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덮개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관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안내 관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단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관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포크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포크 부재의 일단에 와이어가 형성되고, 이러한 와이어를 통하여 당김으로써 포크 부재의 회동을 제어하는 포크 구동 레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종 이식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버와 수직하도록 가동 바의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이러한 가동 바의 타단에는 회동 부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왕복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하여 상기 공급 회전반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회전반은 좌우 복수열로 한 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홀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KR1020110040094A 2011-04-28 2011-04-28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KR20120122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094A KR20120122104A (ko) 2011-04-28 2011-04-28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094A KR20120122104A (ko) 2011-04-28 2011-04-28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104A true KR20120122104A (ko) 2012-11-07

Family

ID=4750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094A KR20120122104A (ko) 2011-04-28 2011-04-28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210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8113A (zh) * 2016-10-20 2017-01-04 山东农业大学 一种自动投种投苗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601085A (zh) * 2019-02-01 2019-04-12 黑龙江工业学院 一种农用自动栽苗机及栽苗方法
JP2019514435A (ja) * 2016-05-05 2019-06-06 ドンフェン アグリカルチュラル イクイップメント (シアンヤ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Dongfeng Agricultural Equipment (Xiangyang) Co., Ltd. 電動移植機
CN110063111A (zh) * 2019-05-31 2019-07-30 东北农业大学 一种小型手动式水稻插秧补苗器
CN113179720A (zh) * 2021-04-28 2021-07-30 刘志强 一种可适应不同种植环境的中药药苗种植机器
CN117601944A (zh) * 2024-01-24 2024-02-27 济宁伟士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辣椒周转设备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14435A (ja) * 2016-05-05 2019-06-06 ドンフェン アグリカルチュラル イクイップメント (シアンヤ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Dongfeng Agricultural Equipment (Xiangyang) Co., Ltd. 電動移植機
CN106258113A (zh) * 2016-10-20 2017-01-04 山东农业大学 一种自动投种投苗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601085A (zh) * 2019-02-01 2019-04-12 黑龙江工业学院 一种农用自动栽苗机及栽苗方法
CN110063111A (zh) * 2019-05-31 2019-07-30 东北农业大学 一种小型手动式水稻插秧补苗器
CN110063111B (zh) * 2019-05-31 2022-06-24 东北农业大学 一种小型手动式水稻插秧补苗器
CN113179720A (zh) * 2021-04-28 2021-07-30 刘志强 一种可适应不同种植环境的中药药苗种植机器
CN113179720B (zh) * 2021-04-28 2022-08-23 洞口清花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可适应不同种植环境的中药药苗种植机器
CN117601944A (zh) * 2024-01-24 2024-02-27 济宁伟士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辣椒周转设备
CN117601944B (zh) * 2024-01-24 2024-04-05 济宁伟士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辣椒周转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2758B (zh) 一种可选取块状农作物的种植施肥一体机
KR20120122104A (ko)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Gaikwad et al. Design of a low-cost pneumatic seeder for nursery plug trays
CN108738878A (zh) 一种园艺栽培学用便于使用的栽培架
US10004174B2 (en) Transplanter for a walk-behind tractor
BR112016001881B1 (pt) aparelho para plantio e tratamento de mudas de uma planta agrícola e uso de aparelho
KR20080091566A (ko) 모종 이식기
CN112020959A (zh) 一种纸筒育苗种植设备
KR101653600B1 (ko) 회전식 식물재배장치
KR101108645B1 (ko) 이랑 이동용 대차
JPH1175416A (ja) 種いも植付け装置
KR20140002598U (ko) 입식 파종기
JP2010273656A (ja) 植物栽培装置
KR101190625B1 (ko)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KR200472391Y1 (ko)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CN207652944U (zh) 穴盘播种器
CN109005765A (zh) 一种小直径种子作物播种机
KR200232978Y1 (ko) 파종기
KR101206920B1 (ko) 묘삼 식재기
CN214385053U (zh) 一种百香果育苗车
CN209218595U (zh) 一种园林播种施肥装置
KR20190027439A (ko) 이동식 파종기
JP4191629B2 (ja) 農用苗移植機
CN117814048B (zh) 一种瓜类嫁接苗扦插移栽装置
JP4340801B2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