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920B1 - 묘삼 식재기 - Google Patents

묘삼 식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920B1
KR101206920B1 KR1020100048155A KR20100048155A KR101206920B1 KR 101206920 B1 KR101206920 B1 KR 101206920B1 KR 1020100048155 A KR1020100048155 A KR 1020100048155A KR 20100048155 A KR20100048155 A KR 20100048155A KR 101206920 B1 KR101206920 B1 KR 10120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seedlings
hopper
elevating memb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617A (ko
Inventor
김유상
Original Assignee
김영석
김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김유상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20100048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92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묘삼을 기계적으로 식재할 수 있게 함으로서 묘삼의 식재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묘삼의 고른 흙 묻힘과 일정한 각도와 간격을 유지시켜 줌으로서 우수한 상품가치를 지닌 인삼을 수확하도록 한 묘삼 식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묘삼 식재기{apparatus for pricking out ginseng seedling}
본 발명은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묘삼을 식재(植栽)할 수 있게 한 묘삼 식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로 분할된 분할체가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지게 결합된 식재호퍼에 묘삼을 투입한 상태로 흙속으로 파고 들어가 흙속에서 하부가 벌어지게 함과 아울러 그 벌어진 상태로 흙속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함에 의해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한 묘삼 식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 재배는 인삼 종자를 파종 후 일 년 남짓 자란 어린 인삼(이하, "묘삼"이라고 한다)을 식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인삼은 부가가치가 높은 농산물로서 근래에 인삼 재배를 전업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인삼 재배에 따른 많은 인력이 필요한 시점으로서 그에 따라 기계 식재가 요구되지만, 여전히 묘삼 식재는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즉, 아직도 사람이 직접 흙을 파서 묘삼을 식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농촌 노동력의 고령화로 작업이 힘들 뿐만 아니라 인력 수급에도 한계가 있어 적기에 묘삼을 식재하는데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묘삼 식재에 있어서, 통상 45도 정도 기울게 심어 토양 성분의 흡수와 뿌리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지만, 인력에 의존해 수작업으로 한 뿌리씩 흙의 기울림에 의해 각도가 불규칙하게 정해지고, 또한 간격이 일정치 않을 뿐더러 최종 흙으로 묻을 때 손작업으로 인한 발뿌리의 묻힘 상태가 불안정해 짐으로써, 이에 각각의 묻힘 상태가 이후 성장에 많은 장애를 주어 인삼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묘삼을 기계적으로 식재할 수 있게 함으로서 묘삼의 식재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묘삼의 고른 흙 묻힘과 일정한 각도와 간격을 유지시켜 줌으로서 우수한 상품가치를 지닌 인삼을 수확하도록 한 묘삼 식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틀체와 상기 틀체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된 바퀴들과 상기 바퀴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틀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소정 경사를 이루며 승강되게 설치되며, 상승된 위치에서는 묘삼을 수용할 수 있게 하고 하강된 위치에서는 흙속으로 파고들어가 묘삼을 식재할 수 있도록 2개로 분할된 분할체를 하부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결합하여 구성된 상부만이 개구되는 콘(cone) 형상의 식재호퍼들로 이루어진 식재부; 상기 식재부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게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식재부가 안내되도록 승강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에 일단이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식재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로드로 이루어진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제2모터를 구동시켜 묘삼을 식재하도록 상기 식재호퍼가 하강된 후 상승되는 1사이클(cycle)이 진행되면 상기 제2모터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가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제1모터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재부는 식재호퍼들이 일정 간격을 이루게 일렬로 배열되도록 2개로 분할된 분할체의 상부가 힌지축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식재호퍼들에 대응하는 상부에는 상기 식재호퍼에 묘삼이 수용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관들이 설치된 하부승강부재와 상기 하부승강부재의 상부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승강부재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는 상부승강부재와 상기 상부승강부재에 지지되어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며, 하단부는 상기 하부승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분할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에 고정되어 상기 식재호퍼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개폐봉과 상기 개폐봉을 작동시킬 수 있게 상기 상부승강부재의 단부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면서 상기 상부승강부재를 하부승강부재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게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가 상승 및 하강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작동시키기 위한 상하부돌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재부는 식재호퍼가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식재호퍼의 상부와 상호 연락되게 투입관을 설치하여 상기 투입관을 통해 상기 식재호퍼에 묘삼을 수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퀴들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들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바퀴의 양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부가 형성된 원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돌부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묘삼 식재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묘삼의 고른 흙 묻힘과 일정한 각도와 간격을 유지시켜 줌으로서 우수한 상품가치를 지닌 인삼을 수확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 때문에 농가의 노동력 절감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묘삼 식재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고장을 없게 함으로서 묘삼 식재에 따른 불량을 없게 함과 아울러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에 구비되는 식재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에 구비되는 식재호퍼의 승강 상태를 정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에 구비되는 식재호퍼가 상승된 상태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에 구비되는 식재호퍼가 하강된 상태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에 구비되는 식재부의 승강에 따라 식재호퍼의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작동돌부가 설치되는 부위의 승강부재를 상부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100)는 본체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부(110)는 틀체(112)가 설치되고, 상기 틀체(112)의 전후측부에 바퀴(114a,114b)가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틀체(112)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틀체(112)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114a,114b)들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16)들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바퀴(114a,114b)의 양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부(115a)가 형성된 원판(115)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퀴(114a,114b)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자 제1모터(111)를 설치하여 상기 제1모터(1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바퀴(114a,114b)들을 회전시켜 상기 틀체(112)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1모터(111)와 바퀴(114a,114b)를 동력전달수단(예, 체인과 스프라켓 등)으로 연결하여 바퀴를 회전시킨다. 이때, 전후측부에 설치되는 바퀴들 중에서 어느 한쪽에 위치하는 바퀴만을 회전시키는 것으로도 상기 틀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100)는 식재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식재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소정 경사를 이루며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승된 위치에서는 묘삼을 수용할 수 있게 하고 하강된 위치에서는 흙속으로 파고들어가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하는 식재호퍼(122)들이 설치된다.
상기 식재호퍼(122)들은 2개로 분할된 분할체(122a,122b)를 하부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결합하여 구성된 상부만이 개구되는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식재호퍼(122)는 하부승강부재(123)에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일렬로 배열되게 설치된다. 즉, 2개로 분할된 분할체(122a,122b)의 상부가 상기 하부승강부재(123)에 힌지축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식재호퍼(122)들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승강부재(123)의 상부에는 상기 식재호퍼(122)에 묘삼이 수용될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123a)들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승강부재(123)의 상부에는 제1스프링(124a)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상부승강부재(124)가 설치되는데, 이 상부승강부재(124)는 상기 하부승강부재(123)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승강부재(124)에는 하부승강부재(123)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안내관(123a)들의 대응 위치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관(123a)들이 상부승강부재(124)의 상부로 돌출되며, 그 돌출되는 안내관(123a)의 둘레에 상기 제1스프링(124a)을 설치하여 상부승강부재(124)가 소정 텐션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상부승강부재(124)가 하부승강부재(123)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 상기 식재호퍼(122)의 하부가 개폐되도록 하고자 개폐봉(125)이 설치된다. 즉, 상기 개폐봉(125)의 상단부를 상부승강부재(124)에 지지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봉(125)의 하단부는 하부승강부재(123)를 관통하여 상기 분할체(122a,122b)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122c)에 고정되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식재호퍼(122)의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페봉(125)은 제2스프링(125a)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승강부재(124)가 하부승강부재(123)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 상기 개폐봉(125)이 복원력을 보유하면서 상기 상부승강부재(124)와 함께 이동되어 식재호퍼(122)의 하부가 벌어지게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봉(125)에 의해 식재호퍼(122)의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승강부재(124)를 하부승강부재(123)와는 별도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작동부재(126)가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부재(126)는 상기 상부승강부재(124)의 단부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면서 상기 상부승강부재(124)를 하부승강부재(123)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126)는 승강 및 하강된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는데, 이를 위해 상승 및 하강 위치에 상하부돌부(128a,128b)가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126)가 상승 및 하강 위치에서 상기 상하부돌부(128a,128b)에 접촉되면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이러한 상하부돌부(128a,128b)는 상기 작동부재(126)와의 접촉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자 볼트로 이루어짐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재호퍼(122)가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식재호퍼(122)의 상부와 상호 연락되게 투입관(121)을 설치하여 상기 투입관(121)을 통해 상기 식재호퍼(122)에 묘삼을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게 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100)는 승강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승강부(130)는 상기 식재부(120)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식재부(12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틀체(112)의 양측부에 가이드레일(13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32)에 식재부(120)가 안내되면서 승강되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모터(131)가 설치되고, 상기 제2모터(13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회전축(134)이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134)의 단부에는 회전암(136)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34)에 의해 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상기 회전암(136)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로드(138)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32)에 식재부(120)가 안내되게 승강시킨다. 즉, 상기 로드(138)의 일단은 회전암(136)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식재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32)에 식재부(120)가 안내되도록 상하부승강부재(124,123)의 양측부에는 가이드롤러(132a)를 설치함이 좋다(도 9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기(100)는 제어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부(140)는 상기 제1,제2모터(111,13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130)를 구동시켜 상기 식재부(120)에 의해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식재를 완료하면 상기 본체부(110)를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게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40)는 상기 승강부(130)의 제2모터(131)를 구동시켜 묘삼을 식재하도록 상기 식재호퍼(122)가 하강된 후 상승되는 1사이클(cycle)이 진행되면 상기 제2모터(131)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110)가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제1모터(111)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도면 부호 (102)는 상기 제1,제2모터(111,1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 부호 (104)는 작동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묘삼 식재기(100)에 의한 묘삼의 식재 방법은 먼저 묘삼을 투입관(121)에 투입하여 상기 식재호퍼(122)에 묘삼이 수용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스위치(104)를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40)에서 제2모터(131)를 구동시켜 회전축(136)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136)의 회전에 의해 회전암(136)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로드(138)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식재부(130)를 승강시킨다. 즉, 상기 로드(138)에 의해 상하부승강부재(124,123)가 가이드레일(132)에 안내되면서 승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부승강부재(124,123)가 하강되면 하강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돌부(128b)에 상기 작동부재(126)가 접촉되면서 회동되어 상기 상부승강부재(124)를 하부승강부재(123)와는 별도로 제1스프링(124a)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면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개폐봉(125)이 제2스프링(125a)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면서 함께 이동되어 식재호퍼(122)의 하부가 열리도록 하여, 식재호퍼(122)에 수용된 묘삼을 식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식재를 한 다음에는 상기 상하부승강부재(124,123)가 상승되고, 그 상승된 위치에 설치되는 상부돌기(128a)에 상기 작동부재(126)가 접촉되면서 상기 하부승강부재(123)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 상기 상부승강부재(124)를 원위치로 복원되게 하여 식재호퍼(122)의 하부를 닫음으로서 상기 식재호퍼(122)에 묘삼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40)에서는 상기 제2모터(131)의 구동을 정지되게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모터(111)를 구동시켜 상기 바퀴(114a,124b)들을 회전시킴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본체부(110)를 이동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에 의해 계속하여 묘삼을 식재한다.
100 - 묘삼 식재기 110 - 본체부
111 - 제1모터 112 - 틀체
114a,114b - 바퀴 116 - 미끄럼방지패드
120 - 식재부 122 - 식재호퍼
123 - 하부승강부재 124 - 상부승강부재
125 - 개폐봉 126 - 작동부재
128a,128b - 상하부돌부 130 - 승강부
131 - 제2모터 132 - 가이드레일
134 - 회전축 136 - 회전암
138 - 로드 140 -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틀체와 상기 틀체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된 바퀴들과 상기 바퀴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틀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소정 경사를 이루며 승강되게 설치되며, 상승된 위치에서는 묘삼을 수용할 수 있게 하고 하강된 위치에서는 흙속으로 파고들어가 묘삼을 식재할 수 있도록 2개로 분할된 분할체를 하부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결합하여 구성된 상부만이 개구되는 콘(cone) 형상의 식재호퍼들로 이루어진 식재부;
    상기 식재부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게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식재부가 안내되도록 승강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에 일단이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식재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로드로 이루어진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제2모터를 구동시켜 묘삼을 식재하도록 상기 식재호퍼가 하강된 후 상승되는 1사이클(cycle)이 진행되면 상기 제2모터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가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제1모터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재부는 식재호퍼들이 일정 간격을 이루게 일렬로 배열되도록 2개로 분할된 분할체의 상부가 힌지축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식재호퍼들에 대응하는 상부에는 상기 식재호퍼에 묘삼이 수용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관들이 설치된 하부승강부재와 상기 하부승강부재의 상부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승강부재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는 상부승강부재와 상기 상부승강부재에 지지되어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며, 하단부는 상기 하부승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분할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에 고정되어 상기 식재호퍼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개폐봉과 상기 개폐봉을 작동시킬 수 있게 상기 상부승강부재의 단부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면서 상기 상부승강부재를 하부승강부재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게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가 상승 및 하강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작동시키기 위한 상하부돌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는 식재호퍼가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식재호퍼의 상부와 상호 연락되게 투입관을 설치하여 상기 투입관을 통해 상기 식재호퍼에 묘삼을 수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기.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돌부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기.
KR1020100048155A 2010-05-24 2010-05-24 묘삼 식재기 KR10120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155A KR101206920B1 (ko) 2010-05-24 2010-05-24 묘삼 식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155A KR101206920B1 (ko) 2010-05-24 2010-05-24 묘삼 식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617A KR20110128617A (ko) 2011-11-30
KR101206920B1 true KR101206920B1 (ko) 2012-11-30

Family

ID=4539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155A KR101206920B1 (ko) 2010-05-24 2010-05-24 묘삼 식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3459B (zh) * 2022-09-22 2023-10-10 杭州市临安区农林技术推广中心 一种用于蔬菜种植用定量等距播种设备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731B1 (ko) 2005-05-12 2006-11-14 김정호 인삼묘 식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731B1 (ko) 2005-05-12 2006-11-14 김정호 인삼묘 식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617A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9744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施設
CN106718649A (zh) 一种自动植树机
CN104871702B (zh) 一种秧苗移栽装置
CN204707468U (zh) 一种可同步浇水的秧苗移栽装置
CN115349419B (zh) 一种农业园艺起苗装置及起苗方法
KR20090020455A (ko) 묘삼 식재기 및 묘삼 식재방법
KR20120122104A (ko)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KR101206920B1 (ko) 묘삼 식재기
CN110612801A (zh) 一种链条轨道组合式的栽植装置
KR100813442B1 (ko) 묘삼 이식기
CN113545207A (zh) 一种黄花菜移栽机
KR101298212B1 (ko) 모종 식재장치
KR101359026B1 (ko) 포트묘 이식장치
CN112273015A (zh) 一种便于操作的水稻栽培种植用插秧装置
KR101190625B1 (ko)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CN2718997Y (zh) 水稻钵苗体磁力插秧机
CN105830569A (zh) 一种盐碱地牧草种植机
KR200472391Y1 (ko)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CN212786567U (zh) 一种有机蔬菜播种装置
KR100991554B1 (ko)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
KR102067454B1 (ko)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CN115088438B (zh) 一种易换垄温室移栽机
CN214757715U (zh) 一种种苗栽培翻土装置
CN109005765A (zh) 一种小直径种子作物播种机
CN109429632A (zh) 农业用快速播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