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625B1 -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 Google Patents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625B1
KR101190625B1 KR1020110081300A KR20110081300A KR101190625B1 KR 101190625 B1 KR101190625 B1 KR 101190625B1 KR 1020110081300 A KR1020110081300 A KR 1020110081300A KR 20110081300 A KR20110081300 A KR 20110081300A KR 101190625 B1 KR101190625 B1 KR 10119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hopper
seedlings
support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김유상
Original Assignee
김유상
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상, 김영석 filed Critical 김유상
Priority to KR102011008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묘삼의 식재를 위해 묘삼이 수용된 식재호퍼가 흙속으로 파고 들어갈 때 흙속으로 파고들어가는 식재호퍼가 돌덩이(돌멩이) 등에 걸릴 경우에도 용이하게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한 묘삼 식재용 식제호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apparatus for pricking out ginseng seedling}
본 발명은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묘삼을 식재(植栽)할 수 있게 한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로 분할된 분할체가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지게 결합된 식재호퍼에 묘삼을 투입한 상태로 흙속으로 파고 들어가 흙속에서 하부가 벌어지게 함과 아울러 그 벌어진 상태로 흙속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함에 의해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한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 재배는 인삼 종자를 파종 후 일 년 남짓 자란 어린 인삼(이하, "묘삼"이라고 한다)을 식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인삼은 부가가치가 높은 농산물로서 근래에 인삼 재배를 전업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인삼 재배에 따른 많은 인력이 필요한 시점으로서 그에 따라 기계 식재가 요구되지만, 여전히 묘삼 식재는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즉, 아직도 사람이 직접 흙을 파서 묘삼을 식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농촌 노동력의 고령화로 작업이 힘들 뿐만 아니라 인력 수급에도 한계가 있어 적기에 묘삼을 식재하는데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묘삼 식재에 있어서, 통상 45도 정도 기울게 심어 토양 성분의 흡수와 뿌리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지만, 인력에 의존해 수작업으로 한 뿌리씩 흙의 기울림에 의해 각도가 불규칙하게 정해지고, 또한 간격이 일정치 않을 뿐더러 최종 흙으로 묻을 때 손작업으로 인한 발뿌리의 묻힘 상태가 불안정해 짐으로써, 이에 각각의 묻힘 상태가 이후 성장에 많은 장애를 주어 인삼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20455호(공개일자: 2009년02월26일)의 "묘삼 식재기 및 묘삼 식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구조가 복잡하고,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식재호퍼는 묘삼의 식재를 위해 흙속으로 파고 들어갈 때 흙속에 돌덩이(돌멩이) 등이 있을 경우 그 돌덩이에 걸려 휘어짐이 발생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고, 또 흙이 내부로 들어와 완벽하게 오므려 들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20455호, 묘삼 식재기 및 묘삼 식재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묘삼의 식재를 위해 묘삼이 수용된 식재호퍼가 흙속으로 파고 들어갈 때 흙속으로 파고들어가는 식재호퍼가 돌덩이(돌멩이) 등에 걸릴 경우에도 용이하게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한 묘삼 식재용 식제호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묘삼을 수용한 상태에서 흙속으로 파고들어가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지는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에 있어서, 상기 식재호퍼는 2개로 분할되어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지는 상태로 회전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호 접하는 부위가 겹쳐지는 형태로 맞물릴 수 있게 어느 하나의 크기를 다른 하나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하여서 된 제1,제2분할체; 및 상기 제1,제2분할체의 내측에 상호 대면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제1,제2분할체에 수용되는 묘삼을 지지하여 그 묘삼의 실뿌리가 손상되지 않게 하는 제1,제2지지판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재호퍼는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2분할체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 작동수단을 더 설치하되, 상기 작동수단은 2개로 분할된 제1,제2분할체의 상부가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되게 설치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제2분할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승강부재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게 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2분할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상단부부는 상기 작동부재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지지되고, 하단부는 상기 승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제2분할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편에 고정되어 상기 돌출편을 당겨줄 수 있게 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의해 제1,제2분할체의 돌출편이 당겨질 수 있게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 위치에 지지편을 설치하고, 그 지지편에 대응하도록 상기 작동부재에 돌출되게 설치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에 의해 상기 지지편에 접촉되면서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하강하는 작동부재를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게 한 제1돌부와, 상기 제1돌부에 의해 연결봉으로 하여금 돌출편이 당겨지면서 제1,제2분할체의 하부가 벌어지면, 그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작동부재의 양단에서 하부로 위치될 수 있게 스프링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승강부재의 하부로 위치된 상태를 해지할 수 있게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로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 여부에 따라 지지부재의 일단을 눌러주기 위한 제2돌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2돌부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묘삼의 식재를 위해 묘삼이 수용된 식재호퍼가 흙속으로 파고 들어갈 때 흙속으로 파고들어가는 식재호퍼가 돌덩이(돌멩이) 등에 걸릴 경우에도 용이하게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I-I선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표시의 식재호퍼를 구성하는 분할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표시의 식재호퍼가 설치되는 묘삼 식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묘삼 식재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7 ~도 8은 도 5표시의 묘삼 식재기에 설치되는 식재호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5표시의 묘삼 식재기에 설치되는 식재호퍼가 상승된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5표시의 묘삼 식재기에 설치되는 식재호퍼가 하강된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5표시의 묘삼 식재기에 설치되는 식재호퍼가 하강된 상태를 정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표시의 "C"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4표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110)는 묘삼을 수용한 상태에서 흙속으로 파고들어가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지는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식재호퍼(110)는 2개로 분할되어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지는 상태로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1,제2분할체(112a,112b)와 상기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내부에 설치되어 묘삼의 실뿌리가 손상되지 않게 지지하는 제1,제2지지판체(114a,11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분할체(112a,112b)는 상호 접하는 부위가 겹쳐지는 형태로 맞물릴 수 있게 어느 하나의 크기를 다른 하나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구성 요소의 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크기를 상호 다르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제1,제2분할체(112a,112b)에 묘삼을 수용한 후, 그 제1,제2분할체(112a,112b)가 흙속으로 용이하게 파고 들어갈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흙속에 돌덩이 등이 있을 경우에도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하단 끝부부이 휘어질 경우에도 제1,제2분할체(112a,112b)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호 벌어지지 않게 하여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제2분할체(112a,112b)가 흙속으로 파고들어가면서 돌덩이에 부딪칠 경우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크게 형성된 분할체의 하단 끝부분만이 휘게 되고, 그 내측으로 위치하는 작은 크기의 분할체는 완전하게 밀착되는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돌덩이에 부딪치는 경우에도 작동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크기가 종래 기술과 같이 동일하게 되면 상기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사이에 흙이 들어가게 되면, 그 흙에 의해 제1,제2분할체(112a,112b)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분할체를 작게 형성하여 상호 겹쳐지는 형태로 맞물리게 하면,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사이에 흙이 있어도 그 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호 밀착되는 형태로 맞물릴 수 있기 때문에 작동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제2지지판체(114a,114b)는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내측에 상호 대면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제1,제2분할체(112a,112b)에 수용되는 묘삼을 지지하여 그 묘삼의 실뿌리가 손상되지 않게 한다. 즉, 상기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내부로 묘삼이 수용될 때, 그 수용되는 묘삼은 제1,제2지지판체(114a,114b)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15)에 위치됨으로 묘삼의 실뿌리를 잡아주지 않고 중간에 떠 있는 상태(도 10참조)로 지지함으로서 실뿌리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110)는 도 5 ~도 14표시에 도시된 같이 묘삼 식재기(100)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묘삼 식재기(100)는 틀체(102)가 설치되고, 상기 틀체(102)의 전후측부에 바퀴(104)가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틀체(102)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바퀴(104)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자 제1모터(106)를 설치하여 상기 제1모터(106)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바퀴(104)들을 회전시켜 상기 틀체(102)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묘삼 식재기(100)에 위에서 설명한 식재호퍼(110)를 승강되게 설치한다. 즉, 상기 틀체(102)에 식재호퍼(110)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승된 위치에서는 묘삼을 수용할 수 있게 하고 하강된 위치에서는 흙속으로 파고들어가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식재호퍼(110)의 승강 여부에 따라 제1,제2분할체(112a,112b)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작동수단(1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작동수단(120)은 식재호퍼(110)가 승상부재(121)에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일렬로 배열되게 설치된다. 즉, 2개로 분할된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상부가 상기 승상부재(121)에 힌지축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식재호퍼(110)들에 대응하는 상기 승상부재(121)의 상부에는 상기 식재호퍼(110)에 묘삼이 수용될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121a)들이 위치된다.
또한, 상기 승상부재(121)의 상부에는 제1스프링(122a)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작동부재(122)가 설치되는데, 이 작동부재(122)는 상기 승상부재(121)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122)에는 승상부재(121)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안내관(121a)들의 대응 위치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관(121a)들이 작동부재(122)의 상부로 돌출되며, 그 돌출되는 안내관(121a)의 둘레에 상기 제1스프링(122a)을 설치하여 작동부재(122)가 소정 텐션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작동부재(122)가 승상부재(121)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 상기 식재호퍼(110)의 하부가 개폐되도록 하고자 연결봉(123)이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봉(123)은 상단부를 작동부재(122)에 지지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봉(123)의 하단부는 승상부재(121)를 관통하여 상기 제1,제2분할체(112a,112b)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113a,113b)에 고정되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식재호퍼(110)의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연결봉(123)은 제2스프링(123a)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122)가 승상부재(121)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 상기 연결봉(123)이 복원력을 보유하면서 상기 작동부재(122)와 함께 이동되어 식재호퍼(110)의 하부가 벌어지게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봉(123)에 의해 식재호퍼(110)의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게 하고자 상기 작동부재(122)를 승상부재(121)와는 별도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제1돌부(124)가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봉(123)에 의해 제1,제2분할체(112a,112b)의 돌출편(113a,113b)이 당겨질 수 있게 상기 승상부재(121)의 하강 위치에 지지편(124a)을 설치하고, 그 지지편(124a)에 대응하도록 상기 작동부재(122)에 돌출되게 상기 제1돌부(124)를 설치하여 상기 승상부재(121)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1돌부(124)가 지지편(124a)에 접촉되면서 상기 승상부재(121)와 함께 하강하는 작동부재(122)를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1돌부(124)에 의해 들어 올려진 작동부재(122)가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작동부재(122)의 양단부 하부에 위치되어 회전되게 지지부재(125)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25)에 의해 승상부재(121)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 작동부재(122)가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지지부재(125)는 제3스프링(125a)에 의해 작동부재(122)의 하부로 위치되려는 힘을 갖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122)가 승상부재(121)와는 별도로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제3스프링(125a)에 의해 작동부재(122)의 하부로 위치되어 그 작동부재(122)가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5)가 작동부재(122)의 하부로 위치된 상태를 해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상부재(121)의 상승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125)의 상부로 위치되게 제2돌부(126)가 설치된다. 이 제2돌부(126)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되면 상기 지지부재(125)의 상면이 눌리게 되어 상기 지지부재(125)가 작동부재(122)의 하부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122)는 원위치로 복원되어 식재호퍼의 하부가 닫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제2돌부(126)는 접촉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자 볼트로 이루어짐이 좋다.
도면 부호 (101)는 상기 식재호퍼(110)가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식재호퍼(110)의 상부와 상호 연락되게 설치한 투입관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투입관(101)을 통해 상기 식재호퍼(110)에 묘삼을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식재호퍼(110)는 승강 여부에 따라 제1,제2분할체(112a,112b)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묘삼 식재기(100)에 승강수단이 구비된다. 이 승강수단은 승상부재(121)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게 하고자 틀체(102)의 양측부에 가이드레일(1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30)에 안내되면서 승강되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모터(132)가 설치되고, 상기 제2모터(13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회전축(134)이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134)의 단부에는 회전암(136)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34)에 의해 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상기 회전암(136)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로드(138)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30)에 안내되면서 승강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묘삼 식재기(100)에 의한 묘삼의 식재 방법은, 먼저 묘삼을 투입관(101)에 투입하여 상기 식재호퍼(110)에 묘삼이 수용되게 한 상태에서 제2모터(132)를 구동시켜 회전축(134)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134)의 회전에 의해 회전암(136)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로드(138)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식재호퍼(110)가 설치된 승상부재(121)와 작동부재(122)를 승강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승상부재(121)와 작동부재(122)가 하강되면 그 하강 위치는 흙속으로 파고들어간 상태이고, 또 상기 승상부재(121)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돌부(124)가 지지편(124a)에 접촉되어 상기 작동부재(122)를 승상부재(121)와는 별도로 제1스프링(122a)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면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연결봉(123)이 제2스프링(123a)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면서 함께 이동되어 식재호퍼(110)의 하부가 열리도록 함으로서, 식재호퍼(110)에 수용된 묘삼을 식재하게 된다. 즉, 식재호퍼는 흙속으로 파고들어간 상태에서 벌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122)는 지지부재(125)에 의해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25)가 제3스프링(125a)에 의해 작동부재(122)의 하부로 위치되게 회전됨으로서 상기 작동부재(122)는 지지부재(125)에 걸려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식재를 한 다음에는 상기 승상부재(121)와 작동부재(122)가 상승되고, 그 상승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돌부(126)에 상기 지지부재(125)가 접촉되면서 상기 승상부재(121)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 상기 작동부재(122)를 원위치로 복원되어 식재호퍼(110)의 하부가 닫히게 된다.
100 - 묘삼 식재기 102 - 틀체
110 - 식재호퍼 112a,112b - 제1,제2분할체
114a,114b - 제1,제2지지판체 120 - 작동수단
121 - 승강부재 122 - 작동부재
123 - 연결봉 124 - 제1돌부
125 - 지지부재 126 - 제2돌부

Claims (3)

  1. 삭제
  2. 묘삼을 수용한 상태에서 흙속으로 파고들어가 묘삼을 식재할 수 있게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지는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에 있어서,
    상기 식재호퍼는 2개로 분할되어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지는 상태로 회전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호 접하는 부위가 겹쳐지는 형태로 맞물릴 수 있게 어느 하나의 크기를 다른 하나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하여서 된 제1,제2분할체;
    상기 제1,제2분할체의 내측에 상호 대면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제1,제2분할체에 수용되는 묘삼을 지지하여 그 묘삼의 실뿌리가 손상되지 않게 하는 제1,제2지지판체; 및
    상기 식재호퍼의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2분할체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동수단은 2개로 분할된 제1,제2분할체의 상부가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되게 설치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제2분할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승강부재와는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게 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2분할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상단부부는 상기 작동부재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지지되고, 하단부는 상기 승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제2분할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편에 고정되어 상기 돌출편을 당겨줄 수 있게 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의해 제1,제2분할체의 돌출편이 당겨질 수 있게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 위치에 지지편을 설치하고, 그 지지편에 대응하도록 상기 작동부재에 돌출되게 설치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에 의해 상기 지지편에 접촉되면서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하강하는 작동부재를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게 한 제1돌부와,
    상기 제1돌부에 의해 연결봉으로 하여금 돌출편이 당겨지면서 제1,제2분할체의 하부가 벌어지면, 그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작동부재의 양단에서 하부로 위치될 수 있게 스프링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승강부재의 하부로 위치된 상태를 해지할 수 있게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로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 여부에 따라 지지부재의 일단을 눌러주기 위한 제2돌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돌부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KR1020110081300A 2011-08-16 2011-08-16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KR10119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300A KR101190625B1 (ko) 2011-08-16 2011-08-16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300A KR101190625B1 (ko) 2011-08-16 2011-08-16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625B1 true KR101190625B1 (ko) 2012-10-15

Family

ID=4728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300A KR101190625B1 (ko) 2011-08-16 2011-08-16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96A (ko) 2018-02-28 2019-09-05 강동만 묘삼 보식기
CN111837512A (zh) * 2020-07-30 2020-10-30 中国热带农业科学院环境与植物保护研究所 一种有机蔬菜种植设备及种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516A (ja) 2000-11-07 2002-05-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JP2002233213A (ja) * 2001-02-07 2002-08-20 Iseki & Co Ltd 農作業機
JP2002272215A (ja) * 2001-03-23 2002-09-24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06014662A (ja) 2004-07-01 2006-01-19 Iseki & Co Ltd 野菜苗移植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516A (ja) 2000-11-07 2002-05-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JP2002233213A (ja) * 2001-02-07 2002-08-20 Iseki & Co Ltd 農作業機
JP2002272215A (ja) * 2001-03-23 2002-09-24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06014662A (ja) 2004-07-01 2006-01-19 Iseki & Co Ltd 野菜苗移植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96A (ko) 2018-02-28 2019-09-05 강동만 묘삼 보식기
CN111837512A (zh) * 2020-07-30 2020-10-30 中国热带农业科学院环境与植物保护研究所 一种有机蔬菜种植设备及种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4174B2 (en) Transplanter for a walk-behind tractor
JP2005185289A (ja) 苗移植機
CN115349419A (zh) 一种农业园艺起苗装置及起苗方法
KR100813442B1 (ko) 묘삼 이식기
KR101190625B1 (ko)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CN202524745U (zh) 一种根茎类作物碗勺式排种的种植装置
KR20120122104A (ko)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CN101773012B (zh) 钵体播种盘及钵体播种机
KR20090020455A (ko) 묘삼 식재기 및 묘삼 식재방법
KR101298212B1 (ko) 모종 식재장치
CN106612767A (zh) 膜上播种机
CN109392387A (zh) 一种半自动组合式大葱移栽机
CN113545207A (zh) 一种黄花菜移栽机
KR102242009B1 (ko) 소형 동력 파종장치
KR100644731B1 (ko) 인삼묘 식재기
KR100991554B1 (ko)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
KR200472391Y1 (ko)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KR101206920B1 (ko) 묘삼 식재기
CN212786567U (zh) 一种有机蔬菜播种装置
KR102137579B1 (ko)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CN209120634U (zh) 一种半自动组合式大葱移栽机
CN216853070U (zh) 农业育苗幼苗栽培装置
JP4191629B2 (ja) 農用苗移植機
CN216491947U (zh) 大蒜播种机及其播种总成同步升降装置
CN201153380Y (zh) 手动播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