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560Y1 - 일관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파종기 - Google Patents

일관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560Y1
KR200352560Y1 KR20-2004-0008146U KR20040008146U KR200352560Y1 KR 200352560 Y1 KR200352560 Y1 KR 200352560Y1 KR 20040008146 U KR20040008146 U KR 20040008146U KR 200352560 Y1 KR200352560 Y1 KR 200352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eeding
seeds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희정
Original Assignee
권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희정 filed Critical 권희정
Priority to KR20-2004-0008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은 힘으로도 논이나 밭을 쉽게 갈아서 고랑과 이랑을 만들고 형성시킨 이랑에 비료 또는 씨앗을 전진방향에 따라 파종하면서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목적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방향으로 다수의 바퀴고정 브라켓이 형성되고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을 상부에서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물탱크와, 제 1호퍼 및 제 2호퍼로 구성되어 밀고 다니면서 씨앗을 파종하는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앞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설치되고 전진방향에 따라 비료와 씨앗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의 사이에 이랑을 형성함과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호스를 구비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승강대가 설치된 쟁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파종기는 한번의 이동으로 여러 단계의 작업을 일시에 끝내게 됨으로서 작업이 빨라지고 생산효과가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고, 운영비 및 인건비가 절감됨과 동시에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적은 비용으로도 큰 수확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관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파종기{A MULTIPURPOSE SEEDER}
본 고안은 다목적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손으로 미는 적은 힘으로도 논이나 밭을 쉽게 갈아서 고랑과 이랑을 만들고 형성시킨 이랑에 비료 또는 씨앗을 전진방향에 따라 파종하면서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목적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종기는 각종 씨앗을 뿌리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파종기는 대부분 쟁기가 설치되어 있고, 쟁기라 함은 소, 말 또는 경운기 등에 의해 논이나 밭의 흙을 일정한 간격으로 한쪽으로 퍼 올리면서 고랑과 이랑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대부분의 파종은 위와 같은 쟁기를 이용하여 고랑과 이랑을 형성한 다음, 다시 파종을 위해 땅을 파고 씨앗을 심은 후 다시 흙을 덮어주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하나의 이랑을 2-3회 왕복하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씨앗을 뿌리고 덮는 작업만을 실시하는 것으로 상기의 씨앗을 한번 뒤집힌 상태에서 뿌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씨앗의 뿌리가 깊이 파묻히지 못하였으며 경운기의 동력을 이용하여야 파종기에서 씨앗을 파종할 수 있었으며, 그 경운기가 파종 중간에 이물질에 걸려 이동하지 않고 있을 때에도 상기의 파종기는 계속하여 작동하므로서 일부지역에 많거나 적은 씨앗이 뿌려지게 되었으며 경운기의 속도에 따라 씨앗의 간격이 달라지게 되어 농토의 효율적인 이용이 저해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경운기에 파종기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경운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다른 구동수단으로는 이동하거나 파종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며, 경운기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파종기만을 별도로 이동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트랙터를 이용한 동력 파종기의 경우에는 먼저, 쟁기를 설치한 후, 고랑과 이랑을 일차적으로 먼저 형성하고, 쟁기를 떼어내고 비료를 주기 위한 작업을 해야 했으며, 비료를 공급한 후에는 알맞은 씨앗을 파종하는 작업이 뒤따랐고,계속해서 별도의 분무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일련의 작업들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왔으며, 과다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트랙터를 이용한 파종시에는 트랙터 운영비 및 인건비가 과다하게 지출되었고, 작업인력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여 인력의 낭비가 뒤따랐으며, 파종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쟁기로 논이나 밭을 갈고 비료를 뿌려줌과 동시에 씨앗을 파종하고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목적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여러 단계의 작업을 간단하게 한번에 할 수 있는 다목적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바퀴로 이동함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파종기에서 비료와 씨앗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인 파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다목적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씨앗이 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일정한 간격을 파종할 수 있는 다목적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목적 파종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다목적 파종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목적 파종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파종바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파종바퀴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고정플레이트
14 : 통공 16 : 바퀴고정 브라켓
18,22 : 축공 20,21 : 고정공
24 : 물탱크 26 : 제 1호퍼
28 : 제 2호퍼 30 : 쟁기몸체
32 : 제 1고정축 34 : 제 2고정축
36 : 보조 승강대 38 : 호스
40 : 밸브 42 : 앞바퀴
44 : 제 1파종바퀴 46 : 제 2파종바퀴
48 : 앞바퀴 축 50 : 제 1파종바퀴 축
52 : 제 2파종바퀴 축 54 : 제 1스프로킷
56 : 제 2스프로킷 58 : 제 3스프로킷
60 : 제 4스프로킷 62 : 제 1체인
64 : 제 2체인 66 : 외측바퀴
68 : 통공 70 : 내측바퀴
71 : 돌부 72 : 함체부
74 : 뚜껑
100 : 파종기 102 : 몸체부
104 : 쟁기 106 : 구동부
본 고안은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방향으로 다수의 바퀴고정 브라켓이 형성되고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을 상부에서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물탱크와, 제 1호퍼 및 제 2호퍼로 구성되어 밀고 다니면서 씨앗을 파종하는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앞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설치되고 전진방향에 따라 비료와 씨앗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의 사이에 이랑을 형성함과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호스를 구비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승강대가 설치된 쟁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면에 제 1스프로킷을 구비하는 앞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중단 하부에 설치되고, 일측부에 제 2 및 제 3스프로킷을 구비하며, 제 1체인에 의해 상기 앞바퀴와 연동해서 회전하는 제 1파종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고, 제 4스프로킷을 일측부에 구비하며, 제 2체인에 의해 상기 제 1파종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제 1파종바퀴와 연동해서 회전하는 제 2파종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파종바퀴는 일측부에 파종씨앗이 출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중공형상의 외측바퀴와; 상기 외측바퀴의 내측부에 내측바퀴가 설치되어 파종씨앗을 담을 수 있도록 함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바퀴에는 뚜껑을 설치하여 상기 뚜껑을 열고 닫음으로서 비료와 씨앗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목적 파종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다목적 파종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목적 파종기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파종바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파종바퀴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본 고안의 다목적 파종기(100)의 구조는 평행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0)의 상부에 물탱크(24)와 제 1호퍼(26) 및 제 2호퍼(28)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쟁기(10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상기 쟁기(104)가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 1호퍼(26) 및 제 2호퍼(28)와 연통되도록 구동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평행하게 위치된 한 쌍의 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고 중앙에 통공(14)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고정 플레이트(12)와, 상기 다수의 고정 플레이트(12)에 대응하여 하향되어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고 축공(18)이 형성되어 있는 바퀴고정 브라켓(16)으로 몸체부(102)가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에는 고정공(20) 및 고정공(21)이 일정한 간격을 띄고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의 전단부에는 축공(22)이 대응하여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의 연결하면서 고정되어 있는 고정 플레이트(12)의 상부에는 물탱크(24), 제 1호퍼(26) 및 제 2호퍼(28)가 상기 통공(14)에 위치하여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호퍼(26)에는 바람직하기로는 비료를 일정량 넣을 수 있고, 상기 제 2호퍼(28)에는 파종할 씨앗을 담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공(20) 및 고정공(21)에는 쟁기(10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쟁기(104)는 논이나 밭을 갈 수 있도록 삽이 하단부에 형성된 쟁기몸체(30)와, 상기 쟁기몸체(30)의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고정공(20)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 1고정축(32)과, 상기 고정공(21)에 횡방향으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 2고정축(34)과, 상기 쟁기몸체(30)와 제 2고정축(34)을 연결함과 동시에 고정시키고 상기 쟁기몸체(30)를 상하로 승강시켜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보조 승강대(36)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승강대(36)는 일단부가 디귿자(ㄷ)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에 상방향으로 다수의 핀공(도면부호도시안함)이 형성된 고정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고정축(34)에 끼워져서 상하 미끄럼 이동하면서 쟁기몸체(3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고정축(34)에 끼워진 보조 승강대(36)는 고정핀(도면부호도시안함)이 핀공에 끼워짐으로서 고정되어 진다.
본 고안에서는 보조 승강대(36)에 다수의 핀공을 형성하여 고정핀으로 고정하는 구성을 사용하였으나 나아가서는 장공을 형성하고 볼트, 너트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구성이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쟁기몸체(30)의 후부에는 상기 물탱크(24)와 연결되는 호스(38)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호스(38)의 중간부에는 밸브(40)가 설치되어 물탱크(24)의 물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에는 구동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06)는 상기 프레임(10)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앞바퀴(42)와, 상기 제 1호퍼(26)의 수직 하부에 상기 제 1호퍼(26)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 1파종바퀴(44)와, 상기 제 2호퍼(28)의 수직 하부에 상기 제 2호퍼(28)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 2파종바퀴(46)로 이루어진다.
상기 앞바퀴(42)의 중심에는 횡방향으로 앞바퀴 축(4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앞바퀴 축(48)은 상기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10)의 축공(22)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파종바퀴(44)의 중심에는 횡방향으로 제 1파종바퀴 축(5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파종바퀴 축(50)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고정 브라켓(16)에 형성된 축공(18)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파종바퀴(46)의 중심에는 횡방향으로 제 2파종바퀴 축(5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파종바퀴 축(52)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고정 브라켓(16)에 형성된 축공(18)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앞바퀴(42)의 앞바퀴 축(48)에는 제 1스프로킷(54)이 끼워져서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파종바퀴(44)의 제 1파종바퀴 축(50)에는 상기 제 1스프로킷(54)에 대응하는 동일한 크기의 제 2스프로킷(56)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스프로킷(56)의 측면에는 제 3스프로킷(5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파종바퀴(46)의 제 2파종바퀴 축(52)에는 상기 제 3스프로킷(58)과 대응하는 동일한 크기의 제 4스프로킷(6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제 1 및 제 2 스프로킷(54,56)에는 제 1체인(62)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앞바퀴(42)가 전진 회전함에 따라 제 1및 제 2스프로킷(54,56)이 회전하여 상기 제 1파종바퀴(44)를 함께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앞바퀴(42)와 제 1파종바퀴(44)의 회전비율은 4:1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 4 스프로킷(58,60)에는 제 2체인(64)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파종바퀴(44)가 전진 회전함에 제 3 및 제 4 스프로킷(58,60)이 회전하여 상기 제 2파종바퀴(46)를 함께 회전시킨다.
상기 제 1파종바퀴(44)와 제 2파종바퀴(46)는 동일한 회전비율로 회전된다.
상기 각각의 스프로킷들과 체인은 일측편만 설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면 모두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상기 제 1파종바퀴(44) 및 제 2파종바퀴(46)는 중공상태의 원형으로 형성되고, 네 곳에 통공(68)이 형성된 외측바퀴(66)와, 상기 외측바퀴(66)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바퀴(70)으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내측바퀴(70)는 원형의 바퀴에 네곳의 돌부(71)가 형성되어 물레방아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측바퀴(66)의 내측부를 네 곳으로 구분하여 함체부(72)를 형성한다.
상기 함체부(72)에는 상기 제 1호퍼(26) 및 제 2호퍼(28)에서 공급되는 비료 및 파종 씨앗들이 담겨지고, 상기 제 1 및 제 2파종바퀴(44,46)가 회점함에 따라 상부에서 비료와 씨앗을 받고 하부에 위치하여 비료와 씨앗을 뿌려준다.
상기 외측바퀴(66)에 형성된 통공(68)에는 뚜껑(7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뚜껑(74)을 열고 닫음으로서 함체부(72)에 담겨진 비료 또는 씨앗의 공급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파종기는 한번의 이동으로 여러 단계의 작업을 일시에 끝내게 됨으로서 작업이 빨라지고 생산효과가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고, 운영비 및 인건비가 절감됨과 동시에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적은 비용으로도 큰 수확을 얻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방향으로 다수의 바퀴고정 브라켓이 형성되고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을 상부에서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물탱크와, 제 1호퍼 및 제 2호퍼로 구성되어 밀고 다니면서 씨앗을 파종하는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앞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설치되고 전진방향에 따라 비료와 씨앗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의 사이에 이랑을 형성함과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호스를 구비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승강대가 설치된 쟁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파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면에 제 1스프로킷을 구비하는 앞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중단 하부에 설치되고, 일측부에 제 2 및 제 3스프로킷을 구비하며, 제 1체인에 의해 상기 앞바퀴와 연동해서 회전하는 제 1파종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고, 제 4스프로킷을 일측부에 구비하며, 제 2체인에 의해 상기 제 1파종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제 1파종바퀴와 연동해서 회전하는 제 2파종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파종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파종바퀴는 일측부에 파종씨앗이 출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중공형상의 외측바퀴와; 상기 외측바퀴의 내측부에 내측바퀴가 설치되어 파종씨앗을 담을 수 있도록 함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파종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바퀴에는 뚜껑을 설치하여 상기 뚜껑을 열고 닫음으로서 비료와 씨앗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파종기.
KR20-2004-0008146U 2004-03-24 2004-03-24 일관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파종기 KR200352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46U KR200352560Y1 (ko) 2004-03-24 2004-03-24 일관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46U KR200352560Y1 (ko) 2004-03-24 2004-03-24 일관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560Y1 true KR200352560Y1 (ko) 2004-06-05

Family

ID=4943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146U KR200352560Y1 (ko) 2004-03-24 2004-03-24 일관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5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2065A (zh) * 2021-01-25 2021-05-11 宁夏回族自治区原种场 一种用于小区域的四行小麦、水稻播种机
CN114885643A (zh) * 2022-04-28 2022-08-12 盐城工学院 一种高效的多功能播种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2065A (zh) * 2021-01-25 2021-05-11 宁夏回族自治区原种场 一种用于小区域的四行小麦、水稻播种机
CN112772065B (zh) * 2021-01-25 2024-04-09 宁夏回族自治区原种场 一种用于小区域的四行小麦、水稻播种机
CN114885643A (zh) * 2022-04-28 2022-08-12 盐城工学院 一种高效的多功能播种机
CN114885643B (zh) * 2022-04-28 2023-09-19 盐城工学院 一种高效的多功能播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05561U (zh) 一种多功能高效水稻直播机
CN101027954A (zh) 组合式多功能播种机
KR100421809B1 (ko) 직파기
CN202476073U (zh) 播种机
CN203761810U (zh) 谷物精密播种机
CN104365201A (zh) 一种带有旋耕装置的多功能栽苗机
CN201051769Y (zh) 组合式多功能播种机
CA1135125A (en) Grain drill
KR200352560Y1 (ko) 일관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파종기
CN2917218Y (zh) 机引化肥深施机
KR100740044B1 (ko) 비료의 두둑 줄 뿌림 장치
KR200432384Y1 (ko) 수레형 파종기
CN2260441Y (zh) 旱田播种机
KR100242746B1 (ko) 중괴경 작물 파종기의 배종 장치와 유압 시스템
CN102144445A (zh) 土豆播种机
CN2299439Y (zh) 多功能玉米施肥播种机
CN2607003Y (zh) 多功能水旱两用整地播种机
KR20200046312A (ko) 파종 장치
CN2348553Y (zh) 精播锄草组合式多功能作业机
CN211210414U (zh) 一种施肥、旋耕、精播一体机
CN108464088A (zh) 一种深度调节播种施肥机
CN2376707Y (zh) 通架式松耘耕播机
KR100433264B1 (ko) 파종기
CN102187757A (zh) 万能播种机
KR200263923Y1 (ko) 경운기 견인식 주아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