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780B1 -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780B1
KR100593780B1 KR1020050002289A KR20050002289A KR100593780B1 KR 100593780 B1 KR100593780 B1 KR 100593780B1 KR 1020050002289 A KR1020050002289 A KR 1020050002289A KR 20050002289 A KR20050002289 A KR 20050002289A KR 100593780 B1 KR100593780 B1 KR 100593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frame
transport
detache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이모
Original Assignee
정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이모 filed Critical 정이모
Priority to KR102005000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외(內外)에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반운반수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비닐하우스 천정 골조를 원지지대로 하여 그 하부에 이송레일(rail)(11)과 롤러(roller)(13, 13′)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와 지면방향으로 구성되는 이동프레임(15, 15′)을 연결하고, 상기 이동프레임에 운반수단을 간단하게 결착 시킬 수 있도록 탈착기(脫着機)(50, 50′)를 설치하여 비닐하우스 밖에서도 운반수단을 쉽게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반수단의 짐을 번거롭게 옮겨 싣지 않고도 한번에 비닐하우스 안팎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하였다.
비닐하우스, 운반수단, 운반장치

Description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The cart using in and out of vinyl-hou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비닐하우스 내부에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비닐하우스 외부에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탈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탈착기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탈착기의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300 : 비닐하우스 600 : 운반수단
30 : 비닐하우스 골조 60 : 운반수단골조
10 : 지지프레임 11 : 이송레일
12 : 브래킷 13, 13′ : 롤러
15, 15′ : 이동프레임 50, 50′ : 탈착기
51, 51′ : 중공부 52, 52′ : 탈착기 조절바
53, 53′ : 걸림홈 62, 62′ : 탈착기 걸림바
20 : 바퀴 21 : 바퀴연결바
h: 요홈부 h' : 결합홈
b : 볼트 n : 너트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에서 수확한 농작물을 외부로 옮기거나 비료 및 각종 농자재를 비닐하우스 안팎으로 옮길 때 사용하는 다용도의 운반기구에 관한 것으로,
비닐하우스 천정 골조를 원지지대로 하여 이송레일을 연결하고 이송레일 위를 움직이는 롤러를 운반수단과 연결하여 사용하면 비닐하우스 내부에서는 작은 힘을 들여도 쉽게 운반수단을 운전할 수 있고, 롤러와의 연결을 해체하면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사용하던 운반수단을 외부에서도 그대로 사용하여 목적지까지 이송 가능한 비닐하우스 내외겸용 운반수단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농작물 및 관련 자재들의 운반을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운반수단을 사용하여 왔으나, 외발운반수단의 경우는 물품수용공간이 비효율적이고 균형을 잡기가 어려우며 특히 비닐하우스 내의 좁은 고랑 사이를 운전하는 것은 익숙하지 않 으면 매우 힘이 드는 단점이 있고, 바퀴가 여러 개인 큰 운반수단의 사용은 비닐하우스 내의 좁은 환경 때문에 부적절하다.
이에 비닐하우스 내에서 물건을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는 다수 출원되어 있는 상태로, 예를 들어 실용등록 제0348068호는 고정지지부, 이송걸이부, 연결대, 적재대로 구성되어 비닐하우스 천정부분에 고정 설치된 골조파이프의 하부에 평행하게 연결 설치된 이송레일 위로 운반장치가 이동되도록 되어있고 연결체인에 적재대가 연결되어 있어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와 반대로 실용등록 제0339615호는 비닐하우스용 작업대를 겸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닐하우스 고랑에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운반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확한 작물 및 각종 도구, 퇴비 등을 운반수단에 적재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비닐하우스 내에서 레일을 이용한 운반장치는 다수 있으며 기능을 추가하여 레일을 개량 고안한 출원 또한 상당한 실정으로, 실용등록 제0353449호는 비닐하우스용 레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비닐하우스의 기본 골조인 종방향 골조에 착탈되는 상부결합링과 레일에 착탈되는 하부결합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 바디 내측 중앙지점에 받침편과 그 상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탄성클립을 설치하고 이를 일체화함으로써 상기 받침편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내의 각종 배 선, 덕트 등을 정리 또는 지지하는 기능을 부가한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이송장치들은 비닐하우스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비닐하우스 입구에서 비료 및 각종 농자재를 상기 이송장치에 실어 비닐하우스 내부로 옮기고, 비닐하우스에서 수확한 농산물을 상기 이송장치에 싣고 또 비닐하우스 입구까지지만 수송할 수 있으므로, 비닐하우스 입구에서는 다시 또 다른 이송장치에 옮겨 싣고 다른 곳으로 이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매우 컸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내외에서 겸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송장치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라 하겠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레일과 롤러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이송창치에서 착안하여, 고랑 위를 바퀴로 이동운반수단(600)을 사용하고 상기 운반수단의 정면과 후면부로 이동프레임(15, 15′)을 연결함에 있어 탈착기(着脫機)(50, 50′)를 구성함으로써,
비닐하우스(300) 내부에서 사용할 때에는 이동프레임(15, 15′)과 탈착기(50, 50′), 이동수단에 구성되는 탈착기 걸림바(62, 62′)를 일체화로 연결하여 비닐하우스 천정에 설치한 이송레일(11)을 따라 운반수단이 이동하도록 하고, 비닐하우스(300) 외부에서 사용할 때에는 탈착기 걸림바(62, 62′)를 빼내어 운반수단(600)만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비닐하우스(300) 내부에서 수거된 운반 물을 외부의 운반수단으로 옮길 필요 없이, 상기 탈착기(50, 50′)를 분리함으로 비닐하우스(300) 내부에서의 운반수단을 그대로 연속하여 비닐하우스(300) 외부까지도 운반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창안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비닐하우스 내부에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비닐하우스 외부에서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탈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탈착기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탈착기의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정면도로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비닐하우스 내(內)에서의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운반수단(600)이 고랑에서 롤러(13, 13′)의 움직임을 따라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고랑사이로 움직이는데 그 전체 구성은,
이동부(移動部)와 관련하여서는 기존에 공지된 다수의 기술과 공용의 기술들을 적용함이 용이하며, 여러 기술 중 본 발명에서 이해를 돕고자 예로서 설명하면,
비닐하우스 골조(30)를 원지지대(原支支代)로 하여 상기 골조(30)와는 수직으로 비닐하우스 한 동 길이만큼 단면이 원 또는 사각의 도넛형인 지지프레임(10)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 바로 아래에 일정공간을 두고 평행하게 이송레 일(11)을 위치시켜, 상기 지지프레임(10)과 이송레일(11)을 일정간격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브래킷(bracket)(12)으로 고정시키고, 이송레일(11) 위에 이송롤러(13, 13′)를 위치시킴으로써 구성된다.
이동부와 운반수단(600)과의 연결은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탈착기(50, 50′)를 이용하는 바, 상기 이송롤러(13, 13′)와 지면방향으로 구성되는 긴 막대모양의 이동프레임(15, 15′)이 연결 구성되는데, 이동프레임(15, 15′)에는 운반수단이 닿는 지면과 비닐하우스 천정사이의 간격에 따라 높이를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이동프레임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요홈부(h)가 구성되고,
도 2,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 높이에서 이동프레임(15, 15′)과 결착 및 탈착이 가능한 탈착기(50, 50′)를 결합부재로서 선택 결합시키는데, 탈착기(50, 50’)는 이동프레임(15, 15′) 상에서 위치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이 통과 되는 중공부(51)가 구성되고, 일측으로 결합홈(h')을 구성하여 이동프레임의 요홈부(h)와는 핀 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다양한 결합방법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볼트와 너트를 통한 결합을 예로 도시하여 이동프레임의 요홈부(h)로 볼트(b)를 삽입하고 반대편에 너트(n)로 조여서 일체화시킴을 예로서 도시하였다. 또한 운반수단이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걸림홈(53)을 구성하여 운반수단에 별도 구성되는 걸림수단이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탈착부와 운반수단(600)이 용이하게 결착되게 하기 위하여서는 앞뒤 양쪽에 상기 이동프레임과 대응되는 운반수단의 위치에 탈착기 걸림바(62, 62′)를 구성하여 T자형의 탈착기 걸림바(62, 62′)의 머리부가 상기 탈착기(50, 50′)의 걸림홈(53, 53′)에 간편하게 걸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비닐하우스 외부(外部)에서의 사용상태를 도식한 것으로, 탈착기(50, 50′)를 작동하여 운반수단(600)과 이동프레임(10)을 해체함으로써 운반수단(600)을 분리하여 비닐하우스(300) 외부에서도 비닐하우스(300) 내부에서 수거된 운반물을 연속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5는 이동수단(600)을 비닐하우스(300) 내부와 외부에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탈착기(50, 50′)를 통한 결합 및 해제 상태를 통한 작동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4에서 보여 지는 것과 같이, 운반수단(600)과 이동프레임(15, 15′)의 결착높이에 맞게 탈착기(50,50’)를 우선 이동프레임에 결착시키고, 탈착기의 걸림홈(53,53′)에 운반수단에 구성되어진 탈착기 걸림바(60,60’)를 앞뒤로 각각 걸어 고정시켜,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수거물을 운반수단에 담거나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일체화 상태에서 걸림상태를 해제하고 할 시에는 탈착기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면(<1>) 탈착기(50, 50′) 전체가 위로 들어올려져 이 때 운반수단골조(60)에 연결된 탈착기 걸림바(62, 62′)가 걸림홈(53, 53′)에서 빠지게 되면(<2>) 운반수단(600)만 분리됨으로써 비닐하우스(300) 내외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탈착기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손잡이인 조절바(52, 52′)를 구성하여 보다 쉽게 탈착기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바(62, 62′)를 탈착기(50, 50')의 걸림홈(53, 53’)내부로 삽입하여 걸어두면 운반수단과 결착하여 사용할 시 걸림홈(53, 53′)의 입구측으로 걸림턱 및 다양한 공지의 걸림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걸림바의 이탈을 억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정면에서 도시한 것으로운반수단(600)의 앞뒤 골조(60)의 가운에 부분에 각각 이동프레임(15, 15′)이 연결 구성되어 이동프레임과 롤러는 2쌍이 된다.
본 발명의 모든 골조, 프레임, 바의 소재는 알루미늄(aluminium)의 사용을 권하는 바, 알루미늄은 금속으로서 전성과 연성이 크고 비중이 작으며 내식성이 뛰어나고 가벼운 장점이 있어 상기 소재로 본 발명을 구성하면 다른 철과 같은 금속재 보다 제조과정이 수월하고 무엇보다 가벼워서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을 통하여, 하나의 운반수단으로서 비닐하우스 안에서는 레일과 롤러의 사용으로 인하여 작은 힘으로도 편리하게 무거운 각종 물건을 수송할 수 있고 비닐하우스 밖에서는 일반 손수레(운반수단)처럼 자유로운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비닐하우스 내외의 이송작업이 분리되어 있던 것에 비하면 작업과정이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그만큼 편리해지고 작업시간도 단축이 되며 한 대의 운반수단으로 모든 이송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효과까지 있는 등 본 발명의 편리함으로 인한 시설농가에의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 하겠다.










Claims (5)

  1. 비닐하우스의 천정골조를 원지지대로 하여 이송레일(11)과 롤러(13, 13′)를 설치하고, 이동프레임을 통하여 롤러를 바퀴를 가진 운반수단과 연결하여 비닐하우스용 레일을 가이드로 하여 운반하며 작업 할 수 있는 운반장치에 있어서,
    운반수단(600)과 이동프레임(15, 15′)의 결착 시, 운반수단(600)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전후부에 각각 구성되며, 운반수단(600)과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기(50, 50′)를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운반수단에 구성된 걸림장치를 선택결합 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운반수단(600)이 이송레일(11)상에서 움직이거나, 비닐하우스(300)의 외부로도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탈착기(50, 50′)는 이동프레임(15, 15′) 상에서 위치 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이 통과되는 중공부(51)와,
    일측으로 이동프레임의 요홈부(h)와 핀 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다양한 결합방법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h')과,
    운반수단(600)에 구성되는 걸림장치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걸림홈(53)을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 반수단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이동프레임(15, 15′)은 이동수단(600)의 걸림장치가 결착되는 높이에 따라 탈착기(50, 50′)가 선택적으로 이동프레임(15, 15’)에 결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홈부(h)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걸림장치는 상기 탈착기(50, 50′)와 운반수단(600)이 용이하게 결착되게 하기 위하여 앞뒤 양쪽에 상기 이동프레임(15, 15′)과 대응되는 운반수단(600)의 위치에 탈착기 걸림바(62, 62′)를 구성하여 T자형의 탈착기 걸림바(62, 62′)의 머리부가 상기 탈착기(50, 50′)의 걸림홈(53, 5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걸림홈(53, 53′)은 T자형의 탈착기 걸림바(62, 62′)의 걸림 시 쉽게 이탈 되지 않도록 걸림홈(53, 53′)의 입구에 걸림턱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KR1020050002289A 2005-01-10 2005-01-10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KR100593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289A KR100593780B1 (ko) 2005-01-10 2005-01-10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289A KR100593780B1 (ko) 2005-01-10 2005-01-10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711U Division KR200379670Y1 (ko) 2005-01-11 2005-01-11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3780B1 true KR100593780B1 (ko) 2006-06-30

Family

ID=3718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289A KR100593780B1 (ko) 2005-01-10 2005-01-10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7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35Y1 (ko) 2009-02-13 2011-11-04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비닐하우스용 운반 장치
KR20180012103A (ko) * 2016-07-26 2018-02-05 배기웅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KR20200027614A (ko) * 2018-09-04 2020-03-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35Y1 (ko) 2009-02-13 2011-11-04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비닐하우스용 운반 장치
KR20180012103A (ko) * 2016-07-26 2018-02-05 배기웅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KR101941267B1 (ko) * 2016-07-26 2019-01-23 오종찬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KR20200027614A (ko) * 2018-09-04 2020-03-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102101955B1 (ko) * 2018-09-04 2020-04-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919B2 (en) Extendable and collapsible apparatus that supports attachable components
US6347731B1 (en) Easily removable pickup truck bed rack
US6874804B2 (en) Universal hitch and receiver assembly
US6659476B2 (en) Horse tack cart
US20050104308A1 (en) Secure cargo transporter
US9643631B2 (en) Hand truck exchangeable tool attachment method
ITTO20110800A1 (it) Dispositivo porta-biciclette per autoveicoli
RU2010128549A (ru) Складная тележка для покупок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покупок от магазина к машине и от машины к дому
US20090224498A1 (en) Wire and Cable Assembly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KR100593780B1 (ko)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US9694759B1 (en) Hitch mounted accessory rack system
US11648991B2 (en) Quick-detach storage system with configurable compartments for pickup truck bed
US20170320530A1 (en) Luggage carrier
US20170036718A1 (en) Modular trailer
US9114758B1 (en) Convertible cargo carrier and cart system
US20110259931A1 (en) Auxiliary rack for an ATV
KR200379670Y1 (ko)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DE102005034313B4 (de) Als Sack- und Schubkarre verwendbare Transportkarre
US20180009493A1 (en) A modular cycle storage apparatus
US9663183B1 (en) Towing frame for a bicycle
US8636155B2 (en) Pivotally mounted storage apparatus
US20090302077A1 (en) Bicycle Rack for Pick-up Trucks
US7261271B1 (en) Folding wire reel carrier
DE102005046125B4 (de) Klappbares Dreirad-Fahrgestell
CN210852564U (zh) 一种可调节护栏和拉杆的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