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614A -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614A
KR20200027614A KR1020180105488A KR20180105488A KR20200027614A KR 20200027614 A KR20200027614 A KR 20200027614A KR 1020180105488 A KR1020180105488 A KR 1020180105488A KR 20180105488 A KR20180105488 A KR 20180105488A KR 20200027614 A KR20200027614 A KR 20200027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frame
lifting
mov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955B1 (ko
Inventor
하유신
김기성
김윤수
최형욱
엄준식
이상원
채승현
김준희
김지헌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9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61C3/02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with electric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5Absolute localisation, e.g. providing geodetic coordi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비닐하우스 내에 구비된 안내레일 상에서 자동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 운반부의 밑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바퀴부를 하강시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작업자가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 내에 마련된 안내레일 상에서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전,후에 마련되는 각각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승강부에 의해 승강 가능하면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운반부; 및 상기 운반부의 밑면에 그 운반부에 올려지는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 이동바퀴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비닐하우스 내에서 운반작업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운반에 따른 안내레일의 변형을 방지하여 운반장치의 원활한 운행은 물론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Carrier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에 구비된 안내레일 상에서 자동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 운반부의 밑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바퀴부를 하강시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작업자가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내부 온도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농작물의 적정한 환경을 조성하여 동절기는 물론 하절기에도 필요로 하는 농작물을 속성으로 재배할 수 있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비교적 폭은 물론 길이가 길게 설치되어, 농작물 재배를 위한 각종 농자재 또는 수확된 농작물을 외부로 반출하기에 여러 불편한 단점을 가짐에 따라 비닐하우스 내에 설치되는 안내레일을 통하여 운반을 위한 운반장치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비닐하우스 내에 구비되는 운반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3870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손수레를 운반수단으로 이용하면서 비닐하우스 내에서의 이동을 위한 손수레의 결합 및 외부 반출을 위한 손수레의 분리가 큰 힘 들이지 않고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210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운반대의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비닐하우스의 종류나 높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비닐하우스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비닐하우스에 재배하는 작물의 종류, 작업종류 등에 따라 운반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에 사용가능 한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650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운반장치 운행에 따른 진동을 억제하고, 레일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골조 파이프의 간격이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레일에 굴곡이나 요철이 존재해도 수레가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좌우 두 개의 구동륜을 갖게 하는 것은 물론 비닐하우스 재배농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온실용 골조 파이프를 레일로 활용하여 설치비를 줄이고 전동으로 구동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를 리모콘으로 조정함으로써 재배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용 운반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387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210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650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2는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밀거나 견인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사용상에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은 물론 작업자가 운반장치와 간섭이나 충돌 등에 의해 간혹 사고가 발생하는 단점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은 자동 운행에 따른 편리성을 가질 수 있으나, 설치 구조가 상당히 복잡한 단점과 함께 중량이 무거운 운반물의 경우, 안내레일이 처짐으로 인한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비닐하우스 내에 구비된 안내레일 상에서 자동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 운반부의 밑면에 틸팅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바퀴부를 하강시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작업자가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작업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운반장치의 운전과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운반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운반부의 탈착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비닐하우스 내에 마련된 안내레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운반장치로서, 상기 운반장치는 안내레일 상에서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전,후에 마련되는 각각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승강부에 의해 승강 가능하면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운반부; 및 상기 운반부의 밑면에 그 운반부에 올려지는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 이동바퀴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후에 각 브래킷에 의해 안내레일 상에서 구름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각각의 구동부인 각각의 인휠모터, 상기 각 인휠모터 사이에 그 인휠모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인휠모터의 제어와 신호에 의해 구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휠모터의 하부에 그 인휠모터가 안내레일로부터 이탈 또는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 롤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이동프레임의 선단과 말단에 이동 후 정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각각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인휠모터의 구동 여부의 제어와 함께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GPS 모듈이 내장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는 이중관 형태로, 이동프레임의 전후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 프레임, 상기 각 고정 프레임에 내장되는 각 스프링, 상부가 상기 각 고정 프레임으로 삽입되고 하부는 상기 운반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 승강 프레임, 상기 각 스프링의 밑면과 승강 프레임은 고정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면 면에 형성된 장홈 상에서 가이드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각각의 스토퍼 부재에 의해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운반부는 승강 프레임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며 일면에 손잡이 프레임이 구비되는 운반 플레이트, 상기 운반 플레이트의 밑면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이동바퀴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이동바퀴부, 상기 운반 플레이트와 이동바퀴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리프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프레임과 운반부의 탈착은 각 승강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걸림홈, 상기 운반 플레이트에 승강 프레임의 하단이 삽입되는 각각의 장착공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공의 밑면에 형성되는 장착링 상에 상기 각 걸림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잠금과 해제되는 탈착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부는 상단이 상기 운반 플레이트의 밑면에서 스프링 핀에 의해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걸림홈으로 잠금 또는 해제되는 각각의 잠금돌기, 상기 각 잠금돌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가 상기 운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에 구비되는 작동 손잡이와 연결되어 잠금 또는 해제되게 마련된다.
상기 리프팅부는 운반 플레이트와 이동바퀴 플레이트 사이의 양측에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링크, 일단이 상기 연결링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바퀴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용 유무를 제어하는 풋페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에 구비된 안내레일 상에서 자동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 운반부의 밑면에 틸팅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바퀴부를 하강시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작업자가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에서 운반작업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운반에 따른 안내레일의 변형을 방지하여 운반장치의 원활한 운행은 물론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작업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운반장치의 운전과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작업이 더욱더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운반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 조건, 즉 작물과의 간섭됨 없이 안전하게 운반이 이루어져 작물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운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운반부의 탈착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내레일 상에서 뿐만 아니라 운반부를 별도로 분리하여 수레와 같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운반부의 저면 사시도 및 일부 확대 발췌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리프팅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며,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운반부의 저면 사시도 및 일부 확대 발췌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리프팅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통상적인 비닐하우스(도시하지 않음)에는 그 비닐하우스에 마련된 안내레일(R)로부터 이동되면서 농작물 재배를 위한 각종 농자재 또는 수확된 농작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운반장치(1)가 마련된다.
허 나, 종래 비닐하우스에 구비되는 운반장치는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밀거나 견인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사용상에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은 물론 작업자가 운반장치와 간섭이나 충돌 등에 의해 간혹 사고가 발생하는 단점도 가진다.
아울러 안내레일 상에서 자동 운행 가능한 운반장치로 제시되었으나, 이는 설치 구조가 상당히 복잡한 단점과 함께 중량이 무거운 운반물의 경우, 안내레일이 처짐으로 인한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에 구비된 안내레일 상에서 자동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 운반부의 밑면에 틸팅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바퀴부를 하강시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작업자가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운반장치(1)는 안내레일(R) 상에서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전,후에 마련되는 각각의 구동부(12)를 포함하는 이동수단(10)과; 상기 이동수단(10)의 하부에 승강부(22)에 의해 승강 가능하면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운반부(20); 및 상기 운반부(20)의 밑면에 그 운반부(20)에 올려지는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 이동바퀴부(32)를 승강시키는 리프팅부(3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이동수단은 작업자 또는 통상적인 중앙제어시설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안내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함에 따라 조작의 편리성은 물론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운반부(20) 또한 승강부(22)에 의해 승강 가능한 조건으로 인해 운반 양 또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 따라 적정한 높이로 조절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팅부는 운반부에서 올려진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 이동바퀴부를 지면으로 닿도록 하여 운반장치의 이동시 운반물의 하중에 의해서도 안내레일이 처짐이나 변형됨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운반부는 이동수단으로부터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이 완료된 시점에서 운반부를 이동수단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이동바퀴부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장소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운반장치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작업자로 하여금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운반이 완료된 시점에서 운반부 자체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이동수단(10)은 안내레일(R)의 길이 방향으로 올려질 수 있는 통상적인 바(bar) 형태의 이동프레임(14)과, 상기 이동프레임(14)의 전,후에 통상적인 각 브래킷(13)에 의해 안내레일(R) 상에서 구름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각각의 구동부(12)인 통상적인 각각의 인휠모터(12A)와, 상기 각 인휠모터(12A) 사이에 그 인휠모터(12A)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통상적인 배터리(15), 및 상기 인휠모터(12A)의 제어와 신호에 의해 구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통상적인 제어박스(16A)를 포함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인휠모터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별도의 구동원과 구름 바퀴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이동 가능한 기능을 가짐으로 인해 이동수단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함은 물론 경량화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중앙제어시실 등에서 제어 가능한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그로 인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부인 인휠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운반장치를 필요로 하는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휠모터(12A)의 하부에 그 인휠모터(12A)가 안내레일(R)로부터 이탈 또는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 롤러부(12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 롤러부는 인휠모터가 장착되는 브래킷에 통상적인 프레임 또는 브래킷 등에 의해 장착되어 인휠모터가 안내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부로 이탈이나 틸팅 등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제어부(16)에는 이동프레임(14)의 선단과 말단에 이동 후 정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상적인 리밋 스위치 등과 같은 각각의 감지센서(17)를 더 포함한다.
그로 인해 운반장치가 이동되어 멈추어야 하는 위치에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정확하고 안전하게 정지가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또, 상기 제어부(16)에는 작업자의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상기 인휠모터(12A)의 구동 여부의 제어와 함께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지된 GPS 모듈(18)이 내장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에 따라 작업자가 운반장치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원하는 어떠한 위치로 이동은 물론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편리성 또한 제공한다.
승강부(12)는 통상적인 이중관 형태로, 이동프레임(14)의 전후에 형성된 통상적인 파이프 형태인 각각의 고정 프레임(22A)과, 상기 각 고정 프레임(22A)에 내장되는 각 스프링(22B)과, 상부가 상기 각 고정 프레임(22A)으로 삽입되고 하부는 상기 운반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 승강 프레임(22C)과, 상기 각 스프링(22B)의 밑면과 승강 프레임(22C)은 고정 프레임(22A)의 서로 마주보면 면에 형성된 장홈(22D) 상에서 가이드 프레임(22E)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22E)의 외측면에는 고정 프레임()22A에 고정되는 통상적인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각각의 스토퍼 부재(22F)에 의해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 부재가 결합되는 측의 고정 프레임에는 스토퍼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나 장방형 형태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작업자가 운반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할 때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잡고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승강부는 운반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작물의 재배 조건에 따라 운반부의 높이를 고정 프레임 상에서 승강 프레임을 높이를 조절한 후 스토퍼 부재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운반부가 작물과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운반부(20)는 승강 프레임(22C)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며 일면에 손잡이 프레임(23)이 구비되어 운반하고자 하는 운반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운반 플레이트(24)와, 상기 운반 플레이트(24)의 밑면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32A)가 구비되는 이동바퀴 플레이트(32B)로 구성되는 이동바퀴부(32)와, 상기 운반 플레이트(24)와 이동바퀴 플레이트(32B) 사이에 마련되는 리프팅부(3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운반부는 운반물을 올려놓고 운반할 수 있는 용도 이외에 승강 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짐에 따라 운반부 만을 독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운반부는 밑면에 구비되는 이동바퀴부에 의해 별도의 운반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운반장치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운반 수레와 같은 용도로도 사용 가능함에 따라 사용의 다양성도 추구할 수 있다.
한편, 승강 프레임(22C)과 운반부(20)의 탈착은 각 승강 프레임(22C)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걸림홈(22C-1)과, 상기 운반 플레이트(24)에 승강 프레임(22C)의 하단이 삽입되는 각각의 장착공(24A)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공(24A)의 밑면에 형성되는 장착링(24B)에 상기 각 걸림홈(22C-1)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잠금과 해제되는 탈착부(25)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탈착부(25)는 상단이 상기 운반 플레이트(24)의 밑면에서 스프링 핀(25A)에 의해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25B)에 의해 상기 걸림홈(22C-1)으로 잠금 또는 해제되는 각각의 잠금돌기(25C)와, 상기 각 잠금돌기(25C)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25D)가 상기 운반 플레이트(24)에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23)에 구비되는 작동 손잡이(25E)와 연결되어 잠금 또는 해제되게 마련된다.
상기에서, 토션 스프링의 일측은 잠금돌기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운반 플레이트 등의 밑면에 고정된다.
상기 작동 손잡이는 양측에 손잡이와 통상적인 스프링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승강 작동에 따라 와이어가 당김 또는 밀림에 의해 잠금돌기를 슬라이딩시켜 승강 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잠금돌기를 인입 또는 인출시켜 잠금 또는 해제시킨다.
그로 인해 승강 프레임으로부터 운반부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탈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에 따라 운반부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리프팅부(30)는 운반 플레이트(24)와 이동바퀴 플레이트(32B) 사이의 양측에 통상적인 리프트 등과 같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링크(30A)와, 일단이 상기 연결링크(30A)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바퀴 플레이트(32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실린더(30B), 및 상기 유압실린더(30B)의 작용 유무를 제어하는 풋페달(30C)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리프팅부는 운반부를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할 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운반시 운반부에 무거운 중량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가 풋패달을 발아, 이동바퀴부를 지면으로 맞닿아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중량에 의한 운반장치에 의해 안내레일이 휘거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에 따라 운반장치의 이동에 따른 운반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1 : 운반장치
10 : 이동수단 12 : 구동부
12A : 인휠모터 13 : 브래킷
14 : 이동프레임 15 : 배터리
16 : 제어부 16A : 제어박스
17 : 감지센서 18 : GPS 모듈
20 : 운반부 22 : 승강부
22A : 고정 프레임 22B : 스프링
22C : 승강 프레임 22C-1 : 걸림홈
22D : 장홈 22E : 가이드 프레임
22F : 스토퍼 부재 23 : 손잡이 프레임
24 : 운반 플레이트 24A : 장착공
24B : 장착링 25 : 탈착부
25A : 스프링 핀 25B : 토션 스프링
25C : 잠금돌기 25D : 와이어
25E : 작동 손잡이 30 : 리프팅부
30A : 연결링크 30B : 유압실린더
30C : 풋페달 32 : 이동바퀴부
32A : 이동바퀴 32B : 이동바퀴 플레이트

Claims (10)

  1. 비닐하우스 내에 마련된 안내레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운반장치로서,
    상기 운반장치는 안내레일 상에서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전,후에 마련되는 각각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승강부에 의해 승강 가능하면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운반부; 및
    상기 운반부의 밑면에 그 운반부에 올려지는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 이동바퀴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후에 각 브래킷에 의해 안내레일 상에서 구름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각각의 구동부인 각각의 인휠모터, 상기 각 인휠모터 사이에 그 인휠모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인휠모터의 제어와 신호에 의해 구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휠모터의 하부에 그 인휠모터가 안내레일로부터 이탈 또는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이동프레임의 선단과 말단에 이동 후 정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각각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인휠모터의 구동 여부의 제어와 함께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GPS 모듈이 내장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이중관 형태로, 이동프레임의 전후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 프레임, 상기 각 고정 프레임에 내장되는 각 스프링, 상부가 상기 각 고정 프레임으로 삽입되고 하부는 상기 운반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 승강 프레임, 상기 각 스프링의 밑면과 승강 프레임은 고정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면 면에 형성된 장홈 상에서 가이드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각각의 스토퍼 부재에 의해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는 승강 프레임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며 일면에 손잡이 프레임이 구비되는 운반 플레이트, 상기 운반 플레이트의 밑면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이동바퀴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이동바퀴부, 상기 운반 플레이트와 이동바퀴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과 운반부의 탈착은 각 승강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걸림홈, 상기 운반 플레이트에 승강 프레임의 하단이 삽입되는 각각의 장착공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공의 밑면에 형성되는 장착링 상에 상기 각 걸림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잠금과 해제되는 탈착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단이 상기 운반 플레이트의 밑면에서 스프링 핀에 의해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걸림홈으로 잠금 또는 해제되는 각각의 잠금돌기, 상기 각 잠금돌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가 상기 운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에 구비되는 작동 손잡이와 연결되어 잠금 또는 해제되게 마련되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운반 플레이트와 이동바퀴 플레이트 사이의 양측에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링크, 일단이 상기 연결링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바퀴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용 유무를 제어하는 풋페달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1020180105488A 2018-09-04 2018-09-04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10210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88A KR102101955B1 (ko) 2018-09-04 2018-09-04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88A KR102101955B1 (ko) 2018-09-04 2018-09-04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614A true KR20200027614A (ko) 2020-03-13
KR102101955B1 KR102101955B1 (ko) 2020-04-21

Family

ID=6993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488A KR102101955B1 (ko) 2018-09-04 2018-09-04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454A (ko) * 2021-01-06 2022-07-13 주식회사 핸디팜 넝쿨식물 식생용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스마트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745B1 (ko) 2021-04-27 2021-12-15 경상북도 김천시(김천시농업기술센터장) 시설하우스용 전동식 이송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650Y1 (ko) 1999-09-10 2000-09-01 유재옥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100593780B1 (ko) * 2005-01-10 2006-06-30 정이모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KR20070016449A (ko) * 2005-08-03 2007-02-08 한경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팀 청소기용 손잡이
KR20100041932A (ko) * 2008-10-15 2010-04-23 주식회사 미래인도 무인 전동운반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143870B1 (ko) 2010-04-07 2012-05-09 이선학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20120103332A (ko) * 2011-03-10 2012-09-19 서애영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KR20150122932A (ko) * 2014-04-24 2015-11-03 오미경 살포용 무인방제기
KR101735537B1 (ko) * 2015-12-31 2017-05-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카트
KR20180012103A (ko) 2016-07-26 2018-02-05 배기웅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650Y1 (ko) 1999-09-10 2000-09-01 유재옥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100593780B1 (ko) * 2005-01-10 2006-06-30 정이모 비닐하우스 내외 겸용 운반수단장치
KR20070016449A (ko) * 2005-08-03 2007-02-08 한경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팀 청소기용 손잡이
KR20100041932A (ko) * 2008-10-15 2010-04-23 주식회사 미래인도 무인 전동운반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143870B1 (ko) 2010-04-07 2012-05-09 이선학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20120103332A (ko) * 2011-03-10 2012-09-19 서애영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KR20150122932A (ko) * 2014-04-24 2015-11-03 오미경 살포용 무인방제기
KR101735537B1 (ko) * 2015-12-31 2017-05-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카트
KR20180012103A (ko) 2016-07-26 2018-02-05 배기웅 비닐하우스 내의 다용도 변형 운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454A (ko) * 2021-01-06 2022-07-13 주식회사 핸디팜 넝쿨식물 식생용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스마트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955B1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5162A1 (en) Apparatus for Pivoting a Platform of a Treadmill
KR102101955B1 (ko)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JP2010208790A5 (ko)
KR102064823B1 (ko) 육묘상자 운반장치
US3327875A (en) Lift truck having battery removal apparatus
KR101249510B1 (ko) 리프트형 상차 컨베이어장치
CN103818834A (zh) 装卸机、车载式装卸车和行走式装卸车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ATE337200T1 (de) Anhänger mit hebeeinrichtung für container
US7841603B2 (en) Hand truck
CN111908080B (zh) 一种胶带式铺席工装结构及操作方法
KR20100002966U (ko)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KR102494892B1 (ko) 이동형 레일리프터
KR101507963B1 (ko)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CN209321001U (zh) 一种推车
KR100933921B1 (ko) 탈착 가능한 유압식 적재함을 갖는 다목적 트레일러
KR101148524B1 (ko) 소금 채취용 발란싱 장치
CN219566544U (zh) 一种可拆卸的遥控升降式温室轨道运输车
JP2020189714A (ja) 荷搬送作業車
KR101809632B1 (ko) 리프트 캐리어
KR101670614B1 (ko)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CN218202078U (zh) 移动装置及操作平台
KR101598487B1 (ko) 과수용 작업차
CN214693077U (zh) 一种多功能拖料车搬运平台
CN216145729U (zh) 一种电池包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