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332A -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332A
KR20120103332A KR1020110021536A KR20110021536A KR20120103332A KR 20120103332 A KR20120103332 A KR 20120103332A KR 1020110021536 A KR1020110021536 A KR 1020110021536A KR 20110021536 A KR20110021536 A KR 20110021536A KR 20120103332 A KR20120103332 A KR 2012010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horizontal frame
pair
roller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애영
Original Assignee
서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애영 filed Critical 서애영
Priority to KR102011002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3332A/ko
Publication of KR2012010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무선 조정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이송장치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와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결합된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결합된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에 고정되는 이송 롤러(111a, 111b) 및 종동 롤러(12a, 12b); 수평 프레임 부재(F1) 또는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에 고정되고 모터(M)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 롤러(15); 구동 롤러(15)의 동력을 한 쌍의 종동 롤러(12a, 12b)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13); 동력 전달 수단(13)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4); 무선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어 장치(16);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1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Apparatus Used in Vinyl House and Agricultural Pesticide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무선 조정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란 폴리에틸렌과 같은 소재로 외벽을 구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여 농작물 또는 다른 식물이 속성으로 재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말한다.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성장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영양소가 제공될 필요가 있고 일정 온도의 유지를 위하여 보일러와 같은 난방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또한 병충해의 방지를 위하여 농약 또는 제조체가 살포될 필요가 있으며 수확이 된 농작물의 이송과 관련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비닐하우스 내에서 식물재배에 필요한 다양한 활동에서 농약 또는 제초제의 살포와 농작물의 이송은 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활동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면 농약의 살포는 농약 중독이라는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고 수확물의 이송은 생산성이 감소라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비닐하우스의 농작물 재배를 위한 활동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농약 또는 제초제의 살포 및 수확물의 이송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무선 조정에 의하여 이동이 제어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무선 조정에 의하여 이동이 제어되어 자동으로 농약의 살포가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자동 농약 살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수평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수직 프레임 부재; 수평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장착 기기; 한 쌍의 장착 기기에 고정되는 이송 롤러 및 종동 롤러; 수평 프레임 부재 또는 수직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고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 롤러; 구동 롤러의 동력을 한 쌍의 종동 롤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 동력 전달 수단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 무선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어 장치;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동력 전달 수단(13)은 타이밍 벨트(timing belt)가 되고 가이드 롤러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닐하우스용 농약 살포기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수평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수직 프레임 부재; 수평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장착 기기; 한 쌍의 장착 기기에 고정되는 이송 롤러 및 종동 롤러;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 롤러; 구동 롤러의 동력을 한 쌍의 종동 롤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 동력 전달 수단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 무선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어 장치;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 수평 프레임 부재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거나 또는 수직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 연결 부재에 고정되는 농약 살포 스프레이 장치; 및 약제 공급 입구(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결 부재는 제어 장치에 의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는 농작물의 재배와 관련되어 다양한 형태의 이송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 농약 살포기는 농약 노출에 따른 위험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농약 살포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이송선반이 부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이송선반의 높이가 조절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농약 살포 스프레이 장치가 부착된 농약 살포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가 비닐하우스 내에서 작동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정면도 및 배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와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결합된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결합된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에 고정되는 이송 롤러(111a, 111b) 및 종동 롤러(12a, 12b), 수평 프레임 부재(F1) 또는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에 고정되고 모터(M)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 롤러(15), 구동 롤러(15)의 동력을 한 쌍의 종동 롤러(12a, 12b)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13), 동력 전달 수단(13)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4), 무선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어 장치(16)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1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비닐하우스에 적용될 수 있지만 적절하게 변형하여 이송 레일이 설치된 다양한 시설에 적용될 수 있다. 비닐하우스는 식물 재배를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하고 이 분야에서 공지되거나 새로이 만들어질 수 있는 식물재배를 위한 임의의 인공 구조물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비닐하우스는 화훼 영농을 위하여 지어진 가건물을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 부재(F1)와 이에 결합된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는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소재 또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만 수평 프레임 부재(F1) 또는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에 다양한 장치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는 아래에서 설명을 하는 것처럼 다른 프레임 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므로 속이 빈 형태가 되거나 또는 한쪽 면이 개방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에서 일정한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브래킷과 같은 장치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는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거나 수평 프레임 부재(F1)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의 각각에 이송 롤러(111a, 111b)와 종동 롤러(12a. 12b)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 롤러(111a 111b)는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송장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레일의 구조에 적절한 형상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종동 롤러(12a, 12b)는 이송 롤러(111a, 111b)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송 롤러(111a. 111b)와 축과 같은 연결 수단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장작 기기(11a, 11b)에 관통 홀 또는 거치 홀을 형성하고 이송 롤러(111a, 111b)와 종동 롤러(12a, 12b)가 축의 양 끝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축을 관통 홀 또는 거치 홀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송 롤러(111a, 111b)와 종동 롤러(12a, 12b)가 장착 기기(11a, 11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a 또는 도 1b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이송 롤러(111a, 111b)와 종동 롤러(12a, 12b)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송 롤러(111a, 111b)와 종동 롤러(12a, 12b)는 다양한 형상 또는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종동 롤러(12a, 12b)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타이밍 벨트(timing belt)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는 타이밍 풀리(pulley)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동 롤러(15)가 수평 프레임 부재(F1) 또는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롤러(15)는 한 쌍의 종동 롤러(12a, 12b)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모터(M)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구동 롤러(15)는 모터(M)의 회전력을 예를 들어 타이밍 벨트와 같은 동력 전달 수단(13)을 이용하여 종동 롤러(12a, 12b)에 전달한다. 그리고 종동 롤러(12a, 12b)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 롤러(111a, 111b)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 롤러(15)는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고 적절한 회전축에 의하여 모터(M)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M)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DC 또는 AC 모터가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DC 모터가 될 수 있고 속도 변환이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모터(M)에 필요에 따라 감속 기어가 설치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기어 또는 풀리를 이용하여 구동 롤러(15)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타이밍 벨트, 체인 또는 V 벨트와 같은 동력 전달 수단(13)은 구동 기어(15)와 종동 기어(12a, 12b) 사이의 회전력 전달을 위하여 설치된다. 동력 전달 수단(13)은 소음 감소, 회전력의 정확한 전달 또는 제어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도 1b에 제시된 타이밍 벨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기어(15) 또는 종동 기어(12a, 12b)는 타이밍 벨트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타이밍 풀리(timing pulley)가 될 수 있다. 2개의 종동 기어(12a, 12b)와 하나의 구동 기어(15)는 전체적으로 삼각 형상을 가지므로 회전력의 전달 과정에서 동력 전달 수단(13)에 적절한 장력이 인가되지 않아 미끄러짐이 발생하거나 소음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동력 전달 수단(13)에 인가된 장력의 조절을 위한 가이드 롤러(14)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구동 롤러(15)와 종동 롤러(12a, 12b)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a에서 하나의 가이드 롤러(14)가 설치된 실시 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가이드 롤러(14)는 한 쌍이 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의 설치 위치 또는 구동 롤러(14)와 종동 롤러(12a 또는 12b) 사이의 배치 위치에 따라 동력 전달 수단(13)에 인가되는 장력이 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장력 조절을 위하여 가이드 롤러(14)의 설치 위치가 수평 프레임 부재(F1)에서 조절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가이드 롤러(14)의 위치 조절은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H)을 형성하거나 또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길이 방향으로 일련의 홀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는 볼트(B)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장공(H)을 따라 이동되거나 또는 다른 장공(H)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동력 전달 수단(13)에 적절한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14)는 구동 롤러(15) 또는 종동 롤러(12a, 12b)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가 되거나 또는 다른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송장치는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레일(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송장치가 레일의 끝 부분에 도달하면 모터(M)의 작동이 중지되어 이송롤러(111a, 111b)의 회전이 중단되어야 한다. 이송장치가 레일의 끝 부분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는 리미터 센서(18a, 18b)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리미터 센서(18a, 18b)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의 양 끝에 설치될 수 있지만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에서 실시 예로 제시된 리미터 센서(18a, 18b)는 스위치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막대 형상으로 수평 프레임 부재(F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리미터 센서(18a, 18b)에 물체가 접촉되면 리미터 센서(18a, 18b)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레일의 끝 부분에 수평 프레임 부재(F1)의 한쪽 끝 부분이 지나가면 돌출된 리미터 센서(18a, 18b)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 부분이 설치될 수 있다. 리미터 센서(18a, 18b)가 접촉 부분에 도달하면 리미터 센서(18a, 18b)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로가 작동하여 전압과 같은 신호가 제어 장치(16)에 전달된다. 제어장치(16)는 리미터 센서(18a, 18b)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하여 모터(M)의 작동을 정지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모터(M)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리미터 센서(18a, 18b)는 이송장치가 레일이 끝 부분 또는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된 리미터 센서(18a, 18b)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감지 센서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을 위한 제어장치(16)는 모터(M)의 작동을 포함하여 이송 장치의 모든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작동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제어장치(16)는 모터(M)에 전원 케이블(C)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의 작동 상황 또는 배터리의 충전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제어장치(16)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이송 선반 또는 농약 살포와 관련된 장치의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 장치 및 작동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제어장치(16)는 유선으로 작동이 제어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무선 제어를 위하여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원격 제어기에 의한 무선 제어를 위하여 제어장치(16)는 안테나(161)를 가질 수 있다.
이송장치의 구동에 요구되는 전력은 외부 전력 공급원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충전 배터리(17)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다. 충전 배터리(17)는 연납 축전지가 될 수 있지만 무게 또는 수명을 고려할 때 리튬-이온 배터리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이송장치가 비닐하우스의 레일에 매달린 상태로 작동이 되는 것을 고려하면 이송장치의 무게가 작은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와 같이 무게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은 특별히 전력 공급 방법 또는 배터리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장치(16) 또는 배터리(17)는 하부 프레임 부재(F3)에 고정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 부재(F3)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이송 선반 또는 농약 살포 스프레이의 장착을 위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 부재(F3)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하부 프레임 부재(F3)의 구조, 형상 또는 소재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이송장치 전체의 안정성을 위한 지지 프레임 부재(S1, S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가 이용될 수 있는 이송선반의 운반 및 농약 살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다양한 장치가 부착되어 이용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이송 선반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구조의 농약 살포 스프레이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장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장치를 나타내고 이미 설명된 것은 별도로 설명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이송선반이 부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송선반(23)은 수확된 농작물의 담을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연결 부재(21, 2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송선반(23)의 부착을 위하여 이송장치에 가이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고정될 수 있고 연결 부재(21, 22)는 가이드 부재에 길이 조정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가 가이드 부재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별도로 설치되고 설치 위치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아래에서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 홀(24)을 가질 수 있고 연결 부재(21, 22)는 고정 홀(24)에 대응되는 결합 홀(24a)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21, 22)가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역으로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가 연결 부재(21, 2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송선반(23)이 적절한 위치가 되면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와 연결 부재(21, 22)는 고정 볼트(25)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송선반(23)은 이송장치의 이동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무선제어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송선반(23)의 높이 조절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b는 이송선반(23)의 높이가 조절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가 가이드 부재의 기능을 가진다. 이송선반(23)이 아래쪽에 고정된 연결 부재(21a, 22a)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은 예를 들어 레일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부재(21a, 22a)의 한쪽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연결 부재(21a, 22a)는 랙 기어(rack gear)의 기능을 가진다. 연결 부재(21a, 22a)의 구동을 위하여 회전축(28)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28)은 한쪽 끝 부분에 웜(warm)(281)이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다른 끝 부분에 종동 기어(282)가 설치될 수 있다. 종동 기어(282)의 모터(M1)에 연결된 구동 기어(283)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종동 기어(282)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8)이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28)의 회전에 의하여 웜(281)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웜(281)에 연결된 연결 기어(26)가 회전하게 된다. 연결 기어(26)의 회전에 의하여 연결 부재(21a, 22a)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모터(M1)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고 모터(M1)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연결 부재(21a, 22a)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연결 기어(26)는 웜(281)의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b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연결 기어(26)가 하나의 연결 부재(21a)에 결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연결 기어가 다른 연결 부재(21a)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부재(21a, 22a)의 상하 이동과 이에 따라 이송선반(23)의 상하 이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2a 또는 도2b에 도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가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농약 살포 스프레이 장치가 부착된 농약 살포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농약 살포기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와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결합된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결합된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에 고정되는 이송 롤러(111a, 111b) 및 종동 롤러(12a, 12b), 모터(M)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 롤러(15), 구동 롤러(15)의 동력을 한 쌍의 종동 롤러(12a, 12b)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13), 동력 전달 수단(13)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4), 무선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어 장치(16),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17),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거나 또는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21, 22, 21a, 22a), 연결 부재(21, 22, 21a, 22a)에 고정되는 농약 살포 스프레이 장치 및 약제 공급 입구를 포함한다.
농약 살포기에 적용되는 이송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장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므로 별도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농약 살포 스프레이 장치는 도 2a 또는 도 2b에 제시된 가이드 부재 또는 수직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는 연결 부재에 의하여 이송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농약 스프레이 장치는 연결 부재의 아래쪽에 결합될 수 있고 약제 공급 입구(33)로 유입된 농약을 유도하는 유도관(31, 31a), 유도관(31, 31a)에 결합된 스프레이 관(32, 32a), 스프레이 관(32, 32a)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노즐(321) 및 유도관(31, 31a)에 설치된 개폐 장치(311, 311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농약 스프레이 장치는 이송 장치의 수평 프레임(F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양쪽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농약 스프레이 장치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가 비닐하우스 내에서 작동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가 비닐하우스 내에서 작동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늘하우스는 수평 연장 부재(41)와 곡선형 연결 부재(41a)로 이루어질 수 있고 레일 고정 장치(42)는 비닐하우스의 천정에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레일 고정 장치(42)의 아래쪽에 레일(43)이 레일 고정 장치(42)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레일 고정 장치(42) 및 레일(43)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비닐하우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일 고정 장치(42) 또는 레일(43)의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레일 고정 장치(42)에 고정되어 레일(4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a 또는 도 1b에서 설명한 이송 롤러가 레일(43)을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이송장치가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농약 스프레이 장치는 연결 부재(21)에 고정될 수 있고 연결 부재(21)는 수직 프레임 부재(F21)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제시된 실시 예와 달리 농약 스프레이 장치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농약 스프레이 장치의 설치 방향은 농작물의 배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농약의 살포를 위하여 원격제어기를 이용하여 제어장치(16)를 작동시켜 모터가 구동되도록 하면 이송장치가 레일(4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농약은 약제 공급 입구(33)를 통하여 일정한 양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송장치의 이동 속도는 모터의 회전수의 조절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모터의 감속비율은 예를 들어 10:1 또는 7.5:1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조절될 수 있다. 이송장치가 비닐하우스의 한쪽 끝에 도달하면 레일(43)에 설치된 접촉 부분에 이송장치의 리미터 센서가 접촉하게 되고 전압과 같은 전기적 신호가 제어장치(16)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장치(16)는 전달된 신호에 따라 모터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만약 이송장치가 레일(43)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면 원격제어기에 의하여 제어장치(16)에 역방향 이동 신호가 전달되고 제어장치(16)는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비닐하우스에서 농약 살포가 완료되면 이송장치가 레일(43)로부터 분리되고 다시 이송장치는 다른 비닐하우스의 레일에 설치되어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통하여 농약을 살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는 농작물의 재배와 관련되어 다양한 형태의 이송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 농약 살포기는 농약 노출에 따른 위험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농약 살포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a, 11b: 장착 기기 111a, 111b: 이송 롤러
12a, 12b: 종동 롤러 13: 동력 전달 수단
14: 가이드 롤러 15: 구동 롤러
16: 제어 장치 17: 배터리
18a, 18b: 리미터 센서 161: 안테나
21, 22, 21a, 22a: 연결 부재 23: 이송 선반
24: 고정 홀 25: 고정 볼트
28: 회전축 281: 웜
282: 종동 기어 283: 구동 기어
26: 연결 기어 33: 약제 공급 입구
31, 31a: 유도관 32, 32a: 스프레이 관
321; 노즐 311, 311a: 개폐 장치
41: 수평 연장 부재 41a: 곡선형 연장 부재
42: 레일 고정 장치 43: 레일
F1: 수평 프레임 부재 F21, F22: 수직 프레임 부재
M, M1: 모터 B: 볼트
F3: 하부 프레임 부재 H: 장공

Claims (4)

  1.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수평 프레임 부재(F1)와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결합된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결합된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에 고정되는 이송 롤러(111a, 111b) 및 종동 롤러(12a, 12b);
    수평 프레임 부재(F1) 또는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에 고정되고 모터(M)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 롤러(15);
    구동 롤러(15)의 동력을 한 쌍의 종동 롤러(12a, 12b)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13);
    동력 전달 수단(13)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4);
    무선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어 장치(16);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17)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동력 전달 수단(13)은 타이밍 벨트(timing belt)가 되고 가이드 롤러(14)는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3. 비닐하우스용 농약 살포기에 있어서,
    수평 프레임 부재(F1)와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결합된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결합된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
    한 쌍의 장착 기기(11a, 11b)에 고정되는 이송 롤러(111a, 111b) 및 종동 롤러(12a, 12b);
    모터(M)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 롤러(15);
    구동 롤러(15)의 동력을 한 쌍의 종동 롤러(12a, 12b)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13);
    동력 전달 수단(13)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4);
    무선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어 장치(16);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17);
    수평 프레임 부재(F1)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거나 또는 수직 프레임 부재(F21, F22)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21, 22, 21a, 22b);
    연결 부재(21, 22, 21a, 22b)에 고정되는 농약 살포 스프레이 장치; 및
    약제 공급 입구(33)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농약 자동 살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연결 부재(21, 22, 21a, 22b)는 제어 장치(16)에 의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농약 자동 살포기.

KR1020110021536A 2011-03-10 2011-03-10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KR20120103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536A KR20120103332A (ko) 2011-03-10 2011-03-10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536A KR20120103332A (ko) 2011-03-10 2011-03-10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332A true KR20120103332A (ko) 2012-09-19

Family

ID=4711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536A KR20120103332A (ko) 2011-03-10 2011-03-10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333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44B1 (ko) * 2012-07-23 2014-04-08 장용규 농약 살포장치
KR101528161B1 (ko) * 2013-09-26 2015-06-12 조관준 작목 시설하우스 이송시스템
CN105278503A (zh) * 2015-10-23 2016-01-27 中国农业大学 一种基于网络的温室施药机器人远程控制系统
CN106386757A (zh) * 2016-08-29 2017-02-15 牟伟 一种农药喷洒警示装置
WO2017030350A1 (ko) * 2015-08-18 2017-02-23 연해정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KR20180130386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대길 하우스 시설용 농약 살포장치
KR20200027614A (ko) * 2018-09-04 2020-03-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200048977A (ko) * 2018-10-31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현수형 가금시설 깔짚 자동살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44B1 (ko) * 2012-07-23 2014-04-08 장용규 농약 살포장치
KR101528161B1 (ko) * 2013-09-26 2015-06-12 조관준 작목 시설하우스 이송시스템
WO2017030350A1 (ko) * 2015-08-18 2017-02-23 연해정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CN105278503A (zh) * 2015-10-23 2016-01-27 中国农业大学 一种基于网络的温室施药机器人远程控制系统
CN106386757A (zh) * 2016-08-29 2017-02-15 牟伟 一种农药喷洒警示装置
KR20180130386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대길 하우스 시설용 농약 살포장치
KR20200027614A (ko) * 2018-09-04 2020-03-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200048977A (ko) * 2018-10-31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현수형 가금시설 깔짚 자동살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3332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KR101389012B1 (ko) 농업용 방제로봇
KR101207485B1 (ko) 하우스용 다목적 자동 분무기
KR101271600B1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KR101088138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장치
KR20160072519A (ko) 유선드론을 적용한 작물개체 3차원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12462B1 (ko) 무인 방제기
KR101286801B1 (ko) 비가림하우스용 약액 및 용수 자동 살포장치
KR102178927B1 (ko) 메카넘휠을 이용한 방제로봇(agv) 시스템
KR101916640B1 (ko) 육묘 포트용 이동형 관수장치
KR20130047303A (ko) 농약 살포를 위한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20170003083U (ko) 농작물 방제장치
US20230034181A1 (en) Botanical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20160011526A (ko) 하우스용 자동방제장치
KR100985785B1 (ko) 와이어 레일 방제장치
KR101363258B1 (ko) 바람막이그물 자유개폐형 전동식 방풍펜스
IT201900001789A1 (ko)
KR102127494B1 (ko) 고설재배 장치
KR20180000078A (ko) 개량된 살포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용 무인 살포장치
KR19990015626A (ko)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CN207443671U (zh) 一种自动调温调湿的玫瑰无土栽培大棚
KR20180026061A (ko) 온실용 자동살수장치
KR20200137301A (ko) 비닐하우스용 무인 방제기
KR101584641B1 (ko) 비닐 하우스용 무인 살포장치
KR101270506B1 (ko) 작물 성장을 위한 약제의 자동살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