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626A -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 Google Patents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626A
KR19990015626A KR1019970037850A KR19970037850A KR19990015626A KR 19990015626 A KR19990015626 A KR 19990015626A KR 1019970037850 A KR1019970037850 A KR 1019970037850A KR 19970037850 A KR19970037850 A KR 19970037850A KR 19990015626 A KR19990015626 A KR 19990015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watering
crop
sensor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9939B1 (ko
Inventor
민영봉
Original Assignee
박중춘
정한택
사단법인 경상원예기술개발협회
민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춘, 정한택, 사단법인 경상원예기술개발협회, 민영봉 filed Critical 박중춘
Priority to KR101997003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939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작물을 재배하는 온실의 천장에 구성된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 전후방 쪽으로 길게 구성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치가 일측에 구성된 모터에의해 로프로 견인되어 온실의 전후방으로 전후진 왕복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하여, 일정하고 안정된 구동속도 및 구동상태를 나타나도록 하였고 자체무게를 감소하였으며, 또한 살수기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가능하도록하여 작물 성장에 따라 살수심을 알맞도록 고르게 하였으며, 또한 살수기 아래쪽에 서로 나란한 세 개의 수직판으로된 스트레스바를 구성하여 살수시 작물을 자극함으로서 더욱 튼튼한 작물을 재배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온실의 전면부터 후면까지 모두 살수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작물이 식재된 위치만 살수할 수 있도록 작물 감지장치를 구성하여 살수함으로서 물과 용액 등의 과다 살수를 방지하여 비용절감 및 온실내 과습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뿐만아니라, 더욱이 본원 장치간의 제어를 제어기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그리고 재배작물 상태에 알맞도록 살수할 수 있어서, 더욱 튼튼한 양질의 재배작물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농촌인력과 비용을 절감함으로서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본 발명은 온실내 재배 작물에 물을 뿌려주도록 온실내 상측에 구성된 두상 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프를 이용하여 온실내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살수 높이를 조절하며, 작물이 심어져있는 곳을 감지하여 살수하며, 작물에 자극을 주도록 스트레스바를 형성하여 살수함으로서, 재배작물의 생육상태에 알맞는 적정상태로 살수하여 튼튼하고 고른 양질의 작물을 수확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도록 구성된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물을 안정적으로 재배하도록 설치된 온실 내에서, 재배 작물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재래방법은 손으로 물을 퍼서 나르는 방법이나 이는 아주 불편할 뿐만 아니라 노동력도 많이 든다. 다음에는 관수, 즉 재배 작물의 저면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법이다. 이는 도랑 등을 이용하여 작물의 뿌리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작물에 흡수되기 쉬운방법이다. 그러나 수분이 온실 저면에만 있게되며, 온실의 상측에는 저습한 공기가 있게된다. 즉 작물의 잎과 줄기에도 수분이 원활히 공급되어야하나, 저면의 뿌리에만 많은 수분이 공급되어 수분 불균형을 이루어 자연상태의 작물에 비해 수분불균형이된 작물을 재배하게 된다.
이러한 수분 불균형을 이루지 않고 수분이 고루 분포되어 튼튼하게 자란 작물을 육성하기위하여, 온실내 천장에 수분을 살포하는 살수장치를 구성한 종래의 방법은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온실내 천장에 횡으로 구성된 수평보에 지지되어 온실(1)내 전후 방향으로 구성된 나란한 두 개의 원형막대모양의 레일(4)위를 따라 구동모터(M)에의해 구동되는 로울러(12)에 살수장치를 구성한 것으로서, 살수장치와 함께 구성된 이송장치에 탑재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용 전원케이블 등에 의한 무게로 구동용 로울러(12)에 과중한 중량이 부과되어 레일(4)과 로울러(12)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연속적으로 안정된 이송이 불가능하며, 이로서 작물 생육상태에 적절한 살수를 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원 발명은 온실내 재배 작물에 물을 뿌려주도록 온실내 상측에 구성된 두상 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프를 이용하여 온실내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살수 높이를 조절하며, 작물이 심어져있는 곳을 감지하여 살수하며, 작물에 자극을 주도록 스트레스바를 형성하여 살수함으로서, 재배작물의 생육상태에 알맞는 적정상태로 살수하여 튼튼하고 고른 양질의 작물을 수확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도록 구성된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이를위한 본원 발명의 구성은, 물을 뿌리는 살수장치, 살수장치 및 기타 장치 등을 이송하는 이송장치, 살수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하조절장치, 작물의 식재위치를 알수 있도록한 작물감지장치, 재배작물을 자극하여 건실한 작물로 성장하게하는 스트레스바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에따라 본원 발명은 운전 시작후 로프에 의해 견인되는 이송장치에 의해 전진하면서, 살수장치에 의해 작물에 살수하고난 후 온실의 후반부에서 정지하였다가, 다시 후진하여 온실 앞쪽으로 진행하면서 다시 살수장치에 의해 작물에 살수하고, 온실의 앞부분에 이르면 살수가 종료되며 이송장치도 정지하여 살수 과정을 종료하도록하는 전체살수방법을 구성하였다. 즉, 이송장치가 진행하는 레일의 앞쪽부분과 그리고 뒤쪽부분에 각각 시작센서와 끝센서를 구성하여, 스위치에 의한 수동 조작에의한 운전 뿐만아니라, 컴퓨터에 의한 조작도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살수장치의 원활한 조작으로 재배작물에 알맞는 살수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레일의 앞부분과 끝부분에 각각 구성된 시작센서, 끝센서와 함께, 재배작물이 심어져있는 구간 양측 끝단에 작물감지센서 한 쌍과 이와 대응되는 작물감지장치 등을 구성하여 살수장치의 살수동작을 가동 및 정지하여 적절히 살수하도록하는 부분살수방법을 구성하였다. 이로서 물 및 용액의 과다 살포를 막고, 온실내 과습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또한 수동 조작 뿐만아니라 컴퓨터에 의한 자동조작도 가능하여 시간 단축 및 노동력 절감 등에 의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살수대를 상·하 조절하는 상·하조절장치를 구성하여, 작물 성장에 알맞게하기위하여 살수심이 고른 분포가 되도록 살수하여 작물의 요철성장없이 고른 성장이되도록 구성하여 건실한 작물을 수확함으로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살수대 양측 끝단에 지지되어 살수대 아래에 횡으로 구성된 수직 판자모양의 스트레스바를 구성하여 작물과 접촉함으로서 연약한 온실내 재배작물에 자극을 주어 건실하고 튼튼한 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 의한 살수시, 운전시작에 의해 전진하는 단계, 살수를 시작하는 단계, 살수를 끝내는 단계, 끝점에 의해 후진하는 단계, 다시 살수를 시작하는 단계, 다시 살수를 끝내는 단계, 시작점에서 정지하는 단계 등으로 구성되는 전체살수 단계가 상기 컴퓨터와 같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농가 인력을 절감하고, 정확한 살수를 통해 재배작물에 적정한 살수를 할 수 있도록하여 농가속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한 살수시, 운전에 의한 전진하는 단계, 작물시작 센서에 의해 살수를 시작하는 단계, 작물끝 센서에 의해 살수를 끝내는 단계, 다시 작물시작 센서에 의해 살수를 시작하는 단계, 다시 작물끝 센서에 의해 살수를 끝내는 단계, 끝점 센서에의해 후진하는 단계, 역으로 작물끝 센서에 의해 살수를 시작하는 단계, 작물시작 센서에 의해 살수를 끝내는 단계, 다시 작물끝 센서에 의해 살수를 시작하는 단계, 다시 작물시작 센서에 의해 살수를 끝내는 단계, 시작점 센서에 의해 정지하는 단계 등으로 구성된 부분살수 단계가 상기 컴퓨터와 같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농가 인력을 절감하고, 정확한 살수를 통해 재배작물에 적정한 살수를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재배작물이 식재된 식재부분만 살수 함으로서, 물과 용액 등의 과다 살수를 방지하고, 물의 과다살수에 의한 온실내 과습을 방지하도록하여 농가속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 살수장치가 장착된 온실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제 1도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종래의 살수 장치의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원 발명의 이송장치의 실시 측면도.
도 5는 본원 발명의 이송장치의 실시 평면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상하 조절장치의 정면 부분도.
도 7은 본원 발명의 살수 높이에 따른 상태도.
도 8은 본원 발명의 작물 감지장치의 실시 정면도.
도 9는 본원 발명의 작물 감지장치의 실시 저면도.
도 10은 본원 발명의 작물 감지장치의 실시 측면도.
도 11a, 도 11b는 본원 발명의 스트레스장치의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실. 2 : 수평보. 3 : 수직보.
4 : 레일. 5 : 살수기. 6 : 작물.
11 : 수평지지대. 12 : 로울러. 13 : 로프.
17 : 반사판. 18 : 센서. 21 : 실린더실.
24 : 상하이송나사. 31 : 살수지지대. 33 : 살수대.
43 : 스트레스바.
Pa : 이송장치. Pb : 상하조절장치. Pc : 살수장치.
Pd :스트레스장치. Pe : 작물감지장치. M : 구동모터.
본원 발명은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환경에 대해 안정적으로 재배작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작물에 물을 살수하는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실(1) 천장에 구성된 다수개의 수평보(2) 중앙 하측으로 구성된 수직보(3)의 하측 끝단에 수평형 막대인 수평지지대(11)를 구성하고, 수평지지대(11)의 양 끝에 각각 레일(4)을 구성하였다. 즉 온실(1) 천장의 앞뒤로 길게 구성된 레일(4)을 다수개의 수평보(2)로부터 연장된 다수개의 수평지지대(4)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로서 레일(4)의 하측면은 수평지지대(4)에 의해 지지되며, 레일(4)의 상측은 개방되어있어, 살수기(5)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로울러(12)가 각각 양측의 레일(4) 상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다수의 로울러(12)를 잇는 이송프레임(16)은 이송장치(Pa)의 기저를 이루는 것으로, 레일(4)의 하측으로하여 양측 로울러(12)를 잇도록 하였으며, 또한 일측 로울러(12)의 두 축을 잇도록 한 상측면에 직사각형통 모양의 로프틀(14)를 형성하여 온실(1)의 전후방에 지지되어 구동모터(M)와 연동되는 로프(13)가 로프틀(14)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일측 로프틀(14)에는 로프로정핀(15)을 구성하여 로프(13)가 로프틀(14)에 고정되도록하였으며, 타측 로프틀(14)에는 로프(13)가 원활히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 4도 및 제 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온실의 앞·뒷쪽에 각각 도르레를 구성하여 로프(13)로 연결되어 구동하도록 구서하였으며 이때 일측 도르래는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로프(13)의 일측은 살수기가 결합된 이송장치(Pa)의 로프틀(14)에 지지고정되며, 로프(13) 타측은 단순히 로프틀(14)을 지나도록 구성하였다. 이로서 일측에 구성된 구동모터(M)가 구동함에 따라 로프(13)가 움직이게되며, 로프(13)는 온실(1)의 전·후방에 구성된 도르레를 따라 움직이게 되어, 결국 로프(13) 일측과 고정되게 결합된 이송장치(Pa)가 로프(13)와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이송장치(Pa)의 아래로 연장되어 구성된 상하조절장치(Pb)는 이송프레임(16)의 양쪽 외측으로 형성된 다리가 아래로 연장·결합되어 구성되어있다. 즉,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쪽 외측에 아래로 연장된 이송프레임(16)의 다리의 끝단에 원통형 실린더인 실린더실(21)을 구성하였으며, 실린더실(21)을 서로 이어 평평한 평면의 상하조절프레임(22)을 형성하였으며, 또한 원통형 실린더실(21)의 내측으로는 원형막대 모양의 살수지지대(31)를 구성하였다. 이때 양측의 살수지지대(31)는 수직으로 형성되었고 상측부분이 서로 수평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었으며, 살수지지대(31)의 양측 하단에는 물을 뿌리는 살수대(33)가 연장되어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평면인 상하조절프레임(22)의 중앙에 구성된 구멍에는 중간 일측에 나선이 형성된 상하이송나사(24)가 하측이 단절되고, 상측 끝단이 요철을 형성하여, 살수지지대(31)의 상측 수평연결부의 중앙 하단에 구성된 구멍인 이송나사회전구(25)에 상하이송나사(24)의 요철부가 요동가능하도록 삽입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하조절프레임(22)의 일측에 상하이송나사(24)와 결합되어 상하이송나사(24)가 회전하도록 하는 상하조절모터(23)를 구성하였다.
그리하여 상하조절모터(23)가 회전함에따라 상하이송나사(24)가 상하조절프레임(22)을 따라 회전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이로서 상하이송나사(24)의 회전에의한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하이송나사(24)의 상측 끝단에 결합된 이송나사회전구(25)가 함께 상하로 움직이며, 이로서 살수기(5)와 결합된 살수지지대(31)도 함께 상하로 움직이게된다. 이로서 살수기(5)가 상하로 이동되며, 살수기(5)의 상하이동은 살수되는 물의 범위, 즉 살수심의 크기를 변동시키게 된다.
즉 제 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러개의 살수기(5)의 높이에 따라 서로 중복 살수되는데, 이때, 살수가 중첩되어 과다하게 살수되는 과다살수구간(c) 과, 서로 살수심이 중복되지않는 정상살수구간(b), 그리고 살수각에 의해 전혀살수되지않는 살수않되는 구간 (a)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중 살수심이 고른 정상살수구간(b)로만 살수되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작물이 어리게되면 거의 지면과 같은 높이로 작물이 자라있어서, 살수기(5)의 높이를 높이게 되면 과다살수구간(c)과 정상살수구간(a)이 중복되며, 이로서 과다살수구간(c)의 작물을 과다 성장하게되며 상대적으로 정상살수구간(b)의 작물은 성장이 느리게 되어 요철 성장을 하게된다. 그리하여 작물이 어릴적에는 살수안되는구간(a)과 과다살수구간(c)과의 중간인 정상살수구간(b)이 작물 높이와 같도록하여 살수 높이를 조절해야된다. 그리고 점차 작물이 성장함에따라 살수기(5)의 높이를 올려 살수심의 위치를 올려야만 작물에 닿지 않으면서 살수 안되는구간(a)과 과다살수구간(c)을 피하고 정상살수구간(b)에 작물이 위치하도록 살수하게되며 이로서 작물의 정상적인 성장을 이룰수 있다.
그리고 작물이 식재된 부분을 감지하는 작물감지장치는 제 8도 내지 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온실(1)의 수평보(2)에 연장된 다수의 수평지지대(11)의 양측단에 구성된 원형막대모양의 양측 레일(4) 하측면에 반사판(17)을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센서(18)를 양측 레일(4)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Pa)의 대응면에 각각 쌍으로 구성하였다. 즉 제 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수평지지대(11) 상측으로 온실(1)의 앞뒷쪽으로 구성된 원형막대모양의 레일(4)이 금속제로 구성되어있어서, 반사판(17)이 하측으로, 영구자석인 접착부(19)가 윗쪽으로 향하도록한 후, 접착부(19)가 금속제로 구성된 레일(4)의 하측면에 부착되도록 부착하게되면, 타측에 구성된 반사판(17)은 아래로 향하게 된다. 이렇게 레일(4)에 부착된 반사판(17)은 레일(4)이 고정되어있으므로 이동되지 않은 고정된 위치인 식재위치를 표시하게되며, 이로서 작물을 심을 때마다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접착부(19)를 떼어서 다시 식재된 작물의 식재위치에 맞게 레일(4)의 하측면에 부착하게되면 또다시 새로운 식재위치를 표시하게 되다.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센서(18)는, 레일(4)의 상측을 따라 이동되는 로울러(12)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장치(Pa)의 일측부에 양측에 쌍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렇게 구성된 센서(18)와 반사판(17)은 서로 대응되도록 약간의 좁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신호의 전달이 쉽도록 구성하였다. 이로서 센서(18)는 신호를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이와 대응되는 반사판(17)은 센서(18)로 부터의 신호를 반사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반사판(17)이 구성된 식재위치에 센서(18)가 구성된 이동장치(Pa)가 지나가게될 경우에는 센서(18)로 부터의 신호가 반사판(17)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센서(18)가 감지하여, 센서(18)와 연결된 제어기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센서(18) 및 반사판(17)에 의해 식재위치에만 살수하는 방법은, 우선 제 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살수기(5)가 구성된 이송장치(Pa)가 진행방향과 같이 전진함에 있어, 일측 레일A(4A)의 아래쪽면에는 작물이 식재된 위치를 표시하는 반사판a(17a)를 부착하고, 타측 레일B(4B)에는 작물이 식재되지 않은 구간을 표시하는 반사판b(17b)를 부착하였다. 그러므로 레일A(4A)에 부착된 반사판a(17a)와, 레일B(4B)에 부착된 반사판b(17b)와의 사이의 온실 지면엔 작물이 식재되어있는 작물이 식재된 구간 A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므로 이송장치(Pa)가 전진하게되면, 우선 일측 센서a(18a)가 반사판a(17a)와 서로 반응하여 식재된 구간에 진입함을 감지하게 되며, 이 신호는 바로 센서a(18a)와 연결된 제어기에 의해 살수기(5)가 살수하게된다. 그리고 식재구간 A를 지남에 따라 살수하던 이송장치(Pa)가 작물이 식재되지않는 구간 B에 구성된 반사판b(17b)에 이르게되면, 센서b(18b)와 반사판b(17b)가 서로 반응하게되고, 이로서 제어기에 의해 살수기(5)가 살수를 멈추게 된다.
그리고 작물이 식재되지않은 구간 B를 지나 이송장치(Pa)가 다시 작물이 식재된 또다른 구간 A에 이르게되면, 다시 센서a(18a)는 다른 반사판a(17a)와 만나 서로 반응하게되며 이로서 작물에 살수를 하게되고, 또다시 작물이 식재되지않은 구간 B에 이르면 센서b(18b)와 또다른 반사판b(17b)에 의해 살수를 멈추게된다. 이렇게 식재위치를 표시한 반사판(17)를 양측 레일(4)의 아랫면에 다수 설치함으로서 각각 대응되는 한쌍의 반사판ab(17ab)와 센서ab(18ab)에 의해 작물이 식재되어있는 위치를 감지하게되며, 그에 따라 작물이 식재된 위치에만 살수를 하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또한 본원 발명은 제 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살수기(5)가 구성되어 온실(1)의 횡으로 구성된 살수대(33)의 양측 끈단에 지지되는 수직 판자형의 스트레스바(43)를 구성하여, 이송장치(Pa)의 전후진시 재배 작물(6)과 접촉시킴으로서, 재배 작물(6)에 자극을 주어 튼튼한 작물(6)로 육성되도록 하였다. 즉, 물이 통과하도록 원통형 파이프로 구성되어 다수의 살수기(5)가 구성된 살수대(33)의 양측 끝단에 요동가능하도록 수직막대인 스트레스바견인대(41)를 양측에 각각 구성하고, 이의 아래 끝단에 전후로 길게 일정폭으로 구성된 스트레스바지지대(42)를 양측에 각각 구성한 후, 양측 스트레스바지지대(42)를 잇도록 수직으로 일정폭을 갖는 판자모양의 스트레스바(43)를 스트레스바지지대(42)의 전후 그리고 중간에 각각 세 개를 구성하였다. 이로서 살수대(33)가 살수를 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세 개의 스트레스바(43)가 각각 전진 또는 후진 하면서 넓은 폭으로 작물(6)과 서로 접촉하게되며, 이로서 온실(1)내에서 여리게 자라나는 작물(6)에 자극을 주게되며, 이로서 작물(6)은 더욱 튼튼하게 자라게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원 발명 살수장치의 살수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본원 장치, 즉 이송장치(Pa), 상하조절장치(Pb), 작물감지장치(Pe), 스트레스장치(Pd)가 구성된 살수대의 살수장치(Pc), 그리고 구동모터(M) 등과 각각 연결된 제어기에 전원을 넣은후, 미리 정하여진 작물의 높이에 알맞게 상하조절장치로서 살수기(5)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때 본원 발명 살수장치에 의한 구동 방식은 전체살수방식과, 부분살수방식으로 나뉘며, 이때 전체 살수방식은 레일(4)의 전면과 끝면에 각각 구성된 시작반사판s(17s)와 끝반사판e(17e)에 의해 시작반사판s(17s)부터 살수하기 시작하여 끝반사판e(17e) 때에는 살수를 끝내고 다시 후진하면서 살수를 반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부분살수방식은 레일(4)의 저면에 시작반사판s(17s)와 끝반사판e(17e)와의 사이에 작물(6)의 식재위치를 표시한 한쌍의 반사판ab(17ab)에 의해, 작물(6)의 식재구간에만 살수하는 방식이 있다.
우선 전체살수방식에 의한 살수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기의 명령에 의하여 이송장치(Pa)가 최초 온실(1) 내의 레일(4)을 따라 후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바로 양측 레일(4) 저면에 각각 같은 위치에 구성된 시작반사판s(17s)의 위치에 이송장치(Pa)의 일측에 구성된 센서ab(18ab)가 동시에 위치하게된다. 이때 최초 레일AB(4AB)에 한쌍의 반사판(17)이 두 센서ab(18ab)와 함께 동시에 반응하게되므로, 식재위치를 나타내는 반사판a(17a) 또는 반사판b(17b)가 각각 별도로 반응하는 것과는 다르게 반응을 하게된다. 이렇게 한쌍의 시작반사판s(17s)와 반응한 센서ab(18ab)는 반응신호를 제어기에 신호로 보내어지며, 이로서 제어기와 연결된 살수장치(Pc)의 살수기(5)에 살수하도록 신호를 보냄으로서, 작물에 살수를 하게된다. 그리고 이송장치(Pa)는 이러한 시작반사판s(17s), 센서ab(18ab) 그리고 살수장치(Pc)와는 무관하게 계속 온실(1)의 후면으로 전진하게된다. 그리하여 이송장치가 온실(1)의 후면에 구성된 한쌍의 끝반사판e(17e)에 이송장치(Pa)의 센서ab(18ab)가 위치되어 동시에 반응하게되고, 이 신호를 제어기에 보내게되면, 제어기는 다시 동시에 이송장치(Pa)에는 정지 신호를, 그리고 살수장치(Pc)에는 살수중지의 명령을 내리게된다. 그런연후 제어기는 다시 이송장치(Pa)에는 후진명령을 내리어, 이송장치(Pa)가 온실(1)의 전면으로 진행하도록 명령을 내리며, 또한 이송장치(Pa)가 진행함에 따라 살수장치(Pc)에는 살수시작명령을 내리게된다. 그리고 이렇게 후진하는 이송장치(Pa)가 온실(1)의 전면에 이르게되어, 다시 한쌍의 시작반사판s(17s)의 위치에 이르게되어 센서ab(18ab)가 제어기에 시작반사판s(17s)과의 반응신호를 보내면 제어기는 다시 살수장치(Pc)에 살수중지 명령을 내리며, 또한 이송장치(Pa)에는 정지 명령을 내리어, 이로서 한 주기의 살수진행을 종료하게된다. 이렇게 진행하는 전체살수시에는 센서ab(18ab)와 반응하는 반사판(17)의 위치가 서로 같을 때에만 반응하도록 설정되어있으므로, 작물의 식재위치를 나타내는 반사판a(17a)와 반사판b(17b)는 서로 동시에 같은 위치에 위치되지않으므로 전체살수시의 센서ab(18ab)와는 아무런 반응을 일으키지않도록 설정되어있다. 그러므로 센서ab(18ab)가 구성된 이송장치(Pa)가 온실(1)의 전후방을 이동하는 도중에 반응하는 것은 오직 두 레일AB(4AB)에 같은 위치에 위치되어있는 시작반사판s(17s)와 끝반사판e(17e)가 구성된 위치에서만 반응을 하게되며 이로서 전체살수가 진행되게된다.
다음으로 부분살수방식을 살펴보면, 최초 전원이 입력된 본원 장치의 제어기에서 이송장치(Pa)에 온실의 후방으로의 전진명령이 내려지게되면, 최초 한쌍의 나란한 시작반사판s(17s)를 지나게된다. 그러나 전체살수방식과는 달리 시작반사판s(17s)에 의한 신로를 받은 제어기는 아무런 제어신호를 보내지않게된다. 그리고 이송장치(Pa)는 계속 후방으로 전진하게되며, 처음으로 작물이 식재되어있는 위치를 알리는 일측 레일A(4A) 저면의 반사판a(17a)의 위치에 센서a(18a)가 위치되어 신호를 제어기에 보내게된다. 이때 반대측 레일B(4B)의 저면에는 아무런 반사판(17)이 위치되지않게되며, 이로서 센서b(18b)는 아무런 신호를 제어기에 보내지않게되며, 결국 제어기는 오직 센서a(18a)와 반사판a(17a)에의한 신호만을 받게된다. 이러한 신호를 받은 제어기는 미리 정하여진 설정값에 의하여 센서a(18a)에 의한 신호는 이송장치(Pa)의 전진시에는 살수시작명령으로 인식하게되며, 이로서 제어기는 살수장치(Pc)에 살수시작명령을 보내게되어 살수기(5)가 살수를 시작하게된다. 그러므로 살수장치(Pc)는 작물이 식재되어있는 구간이 되어서야 살수를 시작하게되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이렇게 작물(6)이 식재된 구간에서 살수를 하면서 진행하던 본원 장치가, 일측 레일B(4B)의 저면에 구성된 반사판b(17b)의 위치에 이르게되면, 반사판b(17b)와 센서b(18b) 서로 반응하게되며, 이러한 반응신호를 제어기에 보내게된다. 이때 반대측 레일A(4A)의 저면에는 반사판a(17a)가 구성되지 않아 아무런 신호도 제어기에 보내지 않게되며, 이로서 제어기는 작물(6)이 식재되지않은 구간 B에 왔음일 인식하게된다. 이로서 제어기는 반사판b(18b)와 센서b(17b)에 의한 신호가 미리 정하여진 값에의해 살수중지명령임을 판단하게되고, 이로서 제어기는 살수장치(Pc)에 살수중지명령을 보내게된다. 그러나 양측 레일AB(4AB)의 전면에 동시에 같은 위치에 반사판(17)이 구성되지않으므로 이송장치(Pa)에는 아무런 명령도 보내지않게된다. 그리고 이렇게 살수가 되지않으면서 이동하는 중에, 또다른 식재위치를 나타내는 반사판a(17a)가 일측 레일A(4A)의 저면에 구성되어있어, 이송장치(Pa)의 센서a(18a)가 위치하게되면, 또다시 센서a(18a)는 제어기에 살수신호를 보내게되며, 이로서 또다시 제어기는 살수장치(Pc)에 살수명령을 보내게되며, 또다시 반사판b(17b)와 센서b(18b)가 같은 위치에 위치되게되면 또다시 살수중지명령을 살수장치(Pc)에 보내게된다. 그리고 최후로 온실(1)의 후방에 이르러, 양측 레일AB(4AB)의 저면의 같은 위치에 끝반사판e(17e)의 위치에 센서ab(18ab)가 동시에 이르게되면, 센서ab(18ab)는 끝반사판e(17e)와의 신호를 동시에 제어기에 보내게되며, 이로서 미리 정하여진 값에 의하여 제어기는 이 신호를 이송장치(Pa) 정지후 후진신호로 해석하게되며, 이러한 신호를 이송장치(Pa)에 보내게되며, 이로서 이송장치(Pa)는 온실(1)의 전방으로 후진하게된다.
그런연후에 처음 전진과는 반대로 이송장치(Pa)의 센서b(18b)와 일측 레일B(4B)의 저면에 구성된 반사판b(17b)가 서로 같은위치에 위치되게되어 제어기에 신호를 보내게되며, 이로서 미리정하여진 값, 즉 이송장치(Pa) 후진시 반사판b(17b)와 센서b(18b)와의 신호를 작물(6) 식재위치로 해석하게되어 살수시작명령으로인식하여, 제어기는 이러한 명령을 살수장치(Pc)에 보내게되며, 이로서 작물(6)이 식재되어있는 구간에서 살수를 시작하도록 한게된다. 그런후 계속해서 이송장치(Pa)가 온실(1)의 전방쪽으로 후진하게되어 타측 레일A(4A)의 저면에 형성된 반사판a(17a)와 같은 위치에 위치되게 되면, 반사판a(17a)와 센서a(18a)가 같은 위치에 있게되고, 이로서 센서a(18a)는 제어기에 신호를 보내게된다. 이렇게 이송장치(Pa)의 후진시 센서a(18a)로부터의 신호는 작물(6)이 식재되지않은 구간은 나타낸다는 것으로 인식하게되며, 이로서 제어기는 살수장치(Pc)에 살수 중시명령을 보내게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온실(1)의 전방쪽으로 후진함에 따라 또다시 반사판b(18b)와 센서b(17b)가 만나게되어 제어기에 의해 살수를 시작하게되며, 또한 반사판a(17a)와 센서a(17a)가 같은 위치에 위치되어 살수중지명령을 제어기로부터 살수장치(Pc)에 보내게된다. 그러나 최초 이송장치(Pa) 작동후 끝반사판e(17e)에 의한 신호 이외에는 이송장치(Pa)를 제어하는 신호는 제어기에서 이송장치로 보내지지않게되나, 최초 이송장치(Pa)가 지나간 처음 위치에 이송장치(Pa)가 이르게되면, 양측 레일AB(4AB)의 저면 같은 위치에 구성된 시작반사판s(17s)의 위치에 센서ab(18ab)가 위치하게되며, 이로서 이송장치(Pa)의 후진에 따른 센서ab(18ab)에 의한 동시신호는 이송장치(Pa)의 정지신호의 값으로 설정되어있음에 따라, 센서ab(18ab)로부터 동시에 받은 신호에의해 제어기에서는 이송장치(Pa)를 정지시키게되며, 이로서 한 주기의 부분살수방식의 살수가 끝나게된다.
그리고 이상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제어기에 의해서 온실(1)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송장치(Pa)의 전방쪽 이동과 후방쪽 이동시의 각각 센서ab(18ab)로부터의 값들에대한 처리방식은 미리 정하여진 값으로 컴퓨터 및 제어기에 미리 정하여진 값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서, 작물(6)의 성장에 따라 알맞게 살수할 수있으며, 또한 살수기(5)의 아래로 구성된 스트레스바에 의하여 더욱 건실하며 튼튼한 양질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본원 발명은 작물을 재배하는 온실의 천장에 구성된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 전후방 쪽으로 길게 구성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치가 일측에 구성된 모터에의해 로프로 견인되어 구동되도록 구성하여, 일정하고 안정된 구동속도 및 구동상태를 나타나도록 하였고 자체무게를 감소하였으며, 또한 살수기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가능하도록하여 작물 성장에 따라 살수심을 알맞도록 고르게 하였으며, 또한 살수기 아래쪽에 서로 나란한 세 개의 수직판으로된 스트레스바를 구성하여 살수시 작물을 자극함으로서 더욱 튼튼한 작물을 재배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온실의 전면부터 후면까지 모두 살수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작물이 식재된 위치만 살수할 수 있도록 작물 감지장치를 구성하여 살수함으로서 물과 용액 등의 과다 살수를 방지하여 비용절감 및 온실내 과습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뿐만아니라, 더욱이 본원 장치간의 제어를 제어기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그리고 재배작물 상태에 알맞도록 살수할 수 있어서, 더욱 튼튼한 양질의 재배작물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농촌인력과 비용을 절감함으로서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Claims (8)

  1. 온실(1)의 천장에 구성된 한쌍의 레일(4)을 따라 온실(1)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송장치(Pa)가 레일(4)의 일측에 구성된 구동모터(M)에 의해 로프(13)로 견인되어 후방쪽으로 이송되는 단계와,
    온실(1)의 전방쪽의 한쌍의 레일(4) 저면에 각각 구성된 시작반사판s(17s)에 이송장치(Pa)의 센서ab(18ab)가 위치되어 살수기(5)가 살수를 시작하는 단계와,
    온실(1)의 후방쪽의 한쌍의 레일(4) 저면에 각각 구성된 끝반사판e(17e)에 이송장치(Pa)의 센서ab(18ab)가 위치되어 살수기(5)가 살수를 중지하는 단계와,
    끝반사판e(17e)과 센서ab(18ab)에 의해 온실(1)의 전방쪽으로 후진하는 단계와,
    끝반사판e(17e)과 센서ab(18ab)에 의해 살수기(5)가 살수를 시작하는 단계와,
    온실(1)의 전방쪽의 한쌍의 레일(4) 저면에 각각 구성된 시작반사판s(17s)에 이송장치(Pa)의 센서ab(18ab)가 위치되어 살수기(5)가 살수를 중지하는 단계와,
    시작반사판s(17s)과 센서ab(18ab)에 의해 이송장치(Pa)가 정지하는 단계로 되어진 전체살수방식으로 구성되어진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작물의 성장에 따라 살수기(5)의 살수높이를 조절하여 살수심을 조절하는 단계와,
    이송장치(Pa)의 전후방 진행시, 살수기(5)의 아래에 구성된 스트레스바(43)에 의해 작물(6)이 자극되도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3. 온실(1)의 천장에 구성된 한쌍의 레일(4)을 따라 온실(1)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송장치(Pa)가 레일(4)의 일측에 구성된 구동모터(M)에 의해 로프(13)로 견인되어 후방쪽으로 이송되는 단계와,
    온실(1)의 전방쪽의 한쌍의 레일(4) 저면에 각각 구성된 시작반사판s(17s)에 이송장치(Pa)의 센서ab(18ab)가 위치되어 살수기(5)가 살수를 시작하는 단계와,
    온실(1)의 후방쪽의 한쌍의 레일(4) 저면에 각각 구성된 끝반사판e(17e)에 이송장치(Pa)의 센서ab(18ab)가 위치되어 살수기(5)가 살수를 중지하는 단계와,
    끝반사판e(17e)과 센서ab(18ab)에 의해 온실(1)의 전방쪽으로 후진하는 단계와,
    끝반사판e(17e)과 센서ab(18ab)에 의해 살수기(5)가 살수를 시작하는 단계와,
    온실(1)의 전방쪽의 한쌍의 레일(4) 저면에 각각 구성된 시작반사판s(17s)에 이송장치(Pa)의 센서ab(18ab)가 위치되어 살수기(5)가 살수를 중지하는 단계와,
    한쌍의 레일(4)의 전후방에 구성된 시작반사판s(17s)과 끝반사판e(17e) 사이에 작물이 식재되어있는 구간의 처음과 마지막에 각각 다른 레일(4)의 아래쪽에 각각 반사판a(17a), 반사판b(17b)를 구성하여 센서a(18a)와 센서b(18b)가 각각 서로 반응되는 신호에 의해, 작물이 식재되는 구간의 시작부분에서는 살수를 시작하고, 작물이 식재되는 구간이 끝나는 부분에서는 살수를 중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시작반사판s(17s)과 센서ab(18ab)에 의해 이송장치(Pa)가 정지하는 단계로 되어진 전체살수방식으로 구성되어진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작물의 성장에 따라 살수기(5)의 살수높이를 조절하여 살수심을 조절하는 단계와,
    이송장치(Pa)의 전후방 진행시, 살수기(5)의 아래에 구성된 스트레스바(43)에 의해 작물(6)이 자극되도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5. 온실(1)의 천장에 구성된 다수의 수평보(2)의 중앙아래로 구성된 다수의 수직보(3)의 하단 끝에 연장되어 구성된 수평막대모양의 다수의 수평지지대(11)를 구성하여, 다수의 수평지지대(11)의 각각의 양측 끝단 상측면을 잇는 원형막대모양의 한쌍의 레일(4)을 온실(1)의 전후방 쪽으로하여 구성하였으며,
    양측 한쌍의 레일(4)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온실(1)의 전후방쪽으로 이동되도록 한쌍의 로울러(12)를 구성하고, 일측 로울러(12)의 양축을 잇는 이송프레임(16)을 로울러(12)의 상측면에 일정 크기의 틀이 구성되도록하여, 레일(4)의 전후방 끝단에 구성된 도르레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로프(13)가 틀안쪽을 원활이 이동되도록 하였으며, 타측 로울러(12)의 틀을 지나는 로프(13)를 고정핀에 의하여 틀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양측 로울러(12)의 축을 잇는 이송프레임(16)이 수평지지대(11)와 일정거리의 아래로 일체로 구성되어 이송장치(Pa)를 구성하여, 일측 도르레와 연동되는 구동모터(M)에 의해 이송장치(Pa)가 로프(13) 견인되도 구성하였으며,
    양측 로울러(13)의 축을 잇는 이송프레임(16)이 하단에 수평면을 이루어 상하조절프레임(22)을 구성하였으며, 상하조절프레임(22)의 양측 가에는 원통형 실린더실(21)를 구성하여 양측 실린더실(21) 내측으로는 원형막대모양인 한쌍의 살수지지대(31)가 지나도록하여 양측 살수지지대(31)의 상측을 잇도록하여 상측 저면에 홈을 구성하였으며, 홈과 결합되는 요철부를 갖는 수직 원형막대형의 상하이송나사(24)를 상하조절프레임(22)의 중앙에 구성된 삽입홈에 삽입하여, 상하이송나사(24)의 중간 일부에 형성된 나선과 결합되어 상하이송나사(24)를 상하로 이송하도록 하는 상하조절모터(23)를 상하조절프레임(22)의 일측에 구성한 상하조절장치(Pb)를 구성하여, 살수기(5)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작물에 살수되는 살수심을 조절하도록 하였으며,
    한쌍의 원형막대모양의 살수지지대(31)의 하단부에 지지되는 원통형 모양의 수평형 파이프인 살수(33)를 구성하고, 살수대(33)의 파이프 내측으로 펌프로부터 물을 유입시키도록 구성된 호수(32)를 살수대(33)의 일측과 결합되도록 하였으며, 살수대(33)의 저면에 재배작물(6)에 물을 살수하도록 다수의 살수기(5)를 구성한 살수장치(Pc)를 구성하였으며,
    살수대(33)의 양측 끝 부분에서 하측으로 구성된 한쌍의 수직 막대모양의 스트레스바견인대(41)의 하측 끝단에 살수대(33)와 수직한 방향으로 수평 막대모양의 스트레스바지지대(42)를 양측에 각각 구성하였으며, 양측에 구성된 스트레스바지지대(42)를 잇는 세 개의 스트레스바(43)를 스트레스바지지대(42)의 전후 그리고 중간에 각각 구성한 스트레스장치(Pd)를 구성하여, 살수장치(Pc)가 작물에 살수할 때에 스트레스바(43)가 작물을 자극하도록 구성하였으며,
    한쌍의 레일(4)의 전방 및 후방 쪽에 각각 두 레일(4) 저면의 나란한 위치에 전방에는 시작반사판s(17s)를, 후방에는 끝반사판e(17e)를 각각 구성하여 반사판(17)과 근접거리에 대응되는 이송장치(Pa)의 일측에 센서ab(18ab)를 구성한 작물감지장치(Pe)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두 레일(4)의 시작반사판s(17s)과 끝반사판e(17e)과의 사이에, 일측 레일(4)에는 작물이 식재되기 시작한 위치에, 타측 레일(4)에는 작물이 식재가 끝나는 위치에 각각 반사판(17)을 부착하여 센서ab(18ab)와의 반응에 의한 신호에 의하여, 작물이 식재된 위치에는 살수를 하고, 작물이 식재되지않은 위치에는 살수를 중지하도록 하는 작물감지장치(Pe)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장치.
  7. 온실(1)의 천장에 구성된 한쌍의 레일(4)을 따라 온실(1)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작물에 살수하는 두상살수장치의 제어방법에있어서,
    온실(1) 일측에 구성된 구동모터(M)에 의해 로프(13)에 의하여, 작물(6)에 살수하도록 구성된 살수장치(Pc)를 온실(1)의 전·후방으로 제어기의 명령에 의해 전·후진 왕복동으로 견인구동하도록구성된 이송장치(Pa)로 된 이송수단과,
    한쌍의 레일(4) 저면의 나란한 위치에, 온실(1)의 전방쪽에는 시작반사판s(17s)를, 후방쪽에는 끝반사판e(17e)를 각각 구성하여 반사판s,e(17s,e)과 근접거리에 대응되는 이송장치(Pa)의 일측에 센서a,b(18a,b)를 구성한 작물감지장치(Pe)에 의하여 이송장치(Pa)의 전진과 후진 및 정지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기에 신호를 보내는 작물감지장치(Pe)로 된 작물감지수단과,
    작물(6)의 자라는 크기에 따라 살수하도록 살수높이를 조절하도록하 기위하여 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살수기(5)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하조절장치(Pb)로 된 상하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실용 견인식 두상살수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두 레일(4)의 시작반사판s(17s)과 끝반사판e(17e)과의 사이에, 일측 레일(4)에는 작물이 식재되기 시작한 위치에, 타측 레일(4)에는 작물이 식재가 끝나는 위치에 각각 반사판a,b(17a,b)을 부착하여 센서a,b(18a,b)와의 반응에 의한 신호에 의하여, 작물이 식재된 위치에는 살수를 하고, 작물이 식재되지않은 위치에는 살수를 중지하도록 하는 작물감지장치(Pe)로 된 작물감지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실용 견인식 두상살수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70037850A 1997-08-08 1997-08-08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KR100259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850A KR100259939B1 (ko) 1997-08-08 1997-08-08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850A KR100259939B1 (ko) 1997-08-08 1997-08-08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626A true KR19990015626A (ko) 1999-03-05
KR100259939B1 KR100259939B1 (ko) 2000-06-15

Family

ID=1951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850A KR100259939B1 (ko) 1997-08-08 1997-08-08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93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04B1 (ko) * 2011-03-15 2013-06-11 김영환 비닐하우스용 와이어 레일 방제장치
CN103283565A (zh) * 2013-05-23 2013-09-11 江苏大学 一种喷灌用喷头及管道固定装置
KR20180001850U (ko) * 2018-06-07 2018-06-20 신영식 온실용 자동살수장치
KR20200071246A (ko) * 2018-12-11 2020-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관수 시스템
CN111837738A (zh) * 2020-07-31 2020-10-30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一种农业温室无线自动化监测控制系统
KR20210073766A (ko) * 2019-12-11 2021-06-21 (주)헬퍼로보텍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CN114258845A (zh) * 2022-01-13 2022-04-01 江西省森湖园艺有限公司 一种园林植被养护用洒水装置
KR102482624B1 (ko) * 2022-07-05 2022-12-30 주식회사 경일 이동식 배지통을 이용한 작물 생육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18B1 (ko) 2006-06-29 2007-09-19 김학성 자동 채수기
KR101428914B1 (ko) 2013-02-19 2014-08-11 석균용 비닐하우스용 무인 방제기
CN103651056B (zh) * 2013-11-21 2016-05-04 广东绿洲农业有限公司 节能高效型喷灌装置
CN105650072B (zh) * 2016-04-07 2018-07-10 蒙城县林达农业有限公司 一种大棚喷灌辅助夹具
CN106106063A (zh) * 2016-07-12 2016-11-16 佛山杰致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浇灌装置
CN106305218A (zh) * 2016-08-29 2017-01-11 夏爱华 一种太阳能农药喷洒大棚
KR102275386B1 (ko) * 2019-07-17 2021-07-12 서재근 스팀을 이용한 제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무인 방제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04B1 (ko) * 2011-03-15 2013-06-11 김영환 비닐하우스용 와이어 레일 방제장치
CN103283565A (zh) * 2013-05-23 2013-09-11 江苏大学 一种喷灌用喷头及管道固定装置
KR20180001850U (ko) * 2018-06-07 2018-06-20 신영식 온실용 자동살수장치
KR20200071246A (ko) * 2018-12-11 2020-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관수 시스템
KR20210073766A (ko) * 2019-12-11 2021-06-21 (주)헬퍼로보텍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CN111837738A (zh) * 2020-07-31 2020-10-30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一种农业温室无线自动化监测控制系统
CN114258845A (zh) * 2022-01-13 2022-04-01 江西省森湖园艺有限公司 一种园林植被养护用洒水装置
CN114258845B (zh) * 2022-01-13 2023-07-25 江西省森湖园艺有限公司 一种园林植被养护用洒水装置
KR102482624B1 (ko) * 2022-07-05 2022-12-30 주식회사 경일 이동식 배지통을 이용한 작물 생육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9939B1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5626A (ko)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JP7329450B2 (ja) 植物の成長を促進するためのデバイス
CN203575232U (zh) 一种移动式穴盘育苗苗床自动灌溉装置
KR101207485B1 (ko) 하우스용 다목적 자동 분무기
CN108142159A (zh) 一种用于培育苗木的苗圃
CN210247697U (zh) 一种智能温室水肥一体自动喷淋装置
KR20120103332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KR200490489Y1 (ko) 온실용 자동살수장치
KR20180026061A (ko) 온실용 자동살수장치
CN109924118A (zh) 一种移动式水雾栽培施肥系统及施肥方法
KR102283838B1 (ko) 유틸리티 공급장치를 갖춘 스마트 재배시스템
CN109792906B (zh) 一种盆栽栽培装置
CN104705165A (zh) 一种自动蔬菜栽培浇水装置
KR100814413B1 (ko) 농산물 자동화 재배기
CN208300585U (zh) 一种植物生长培养系统
CN215957371U (zh) 一种果树设施大棚内一体化智能喷施装置
CN214282576U (zh) 一种苗木培育自动浇灌控制系统
CN212344436U (zh) 一种市政园林绿化种子萌发箱
CN211091097U (zh) 一种景点园区用自动浇水装置
KR102039862B1 (ko) 온실 재배용 관수장치
CN211297932U (zh) 一种农业灌溉用的滴灌带安装装置
CN109006386B (zh) 一种农业种植用精准洒水装置
CN211407117U (zh) 一种农业生产用全方位自动浇灌装置
CN219893848U (zh) 一种用于玉米叶面追肥的液体肥料喷施装置
CN110800441A (zh) 一种温室农作物自动滴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