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083U - 농작물 방제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방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083U
KR20170003083U KR2020160000988U KR20160000988U KR20170003083U KR 20170003083 U KR20170003083 U KR 20170003083U KR 2020160000988 U KR2020160000988 U KR 2020160000988U KR 20160000988 U KR20160000988 U KR 20160000988U KR 20170003083 U KR20170003083 U KR 201700030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praying
control
agent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진
Original Assignee
최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진 filed Critical 최성진
Priority to KR2020160000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083U/ko
Publication of KR20170003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무노즐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분무노즐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농작물에 방제제가 골고루 살포되게 함으로서, 농작물의 잎사귀 상면뿐만 아니라 분무노즐의 하향이동에 의해 농작물의 잎사귀 저면 및 측면에도 방제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농작물 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 방제장치{Automatic pest controller for greenhouse}
본 고안은 농작물 방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무노즐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분무노즐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농작물에 방제제가 골고루 살포되게 함으로서, 농작물의 잎사귀 상면뿐만 아니라 분무노즐의 하향이동에 의해 농작물의 잎사귀 저면 및 측면에도 방제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농작물 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란, 채소류의 촉성재배 또는 비교적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비닐 필름을 씌운 온실을 말하는 것으로, 농촌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 내에는 여러 종류의 농작물이 다양한 형태로 재배되는데, 통상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둔덕 내에 농작물이 심어지고, 일정한 식생 기간이 지난 후에 농작물은 개별적으로 재배된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은 용수나 비료와 같은 약액이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인력이나 시간의 절감을 위하여 다양한 농업용 기계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농작물의 생장이나 병충해방지를 위하여 물이나 농약을 자주 살포하게 되는데, 이에 들어가는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가 분무 살포장치이다.
이와 같이 비닐하우스 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분무 살포장치는 물이나 농약이 공급되는 호스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물이나 농약이 살포되도록 한다.
즉, 호스를 작물이 재배되는 지면에 설치하거나, 비닐하우스의 상단에 설치하거나, 혹은 호스를 평행하게 설치된 수직지지대를 입설한 후 수직지지대를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분무 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지면에 분무 살포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물이나 농약의 살포시 분무 살포장치의 노즐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농작물의 잎사귀 등이 장애물의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살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체적으로 골고루 살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상단에 분무 살포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작물의 배면에는 물이나 농약의 살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호스가 설치된 수직지지대를 수평 이동시키면서 분무 살포하는 경우에는 수직지지대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이동장치를 비닐하우스 내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비닐하우스 내의 작물 전체에 대하여 골고루 물이나 농약을 살포하기 위해 상기 수직지지대를 천천히 이동시켜야 함에 따라 분무 살포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1999-015626호,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0836888호, 무인 살포용 이송기.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1-0118865호,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271604호, 비닐하우스용 와이어 레일 방제장치.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무노즐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분무노즐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농작물에 방제제가 골고루 살포되게 함으로서, 농작물의 잎사귀 상면뿐만 아니라 분무노즐의 하향이동에 의해 농작물의 잎사귀 저면 및 측면에도 방제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농작물에 대하여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게 살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살포 시간도 절감할 수 있게 한 농작물 방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에 방제제를 살포할 수 있게 설치된 농작물 방제장치로서, 상기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방제호스와 상기 방제호스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방제호스를 통해 이송되는 방제제가 분무되어 농작물에 살포되게 하는 분무노즐로 이루어진 방제제 분무유닛; 상기 방제제 분무유닛의 분무노즐을 통해 살포되는 방제제가 저장되는 약제탱크와 상기 약제탱크에 저장된 방제제가 상기 방제호스를 통해 이송될 수 있게 공급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컴프레셔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방제제 공급유닛; 및 상기 방제제 공급유닛을 통해 방제제가 이송되는 방제호스가 안착되도록 상기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 방향으로 지지프레임이 설치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비닐하우스 내에 상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방제제 분무유닛을 통한 방제제의 살포시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되는 방제호스를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과 방제호스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다수개의 고정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고정클립 혹은 고정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에 감기고 풀리도록 상단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와인딩 로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인딩 로프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과 회전축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사다리 형태를 이루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제자리 회전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하부롤러들과, 상기 하부롤러들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롤러들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상부롤러들과, 상기 상부롤러들과 하부롤러들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권취드럼에 감기게 하거나 풀리게 하면서 와이어를 당겨주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3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무노즐은: 방제제의 분사 방향이 다방향 다각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토출 방향을 달리 갖는 2개의 토출구로 구성되되, 상기 2개의 토출구는 V자 형태를 이루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방제호스가 삽입되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받침부와 양측벽부로 구성되되, 상기 양측벽부에는 방제호스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분무노즐이 위치되는 부위에 절개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절개공간부에 분무노즐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무노즐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분무노즐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방제제를 농작물에 방제함으로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안정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농작물에 대한 방제제 살포시 살포 시간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인력도 줄일 수 있어 인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의 다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에 구비되는 분무노즐의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에 구비되는 방제제 공급유닛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의 다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에 구비되는 분무노즐의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에 구비되는 방제제 공급유닛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는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에 방제제를 살포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비닐하우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유닛(10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유닛(100)은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이루도록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아치프레임(102)들과, 상기 아치프레임(102)들을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수평프레임(104)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유닛(100)을 덮도록 비닐이 설치됨에 의해 비닐하우스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유닛(100)을 구성하는 아치프레임(102)과 수평프레임(104)은 봉 형상의 금속 혹은 비금속재 파이프와 같은 것 또는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다양한 구조재가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에는 방제제 분무유닛(1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제제 분무유닛(110)은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에 방제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방제제를 분무 살포한다.
이러한 방제제 분무유닛(110)은 상기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방제호스(112)가 설치되고, 상기 방제호스(112)에 일정 간격으로 분무노즐(114)이 설치되어, 상기 방제호스(112)로 이송되는 방제제가 상기 분무노즐(114)을 통해 분무되어 농작물에 살포된다.
이때, 상기 방제호스(112)는 방제제가 흐르는 관체로서, 연성 호스 혹은 경화성 호스 및 강재파이프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노즐(114)은 방제제의 분사 방향이 다방향 다각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토출 방향을 달리 갖는 2개의 토출구(114a,114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의 토출구(114a,114b)는 V자 형태를 이루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 내지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114a,114b)가 다양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무노즐(114)의 토출구(114a,114b)는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3개 혹은 4개 등으로 구성하여, 상기 분무노즐(114)의 토출구(114a,114b)를 통해 분무되는 분사 방향을 넓게 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에는 방제제 공급유닛(1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제제 공급유닛(120)은 방제제 분무유닛(110)의 분무노즐(114)을 통해 살포되는 방제제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제제 공급유닛(120)는 방제제가 저장되어 있는 약제탱크(122)가 구비되고, 상기 약제탱크(122)에 저장된 방제제가 상기 방제호스(112)를 통해 이송될 수 있게 공급하도록 컴프레셔(124)가 설치되며, 상기 컴프레셔(124)를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12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26)는 마이크와인딩프로세서에 의한 구동 시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와인딩프로세거 및 타이머 설정 등과 관련된 구동제어는 통상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에는 승강유닛(1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유닛(130)은 방제제 공급유닛(120)을 상하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방제제 분무유닛(110)을 통한 방제제의 살포시 방제제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살포되게 하여 방제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승강유닛(130)은 방제호스(112)가 안착될 수 있는 지지프레임(132)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32)에 방제호스(112)가 고정되도록 안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32)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32)은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32)은 비닐하우스 내에 상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32)은 비닐하우스 내의 상부 양측으로 좌우 대칭되게 다수개로 설치되어, 각각의 지지프레임(132)에 방제호스(112)를 안착되게 고정시켜 방제범위를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32)에 안착되는 방제호스(112)를 지지프레임(13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32)과 방제호스를 감싸는 형태로 다수개의 고정부재(134)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34)는 클립 형태의 고정구 혹은 고정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132)에 의해 상기 방제호스(112)의 처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제호스(112)가 연성 호스 등과 같이 직진도 유지가 어려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견고한 상태로 받혀주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32)은 방제호스(112)가 삽입되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받침부(132a)와 양측벽부(132b)로 구성되되, 상기 양측벽부(133b)에는 방제호스(112)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분무노즐(114)이 위치되는 부위를 절개공간부(132c)를 구비하여, 그 절개공간부(132c)에 분무노즐(114)이 위치되게 함으로서 분무노즐을 통한 분무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 방제호스(112)를 처지지 않도록 받혀줄 수 있는 형상이면 무방하다. 즉, 바(bar) 형상의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2 내지 도 3에는 상기 승강유닛(13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130)의 제1 실시예는 상기 지지프레임(132)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회전축(142)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42)을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모터(144)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모터(144)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회전축(142)에 감기고 풀리도록 와인딩 로프(14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와인딩 로프(146)의 상단은 상기 회전축(142)에 고정되고, 와인딩 로프(146)의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132)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모터(144)의 구동력으로 상기 회전축(142)이 회전되면 상기 와인딩 로프(146)가 회전축(142)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지지프레임(132)을 승강시키기 된다.
또한, 상기 와인딩 로프(146)는 지지프레임(132)이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32)과 회전축(142)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사다리 형태를 이루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승강유닛(130)의 제1 실시예는 상기 제1 모터(144)가 구동되어 상기 회전축(142)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142)에 와인딩 로프(146)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방제호스(112)가 안착된 지지프레임(132)을 상하도 이동되므로, 방제제를 상하 균일하게 광범위하게 방제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승강유닛(13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130)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지지프레임(132)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32)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회전롤러(162)들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162)들에 안내되도록 철심와이어(164)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철심와이어(164)의 단부는 권취드럼(166)에 감기게 하거나 풀리게 하면서 철심와이어(164)를 당겨주도록 상기 권취드럼(166)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모터(168)가 설치되어, 상기 제2 모터(168)의 구동력으로 상기 철심와이어(164)를 잡아당기거나 풀어주게 된다.
또한, 상기 철심와이어(164)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게 낙하산줄(165)의 끝단이 고정부(165a)에 고정되며, 상기 낙하산줄(165)은 회전롤러(162)를 경유하여 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32)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모터(168)의 정역회전에 의해 철심와이어(164)가 당겨지면 그 철심와이어(164)에 고정된 낙하산줄(165)이 당겨지면서 지지프레임(132)이 승강된다. 이때, 상기 회전롤러(162)들의 간격을 상기 지지프레임(132)이 승강되는 높이의 길이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설치되게 되면, 인접하는 회전롤러(162)이 안내되는 낙하산줄(165)이 상호 겹치지 않게 된다.
도 5에는 상기 승강유닛(130)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130)의 제3 실시예는 상기 지지프레임(132)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자리 회전되게 하부롤러(152)들이 설치되는데, 상기 하부롤러(152)들은 지지프레임(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롤러(152)들과 지지프레임(132)은 별도의 연결프레임(151)을 이용하여 설치하거나 혹은 상기 지지프레임(132)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롤러(152)들이 연결프레임(151) 혹은 지지프레임(132)에 설치됨에 의해 어느 한쪽이 먼저 올라오거나 내려오지 않고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152)들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롤러(152)들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상부롤러(154)들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롤러(154)들과 하부롤러(152)들을 경유하도록 와이어(156)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56)의 단부가 권취드럼(157)에 감기게 하거나 풀리게 하면서 와이어(156)를 당겨주도록 상기 권취드럼(157)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3 모터(158)가 설치되어, 상기 제3 모터(158)의 구동력으로 상기 와이어(156)를 잡아당겨 지지프레임(132)이 승강되게 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130)은 도르래 원리로 구성된 것으로, 적은 힘으로 지지프레임(132)을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승강유닛(130)의 제3 실시예는 상기 제3 모터(158)가 구동되어 상기 와이어(156)를 잡아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음으로 방제호스(112)가 안착된 지지프레임(132)을 상하도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방제제를 상하 균일하게 광범위하게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체인블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방제장치는,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에 방제 작업을 위해 방제제를 분무 살포할 때, 상기 승강유닛(130)에 의해 분무노즐(114)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분무 살포됨으로, 농작물에 방제제가 골고루 살포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분무유닛(110)이 비닐하우스 내의 천장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유닛(13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분무노즐(114)을 통하여 일괄적으로 방제제를 분사할 수 있음으로 방제제를 분사하는데 있어서 작업자가 직접 농작물에 접근 없이 방제제를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게 살포할 수 있다.
따라서, 분무 살포되는 방제제는 농작물의 잎사귀 상면뿐만 아니라 분무노즐의 하향이동에 의해 농작물의 잎사귀 저면 및 측면에도 방제작업이 가능하여 농작물에 대하여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게 살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제 작업에 따른 방제제의 분무 살포 시간도 절감할 수 있고, 방제호스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방제노즐의 위치가 지면을 기준으로 균일한 위치에 항상 위치하므로 방제제의 살포량 변동이 위치에 따라 차이가 없어 균일한 방제제의 살포가 이루어지므로 위치에 따른 방제제의 살포량 차이가 없어 방제제의 살포량 관리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은 컨트롤러를 통해 시간 설정에 따른 모터 및 컴프레셔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전 시간 설정에 의해 작업자가 없어도 자동으로 방제제를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에 안정적으로 살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방제제 살포 뿐만 아니라 급수를 위한 물의 공급 및 다양한 액상 및 고상의 살포제를 농작물에 동시에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프레임유닛 102 - 아치프레임
104 - 수평프레임 110 - 방제제 분무유닛
112 - 방제호스 114 - 분무노즐
120 - 방제제 공급유닛 122 - 약제탱크
124 - 컨프레셔 136 - 컨트롤러
130 - 승강유닛 132 - 지지프레임

Claims (5)

  1.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에 방제제를 살포할 수 있게 설치된 농작물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방제호스(112)와, 상기 방제호스(112)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방제호스(112)를 통해 이송되는 방제제가 분무되어 농작물에 살포되게 하는 분무노즐(114)로 이루어진 방제제 분무유닛(110);
    상기 방제제 분무유닛(110)의 분무노즐(114)을 통해 살포되는 방제제가 저장되는 약제탱크(122)와, 상기 약제탱크(122)에 저장된 방제제가 상기 방제호스(112)를 통해 이송될 수 있게 공급하는 컴프레셔(124)와, 상기 컴프레셔(124)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126)로 이루어진 방제제 공급유닛(120); 및
    상기 방제제 공급유닛(120)에 의해 방제제가 이송될 수 있는 방제호스(112)가 안착되도록 상기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 방향으로 지지프레임(132)이 설치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32)은 비닐하우스 내에 상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방제제 분무유닛(110)을 통한 방제제의 살포시 상기 지지프레임(132)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승강유닛(1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32)에 안착되는 방제호스(112)를 지지프레임(13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32)과 방제호스(112)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다수개의 고정부재(134)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재(134)는 클립 형태의 고정구 혹은 고정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제 살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130)은:
    상기 지지프레임(132)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회전축(142)과, 상기 회전축(142)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모터(144), 및 상기 제1 모터(14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42)에 감기고 풀리도록 상단은 상기 회전축(142)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132)에 고정되는 와인딩 로프(146)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인딩 로프(146)는:
    상기 지지프레임(132)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32)과 회전축(142)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사다리 형태를 이루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제 살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130)은:
    상기 지지프레임(132)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회전롤러(162)들과, 상기 회전롤러(162)들에 안내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철심와이어(164)와, 상기 철심와이어(164)를 잡아당길 수 있게 철심와이어(166)가 권취되는 권취드럼(166)과 상기 권취드럼(166)을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모터(168), 및 상기 제2 모터(168)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드럼(1166)에 권취되는 철심와이어(164)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롤러(162)를 경유하여 하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32)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낙하산줄(16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제 살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130)은:
    상기 지지프레임(132)에 제자리 회전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하부롤러(152)들과, 상기 하부롤러(152)들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롤러(152)들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상부롤러(154)들과, 상기 상부롤러(154)들과 하부롤러(152)들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32)을 승강시킬 수 있는 와이어(156) 및 상기 와이어(156)의 단부가 권취드럼(157)에 감기게 하거나 풀리게 하면서 와이어(156)를 당겨주도록 상기 권취드럼(157)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3 모터(15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제 살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32)은 방제호스가 삽입되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받침부(132a)와 양측벽부(132b)로 구성되되,
    상기 양측벽부(132b)에는 방제호스(112)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분무노즐(114)이 위치되는 부위에 절개공간부(132c)를 형성하여, 그 절개공간부(132c)에 분무노즐(114)이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방제장치.
KR2020160000988U 2016-02-24 2016-02-24 농작물 방제장치 KR201700030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988U KR20170003083U (ko) 2016-02-24 2016-02-24 농작물 방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988U KR20170003083U (ko) 2016-02-24 2016-02-24 농작물 방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83U true KR20170003083U (ko) 2017-09-04

Family

ID=6057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988U KR20170003083U (ko) 2016-02-24 2016-02-24 농작물 방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083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79A (ko) *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동부그린테크 승강분무식 무인방제시스템
CN111202042A (zh) * 2020-01-14 2020-05-29 宋浩 一种用于大棚内农作物的农药喷洒设备
KR102182668B1 (ko) * 2019-06-18 2020-11-24 주식회사 선농 지주작물용 무인방제장치
KR102209131B1 (ko) * 2020-12-17 2021-01-27 김정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무인 방제기
KR102420306B1 (ko) * 2022-04-19 2022-07-13 윤은호 축사의 악취저감장치
KR102526405B1 (ko) * 2022-09-15 2023-04-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린하우스내 자연기화방식을 이용한 에틸포메이트 훈증 기화장치
KR102529869B1 (ko) * 2022-09-23 2023-05-10 하진흥 농작물 재배용 살수기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888B1 (ko) 2007-09-17 2008-06-11 권현숙 무인 살포용 이송기
KR20110118865A (ko) 2010-04-26 2011-11-02 김영환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KR101271604B1 (ko) 2011-03-15 2013-06-11 김영환 비닐하우스용 와이어 레일 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888B1 (ko) 2007-09-17 2008-06-11 권현숙 무인 살포용 이송기
KR20110118865A (ko) 2010-04-26 2011-11-02 김영환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KR101271604B1 (ko) 2011-03-15 2013-06-11 김영환 비닐하우스용 와이어 레일 방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79A (ko) *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동부그린테크 승강분무식 무인방제시스템
KR102182668B1 (ko) * 2019-06-18 2020-11-24 주식회사 선농 지주작물용 무인방제장치
CN111202042A (zh) * 2020-01-14 2020-05-29 宋浩 一种用于大棚内农作物的农药喷洒设备
KR102209131B1 (ko) * 2020-12-17 2021-01-27 김정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무인 방제기
KR102420306B1 (ko) * 2022-04-19 2022-07-13 윤은호 축사의 악취저감장치
KR102526405B1 (ko) * 2022-09-15 2023-04-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린하우스내 자연기화방식을 이용한 에틸포메이트 훈증 기화장치
KR102529869B1 (ko) * 2022-09-23 2023-05-10 하진흥 농작물 재배용 살수기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3083U (ko) 농작물 방제장치
KR101271600B1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KR101038934B1 (ko) 시설원예 수확물 이송 및 방제장치
KR101460991B1 (ko) 다목적 무인 방제용 차량
CN107278122B (zh) 供应和/或冷却系统
KR101250770B1 (ko) 화훼단지용 비닐 하우스에 설치되는 운반 장치
KR101286801B1 (ko) 비가림하우스용 약액 및 용수 자동 살포장치
JP6778789B1 (ja) 温室用液体散布装置
KR101951750B1 (ko) 이동식 포그 방제 시스템
KR101916640B1 (ko) 육묘 포트용 이동형 관수장치
KR200490489Y1 (ko) 온실용 자동살수장치
KR102030410B1 (ko) 자동살포장치
KR20180026061A (ko) 온실용 자동살수장치
JP3223333U (ja) 防除システム
JPH07327572A (ja) 畜舎用害虫防除装置
KR20100051297A (ko) 비닐하우스 관수공급장치
KR20130071093A (ko) 하우스 농작물 방제용 액상 살포장치
KR200453333Y1 (ko) 무인 방제 장치용 가이드 롤러
KR20170062317A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기 구동 시스템
KR200254029Y1 (ko) 온실의 자동방제장치
JP3002730B1 (ja) レ―ル懸垂式防除装置
JP2582740B2 (ja) 園芸用ハウスにおける薬液等の散布装置
KR20190001326U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KR200347841Y1 (ko) 과수용 액상물 분사장치
KR20000025511A (ko) 농약자동 살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