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632B1 - 리프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리프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632B1
KR101809632B1 KR1020160023328A KR20160023328A KR101809632B1 KR 101809632 B1 KR101809632 B1 KR 101809632B1 KR 1020160023328 A KR1020160023328 A KR 1020160023328A KR 20160023328 A KR20160023328 A KR 20160023328A KR 101809632 B1 KR101809632 B1 KR 101809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ork
plate
main body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890A (ko
Inventor
조재진
Original Assignee
조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진 filed Critical 조재진
Priority to KR102016002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6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사로에서도 가상 수평선에 대해 이송포크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이송포크에 적재된 적재물이 리프트 캐리어의 후방측으로 쏠려 하중이 보조바퀴에 집중되어 보조바퀴의 원활한 구름운동을 방해하거나, 전방측으로 집중되어 이송포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평로에서와 같이 경사로에서도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발명은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과 같은 경사로에서도 가상 수평선에 대해 이송포크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리프트 캐리어를 제공함으로써 이송포크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중이 이송포크(또는 리프트 캐리어)에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하여 이송포크에 적재된 적재물이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쏠려 쏟아지거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평로에서와 같이 경사로에서도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트 캐리어{LIFT CARRIER}
본 발명은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사로에서도 가상 수평선에 대해 이송포크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이송포크에 적재된 적재물이 리프트 캐리어의 후방측으로 쏠려 하중이 보조바퀴에 집중되어 보조바퀴의 원활한 구름운동을 방해하거나, 전방측으로 집중되어 이송포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평로에서와 같이 경사로에서도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물품(화물)을 운반하거나 적재 또는 하역하는 경우 호이스트 장치 또는 지게차를 사용하여 왔으나, 호이스트 장치 또는 지게차는 설치비용이 비싸고, 비교적 부피가 작은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 순발력이 떨어지고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즉, 호이스트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레일의 영역을 벗어나면 별도로 운반 장치와 리프트 장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지게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간이 협소하거나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장소(예를 들면 수산시장, 가축농장 등)에서는 사용상 많은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호이스트 장치 또는 지게차를 사용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서는 리프트 캐리어가 사용되었고, 그 구조는 프레임의 하단부 양측에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 하단에 받침판이 전방쪽으로 절곡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캐리어에 리프트 장치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존 리프트 캐리어는 프레임에 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한 포크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포크부가 유압장치와 전기적인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제어에 따라 유압장치의 유압에 의해 포크부가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물품을 상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리프트 캐리어는 유압장치와, 상기 유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들이 장착됨에 따라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고, 너무 무거워 그 생산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유압장치의 설치공간이 크기 때문에 물품을 리프팅하는 포크부가 바닥면에 밀착되지 않아 버팀목 등으로 받쳐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90685호에는 캐리어 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가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90685호에는 화물 이동 선반이 프레임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반 이동 장치에 의해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전환되어 화물 이동 선반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로, 기존의 동일한 출력을 발생하는 것에 비해 전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롤러와 보조장치들에 의해 안정성과 편리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90685호에서는 기존의 리프트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화물 이동 선반의 내부에서 나사축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유니트가 정회전 및 역회전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장착된 구조로, 이러한 구조에서는 구동모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비교적 이동 반경이 넓어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는 축산 농가나, 전기 누전(감전)에 취약한 수산시장 등과 같은 장소에는 별도로 누전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 장소에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86147호(등록일: 2009. 02. 2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6024호(등록일: 2013. 12. 2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2623호(등록일: 2014. 05. 02.)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선행문헌들에서는 캐리어에 유압식 리프트 장치를 장착하여 포크를 승강시킴으로써 전기 설비 환경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리프트 캐리어를 제안한 바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는 캐리어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바퀴 이외에 메인바퀴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구름운동하는 보조바퀴를 캐리어의 후방측 하부에 장착하여 사용하였고, 이러한 보조바퀴를 통해 작업자로 하여금 비교적 작은 힘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적재물을 이송하도록 제공하였다.
이러한 상기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리프트 캐리어들에서는 평로에서는 메인바퀴와 보조바퀴에 균등하게 적재물의 하중이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적재물을 이송시킬 수 있으나,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과 같이 상향 또는 하향 경사면을 갖는 경사로에서는 적재물이 리프트 캐리어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쏠려 포크가 수평상태로 유지되지 못하여 적재물의 이송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전자와 같이 하향 경사면을 갖는 경사로(내리막길)에서는 적재물의 하중이 전방측으로 집중되고, 이로 인해 포크의 종단부가 지면으로 하강하여 적재물이 포크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후자와 같이 상향 경사면을 갖는 경사로(오르막길)에서는 적재물의 하중이 후방측으로 집중되고, 이로 인해 보조바퀴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어 보조바퀴가 뒤틀어져 원활한 구름운동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었다.
KR 10-2001-0090685 A, 2001. 10. 19. KR 10-0886147 B1, 2009. 02. 23. KR 10-1346024 B1, 2013. 12. 23. KR 20-0472623 Y1, 2014. 05. 02.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과 같은 경사로에서도 가상 수평선에 대해 이송포크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이송포크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중이 이송포크에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이송포크에 적재된 적재물이 리프트 캐리어의 전후방측으로 쏠려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평로에서와 같이 경사로에서도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리프트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된 한 쌍의 메인바퀴;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적재물이 적재되는 이송포크;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구름운동하는 보조바퀴; 및 경사로에서 상기 이송포크가 가상 수평선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보조바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포크 수평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바퀴는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상기 보조바퀴는 상기 본체의 후방측에 장착되며, 상기 포크 수평유지부는 상기 보조바퀴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본체의 후방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이송포크를 상기 가상 수평선과 수평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크 수평유지부는 오르막 경사로에서는 상기 보조바퀴를 하강시켜 상기 본체의 후방측을 상승시키고, 내리막 경사로에서는 상기 보조바퀴를 상승시켜 상기 본체의 후방측을 하강시켜 상기 이송포크를 상기 가상 수평선과 수평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크 수평유지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된 한 쌍의 고정판; 하부에는 상기 보조바퀴가 장착되고, 일측부 양측은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조바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동 링크부; 상기 회동 링크부의 회동을 고정하여 잠금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링크 고정부; 및 상기 링크 고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 링크부는 일측부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링크;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부가 상기 상부링크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 상기 상부링크와 연동하여 회동하고, 외면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걸림 회동판; 및 일측부가 상기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하부링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링크가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링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 고정부는 일측부가 상기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걸림 회동판과 대향하는 외면에 상기 걸림 회동판의 톱니와 맞물리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걸림바; 일측부가 연결선을 통해 상기 레버와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걸림바를 상기 걸림 회동판 방향으로 밀어 상기 톱니가 상호 맞물리도록 하여 잠금하거나, 상기 걸림 회동판에 잠금된 상기 걸림바를 상기 걸림 회동판으로부터 분리시켜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조정링크; 및 상기 잠금 조정링크와 연동하여 회동하여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 회동판에 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 회동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 조정링크는 타측부 종단부에 상기 걸림바에 형성된 연결핀이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가이드홈 내에서 상기 잠금 조정링크의 회동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걸림바를 상기 걸림 회동판 방향으로 밀어 상기 걸림 회동판에 고정시켜 잠금하거나, 상기 걸림 회동판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상기 걸림 회동판으로부터 분리시켜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포크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포크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과 같은 경사로에서도 가상 수평선에 대해 이송포크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리프트 캐리어를 제공함으로써 이송포크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중이 이송포크(또는 리프트 캐리어)에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하여 이송포크에 적재된 적재물이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쏠려 쏟아지거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평로에서와 같이 경사로에서도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를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수평유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수평유지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승강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를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1)는 본체(10), 메인바퀴(20), 이송포크(30) 및 보조바퀴(40)를 포함하고, 비교적 과중량의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도 이송포크(30)를 가상 수평선(H)에 대해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적재물의 하중이 이송포크(30)에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포크 수평유지부(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송포크(3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포크 승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10)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여 대략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체(10)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는 한 쌍의 수직 보강바(13)와 수평 보강바(1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수직 보강바(13)와 나란하도록 한 쌍의 수직 가이드바(11)가 설치될 수 있다.
수직 가이드바(11)는 도 1과 같이, 각각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한 쌍의 수직 보강바(13)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수직 가이드바(11)에는 이송포크(30)의 일측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에 따라 이송포크(30)는 포크 승강부(60)에 의해 수직 가이드바(11)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손잡이(12)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10)의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대략 성인남녀의 어깨 넓이에 대응하는 폭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양손으로 파지가 용이하고 양손으로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리프트 캐리어(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수직 보강바(13)는 도 1과 같이 본체(10)의 수직 프레임과 나란하도록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보강바(14)는 본체(10)의 상부 프레임과 나란하도록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강성을 보강한다. 이러한 수직 보강바(13)와 수평 보강바(14)의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메인바퀴(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례로 일측부가 본체(10)의 수직 프레임에 장착된 고정포크(21)의 타측부에 축 결합되어 고정포크(21)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메인바퀴(20)는 손잡이부(12)를 이용하여 리프트 캐리어(1)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는 경우 지면에 대해 병진운동하여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송포크(30)는 이송하고자 하는 적재물(물품)이 적재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4와 같이, 중앙부가 전방으로 절곡된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송포크(30)는 포크 승강부(60)에 의해 수직 가이드바(11)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일측부가 수직 가이드바(1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일측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되 적재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상면이 평탄한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송포크(30)는 도 2와 같이, 일측부가 제1 연결바(613)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그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크기(폭)에 따라 제1 연결바(613)를 통해 독립적으로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호 간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적재물의 크기와 무관하게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보조바퀴(4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포크 수평유지부(50)를 통해 본체(10)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이 동시에 수행됨에 방향전환이 용이하다. 이러한 보조바퀴(40)는 포크 수평유지부(50)에 장착되는 수평 브라켓(41)과, 일측부가 수평 브라켓(4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포크(42)와, 회전포크(42)의 타측부에 축 결합되어 회전포크(42)를 축으로 지면에 대해 병진운동하는 동시에 회전포크(42)에 의해 수평 브라켓(41)을 축으로 회전운동하는 휠(43)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바퀴(40)는 리프트 캐리어(1)의 후방측, 즉 본체(10)의 후방측에 장착되어 본체(10)의 전방측에 장착된 메인바퀴(20)와 함께 리프트 캐리어(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이를 통해 리프트 캐리어(1)의 무게중심이 메인바퀴(20)와 보조바퀴(40)로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이송포크(30)에 비교적 고중량의 적재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수평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포크 수평유지부(50)는 보조바퀴(40)를 리프트 캐리어(1)의 후방측, 즉 본체(10)의 후방측에 장착하고,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과 같은 경사로에서 보조바퀴(4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본체(10)의 후방측 높이를 조정하고, 이를 통해, 이송포크(30)를 지면이 아닌 가상 수평선(H, 도 7참조)에 대해 수평하게 유지시켜 이송포크(30)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중이 이송포크(30)에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가상 수평선(H)은 수평선과 수평하게 배치된 가상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평선과 수평을 이루는 평로와는 수평을 이룬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수평유지부(50)는 일례로 산업용 로봇과 같이 관절운동하여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과 같은 경사로에서 보조바퀴(4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본체(10)의 후방측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수평유지부(50)는 보조바퀴(40)를 승강시켜 본체(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크 수평유지부(50)는 한 쌍의 고정판(51), 회동 링크부(52), 링크 고정부(53) 및 레버(54)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판(51) 중 리프트 캐리어(1)의 후방에서 바라볼 때 좌측에 위치한 좌측 고정판과 대향하도록 고정 브라켓(15)의 상부에 장착된 커버판(56)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고정판(51)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본체(10)의 하부 프레임 후방측에 장착된 고정 브라켓(15)의 상부에 서로 나란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회동 링크부(52)는 도 5와 같이, 하부에 보조바퀴(40)의 수평 브라켓(41)이 장착되고, 전방측으로 일측부 양측이 한 쌍의 고정판(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회동 링크부(52)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보조바퀴(40)가 승강하고, 이를 통해 본체(10)의 후방측의 높이가 조정되어 이송포크(30)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 링크부(52)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부링크(521), 하부링크(522) 및 걸림 회동판(523)을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링크바(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링크(521)는 양측부가 지면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면이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방측으로 일측부 양측이 힌지핀(p1)에 의해 한 쌍의 고정판(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부링크(521)는 힌지핀(p1)을 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힌지핀(p1)은 상기 좌측 고정판과 커버판(56) 사이, 그리고 고정판(51) 중 우측 고정판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부링크(521)의 일측부 양측이 각각 결합된다.
하부링크(52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링크(52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링크(522)는 후방측으로 타측부가 상부링크(521)의 타측부 양측에 힌지핀(p2)에 의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하부링크(522)는 힌지핀(p2)를 축으로 상하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힌지핀(p2)은 상부링크(521)의 타측부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하부링크(522)의 타측부 양측은 힌지핀(p2)을 통해 상부링크(521)의 타측부에 결합된다.
걸림 회동판(523)은 상기 좌측 고정판과 커버판(56)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링크(521)와 함께 상기 좌측 고정판과 커버판(56) 사이에 설치된 힌지핀(p1)에 결합되어 상부링크(521)와 연동하여 회동한다. 이러한 걸림 회동판(523)은 전방측으로 외면이 곡면을 이루고, 그 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톱니(523a)가 형성된다.
한 쌍의 링크바(524)는 전방측으로 일측부가 힌지핀(p3)을 통해 한 쌍의 고정판(51)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측으로 타측부는 힌지핀(p4)을 통해 하부링크(5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링크바(5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상부링크(521)와 하부링크(522)의 경계부위를 덮도록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링크(522)가 힌지핀(p2)를 축으로 회동할 때, 하부링크(522)의 타측부를 잡아주어 하부링크(522)가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힌지핀(p3)은 한 쌍의 고정판(51)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링크바(524)의 일측부가 힌지핀(p3)을 통해 고정판(51)에 각각 결합되고, 힌지핀(p4)은 하부링크(522)의 타측부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링크부(524)의 타측부가 힌지핀(p4)을 통해 하부링크(522)의 타측부에 결합된다. 이때, 힌지핀(p3)은 힌지핀(p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힌지핀(p4)은 힌지핀(p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한 쌍의 고정판(51) 사이의 고정 브라켓(15) 상에는 상부링크(521)가 과도하게 상부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 방지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 방지부는 고정 브라켓(15)의 상부에 장착된 고정통체와, 상기 고정통체에 권취되고 일단부가 상부링크(521)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부링크(521)가 과도하게 상부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고정부(53)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12)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12)에 구비된 레버(54)와 연결선(55)을 통해 연결되고, 레버(54)의 동작과 연동하여 회동 링크부(52)의 회동을 고정하여 잠금하거나, 잠금된 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링크 고정부(53)는 걸림바(531), 잠금 조정링크(532) 및 고정편(533)을 포함한다.
걸림바(531)는 도 5와 같이, 일측부가 한 쌍의 고정판(51) 중 걸림 회동판(52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고정판에 힌지핀(p5)을 통해 리프트 캐리어(1)의 전후방측으로 회동가능(진자운동)하게 결합되고, 걸림 회동판(523)과 대향하는 타측부가 걸림 회동판(523)에 형성된 톱니(523a)와 맞물리는 다수의 톱니(531a)가 형성된다.
잠금 조정링크(532)는 도 5와 같이, 일측부가 연결선(55)을 통해 레버(54)와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좌측 고정판과 커버판(56) 사이에 설치된 힌지핀(p6)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부 종단부에는 걸림바(531)에 형성된 연결핀(531b)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53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잠금 조정링크(532)는 레버(54)의 동작과 연동하여 힌지핀(p6)을 축으로 타측부 종단부가 상하로 회동하여 가이드홈(532a) 내로 돌출된 연결핀(531b)을 후방측으로 밀거나 전방측으로 당겨 걸림바(531)를 전후방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를 통해 걸림바(531)의 톱니(531a)가 걸림 회동판(523)의 톱니(523a)에 맞물려 걸림 회동판(523)을 고정하여 잠금하거나, 혹은 걸림 회동판(523)의 톱니(523a)에 맞물린 걸림바(531)의 톱니(531a)를 걸림 회동판(523)의 톱니(523a)로부터 분리시켜 걸림 회동판(523)의 잠금을 해제한다.
고정편(5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힌지핀(p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 조정링크(532)와 연동하여 회동하여 걸림바(531)의 톱니(531a)가 걸림 회동판(523)의 톱니(523a)에 걸림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한다. 즉, 잠금 조정링크(532)가 잠금을 해제하기 전에는 항상 걸림바(531)의 톱니(531a)가 걸림 회동판(523)의 톱니(523a)에 맞물려 걸림상태로 유지되도록 걸림바(531)가 전방측 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걸림바(531)의 타측부를 걸림 회동판(523)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수평유지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은 일례로 오르막 경사로에서 포크 수평유지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의 (a)와 같이, 손잡이(12)에 설치된 레버(54)를 잡아당기면, 그 동력이 연결선(55)을 통해 링크 고정부(53)의 잠금 조정링크(532)에 전달되어 잠금 조정링크(532)는 힌지핀(p6)을 축으로 타측부 종단부가 상승한다. 이때 잠금 조정링크(532)와 연동하여 고정편(533) 또한 힌지핀(p6)을 축으로 회동하여 걸림바(531)의 잠금이 해제된다. 즉, 고정편(533)이 걸림바(531)로부터 분리되어 걸림바(531)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가이드홈(532a)에 관통 결합되는 연결핀(531b)이 잠금 조정링크(532)의 회동과 연동하여 가이드홈(532a)을 따라 회동하고, 이에 따라 연결핀(531b)과 연동하여 걸림바(531)는 전방측, 즉 걸림 회동판(523)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 회동판(523)의 잠금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걸림 회동판(523)의 잠금이 해제되면, 도 6의 (b)와 같이, 이송포크(30)가 가상 수평선(H)에 대해 수평 상태가 될 때까지 상부링크(521)를 회동시켜 보조바퀴(40)를 하강시킨다. 이때, 보조바퀴(40)가 하강되면, 상대적으로 본체(10)의 후방측은 상승된다. 그리고 상부링크(521)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킨 후, 도 6의 (c)와 같이, 잡아당긴 레버(54)를 놓으면, 잠금 조정링크(532)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걸림 회동판(523)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걸림바(531)를 힌지핀(p6)을 축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걸림바(531)는 연결핀(531b)을 통해 잠금 조정링크(532)와 연동하여 힌지핀(p5)을 축으로 회동하여 걸림바(531)의 톱니(531a)가 걸림 회동판(523)의 톱니(523a)에 맞물려 걸림 회동판(523)을 고정하여 잠금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7은 평로에서 리프트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오르막 경사로에서 리프트 캐리어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내리막 경사로에서 리프트 캐리어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지면이 가상 수평선(H)과 수평한 평로에서는 이송포크(30)가 가상 수평선(H)에 대해 수평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이송포크(30)의 중심부에 무게중심이 위치되도록 적재물을 적재한 경우 , 적재물의 하중은 리프트 캐리어(1)에서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이송포크(30)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적재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의 (a)와 같이, 지면이 가상 수평선(H1)과 수평을 이루지 않고 상향 경사면을 갖는 오르막 경사로에서는 이송포크(30)의 중심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더라도, 오르막 경사로의 경사도에 의해 이송포크(30)가 가상 수평선(H)에 대해 리프트 캐리어(1)의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송포크(30)가 리프트 캐리어(1)의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적재물의 무게중심이 리프트 캐리어(1)의 후방측으로 쏠려 쏟아지거나, 보조바퀴(40)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어 보조바퀴(40)의 원활한 구름운동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b)와 같이, 포크 수평유지부(50)를 통해 보조바퀴(40)를 일정 높이로 하강시키고, 이와 대응하여 리프트 캐리어(1)의 후방측을 상승시켜 이송포크(30)를 가상 수평선(H)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이송포크(30)에 적재된 적재물이 리프트 캐리어(1)의 후방측으로 쏠려 보조바퀴(40)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평로에서와 같이 보조바퀴(40)의 원활한 구름운동이 가능하여 오르막 경사로에서도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 도 9의 (a)와 같이, 지면이 가상 수평선(H1)과 수평을 이루지 않고 하향 경사면을 갖는 내리막 경사로에서는 이송포크(30)의 중심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더라도, 오르막 경사로의 경사도에 의해 이송포크(30)가 가상 수평선(H)에 대해 리프트 캐리어(1)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송포크(30)가 리프트 캐리어(1)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적재물의 무게중심이 리프트 캐리어(1)의 전방측으로 쏠려 쏟아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9의 (b)와 같이, 포크 수평유지부(50)를 통해 보조바퀴(40)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고, 이와 대응하여 리프트 캐리어(1)의 후방측을 하강시켜 이송포크(30)를 가상 수평선(H)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이송포크(30)에 적재된 적재물이 리프트 캐리어(1)의 전방측으로 쏠려 쏟아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평로에서와 같이 내리막 경사로에서도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경사로에서 이송포크(30)에 적재된 적재물이 리프트 캐리어(1)의 전후방측으로 쏠려 쏟아지거나 혹은 보조바퀴(40)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어 보조바퀴(40)의 원활한 구름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크 수평유지부(50)를 통해 보조바퀴(40)를 승강시켜 이송포크(30)가 가상 수평선(H)에 대해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적재물의 하중이 이송포크(30)에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하여 평로에서와 같이 경사로에서도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포크 승강부(6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승강체(61), 리프팅 잭(62) 및 동력 전달부(63)를 포함한다. 이때, 포크 승강부(60)를 구성하는 승강체(61), 리프팅 잭(62) 및 동력 전달부(63)는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2623호(등록일: 2014.05.02.)에 개시된 승강체, 리프팅 잭 및 동력 전달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포크 승강부(60)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2623호의 구조 및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이 가능하다.
승강체(61)는 도 4와 같이, 수직 가이드바(11)와 결합되어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롤러(611)를 통해 수직 가이드바(11)와 결합된 한 쌍의 브래킷(612)과, 서로 상하로 배치되어 한 쌍의 브래킷(612)을 좌우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바(613, 61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연결바(613)는 브래킷(612)의 상부에 연결되고, 제2 연결바(614)는 브래킷(612)의 하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연결바(614)는 체인(632)의 일측부가 연결되어 리프팅 잭(62)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연결바(613, 614)가 상하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나, 제2 연결바(614)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인(632)의 일측부는 제1 연결바(613)에 연결되어 리프팅 잭(62)의 구동에 따라 제1 연결바(613)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리프팅 잭(62)은 도 4와 같이, 유압식으로 이루어지고 동력 전달부(63)로 동력을 전달하는 잭 구동부(621)와, 잭 구동부(621)를 구동시키는 레버(622)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63)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리프팅 잭(62)의 승강 로드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631)와, 롤러(631)의 회전방향으로 롤러(631)의 일부를 감싸도록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부가 제2 연결바(614)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고정 브라켓(15)(또는 하부 프레임)에 체결된 체인(632)을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승강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10의 (a)와 같이, 이송포크(30)에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레버(622)를 이용하여 리프팅 잭(62)의 잭 구동부(621)를 구동시켜 승강 로드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강 로드의 상단부와 체결된 동력 전달부(63)의 롤러(631)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롤러(631)와 결합된 체인(632)을 통해 제2 연결바(614)에 힘이 전달된다.
제2 연결바(614)에 전달된 힘은 제2 연결바(614)가 일체로 체결된 승강체(61)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승강체(61)는 브래킷(612)을 통해 수직 가이드바(11)를 따라 잭 구동부(621)의 승강 로드의 상승 높이 만큼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잭 구동부(621)에 의해 승강체(61)가 상승하면, 승강체(61)의 제1 연결바(613)에 체결된 이송포크(30) 또한 승강체(60)의 상승과 연동하여 상방으로 상승한다.
이와 같이, 이송포크(3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손잡이(12)를 이용하여 리프트 캐리어(1)를 전방으로 밀거나, 혹은 후방으로 당겨 원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 리프팅 잭(62)의 잭 구동부(621)에 마련된 잠금 해제부를 조작하여 잠금을 해제하면, 도 10의 (b)와 같이 상기 승강 로드가 원위치로 하강하고, 이와 대응하여 이송포크(30)가 하강하여 이송포크(30)의 적재된 적재물을 하역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바퀴가 본체의 후방측에 장착되고, 메인바퀴가 전방측에 장착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보조바퀴가 본체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메인바퀴가 후방측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때 보조바퀴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리프트 캐리어 10 : 본체
11 : 수직 가이드바 12 : 손잡이
13 : 수직 보강바 14 : 수평 보강바
15 : 고정 브라켓 20 : 메인바퀴
21 : 고정포크 30 : 이송포크
40 : 보조바퀴 41 : 수평 브라켓
42 : 회전포크 43 : 휠
50 : 포크 수평유지부 51 : 고정판
52 : 회동 링크부 521 : 상부링크
522 : 하부링크 523 : 걸림 회동판
523a : 톱니 524 : 링크바
53 : 링크 고정부 531 : 걸림바
531a : 톱니 531b : 연결핀
532 : 잠금 조정링크 532a : 가이드홈
533 : 고정편 54 : 레버
55 : 연결선 56 : 커버판
60 : 포크 승강부 61 : 승강체
611 : 롤러 612 : 브래킷
613 : 제1 연결바 614 : 제2 연결바
62 : 리프팅 잭 621 : 잭 구동부
622 : 레버 63 : 동력 전달부
631 : 롤러 632 : 체인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된 한 쌍의 메인바퀴;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적재물이 적재되는 이송포크;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구름운동하는 보조바퀴; 및
    경사로에서 상기 이송포크가 가상 수평선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보조바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포크 수평유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 수평유지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된 한 쌍의 고정판과, 하부에는 상기 보조바퀴가 장착되고 일측부 양측은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조바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동 링크부와, 상기 회동 링크부의 회동을 고정하여 잠금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링크 고정부와, 상기 링크 고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링크부는 일측부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부가 상기 상부링크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와 연동하여 회동하고, 외면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걸림 회동판과, 일측부가 상기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하부링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링크가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링크바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고정부는 일측부가 상기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걸림 회동판과 대향하는 외면에 상기 걸림 회동판의 톱니와 맞물리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걸림바와, 일측부가 연결선을 통해 상기 레버와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걸림바를 상기 걸림 회동판 방향으로 밀어 상기 톱니가 상호 맞물리도록 하여 잠금하거나 상기 걸림 회동판에 잠금된 상기 걸림바를 상기 걸림 회동판으로부터 분리시켜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조정링크와, 상기 잠금 조정링크와 연동하여 회동하여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 회동판에 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 회동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퀴는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상기 보조바퀴는 상기 본체의 후방측에 장착되며,
    상기 포크 수평유지부는 상기 보조바퀴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본체의 후방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이송포크를 상기 가상 수평선과 수평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수평유지부는 오르막 경사로에서는 상기 보조바퀴를 하강시켜 상기 본체의 후방측을 상승시키고, 내리막 경사로에서는 상기 보조바퀴를 상승시켜 상기 본체의 후방측을 하강시켜 상기 이송포크를 상기 가상 수평선과 수평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조정링크는 타측부 종단부에 상기 걸림바에 형성된 연결핀이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가이드홈 내에서 상기 잠금 조정링크의 회동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걸림바를 상기 걸림 회동판 방향으로 밀어 상기 걸림 회동판에 고정시켜 잠금하거나, 상기 걸림 회동판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상기 걸림 회동판으로부터 분리시켜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포크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포크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
KR1020160023328A 2016-02-26 2016-02-26 리프트 캐리어 KR101809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28A KR101809632B1 (ko) 2016-02-26 2016-02-26 리프트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28A KR101809632B1 (ko) 2016-02-26 2016-02-26 리프트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890A KR20170100890A (ko) 2017-09-05
KR101809632B1 true KR101809632B1 (ko) 2017-12-15

Family

ID=5992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328A KR101809632B1 (ko) 2016-02-26 2016-02-26 리프트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252B1 (ko) * 2019-12-24 2022-02-17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바퀴의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급침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23Y1 (ko) * 2013-12-12 2014-05-13 조방훈 리프트 캐리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23Y1 (ko) * 2013-12-12 2014-05-13 조방훈 리프트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890A (ko)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403B2 (en) Hoist apparatus and hoist transporting system
US20010038786A1 (en) Hand truck with electrially operated lifting platform
US20170021754A1 (en) Trailer-Train Trailer with Carrying Frame for a Material Transport Cart
US7438300B1 (en) Hand truck with pivotal retainer
JP2007153614A (ja)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方法
KR101520817B1 (ko) 로켓 엔진 이송장치
JP6566504B1 (ja) バッテリーキャリア
KR101809632B1 (ko) 리프트 캐리어
KR101307653B1 (ko) 장력 조절 기능이 구비된 벽돌 운반용 손수레
CN206427987U (zh) 一种适用于电力设备运输的抬升装置
TW202313443A (zh) 氣體容器搬送用台車
CN105692507A (zh) 一种基于叉车运输的物料周转箱自动翻转装置
US20100196131A1 (en) Ram operated vehicle lift
KR101131382B1 (ko)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KR101275981B1 (ko) 차동기어장치를 이용한 운반차
JP5503906B2 (ja) 車載式昇降装置
CN217198204U (zh) 板材加工转运小车
US11767208B2 (en) Fork assembly for forklifts
KR20200027614A (ko)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0472623Y1 (ko) 리프트 캐리어
JPH0967003A (ja) 昇降荷送り装置付き運搬車
EP0509976A2 (en) Hand pallet truck
KR200386756Y1 (ko) 운반용 대차
CN219299243U (zh) 一种输送组件及动力猫道
CN218706868U (zh) 箱轮输送线及具有其的箱轮转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