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756Y1 - 운반용 대차 - Google Patents

운반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756Y1
KR200386756Y1 KR20-2005-0002917U KR20050002917U KR200386756Y1 KR 200386756 Y1 KR200386756 Y1 KR 200386756Y1 KR 20050002917 U KR20050002917 U KR 20050002917U KR 200386756 Y1 KR200386756 Y1 KR 200386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tire
pai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환
Original Assignee
장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철환 filed Critical 장철환
Priority to KR20-2005-0002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7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62B2202/031Wheels, t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2Boxes, Crates

Abstract

본 고안은 적재물이나 다단으로 적층된 타이어를 용이하게 운반하고자 하는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가로 골조를 통해 지지되는 양 수직대를 포함하고 하부에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양 수직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수직 연결관과, 상기 수직 연결관에 회전은 가능하고 상하 위치는 변화되지 않게 관통 구비되어 있는 수직 회전대와 수직 회전대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구비된 손잡이 및 상기 수직 회전대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타이어 적층체나 적재물의 하부 양측에 끼워져 타이어 적층체나 적재물을 수취하는 수취대로 구성된 한 쌍의 적재 회전손잡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가로 골조를 통해 지지되는 양 수직 가이드대를 포함하고 하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양 수직 가이드대의 사이에 구동 승강수단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전방 양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수직 연결관, 및 상기 수직 연결관에 회전은 가능하며 상하 위치는 변경되지 않게 관통 구비되어 있는 수직 회전대와 수직 회전대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구비된 손잡이 및 상기 수직 회전대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타이어 적층체나 적재물의 하부 양측에 끼워져 타이어 적층체나 적재물을 수취하는 수취대로 구성된 한 쌍의 적재 회전손잡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반용 대차{Conveyance apparatus}
본 고안은 적재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적재물이나 다단으로 적층된 타이어를 용이하게 운반하고자 하는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라 함은 물건을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두 쌍 이상의 바퀴가 구비되어 대차를 밀거나 당기면서 적재물을 운반하는 이동식 대차와 대차를 눕혀 적재물을 운반하는 경사식 대차가 알려져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경사식 대차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경사식 대차(이하, "대차"라 칭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대차는, 손잡이가 후방으로 돌출된 양 수직대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바퀴, 및 프레임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박스 등의 적재물이 올려지는 적재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대차를 통해 적재물을 적재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대차를 전방으로 밀어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적재판이 적재물의 하부로 삽입되게 한다.
다음 운반자가 손잡이를 당기게 되면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바퀴를 중심으로 적재물이 적재된 대차를 경사지게 한다. 그리고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경사져 있는 대차를 이동시킴으로서 적재물을 운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과 같은 대차를 사용하여 중량이 적은 적재물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대차를 통해 중량이 많이 나가는 적재물이나 다단으로 높게 적층된 타이어(이하, "타이어 적층체"라 칭함) 등을 운반할 경우에는, 중량체인 적재물이나 타이어 적층체 등은 중량이 무거움에 따라서 운반자의 힘으로는 대차의 적재판을 중량체인 적재물이나 타이어 적층체의 하부에 끼울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대차를 통해 중량체인 적재물이나 타이어 적층체 등의 운반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중량체인 타이어 적층체는 물론 중량체인 박스등의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한 후 운반 할 수 있는 운반용 대차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동력을 이용하여 타이어 적층체나 중량체인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한 후 대차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이동도 가능한 운반용 대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특히 높게 적층된 타이어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가로 골조를 통해 지지되는 양 수직대를 포함하고 하부에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양 수직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수직 연결관과, 상기 수직 연결관에 회전은 가능하고 상하 위치는 변화되지 않게 관통 구비되어 있는 수직 회전대와 수직 회전대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구비된 손잡이 및 상기 수직 회전대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적재물이나 타이어 적층체의 하부 양측에 끼워져 적재물이나 타이어 적층체를 수취하는 수취대로 구성된 한 쌍의 적재 회전손잡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가로 골조를 통해 지지되는 양 수직 가이드대를 포함하고 하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양 수직 가이드대의 사이에 구동 승강수단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전방 양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수직 연결관, 및 상기 수직 연결관에 회전은 가능하며 상하 위치는 변경되지 않게 관통 구비되어 있는 수직 회전대와 수직 회전대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구비된 손잡이 및 상기 수직 회전대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적재물이나 타이어 적층체의 하부 양측에 끼워져 적재물이나 타이어 적층체를 수취하는 수취대로 구성된 한 쌍의 적재 회전손잡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운반용 대차는, 하나 이상의 가로 골조(111)를 통해 지지되는 양 수직대(11)를 포함하고 하부 양측에는 한쌍의 바퀴(12)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1)과, 상기 양 수직대(11)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수직 연결관(2)과, 상기 양측의 수직 연결관(2)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벌림과 오므림 조작을 통해 타이어 적층체(9)나 중량체인 적재물(10;도6참조)을 수취 적재하는 한 쌍의 적재 회전손잡이(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적재 회전손잡이(3)는, 상기 수직 연결관(2)에 회전이 가능하고 상하 위치는 변경되지 않게 관통 구비되어 있는 수직 회전대(31)와 수직 회전대(3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구비된 손잡이(32) 및 상기 수직 회전대(31)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타이어(9)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함몰부(91)에 끼워져 타이어(9)를 수취하는 수취대(33)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취대(33)는, 중간이 외측으로 돌출된 원호형 골조(331)와 이 원호형 골조(33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이어(9)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함몰부(91)의 하부에 끼워져 타이어를 받쳐주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3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취대(33)와 프레임(1)의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34)이 구비된다. 즉 상기 인장 스프링(34)은, 양 수취대(33)의 사이에 적재된 타이어(9)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수취대(33)가 항상 상호 근접된 위치를 유지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상기 수직 회전대(31)의 측부에는, 상기 수취대(33)의 근접 거리를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밀착되는 스톱 돌출턱(3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스톱 돌출턱(311)에 의해 상기 양 수취대(33) 사이의 거리를 단속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수직 회전대(31)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서 빈 대차를 이동시킬 경우에 후방으로 돌출된 양 손잡이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운반용 대차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재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적재된 타이어 적층체를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를 적층할 경우에는, 먼저 프레임(1)의 후방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손잡이(32)를 상호 근접되게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손잡이(32)와 연동되게 회전되는 한 쌍의 수취대(33)를 상호 벌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차를 이동시켜 상호 벌어져 있는 양 수취대(33)의 사이에 타이어 적층체가 위치되게 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 후방의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손잡이(32)를 벌리게 되면, 상기 손잡이(32)와 연동되게 회전되는 한 쌍의 수취대(33)가 상호 근접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양 수취대(33)를 구성하는 내측 지지판(332)이 타이어(9)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함몰부(91)를 받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32)를 벌리는 과정에서는 수취대(33)와 프레임(1)을 상호 연결하는 인장 스프링(34)에서 복원력이 발생됨으로서 벌리는 과정이 수월함은 물론, 상기 인장 스프링(34)의 인장력을 통해 양 수취대(33)가 타이어(9)의 하부 둘레를 받치고 있는 과정에서는 양 수취대(33)가 벌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양 수취대(33)의 사이에 적재된 타이어(9)의 하부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에 타이어 적층체가 적재된 상태에서 운반자가 대차를 하부의 바퀴(12)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한 다음 양 손으로 프레임(1)의 후방에 돌출된 양 손잡이(32)를 잡고 대차를 이동시킴으로 타이어를 운반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할 위치에 도착되면, 상술한 순서의 반대 순서로 적재된 타이어 적층체를 지면에 내려놓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대차를 사용하여 타이어 적층체를 적재할 경우에는, 타이어(9)의 둘레에 형성된 함몰부(91)에 양 수취대(33)를 끼워 받침으로서 타이어 적층체의 적재시 거의 힘이 들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 실시예의 대차의 구성 중 적재 회전손잡이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적재 회전손잡이(3)는, 상기 수직 연결관(2)에 회전이 가능하고 상하 위치는 변경되지 않게 관통 구비되어 있는 수직 회전대(31)와 수직 회전대(3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구비된 손잡이(32) 및 상기 수직 회전대(31)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중량체인 박스등의 적재물(10)의 하부 양측을 수취하는 수취대(33)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취대(33)는, 전방으로 돌출된 직선형 돌출골조(333)와 이 직선형 돌출골조(333)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물(10)의 하부 양측에 끼워져 적재물을 받쳐주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33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적재 회전손잡이(3)의 회전 작동을 통해 중량이 많이 나가는 박스 등의 적재물(10)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취대(33)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적재물(10)의 하부 양측에 수취대(33)를 구성하는 지지판(334)을 끼움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중량체인 적재물을 적재한 후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운반용 대차를 구성하는 구동 승강수단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운반용 대차는, 하나 이상의 가로 골조(511)를 통해 지지되는 양 수직 가이드대(51)를 포함하고 하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52)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5)과, 상기 양 수직 가이드대(51)의 사이에 구동 승강수단(61)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대(6)와, 상기 승강대(6)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구비된 수직 연결관(7), 및 상기 양측의 수직 연결관(7)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벌림과 오므림 조작을 통해 타이어 적층체(9)나 중량체인 적재물(10;도13참조)을 수취 적재하는 한 쌍의 적재 회전손잡이(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적재 회전 손잡이(8)는, 상기 수직 연결관(7)에 회전이 가능하며 상하 위치는 변경되지 않게 관통 구비되어 있는 수직 회전대(81)와 수직 회전대(8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구비된 손잡이(82) 및 상기 수직 회전대(81)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타이어(9)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함몰부(91)에 끼워져 타이어(9)를 수취하는 수취대(83)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 승강수단(6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을 구성하는 제일 하부에 위치된 가로 골조(511)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별도의 조작수단(613)을 통해 로드(612)가 승강되는 실린더(611)와, 상기 로드(612)의 상단에 구비되어 양측에는 공회전하는 스프로킷(615)이 구비된 승강부(614)와, 상기 양 수직 가이드대(51)의 후방 하부에 구비된 고정대(617), 및 상기 승강부(614)의 양 스프로킷(615)에 중간이 맞물려 있으며 전단은 상기 승강대(6)에 고정되고 후단은 상기 고정대(617)에 고정된 한 쌍의 체인(616)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조작수단(613)은 상기 실린더(611)에 유체를 공급 배출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발 스위치 또는 버튼스위치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운반용 대차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가이드대(51)는 내측에 구비된 레일 홈(512)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6)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 홈(512)을 타고 회전되면서 승강 이동하는 한 쌍 이상의 롤러(62)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바퀴 전방에는, 프레임(1)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보조바퀴(5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바퀴(53)는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재할 경우에 대차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바퀴(53)는 상기 구동 승강수단(61)의 작동을 통해 적재된 타이어 적층체를 전체적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대차를 수직 상태에서 이동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취대(83)는, 중간이 외측으로 돌출된 원호형 골조(831)와 이 원호형 골조(83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이어(9)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함몰부(91)의 하부에 끼워져 타이어를 받쳐주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8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취대(83)와 승강대(6)의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84)이 구비된다. 즉 상기 인장 스프링(84)은, 양 수취대(83)의 사이에 적재된 타이어(9)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수취대(83)가 항상 상호 근접된 위치를 유지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 상기 수직 회전대(81)의 측부에는, 상기 수취대(83)의 근접 거리를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밀착되는 스톱 돌출턱(8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스톱 돌출턱(811)에 의해 상기 양 수취대(83) 사이의 거리를 단속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수직 회전대(81)의 회전을 단속함으로 빈 대차를 이동시킬 경우에 후방으로 돌출된 양 손잡이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운반용 대차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층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적재된 타이어 적층체를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를 적층할 경우에는, 먼저 프레임(6)의 후방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손잡이(82)를 상호 근접되게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손잡이(82)와 연동되게 회전되는 한 쌍의 수취대(83)를 상호 벌리는 것이다.
그리고 대차를 이동시켜 상호 벌어져 있는 양 수취대(83)의 사이에 타이어 적층체가 위치되게 한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6) 후방의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손잡이(82)를 벌리게 되면, 상기 손잡이(82)와 연동되게 회전되는 한 쌍의 수쥐대(83)가 상호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양 수취대(83)를 구성하는 내측 지지판(832)의 타이어(9)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함몰부(91)를 받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82)를 벌리는 과정에서는 수취대(83)와 승강대(6)를 상호 연결하는 인장 스프링(84)에서 복원력이 발생됨으로서 양 수취대(83)를 벌리는 과정이 수월함은 물론, 상기 인장 스프링(84)의 인장력을 통해 양 수취대(83)가 타이어(9)의 하부 둘레를 받치고 있는 과정에서는 양 수취대(83)가 벌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양 수취대(83)의 사이에 적재된 타이어(9)의 하부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에 타이어 적층체가 적재된 상태에서 운반자가 조작수단(613)을 조작함으로서, 승강대(6)와 적재 회전손잡이(8)를 전체적으로 상승시킴에 따라서 타이어 적층체를 전체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조작수단(613)을 구성하는 레버를 조작하여 실린더(611)로 유체를 공급하게 되면 로드(612)가 상승되게 되고, 이와 연동되어 로드의 끝단에 구비된 양 스프로킷(615)을 포함하는 승강부(614)도 함께 상승됨으로서, 상기 스프로킷(615)에 중간이 맞물려 있는 체인도 함께 이동된다. 그러므로 체인(616)이 이동과 더불어 승강대(6)가 상승됨으로 인하여 승강대(6)에 구비되어 타이어 적층체가 적재된 적재 회전손잡이(8)도 함께 상승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적재물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수직의 대차를 그대로 밀거나 당기면서 이동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대차는 프레임(1)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바퀴와 그 전방에 구비된 한 쌍의 보조바퀴(53)를 통해 수직의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할 위치에 도착되면, 상술한 바의 순서에 반대의 순서로 적재된 타이어 적층체를 지면에 내려놓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대차를 사용하여 타이어 적층체를 적재할 경우에는, 타이어(9)의 둘레에 형성된 함몰부(91)에 양 수취대(83)를 끼워 받침으로서 타이어 적층체의 적재시 거의 힘이 들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시에는 실린더(611)의 힘을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대차를 수직에 상태에서 밀거나 당겨 이동시킴에 따라서, 대차의 이동도 적은 힘으로 수월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운반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구동 승강수단(61)의 조작을 통해 전재 회전손잡이(8)를 전체적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높게 적층된 타이어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적재 회전손잡이(8)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높게 적층된 타이어 적층체의 일부를 적재한 후 대차를 이동시켜 운반할 수도 있음에 따라서, 높게 적층된 타이어(9)의 운반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2 실시예의 대차의 구성 중 적재 회전손잡이의 구성을 제외한 타 구성은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적재 회전손잡이(8)는, 상기 수직 연결관(7)에 회전이 가능하고 상하 위치는 변경되지 않게 관통 구비되어 있는 수직 회전대(81)와 수직 회전대(8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구비된 손잡이(82) 및 상기 수직 회전대(81)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중량체인 박스 등의 적재물(10)의 하부 양측을 수취하는 수취대(83)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취대(83)는, 전방으로 돌출된 직선형 돌출골조(833)와 이 직선형 돌출골조(833)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물(10)의 하부 양측에 끼워져 적재물을 받쳐주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83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적재 회전손잡이(8)의 회전 작동을 통해 중량이 많이 나가는 박스 등의 적재물(10)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취대(83)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적재물(10)의 하부 양측에 수취대(83)를 구성하는 지지판(834)을 끼움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중량체인 적재물(10)을 적재한 후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중량체인 타이어 적층체는 물론 중량체인 박스등의 적재물을 운반할 경우에 손쉽게 적재가 가능한 운반용 대차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동력을 이용하여 타이어 적층체나 중량체인 적재물을 좀더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고 대차를 수직의 상태에서 이동도 가능하게 함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적재와 이동이 가능한 운반용 대차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특히 높게 적층된 타이어 적층체를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분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이어 제조공장 등에서 타이어의 적층 높이를 높이더라도 타이어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재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적재된 타이어 적층체를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운반용 대차를 구성하는 구동 승강수단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층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타이어 적층체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대차를 통해 적재된 타이어 적층체를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1 : 수직대
111 : 가로골조
12 : 바퀴
2 : 수직 연결관
3 : 적재 회전손잡이
31 : 수직 회전대
311 : 스톱 돌출턱
32 : 손잡이
33 : 수취대
331 : 원호형 골조, 332 : 지지판, 333 : 직선형 돌출골조,
334 : 지지판
34 : 인장 스프링
5 : 프레임
51 : 수직 가이드대
511 : 가로골조, 512 : 레일 홈
52 : 바퀴
53 : 보조바퀴
6 : 승강대
61 : 구동 승강수단
611 : 실린더, 612 : 로드, 613 : 조작수단, 614 : 승강부,
615 : 스프로킷, 616 : 체인, 617 : 고정대
62 : 롤러
7 : 수직 연결관
8 : 적재 회전손잡이
81 : 수직 회전대
811 : 스톱 돌출턱
82 : 손잡이
83 : 수취대
831 : 원호형 골조, 832 : 지지판, 833 : 직선형 돌출골조,
834 : 지지판
84 : 인장 스프링
9 : 타이어
91 : 함몰부
10 : 적재물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가로 골조(111)를 통해 지지되는 양 수직대(11)를 포함하고 하부에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12)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1)과,
    상기 양 수직대(11)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수직 연결관(2)과,
    상기 수직 연결관(2)에 회전은 가능하고 상하 위치는 변화되지 않게 관통 구비되어 있는 수직 회전대(31)와 수직 회전대(3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구비된 손잡이(32) 및 상기 수직 회전대(31)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타이어 적층체나 적재물의 하부 양측에 끼워져 타이어 적층체나 적재물을 수취하는 수취대(33)로 구성된 한 쌍의 적재 회전손잡이(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대(33)는,
    중간이 외측으로 돌출된 원호형 골조(331)와 이 원호형 골조(331)의 내측에 구비되어 타이어(9)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함몰부(91)의 하부에 끼워져 타이어를 받쳐주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3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대(33)는,
    전방으로 돌출된 직선형 돌출골조(333)와 이 직선형 돌출골조(333)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물(10)의 하부 양측에 끼워져 적재물을 받쳐주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33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수취대(33)와 프레임(1)의 사이에는,
    적재된 타이어(9)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수취대(33)가 항상 상호 근접된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인장 스프링(3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회전대(31)의 측부에는,
    상기 수취대(33)의 근접 거리를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밀착되는 스톱 돌출턱(31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6. 하나 이상의 가로 골조(511)를 통해 지지되는 양 수직 가이드대(51)를 포함하고 하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52)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5)과,
    상기 양 수직 가이드대(51)의 사이에 구동 승강수단(61)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대(6)와,
    상기 승강대(6)의 전방 양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수직 연결관(7), 및
    상기 수직 연결관(7)에 회전은 가능하며 상하 위치는 변경되지 않게 관통 구비되어 있는 수직 회전대(81)와 수직 회전대(8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구비된 손잡이(82) 및 상기 수직 회전대(81)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타이어 적층체나 적재물의 하부 양측에 끼워져 타이어 적층체나 적재물을 수취하는 수취대(83)로 구성된 한 쌍의 적재 회전손잡이(8)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승강수단(61)은,
    상기 프레임(5)을 구성하는 제일 하부에 위치된 가로 골조(511)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별도의 조작수단(613)을 통해 로드(612)가 승강되는 실린더(611)와,
    상기 로드(612)의 상단에 구비되어 양측에는 공회전하는 스프로킷(615)이 구비된 승강부(614)와,
    상기 양 수직 가이드대(51)의 후방 하부에 구비된 고정대(617), 및
    상기 승강부(614)의 양 스프로킷(615)에 중간이 맞물려 있으며 전단은 상기 승강대(6)에 고정되고 후단은 상기 고정대(617)에 고정된 한 쌍의 체인(61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대(51)는 내측에 구비된 레일 홈(512)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6)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 홈(512)을 타고 회전되면서 승강 이동하는 한 쌍 이상의 롤러(62)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대(83)는,
    중간이 외측으로 돌출된 원호형 골조(831)와 이 원호형 골조(83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이어(9)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함몰부(91)의 하부에 끼워져 타이어(9)를 받쳐주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8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10.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대(83)는,
    전방으로 돌출된 직선형 돌출골조(833)와 이 직선형 돌출골조(833)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물(10)의 하부 양측에 끼워져 적재물을 받쳐주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83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11.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대(83)와 승강대(6)의 사이에는,
    적재된 타이어(9)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수취대(83)가 항상 상호 근접된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인장 스프링(8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12.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수직 회전대(81)의 측부에는,
    상기 수취대(83)의 근접 위치를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대(6)에 밀착되는 스톱 돌출턱(81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13.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바퀴 전방에는,
    프레임(1)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보조바퀴(5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대차.
KR20-2005-0002917U 2005-01-31 2005-01-31 운반용 대차 KR200386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917U KR200386756Y1 (ko) 2005-01-31 2005-01-31 운반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917U KR200386756Y1 (ko) 2005-01-31 2005-01-31 운반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756Y1 true KR200386756Y1 (ko) 2005-06-16

Family

ID=4368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917U KR200386756Y1 (ko) 2005-01-31 2005-01-31 운반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7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920B1 (ko) * 2011-04-06 2012-01-25 신호스틸(주) 중량물 적재대
KR102661945B1 (ko) * 2023-07-07 2024-04-29 서무정 이동 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920B1 (ko) * 2011-04-06 2012-01-25 신호스틸(주) 중량물 적재대
KR102661945B1 (ko) * 2023-07-07 2024-04-29 서무정 이동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212440B (zh) 自动化物流装卸运输平台
CN112125205B (zh) 一种拆叠盘装置及拆叠盘设备
CN211809709U (zh) 一种物流运输用便于卸货的小推车
KR200386756Y1 (ko) 운반용 대차
CN209796914U (zh) 装车设备
CA2804700C (en) Trolley for transporting loads
KR101225959B1 (ko) 벽돌운반용 수레
EP3081453A1 (en) Roll container and method of transporting a plurality of roll containers
EP2464594A1 (en) Arm for a forklift fork and a forklift fork
CN211252671U (zh) 一种配电柜转运车
JP3903796B2 (ja) 物品移載装置
JP2014122115A (ja) 被搬送物の取出装置
DK178115B1 (en) Sack Truck
KR101041337B1 (ko) 하차가 용이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
KR100606855B1 (ko) 농업용 컨테이너박스 운반장치
JP2009067186A (ja) 荷体昇降機構付台車
JP5366668B2 (ja) 搬送用架台
CN217808613U (zh) 一种具有防倾倒功能的纯电动叉车
JP2021037865A (ja) 台車、階段昇降装置及び搬送方法
JPH06298497A (ja) タイヤ搬送装置
JPS5916356Y2 (ja) 物品の段積み装置
JP2640621B2 (ja) 段差面走行自在運搬車
JP2000326852A (ja) 運搬用機器
CN219173280U (zh) 一种用于堆垛机的搬运装置
CN216611262U (zh) 一种具有防倾倒结构的笼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