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23Y1 - 리프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리프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23Y1
KR200472623Y1 KR2020130010335U KR20130010335U KR200472623Y1 KR 200472623 Y1 KR200472623 Y1 KR 200472623Y1 KR 2020130010335 U KR2020130010335 U KR 2020130010335U KR 20130010335 U KR20130010335 U KR 20130010335U KR 200472623 Y1 KR200472623 Y1 KR 200472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s
pedestal
rollers
jack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방훈
Original Assignee
조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방훈 filed Critical 조방훈
Priority to KR2020130010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캐리어에 수동 리프트 장치를 장착하여 그 제작 및 유지비가 저렴하면서 사용상 편리성과 안정성을 제공하고 물품의 운반과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하는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물품을 운반할 수 있는 캐리어에 물품을 들어올릴 수 있는 수동 유압식 리프트 장치(리프팅 잭)가 장착된 리프트 캐리어를 제공함으로써 전기 설비 환경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장소에 사용이 가능하면서 물품의 운반과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비가 저렴하다.

Description

리프트 캐리어{LIFT CARRIER}
본 고안은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캐리어에 수동 리프트 장치를 장착하여 그 제작 및 유지비가 저렴하면서 사용상 편리성과 안정성을 제공하고 물품의 운반과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하는 리프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물품(화물)을 운반하거나 적재 또는 하역하는 경우 호이스트 장치 또는 지게차를 사용하여 왔으나, 호이스트 장치 또는 지게차는 설치비용이 비싸고, 비교적 부피가 작은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 순발력이 떨어지고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즉, 호이스트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레일의 영역을 벗어나면 별도로 운반 장치와 리프트 장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지게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간이 협소하거나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장소(예를 들면 수산시장, 가축농장 등)에서는 사용상 많은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호이스트 장치 또는 지게차를 사용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서는 리프트 캐리어가 사용되었고, 그 구조는 프레임의 하단부 양측에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 하단에 받침판이 전방 쪽으로 절곡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캐리어에 리프트 장치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존 리프트 캐리어는 프레임에 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한 포크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포크부가 유압장치와 전기적인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제어에 따라 유압장치의 유압에 의해 포크부가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물품을 상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리프트 캐리어는 유압장치와, 상기 유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들이 장착됨에 따라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고, 너무 무거워 그 생산성이 낮았으며, 유압장치의 설치공간이 크기 때문에 물품을 리프팅하는 포크부가 바닥면에 밀착되지 않아 버팀목 등으로 받쳐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90685호에는 캐리어 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가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90685호에는 화물 이동 선반이 프레임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반 이동 장치에 의해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전환되어 화물 이동 선반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로, 기존의 동일한 출력을 발생하는 것에 비해 전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롤러와 보조 장치들에 의해 안정성과 편리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90685호에서는 기존의 리프트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화물 이동 선반의 내부에서 나사축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유니트가 정회전 및 역회전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장착된 구조로, 이러한 구조에서는 구동모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비교적 이동 반경이 넓어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는 축산 농가나, 전기 누전(감전)에 취약한 수산시장 등과 같은 장소에는 별도로 누전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 장소에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01-0090685 A, 2001. 10. 19.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기 설비 환경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장소에 사용이 가능하고, 물품의 운반과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면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비가 저렴한 리프트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상단부에 좌우로 연장된 상단바(11)와, 하단부에 상기 상단바(11)와 나란하도록 좌우로 연장된 받침대(12)와, 상기 상단바(11)와 상기 받침대(12) 사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13, 13')과, 상기 안내레일(13, 13')과 나란하도록 상기 상단바(11)와 상기 받침대(12) 사이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지지바(15, 15')와, 상기 지지바(15, 15')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부(14, 14')를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지지바(15, 15')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포크(21, 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바퀴(20, 20')와, 상기 안내레일(13, 13')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롤러(31, 31', 32, 32')를 통해 상기 안내레일(13, 13')과 결합된 브래킷(33, 33')과, 상기 브래킷(33, 33')을 좌우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바(34, 35)를 포함하는 승강체(30)와, 상기 제2 연결바(35)를 따라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물품 적재부(40, 40')와, 상기 받침대(12)의 중앙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리프팅 잭(50)과, 상기 리프팅 잭(50)의 승강 로드(51-2)의 상단부 양측에 결합되는 롤러(61, 61')와, 상기 롤러(61, 61')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롤러(61, 61')의 일부를 감싸도록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부가 상기 제1 연결바(34)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받침대(12)에 체결된 체인(62, 62')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12)의 양측부는 'ㄱ'자 형상 또는 '역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받침대(12)의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바퀴(20, 20')보다 작은 크기로 구름운동하는 보조바퀴(70, 7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래킷(33, 33')은 후방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31, 31')는 상기 브래킷(33, 33')의 개방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13, 13')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롤러(32, 32')는 상기 브래킷(33, 33')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13, 13')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품 적재부(40, 40')가 후방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래킷(33, 33')의 전방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34, 35)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상기 브래킷(33, 33')을 좌우로 연결하는 지지바(36)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팅 잭(50)은 손잡이부(52-1)와, 상기 손잡이부(52-1)로부터 연장된 장착부(52-2)를 포함하는 레버(52)와, 오일이 충진된 잭 몸체(51-1)와, 잭 몸체(51-1)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60)의 롤러(61, 61')와 결합되는 승강 로드(51-2)와, 상기 잭 몸체(51-1)를 상기 받침대(12)의 상부에 체결하는 체결판(51-3)과, 상기 체결판(5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 로드(51-2)를 작동시키는 작동부(51-4)를 포함하는 잭 구동부(51)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51-4)는 상기 장착부(52-2)가 삽입되는 레버 삽입부(51-4a)와, 상기 체결판(51-3) 상부에 장착된 실린더부(51-4b)와, 상기 실린더부(51-4b)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상기 체결판(51-3)의 상부에 장착된 고정부(51-4c)와, 상기 고정부(51-4c)의 상단부와 상기 레버 삽입부(51-4a)를 연결하는 플랜지(51-4d)와 힌지(51-4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물품을 운반할 수 있는 캐리어에 물품(화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수동 유압식 리프트 장치(리프팅 잭)가 장착된 리프트 캐리어를 제공함으로써 전기 설비 환경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장소에 사용이 가능하면서 물품의 운반과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비가 저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를 전방 일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를 후방 일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좌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 잭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물품 적재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를 전방 일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를 후방 일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프트 캐리어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는 본체(10), 메인바퀴(20, 20'), 승강체(30), 물품 적재부(40, 40'), 리프팅 잭(50) 및 동력 전달부(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바(11), 받침대(12), 한 쌍의 안내레일(13, 13'), 한 쌍의 손잡이부(14, 14') 및 한 쌍의 지지바(15, 15')를 포함한다.
상단바(11)는 본체(10)의 상단부에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받침대(12)는 본체(10)의 하단부에 상단바(11)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좌우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단바(11)와 받침대(12)는 한 쌍의 안내레일(13, 13')과 한 쌍의 지지바(15, 15')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호 결합되어 지지되고, 받침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가 'ㄱ'자 또는 '역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받침대(12)의 양측 하단부에는 메인바퀴(20, 20')보다 작은 크기로 구름운동하는 보조바퀴(70, 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바퀴(70, 70')는 지면으로부터 리프트 캐리어의 중심을 잡아줘 사용자가 리프트 캐리어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4, 14')는 지지바(15, 15')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대략 성인 남녀의 어깨 넓이에 대응하는 폭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양손으로 파지가 용이하고 양손으로 손잡이부(14, 14')를 파지한 상태에서 리프트 캐리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안내레일(13, 13')은 상호 이격되어 원형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바(15, 15')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바(15, 15')는 상단바(11)와 받침대(12)의 좌우 양측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단바(11)를 수직방향으로 지지 고정하게 된다.
또한, 지지바(15, 15')는 본체(10)의 좌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되고, 지지바(15, 15')의 전방에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총 4개의 포크(21, 21')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포크(21, 21') 사이에는 메인바퀴(20, 20')의 좌우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에 따라 메인바퀴(20, 2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4, 14')를 이용하여 리프트 캐리어를 전방으로 미는 경우 포크(21, 21')를 축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리프트 캐리어를 후방으로 당기는 경우 후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승강체(30)는 리프팅 잭(50)의 승강 운동에 따라 본체(10)의 안내레일(13, 1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승강체(30)에 체결된 물품 적재부(40, 4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승강체(30)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안내레일(13, 13')과 결합되어 안내레일(13, 13')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따라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롤러(31, 31', 32, 32')를 통해 안내레일(13, 13')과 결합된 한 쌍의 브래킷(33, 33')과, 서로 이격되어 브래킷(33, 33')을 좌우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바(34, 35)를 포함한다.
또한, 브래킷(33, 33')은 도 2와 같이, 후방측이 개방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롤러(31, 31')는 브래킷(33, 33')의 개방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안내레일(13, 13')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롤러(32, 32')는 브래킷(33, 33')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안내레일(13, 13')의 전방측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31, 31', 32, 32')는 브래킷(33, 33')의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안내레일(13, 13')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결합됨에 따라 롤러(31, 31', 32, 32')와 안내레일(13, 13')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브래킷(33, 33')이 안내레일(13, 1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안내레일(13, 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승강체(30)의 안정적인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브래킷(33, 33')의 전방측에는 물품 적재부(40, 40')에 무거운 물품을 실었을 때 물품 적재부(40, 40')가 후방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지지바(36)가 제1 및 제2 연결바(34, 35)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품 적재부(40, 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지게차 포크와 유사하게 포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물품 적재부(40, 40')의 구조가 포크형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물품 적재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적재부(40, 4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 적재부(40, 4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제2 연결바(35)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2 연결바(35)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그 상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크기(폭)에 따라 제2 연결바(35)를 통해 독립적으로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호 간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적재되는 물품의 크기와 무관하게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물품 적재부(40, 40')는 일측부가 제2 연결바(35)에 연결됨에 따라 제2 연결바(35)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이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바(35)는 리프팅 잭(50)의 승강 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물품 적재부(40, 40') 또한 제2 연결바(35)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 잭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잭(50)은 유압 방식으로 수동으로 작동되는 잭 구동부(51)와, 잭 구동부(51)를 구동시키는 레버(52)를 포함한다.
레버(52)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52-1)와, 손잡이부(52-1)로부터 연장된 장착부(52-2)와, 장착부(52-2)의 양측에서 돌출된 돌기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레버 삽입부(51-4a)에 마련된 삽입홈에 끼워져 레버(52)에 힘을 가할 때 레버(52)가 쉽게 레버 삽입부(51-4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잭 구동부(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이 충진된 잭 몸체(51-1)와, 잭 몸체(51-1)의 상단에 장착되어 동력 전달부(60)의 롤러(61, 61')와 결합되는 승강 로드(51-2)와, 잭 몸체(51-1)를 받침대(12)의 상부에 체결하는 체결판(51-3)과, 체결판(5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 로드(51-2)를 작동시키는 작동부(51-4)를 포함한다.
또한, 작동부(51-4)는 레버(52)의 장착부(52-2)가 삽입되는 레버 삽입부(51-4a)와, 체결판(51-3) 상부에 장착된 실린더부(51-4b)와, 실린더부(51-4b)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체결판(51-3)의 상부에 장착된 고정부(51-4c)와, 고정부(51-4c)의 상단부와 레버 삽입부(51-4a)를 연결하는 플랜지(51-4d)와 힌지(51-4e)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리프팅 잭(50)의 작동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버(52)의 장착부(52-2)를 레버 삽입부(51-4a)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52-1)를 상하로 작동시킨다. 그러면, 레버 삽입부(51-4a)는 힌지핀(51-4e)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고, 이 회전력에 의해서 실린더부(51-4b)의 실린더가 작동되어 잭 몸체(51-1)의 오일을 작동시켜 승강 로드(51-2)가 상하 운동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 잭(50)의 레버(52)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 잭(50)은 족동식 방식으로, 사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레버를 작동시켜 리프팅 잭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리프팅 잭(5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승강 운동)을 승강체(3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60)는 도르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승강체(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동력 전달부(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잭(50)의 승강 로드(51-2)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61, 61')와, 롤러(61, 61')의 회전방향으로 롤러(61, 61')의 일부를 감싸도록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부가 제1 연결바(34)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받침대(12)에 체결된 체인(62, 62')을 포함한다.
리프팅 잭(50)의 승강 로드(51-2)가 상승하면, 승강 로드(51-2)와 체결된 롤러(61, 61')가 상승하고, 이때, 롤러(61, 61')의 회전방향으로 롤러(61, 61')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된 체인(62, 62')은 타측부가 받침대(12)에 체결되어 고정됨에 따라 승강 로드(51-1)로부터 상방으로 가해지는 힘은 체인(62, 62')의 일측부에 체결된 제1 연결바(34)에 전달되어 제1 연결바(34)를 상방으로 끌어올려 상승시키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캐리어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물품 적재부(40, 40')에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52)를 이용하여 리프팅 잭(50)의 승강 로드(51-2)를 상승시키면, 승강 로드(51-2)의 상단부와 체결된 동력 전달부(60)의 롤러(61, 61')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롤러(61, 61')와 결합된 체인(62, 62')을 통해 제1 연결바(34)에 힘이 전달된다.
제1 연결바(34)에 전달된 힘은 제1 연결바(34)가 일체로 체결된 승강체(30)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승강체(30)는 브래킷(33, 33')을 통해 안내레일(11, 11')을 따라 리프팅 잭(50)의 승강 로드(51-2)의 상승 높이 만큼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리프팅 잭(50)에 의해 승강체(30)가 상승하면, 승강체(30)의 제2 연결바(35)에 체결된 물품 적재부(40, 40') 또한 승강체(30)의 상승과 연동하여 상방으로 상승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물품 적재부(40, 4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4, 14')를 이용하여 리프트 캐리어를 전방으로 밀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 리프팅 잭(50)의 잭 구동부(51)에 마련된 잠금 해제부(51-5)를 조작하여 잠금을 해제하면 승강 로드(51-2)가 원위치로 하강하여 물품을 하역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11 : 상단바
12 : 받침대 13, 13' : 안내레일
14, 14' : 손잡이부 15, 15' : 지지바
20, 20' : 메인바퀴 21, 21' : 포크
30 : 승강체 31, 31', 32, 32' : 롤러
33, 33' : 브래킷 34 : 제1 연결바
35 : 제2 연결바 40, 40' : 물품 적재부
50 : 리프팅 잭 51 : 잭 구동부
52 : 레버 52-1 : 손잡이부
52-2 : 장착부 51-1 : 잭 몸체
51-2 : 승강 로드 51-3 : 체결판
51-4 : 작동부 51-5 : 잠금 해제부
51-4a : 레버 삽입부 51-4b : 실린더부
51-4c : 고정부 51-4d : 플랜지
51-4e : 힌지 60 : 동력 전달부
61, 61' : 롤러 62, 62' : 체인
70, 70' : 보조바퀴

Claims (5)

  1. 상단부에 좌우로 연장된 상단바(11)와, 하단부에 상기 상단바(11)와 나란하도록 좌우로 연장된 받침대(12)와, 상기 상단바(11)와 상기 받침대(12) 사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13, 13')과, 상기 안내레일(13, 13')과 나란하도록 상기 상단바(11)와 상기 받침대(12) 사이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지지바(15, 15')와, 상기 지지바(15, 15')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부(14, 14')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지지바(15, 15')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포크(21, 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바퀴(20, 20');
    상기 안내레일(13, 13')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롤러(31, 31', 32, 32')를 통해 상기 안내레일(13, 13')과 결합된 브래킷(33, 33')과, 상기 브래킷(33, 33')을 좌우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바(34, 35)를 포함하는 승강체(30);
    상기 제2 연결바(35)를 따라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물품 적재부(40, 40');
    상기 받침대(12)의 중앙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리프팅 잭(50); 및
    상기 리프팅 잭(50)의 승강 로드(51-2)의 상단부 양측에 결합되는 롤러(61, 61')와, 상기 롤러(61, 61')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롤러(61, 61')의 일부를 감싸도록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부가 상기 제1 연결바(34)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받침대(12)에 체결된 체인(62, 62')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2)의 양측부는 'ㄱ'자 형상 또는 '역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받침대(12)의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바퀴(20, 20')보다 작은 크기로 구름운동하는 보조바퀴(70, 7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33, 33')은 후방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31, 31')는 상기 브래킷(33, 33')의 개방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13, 13')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롤러(32, 32')는 상기 브래킷(33, 33')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13, 13')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적재부(40, 40')가 후방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래킷(33, 33')의 전방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34, 35)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상기 브래킷(33, 33')을 좌우로 연결하는 지지바(36)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잭(50)은:
    손잡이부(52-1);
    상기 손잡이부(52-1)로부터 연장된 장착부(52-2)를 포함하는 레버(52); 및
    오일이 충진된 잭 몸체(51-1)와, 상기 잭 몸체(51-1)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60)의 롤러(61, 61')와 결합되는 승강 로드(51-2)와, 상기 잭 몸체(51-1)를 상기 받침대(12)의 상부에 체결하는 체결판(51-3)과, 상기 체결판(5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 로드(51-2)를 작동시키는 작동부(51-4)를 포함하는 잭 구동부(51); 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51-4)는:
    상기 장착부(52-2)가 삽입되는 레버 삽입부(51-4a);
    상기 체결판(51-3) 상부에 장착된 실린더부(51-4b);
    상기 실린더부(51-4b)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상기 체결판(51-3)의 상부에 장착된 고정부(51-4c); 및
    상기 고정부(51-4c)의 상단부와 상기 레버 삽입부(51-4a)를 힌지(51-4e)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플랜지(51-4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리어.
KR2020130010335U 2013-12-12 2013-12-12 리프트 캐리어 KR200472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35U KR200472623Y1 (ko) 2013-12-12 2013-12-12 리프트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35U KR200472623Y1 (ko) 2013-12-12 2013-12-12 리프트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623Y1 true KR200472623Y1 (ko) 2014-05-13

Family

ID=5148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335U KR200472623Y1 (ko) 2013-12-12 2013-12-12 리프트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632B1 (ko) * 2016-02-26 2017-12-15 조재진 리프트 캐리어
KR20230095636A (ko) * 2021-12-22 2023-06-29 조민서 모듈구조를 갖는 저상형 주차로봇
KR20230100958A (ko) * 2021-12-29 2023-07-06 조민서 저상형 주차로봇의 홀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734A (ja) 2002-08-20 2004-05-20 Rohm & Haas Co 可搬ドラム配置システム
KR100517690B1 (ko) 2004-11-17 2005-09-28 정영옥 유압식 지게 카트
KR20080085415A (ko) * 2007-03-20 2008-09-24 이흥관 카트형 지게차
KR20130048957A (ko) * 2011-11-03 2013-05-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봇 탈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734A (ja) 2002-08-20 2004-05-20 Rohm & Haas Co 可搬ドラム配置システム
KR100517690B1 (ko) 2004-11-17 2005-09-28 정영옥 유압식 지게 카트
KR20080085415A (ko) * 2007-03-20 2008-09-24 이흥관 카트형 지게차
KR20130048957A (ko) * 2011-11-03 2013-05-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봇 탈부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632B1 (ko) * 2016-02-26 2017-12-15 조재진 리프트 캐리어
KR20230095636A (ko) * 2021-12-22 2023-06-29 조민서 모듈구조를 갖는 저상형 주차로봇
KR102666458B1 (ko) * 2021-12-22 2024-05-22 조민서 모듈구조를 갖는 저상형 주차로봇
KR20230100958A (ko) * 2021-12-29 2023-07-06 조민서 저상형 주차로봇의 홀더
KR102666465B1 (ko) * 2021-12-29 2024-05-22 조민서 저상형 주차로봇의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740B2 (en) Hand truck with electrically operated lifting platform
KR101809568B1 (ko) 벽돌운반용 리프트 장치
CN103723659B (zh) 立式氧化炉炉体半自动装卸装置
DK177585B1 (en) Transport Cart configured to Transport Beds with Wheels
KR200472623Y1 (ko) 리프트 캐리어
KR101455278B1 (ko) 비닐하우스용 물품운반구
US20170355575A1 (en) Cargo container crane
CN204251278U (zh) 一种起升装置及侧面式叉车
CN206857488U (zh) 一种应用于巷道式双立柱堆垛起重机中前后平移牵引设备
US7841603B2 (en) Hand truck
KR101131382B1 (ko)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CN110466586B (zh) 一种多功能爬楼机
US20100196131A1 (en) Ram operated vehicle lift
KR102135248B1 (ko)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KR20160003956U (ko) 차량 이동장치가 구비된 타워형 주차장치
JP2011001021A (ja) 車載式昇降装置
KR101225959B1 (ko) 벽돌운반용 수레
KR101809632B1 (ko) 리프트 캐리어
CN105271064B (zh) 一种新型稳定自提升堆高车
CN107472334A (zh) 运输车及运输方法
KR20140001888U (ko) 피아노 운반구
EP2923916A1 (en) Sack truck
CN105480823A (zh) 一种便移式施工升降机
KR20090011408U (ko) 스태커크레인의 상부 주행장치
CN220997865U (zh) 大跨距堆垛重载立体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