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415A - 카트형 지게차 - Google Patents

카트형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415A
KR20080085415A KR1020070026895A KR20070026895A KR20080085415A KR 20080085415 A KR20080085415 A KR 20080085415A KR 1020070026895 A KR1020070026895 A KR 1020070026895A KR 20070026895 A KR20070026895 A KR 20070026895A KR 20080085415 A KR20080085415 A KR 20080085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rt
article
elevating plate
type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147B1 (ko
Inventor
이흥관
Original Assignee
이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관 filed Critical 이흥관
Priority to KR102007002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1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85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형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가벼워 좁은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물품을 운반할 수 있으며, 특히 물품을 들어올리는 물품안착대를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이에따라 사용하는 용도 및 물품의 형태에 따라 물품안착대의 형상 및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 부피가 작아져 차량의 트렁크에 쉽게 적재할 수 있고 휴대가 편리함과 아울러 물품의 운반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물품안착대의 걸림부를 상,하단에 서로 대칭되게 두 개를 형성하여 상기 물품안착대를 뒤집어서 결합할 경우 물품을 더욱 높은 위치에까지 들어 올릴 수 있는 카트형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받침대(20)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30)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판(40)과, 상기 프레임(10)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판(40)을 승하강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트형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판(40)의 전방측에는 상기 승하강판(40)의 승하강시 물품을 들어올릴수 있도록 물품안착대(60)가 결합수단(65)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게차, 물품안착대, 걸림부, 나사조임구

Description

카트형 지게차{Cart Type Lif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에서 물품안착대와 받침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에서 승하강판의 후방측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에서 물품안착대가 승하강판에 두가지 방법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에서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트형 지게차 10: 프레임
11: 수직바 12: 수평바
13: 손잡이 20: 받침대
21: 제1돌출부 22: 제2돌출부
23: 핀 30: 바퀴
31: 지지프레임 40: 승하강판
41: 돌출부 42: 지지플레이트
43: 롤러 50: 구동수단
51: 유압실린더 51a: 내부통
51b: 외부통 51c,54a: 피스톤로드
52: 스프로킷 53: 체인
54: 유압펌프 55: 페달
56: 스프링 57: 유압블럭
57a: 통로 57b,57c: 체크밸브
58: 레버 58a: 작동밸브
60: 물품안착대 61: 수직프레임
62: 수평프레임 63: 걸림부
64: 나사조임구 65: 결합수단
본 발명은 카트형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가벼워 좁은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물품을 운반할 수 있으며, 특히 물품을 들어올리는 물품안착대를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이에따라 사용하는 용도 및 물품의 형태에 따라 물품안착대의 형상 및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 부피가 작아져 차량의 트렁크에 쉽게 적재할 수 있고 휴대가 편리함과 아울러 물품의 운반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물품안착 대의 걸림부를 상,하단에 서로 대칭되게 두 개를 형성하여 상기 물품안착대를 뒤집어서 결합할 경우 물품을 더욱 높은 위치에까지 들어 올릴 수 있는 카트형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중량물을 하역하거나 소요처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차량으로써, 수직 마스트의 전방에 설치되어 유압으로 승강 작동되는 포오크에 의해 중량물을 승강시켜 이동 적재할 수 있으므로 산업 현장에서의 중량물의 운반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한편, 최근 들어, 물품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염가로 판매하는 대형 할인 마트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바, 사람이 붐비는 전시장 내에 대량의 물품이 진열되는 대형 할인 마트의 특성상, 하물의 승강은 유압에 의해 수행하고, 운반은 인력으로 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수동식 지게차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개발된 수동식 지게차는 종래의 차량형 지게차의 형태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물품의 하중을 많이 받는 수직 마스트 전방에는 수직 마스트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하나 또는 두 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 마스트 후방에는 수직 마스트로부터 근접한 곳에 한쌍의 바퀴가 설치되어 포오크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을 전방 및 후방에서 지지하게 되어 있으며, 포오크의 승강 구조 역시 종래의 차량형 지게차의 형태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동식 지게차는, 차량형 지게차와는 달리 별도의 조향장치가 없으므로, 복잡한 전시장 내에서 자유롭게 방향 전환하기가 어려웠으며, 중량물을 싣고 운반하는 도중 앞 바퀴가 전시장 내의 장애물에 걸리게 되는 경우 앞바퀴가 회전하여 진행방향이 바뀌는 등 장애물을 건너기가 극히 어려웠으며, 하물의 승강 작업중 바퀴가 회전하여 작업이 원활이 진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중량이 많이 나가고 부피가 크므로, 휴대 이동이 불편하고 가격이 고가였다. 이에 따라, 소형 상점 등에서는 비용이나 비치 장소 등의 문제로 사용의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제한된 장소에서 제한된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69447호(2002.03.12)는,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가벼워 휴대가 편리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물품을 운반할 수 있는 카트형 지게차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카트형 기게차는, 프레임의 전방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한 "ㄴ"자 형태의 승강대가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에 상당한 길이로 돌출되기 때문에 전체 부피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차량의 트렁크에 적재하기가 불편하고 휴대 및 이동도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가벼워 좁은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물품을 운반할 수 있으며, 특히 물품을 들어올리는 물품안착대를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이에따라 사용하는 용도 및 물품의 형태에 따라 물품안착대의 형상 및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 부피가 작아져 차량의 트렁크에 쉽게 적재할 수 있고 휴대가 편리함과 아울러 물품의 운반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물품안착대의 걸림부를 상,하단에 서로 대칭되게 두 개를 형성하여 상기 물품안착대를 뒤집어서 결합할 경우 물품을 더욱 높은 위치에까지 들어 올릴 수 있는 카트형 지게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판과, 상기 프레임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판을 승하강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트형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판의 전방측에는 상기 승하강판의 승하강시 물품을 들어올릴수 있도록 물품안착대가 결합수단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에서 물품안착대와 받침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에서 승하강판의 후방측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에서 물품안 착대가 승하강판에 두가지 방법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에서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1)는, 프레임(10)과, 받침대(20)와, 바퀴(30)와, 승하강판(40)과, 구동수단(50)과, 물품안착대(6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바(11)와, 상기 한 쌍의 수직바(11)를 가로 질러 연결하는 수평바(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수직바(11)는 원형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수직바(11)의 상단에는 후방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된 손잡이(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바(11)의 하부에 결합되되, 일단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바(11)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바(11)의 전방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20)와 수직바(11)는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20)를 지면에 수평으로 놓게 되면 상기 프레임(10)은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30)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후방측에 형성된 지지프레임(31)에 한 쌍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바퀴(30)는 상기 받침대(20)의 밑면 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 쌍의 바퀴(30)의 밑면이 상기 받침대(20)의 밑면 보다 약 3mm 내지 30mm 정도 높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받침대(20)가 지면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바퀴(3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L) 들려 있게 된다.
따라서, 물품을 카트형 지게차(1)에 싣거나 카트형 지게차(1)로부터 내리는 작업을 하기 위해 상기 카트형 지게차(1)를 지면에 세우게 되면, 상기 받침대(20)는 지면에 직접 안착되고 상기 바퀴(30)는 지면으로부터 들린 상태가 됨으로써, 카트형 지게차(1)의 유동 없이 상기 승하강판(40) 및 물품안착대(60)를 승하강시켜 물품의 승하강 작업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물품의 승하강 작업 완료후에는 상기 손잡이(13)를 잡고 지게차(1)를 후방 즉, 작업자 쪽으로 당겨서 카트형 지게차(1)를 뒤쪽으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바퀴(30)가 지면에 닿게 되고 받침대(20)는 지면에서 들리게 되므로 카트형 지게차(1)를 운반할 때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이, 상기 카트형 지게차(1)에 물품을 실은 상태에서 운반할 때 매우 편리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카트형 지게차(1)를 지면에 세우게 되면 상기 받침대(20)가 지면에 닿아서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되어 유동 없이 물품의 승하강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20)의 하부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플레이트(미도시)를 부착하여 받침대(20)의 밑면이 긁히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판(40)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판(40)의 후방면에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2)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2)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수직바(11)의 외측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2)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수직바(11)의 전,후방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복수개의 롤러(43)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판(4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42)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43)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수직바(11)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프레임(10)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판(40)을 승하강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피스톤로드(51c)가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설치된 내부통(51a) 및 상기 내부통(51a)의 외주면과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외부통(51b)으로 이루어진 유압실린더(51)와, 상기 유압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51c)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52)과, 일단부는 상기 승하강판(4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10)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중간부는 상기 스프로킷(52)에 맞물리는 체인(53)과, 상기 유압실린더(51)의 내부통(51a)과 외부통(51b)에 각각 체크밸브(57b)(57c)를 통해 연통됨과 아울러 페달(55)을 밟을 때에만 외부통(51b)내의 오일을 내부통(51a)으로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로드(51c)를 유압으로 밀어 올리는 페달 작동형 유압펌프(54)와, 상기 페달 작동형 유압펌프(54)를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51)의 내 부통(51a)으로 공급된 오일을 다시 외부통(51b)으로 배출시켜 상기 피스톤로드(51c)를 하강시키는 작동밸브(58a) 및 상기 작동밸브(58a)를 개방/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레버(5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페달(55)의 끝단부는 상기 유압실린더(51)의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페달(55)의 끝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은 상기 유압펌프(54)의 피스톤로드(54a)의 상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로드(54a) 및 페달(55)은 상기 유압펌프(54)의 외주면에 설치된 스프링(56)에 의해 항상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는 탄력을 받게 된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51)와 유압펌프(54)의 하단에는 유압블럭(57)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유압블럭(57)의 내부에는 상기 유압실린더(51)의 외부통(51b)과 내부통(51a)을 상기 유압펌프(54)와 연통시키는 통로(5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통(51b)과 유압펌프(54)를 연결하는 통로(57a)에는 상기 페달(55)이 올라갈때에만 개방되어 상기 외부통(51b)내의 오일을 유압펌프(54)로 보내는 상기 체크밸브(57b)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통(51a)과 유압펌프(54)를 연결하는 통로(57a)에는 상기 페달(55)이 내려갈때에만 개방되어 상기 유압펌프(54)내의 오일을 내부통(51a)으로 보내는 상기 체크밸브(57c)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페달(55)을 발로 밟게 되면, 유압펌프(54)의 피스톤로드(54a)가 하강하고, 이때 상기 유압펌프(54)내의 오일은 유압블럭(57)의 개방된 체크밸브(57c) 및 통로(57a)를 통해 내부통(51a)으로 공급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내부통(51a)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로드(51c)는 유압에 의해 상 승하게 되면서 피스톤로드(51c)의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52)을 상승시키게 되어 상기 체인(53)으로 연결된 승하강판(40)도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페달(55)이 발로 밟혀져 내려간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56)에 의해 다시 올라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페달(55)이 다시 올라가게 되면, 상기 유압펌프(54)의 피스톤로드(54a)가 상승하고, 이때 상기 외부통(51b)내의 오일이 상기 유압블럭(57)의 통로(57a) 및 개방된 체크밸브(57b)를 통해 상기 유압펌프(54)내로 흡입된다.
이처럼 상기 페달(55)을 발로 다수회 밟음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51)의 외부통(51b)내의 오일이 상기 유압펌프(54)를 통해 내부통(51a)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51c)를 점차 상승시켜 상기 승하강판(40)을 상승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승하강판(4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승하강판(4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물품안착대(60)가 물품을 들어올리게 된다.
한편, 상승한 상태의 상기 승하강판(40) 및 물품안착대(60)를 다시 내리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기 레버(58)를 돌려 상기 작동밸브(58a)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유압실린더(51)의 내부통(51a)으로 공급된 오일이 다시 외부통(51b)으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상기 유압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51c)가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승하강판(40) 및 물품안착대(60)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51c)가 하강한 후에는 상기 레버(58)를 돌려 상기 작동밸브(58a)를 다시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물품안착대(60)는 상기 승하강판(40)의 전방측에 결합수단(65) 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판(40)의 승하강시 물품을 들어올릴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물품안착대(60)는 상기 승하강판(40)의 전방면에 밀착되는 수직프레임(61)과, 상기 수직프레임(61)의 일단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6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물품안착대(60)는 상기 승하강판(40)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65)은 상기 승하강판(4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걸쳐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물품안착대(60)의 수직프레임(61) 후방면에 걸림부(6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63)의 끝단부는 수직(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승하강판(40)의 상단을 감싸면서 걸쳐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63)에는 상기 물품안착대(60)가 상기 승하강판(40)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승하강판(40)과 직각방향으로 나사조임구(64)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물품안착대(60)의 걸림부(63)를 상기 승하강판(40)의 상단에 걸쳐지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조임구(64)를 회전시켜 조이게 되면 상기 나사조임구(64)의 단부가 상기 승하강판(40)에 밀착되어 상기 물품안착대(6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품안착대(60)의 이탈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판(40)의 후방면 단부측에 돌출부(4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나사조 임구(64)의 단부가 상기 승하강판(40)의 돌출부(41)에 걸리게 되어 물품안착대(6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63)는 상기 물품안착대(60)의 수직프레임(61)의 후방면 일단부에 한 개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수직프레임(61)의 후방면 상,하단에 서로 대칭되게 두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63)를 한 개만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수평프레임(62)의 반대편측인 상기 수직프레임(61)의 상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물품안착대(60)에 상기 걸림부(63)가 한 개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승하강판(40)의 상단에 결합시 한 방향으로만 설치가 가능하며, 즉, 상기 물품안착대(60)가 상기 승하강판(40)에 "ㄴ"자형태로만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물품안착대(60)에 상기 걸림부(63)가 서로 대칭되게 두 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승하강판(40)의 상단에 결합시 두 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즉, 도 4a와 같이 상기 물품안착대(60)를 상기 승하강판(40)에 "ㄴ"자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도 4b와 같이 거꾸로 뒤집어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승하강판(40)에 "ㄴ"자형태로 결합되는 물품안착대(60)를 뒤집어서 결합하게 되면 상기 물품안착대(60)의 수평프레임(62)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물품을 더욱 높은 위치에까지 들어 올릴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물품안착대(60)를 상기 승하강판(4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물품안착대(60)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즉, 운반하는 물품의 형 태에따라 물품안착대(60)의 형상이나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물품의 운반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품안착대(60)를 간단히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형 지게차(1)의 전체 부피가 작아져 차량의 트렁크에 쉽게 적재할 수 있고 휴대가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되는 "ㄷ"자형태의 받침대(20)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탈착가능하게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카트형 지게차(1)의 전체 부피를 더욱 줄일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의 트렁크에 쉽게 적재할 수 있고 휴대도 편리하다.
즉, 상기 받침대(20)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상기 프레임(10)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1돌출부(21)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2돌출부(22)로 분리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카트형 지게차(1)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제2돌출부(22)를 제1돌출부(21)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하면 되고, 전체 부피를 작게하여 차량의 트렁크에 적재하거나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2돌출부(22)를 제1돌출부(21)로부터 간단히 분리하면 된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22)를 제1돌출부(21)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제2돌출부(22)가 분리되지 않도록 제2돌출부(22)와 제1돌출부(21)를 서로 핀(23) 등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받침대(20)의 돌출된 부분을 분리형으로 제작한 경우 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상기 받침대(20)의 돌출된 부분을 절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형 지게차(1)는, 상기 분리형으로 제작된 물품안착대(60)를 상기 승하강판(40)의 상단에 걸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나사조임구(64)를 조임으로써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분리도 쉽게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물품안착대(60)에 물품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페달(55)을 다수회 밟으면 물품을 간편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트형 지게차의 전체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가벼워 좁은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물품을 운반할 수 있으며, 특히 물품을 들어올리는 물품안착대가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설치됨으로써, 전체 부피가 작아져 차량의 트렁크에 쉽게 적재할 수 있고 휴대가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물품안착대가 간편하게 교체가능한 분리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용도 및 물품의 형태에 따라 형상 및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물품의 운반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안착대의 걸림부를 상,하단에 서로 대칭되게 두 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물품안착대를 뒤집어서 결합할 경우 상기 수평프레임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물품을 더욱 높은 위치에까지 들어 올릴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부분까지 분리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카트형 지게차의 전체 부피를 더욱 줄일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의 트렁크에 더욱 쉽게 적재할 수 있고 휴대가 더욱 편리하다.

Claims (6)

  1.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받침대(20)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30)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판(40)과, 상기 프레임(10)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판(40)을 승하강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트형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판(40)의 전방측에는 상기 승하강판(40)의 승하강시 물품을 들어올릴수 있도록 물품안착대(60)가 결합수단(65)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지게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안착대(60)는 상기 승하강판(40)의 전방면에 밀착되는 수직프레임(61)과, 상기 수직프레임(61)의 일단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6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지게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65)은 상기 승하강판(4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걸쳐지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물품안착대(60)의 후방면에 끝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6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지게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63)는 상기 물품안착대(60)의 후방면 상,하단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지게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63)에는 상기 물품안착대(60)가 상기 승하강판(40)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승하강판(40)과 직각방향으로 나사조임구(64)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지게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1돌출부(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돌출부(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형 지게차.
KR1020070026895A 2007-03-20 2007-03-20 카트형 지게차 KR100886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895A KR100886147B1 (ko) 2007-03-20 2007-03-20 카트형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895A KR100886147B1 (ko) 2007-03-20 2007-03-20 카트형 지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415A true KR20080085415A (ko) 2008-09-24
KR100886147B1 KR100886147B1 (ko) 2009-02-27

Family

ID=4002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895A KR100886147B1 (ko) 2007-03-20 2007-03-20 카트형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1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23Y1 (ko) * 2013-12-12 2014-05-13 조방훈 리프트 캐리어
KR102013106B1 (ko) * 2019-05-29 2019-10-21 주식회사 진흥기술 차단기 운반용 리프트
CN112389926A (zh) * 2020-11-12 2021-02-23 陈玉新 一种物流仓储货架用小型装卸装置
CN113213384A (zh) * 2021-04-08 2021-08-06 安徽宇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叉车叉载重量检测结构及其预警系统
KR102560294B1 (ko) * 2023-02-13 2023-07-27 조태국 로프 결박이 가능한 구조 개선된 건설 자재 리프트 장치
KR102661945B1 (ko) * 2023-07-07 2024-04-29 서무정 이동 카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99A (ja) * 1994-07-28 1996-02-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のフォーク固定装置
KR200263899Y1 (ko) * 2001-07-25 2002-02-19 대성공업주식회사 비닐 하우스용 농산물 운반수레
KR100517690B1 (ko) * 2004-11-17 2005-09-28 정영옥 유압식 지게 카트
KR200427047Y1 (ko) * 2006-05-17 2006-09-20 (주)월탑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지게발을 갖는 리프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23Y1 (ko) * 2013-12-12 2014-05-13 조방훈 리프트 캐리어
KR102013106B1 (ko) * 2019-05-29 2019-10-21 주식회사 진흥기술 차단기 운반용 리프트
CN112389926A (zh) * 2020-11-12 2021-02-23 陈玉新 一种物流仓储货架用小型装卸装置
CN113213384A (zh) * 2021-04-08 2021-08-06 安徽宇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叉车叉载重量检测结构及其预警系统
KR102560294B1 (ko) * 2023-02-13 2023-07-27 조태국 로프 결박이 가능한 구조 개선된 건설 자재 리프트 장치
KR102661945B1 (ko) * 2023-07-07 2024-04-29 서무정 이동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147B1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147B1 (ko) 카트형 지게차
US7641011B2 (en) Pallet jack having width-adjustable fork prongs
CA2408065C (en) Cart moving system
US20140145408A1 (en) Transport cart
US20060219836A1 (en) Adjustable height coil dispenser
US4884936A (en) Lift for moving a container with castors
US20160368747A1 (en) Pallet transporting device
US20090232633A1 (en) Cart for a trailer hitch
US9809434B2 (en) Cart/pallet system
KR101319605B1 (ko) 쇼핑카트
EP0774419B1 (en) Tiltable portable pallet
US6511080B2 (en) Fork lift trolley
US8136822B2 (en) Hand truck loading accessories
US6824152B1 (en) Dolly device
KR100833969B1 (ko) 카트형 지게차
KR20080085416A (ko) 카트형 지게차
CN210736115U (zh) 一种小型叉车
KR20100002966U (ko)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JP4570689B1 (ja) パレットトラック
US11731677B2 (en) Hydraulic lift dolly
US20060120277A1 (en) Combination dolly and cart
KR101225959B1 (ko) 벽돌운반용 수레
DK178115B1 (en) Sack Truck
KR102329254B1 (ko) 리프트장치를 구비한 상자 이동대차
FR2836444A1 (fr) Chariot demontable, pour particulier, se chargeant avec son contenu dans le coffre de vehicules automo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