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449A - 궤도계 차량용 대차 - Google Patents

궤도계 차량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449A
KR20110103449A KR1020117017836A KR20117017836A KR20110103449A KR 20110103449 A KR20110103449 A KR 20110103449A KR 1020117017836 A KR1020117017836 A KR 1020117017836A KR 20117017836 A KR20117017836 A KR 20117017836A KR 20110103449 A KR20110103449 A KR 2011010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guide
pair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979B1 (ko
Inventor
히로끼 구라하시
노부유끼 후지오
히로유끼 고노
유끼히데 야노부
아끼히사 가와우찌
고오스께 가따히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0Power and free systems
    • B61B10/04Power and free systems with vehicles rolling trackless on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Abstract

구조를 심플하게 하면서, 안내륜 및 가이드 레일간의 마모나 열화를 방지하고, 또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한 궤도계 차량용 대차를 제공한다. 가이드 레일(1)에 안내되는 안내륜(9)을 장착한 안내 프레임(8)이, 주행륜(5)의 스티어링 차축(6)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고, 스티어링 차축(6)에 설치된 차축 브래킷(20)에, 스티어링 차축(6)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축(21)이 설치되고, 안내 프레임(8)의 선회와 주행륜(5)의 조타를 연동 가능하게 하는 링크 레버(22)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링크 레버(22)의 차량 단부측 단부가 주행륜(5)을 조타 가능하게 하는 연결 로드(1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링크 레버(22)의 중간부가 안내 프레임(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링크 레버(22)의 중앙측 단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2a)이 형성되고, 긴 구멍(22a)과 지지축(10)이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궤도계 차량용 대차.

Description

궤도계 차량용 대차{BOGIE FOR TRACK-GUIDED VEHICLE}
본 발명은, 궤도 상을 주행하는 궤도계 차량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신 교통 시스템 등의 궤도계 차량(이하, 「차량」이라 함)은, 궤도를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면서 궤도 상을 주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의 대차에서는, 고무 타이어 등으로 구성되는 주행륜이,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륜에 대해 항상 일정한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었으므로, 주행륜의 방향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변화될 뿐이었다. 그러나 차량이 곡선의 가이드 레일에 진입할 때, 주행륜의 직진하려고 하는 힘이나 차량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안내륜에는 가이드 레일을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이 크게 작용하여, 안내륜과 가이드 레일이 큰 압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안내륜 및 가이드 레일이, 마모나 열화 등이 되기 쉬워져 문제로 되고 있었다.
따라서, 안내륜 작용력에 대향하는 주행륜의 코너링 포스를 증가시켜, 안내륜과 가이드 레일의 접촉 압력을 저감하는 대책이 취해져 있다. 코너링 포스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차량의 대차에 주행륜을 조타하기 위한 스티어링 기구를 설치하여, 곡선의 가이드 레일에 진입할 때에, 이 스티어링 기구에 의해 슬립 앵글(조타각)을 증가시키도록 주행륜을 조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스티어링 기구를 구비하는 대차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킹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주행륜이, 차축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타이로드에 의해 서로 연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안내륜이 안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이 안내 프레임은 차축에 대해 한 쌍의 주행륜간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과 안내 프레임을 조타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타 로드가,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조타 로드의 한쪽 단부가,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을 조타하기 위한 스티어링 아암에 장착되고, 조타 로드의 다른 쪽 단부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안내 프레임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액추에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조타 로드의 안내 프레임측의 단부는 액추에이터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조타 로드의 안내 프레임측의 단부가 이동하면, 이 단부와 안내 프레임의 선회 중심(또는 차축)의 거리가, 조타 로드의 주행륜측의 단부와 차축의 거리에 대해 변경되어, 조타 로드가 차축에 대해 기울어진 자세로 된다. 그 결과, 조타 로드의 이동에 대한 스티어링 아암의 이동량이 변화되어, 이 스티어링 아암에 의해 조타되는 주행륜의 슬립 앵글이 변화되게 된다.
미국 특허 제6477963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대차에서는, 액추에이터의 차량 전후 방향의 동작에 의해, 차폭 방향으로 배치된 조타 로드의 자세를 변화시켜, 안내 프레임의 선회에 수반하여 조타되는 주행륜의 조타각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액추에이터의 동작과 조타 로드의 자세 변화와 주행륜의 조타각의 변화의 관계가 복잡하게 되어 있어, 그 구조 및 제어가 복잡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주행륜의 조타각을 미묘하게 변화시키도록,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어, 예를 들어 직선 주행 중의 차량을 안정 주행시키기 위해, 횡풍 등의 외란에 대응하여 주행륜의 조타각을 미세 조정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대차에서는, 액추에이터의 고장을 상정한 페일세이프 기능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주행륜이 안내 프레임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액추에이터가 고장나면, 직선 주행 상태에 있어서의 주행륜의 얼라인먼트가 어긋나게 된다. 이 경우, 주행륜이 사이드 슬립된 상태에서 주행하게 되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구조를 심플하게 하면서 안내륜 및 가이드 레일간의 마모나 열화를 방지하고,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 제어를 심플하게 하면서 주행륜의 슬립 앵글의 미세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액추에이터의 고장에 수반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 가능하게 하고, 또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한 궤도계 차량용 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궤도계 차량은, 스티어링 차축의 양단부에 각각 킹 핀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주행륜과, 주행 궤도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를 따라 안내되는 안내륜과, 상기 안내륜을 장착한 안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이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중앙측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을 연동 가능하게 구성한 타이로드와,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차량 단부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을 조타 가능하게 구성한 연결 로드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의 킹 핀에 장착되는 제1 스티어링 아암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다른 쪽의 킹 핀에 장착되는 제2 스티어링 아암과, 상기 스티어링 차축의 차폭 방향 중앙에서 상기 스티어링 차축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차축 브래킷과, 상기 차축 브래킷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차축 브래킷에 대해 상기 스티어링 차축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축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링크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로드의 양단부가, 상기 제1 스티어링 아암 및 상기 제2 스티어링 아암의 중앙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양단부가, 상기 제1 스티어링 아암의 차량 단부측 단부 및 상기 링크 레버의 차량 단부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가, 상기 안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링크 레버의 중앙측 단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긴 구멍과 상기 지지축이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궤도계 차량에서는, 상기 지지축의 이동 후에, 상기 지지축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원 기구가 상기 안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설치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궤도계 차량에서는, 상기 안내 프레임에 설치된 판 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내륜이 지지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판 스프링의 변위량에 대응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궤도계 차량용 대차는, 스티어링 차축의 양단부에 각각 킹 핀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주행륜과, 주행 궤도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를 따라 안내되는 안내륜과, 상기 안내륜을 장착한 안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이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중앙측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을 연동 가능하게 구성한 타이로드와,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차량 단부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을 조타 가능하게 구성한 연결 로드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의 킹 핀에 장착되는 제1 스티어링 아암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다른 쪽의 킹 핀에 장착되는 제2 스티어링 아암과, 상기 스티어링 차축의 차폭 방향 중앙에서 상기 스티어링 차축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차축 브래킷과, 상기 차축 브래킷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차축 브래킷에 대해 상기 스티어링 차축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축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링크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로드의 양단부가, 상기 제1 스티어링 아암 및 상기 제2 스티어링 아암의 중앙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양단부가, 상기 제1 스티어링 아암의 차량 단부측 단부 및 상기 링크 레버의 차량 단부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가, 상기 안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링크 레버의 중앙측 단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긴 구멍과 상기 지지축이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링크 레버의 회전 중심으로서 구성되는 상기 지지축이, 상기 스티어링 차축을 가로질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레버의 회전 중심이 상기 스티어링 차축의 차량 단부측에 위치하는 경우, 곡선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안내륜 및 상기 안내 프레임이 선회하면,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가 상기 안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링크 레버는 그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링크 레버의 차량 단부측 단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까지의 거리와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까지의 거리의 비율에 대응하여, 상기 링크 레버의 차량 단부측 단부는,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보다도 크게 회전한다. 이때, 안내 프레임의 선회와 동일 방향으로 크게 꺾이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연결 로드가 이동하고, 제1 스티어링 아암이 이동하여, 그 결과,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이, 상기 안내 프레임의 선회각보다도 크게 꺾여, 오버스티어 상태의 슬립 앵글로 되도록 조타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이 조타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타이로드가 이동하고, 상기 제2 스티어링 아암이 이동하여, 그 결과,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다른 쪽이, 오버스티어 상태의 슬립 앵글로 되도록 조타되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 레버의 회전 중심이 상기 스티어링 차축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안내륜 및 상기 안내 프레임이 선회하면, 상기 링크 레버의 차량 단부측 단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까지의 거리와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까지의 거리의 비율에 대응하여, 상기 링크 레버의 차량 단부측 단부는,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보다도 크게 회전한다. 이때, 상기 링크 레버 차량 단부측 단부는, 상기 안내 프레임의 선회와 반대 방향으로 꺾이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연결 로드가 이동하고, 상기 제1 스티어링 아암이 이동하여, 그 결과,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이, 상기 안내 프레임의 선회각보다도 작게 꺾여, 언더스티어 상태의 슬립 앵글로 되도록 조타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이 조타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타이로드가 이동하고, 상기 제2 스티어링 아암이 이동하여, 그 결과,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다른 쪽이, 언더스티어 상태의 슬립 앵글로 되도록 조타되게 된다.
상기 지지축의 이동에 의해, 상기 링크 레버의 차량 단부측 단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까지의 거리와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변경 가능해지므로, 상기 주행륜의 슬립 앵글이 오버스티어 상태와 언더스티어 상태의 사이에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한 쌍의 주행륜의 슬립 앵글을, 곡선의 가이드 레일의 곡률 반경 및 차량의 주행 속도 등에 대응하여, 오버스티어 상태 및 언더스티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주행륜의 코너링 포스를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안내륜의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을 저감하여, 상기 안내륜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접촉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주행륜이 고무 타이어인 경우에는, 고무 타이어의 마모에 의해 변화되는 코너링 포스의 감소에 대응하여, 오버스티어 상태에서 상기 링크 레버의 차량 단부측 단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까지의 거리를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까지의 거리에 대해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주행륜의 슬립 앵글을 증가시켜, 상기 안내륜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접촉 압력을 효율적으로 저감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궤도계 차량용 대차의 구조를 심플하게 하면서, 상기 안내륜 및 가이드 레일간의 마모나 열화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궤도계 차량에서는, 상기 지지축의 이동 후에, 상기 지지축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원 기구가 상기 안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설치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링크 레버의 차량 단부측 단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까지의 거리와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상기 지지축까지의 거리의 비율을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어하는 것과, 상기 한 쌍의 주행륜의 슬립 앵글을 조정하는 것의 관계가 심플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궤도계 차량용 대차의 제어를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장난 경우에도, 상기 복원 기구에 의해, 상기 지지축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하기 전의 원래의 중립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이, 상기 안내 프레임의 선회와 상기 주행륜의 조타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장난 경우라도, 상기 한 쌍의 주행륜이 직선 주행 및 곡선 주행에 대응하여 통상대로 조타되어, 차량이 통상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고장에 수반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궤도계 차량에서는, 상기 안내 프레임에 설치된 판 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내륜이 지지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판 스프링의 변위량에 대응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륜이 가이드 레일로부터 충격 등의 외란을 받은 경우라도, 상기 판 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내 프레임에 전달되는 외란이 완화되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차량의 탑승자의 승차감도 개선된다. 또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안내 프레임에 대한 상기 안내륜의 변위량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상기 한 쌍의 주행륜의 조타량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그로 인해, 차량이 곡선의 가이드 레일을 주행하는 경우 등에도, 신속하고 또한 적절하게 상기 한 쌍의 주행륜의 슬립 앵글이 조정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확보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직선 주행시의 궤도계 차량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궤도계 차량용 대차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궤도계 차량용 대차의 개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곡선 주행시의 궤도계 차량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오버스티어 상태에 있는 차량 전방측의 궤도계 차량용 대차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b)는 오버스티어 상태에 있는 차량 전방측의 궤도계 차량용 대차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언더스티어 상태에 있는 차량 전방측의 궤도계 차량용 대차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b)는 언더스티어 상태에 있는 차량 전방측의 궤도계 차량용 대차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직선 주행시의 궤도계 차량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직선 주행시의 궤도계 차량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궤도계 차량(이하, 「차량」이라 함)에 사용되는 대차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일례로서, 차량 전방측 및 후방측에 대차를 설치한 차량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차량의 진행 방향을 차량 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대차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폭 방향으로 좌우 한 쌍의 센터 가이드(1)가, 차량의 차폭 방향 중간에서 차량의 궤도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차량은 이 센터 가이드(1)를 따라 안내되면서 주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에 있어서, 차체(2)의 하부에는, 차량의 전방측의 전방측 대차(3) 및 후방측의 후방측 대차(4)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측의 전방측 대차(3) 및 후방측의 후방측 대차(4)[이하,「대차(3, 4)」라 칭함]의 구조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대차(3, 4)에는, 한 쌍의 주행륜(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행륜(5)의 일례로서, 주로 지하철 및 신 교통 시스템 등의 차량에서는, 고무 타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주행륜(5)의 다른 예로서, 철제의 차륜 등의 다른 소재로 제작되는 차륜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한 쌍의 주행륜(5)은, 동일 축선(5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서로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차(3, 4)에는, 주행륜(5)의 축선(5a)을 따라 스티어링 차축(6)이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주행륜(5)은, 스티어링 차축(6)의 양단부에 각각 킹 핀(7)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스티어링 차축(6)의 하방에는, 스티어링 차축(6)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안내 프레임(8)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내 프레임(8)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 빔(8a)이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한 쌍의 세로 빔(8a)의 차량 전후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가로 빔(8b)이 배치되어 있다. 이 세로 빔(8a)의 양단부에는, 각각 안내륜(9)이 회전축(9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스티어링 차축(6)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차량 단부측 및 중앙측에, 각각 한 쌍의 안내륜(9)이 위치하게 된다. 한 쌍의 안내륜(9)의 사이를 센터 가이드(1)가 통과하고 있고, 안내륜(9)은, 이 센터 가이드(1)의 차폭 방향의 외측면을 구름 이동하여, 센터 가이드(1)에 의해 안내되게 된다.
안내 프레임(8)에는, 한 쌍의 세로 빔(8a)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지 빔(8c)이, 스티어링 차축(6)과 차량 단부측의 가로 빔(8b)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 빔(8c)에는,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장착축(10)이 설치되어 있다. 장착축(10)은, 한 쌍의 주행륜(5) 사이의 중앙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축선(5b) 상에 배치되어 있다.
안내 프레임(8)에는, 한 쌍의 세로 빔(8a)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선회 부재(11)가, 스티어링 차축(6)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 선회 부재(11)의 하방에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선회 부재(1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선회 부재(11)와 제2 선회 부재(12) 사이에는, 리니어 가이드(13)가 설치되어 있다. 리니어 가이드(13)는, 한 쌍의 주행륜(5) 사이의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회 중심축(8d)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반경을 갖는 가상 원(8e) 상에 배치되어 있다. 선회 중심축(8d)은, 주행륜(5)의 축선(5a)과 한 쌍의 주행륜(5) 사이의 중앙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축선(5b)과의 교점에 대응하고 있다. 이 리니어 가이드(13)에 의해, 제1 선회 부재(11)는, 제2 선회 부재(12)에 대해, 선회 중심축(8d)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선회 부재(12)는, 스티어링 차축(6)에 장착되어 있고, 그로 인해, 안내 프레임(8)이, 스티어링 차축(6)에 대해 선회 중심축(8d)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차(3, 4)에는, 복원 로드(14) 및 수평 댐퍼(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복원 로드(14) 및 수평 댐퍼(15)를 생략하고 있다. 복원 로드(14)는, 스티어링 차축(6)의 차량 단부측이고, 또한 중앙 축선(5b)에 대해 한 쌍의 주행륜(5)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복원 로드(14)의 일단부는, 안내 프레임(8)의 세로 빔(8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원 로드(14)의 타단부는, 제2 선회 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수평 댐퍼(15)는, 스티어링 차축(6)에 대해 차량 단부측이고, 또한 중앙 축선(5b)에 대해 한 쌍의 주행륜(5)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수평 댐퍼(15)의 일단부는, 안내 프레임(8)의 세로 빔(8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평 댐퍼(15)의 타단부는, 제2 선회 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러한 복원 로드(14) 및 수평 댐퍼(15)에 의해, 안내 프레임(8)이, 선회 후에 있어서도 원래의 중립 위치로 복귀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안내 프레임(8)의 선회가 완충되게 된다.
여기서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주행륜(5) 중 한쪽을 조타 가능하게 하는 제1 스티어링 아암(16)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한 쌍의 주행륜(5) 중 한쪽의 킹 핀(7)에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주행륜(5) 중 다른 쪽을 조타 가능하게 하는 제2 스티어링 아암(17)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한 쌍의 주행륜(5) 중 다른 쪽의 킹 핀(7)에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주행륜(5)을 서로 연동시키기 위한 타이로드(18)가, 스티어링 차축(6)의 중앙측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타이로드(18)의 양단부는, 각각 제1 스티어링 아암(16) 및 제2 스티어링 아암(17)의 중앙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주행륜(5) 중 한쪽을 조타하기 위한 연결 로드(19)가, 스티어링 차축(6)의 차량 단부측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차축(6)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는, 스티어링 차축(6)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차축 브래킷(20)이 장착되어 있다. 차축 브래킷(20)에는, 차량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축(21)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1)은, 스티어링 차축(6)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대차(3, 4)에는, 링크 레버(22)가 스티어링 차축(6)을 가로지르도록 중앙 축선(5b)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연결 로드(19)의 일단부에는, 제1 스티어링 레버(16)의 차량 단부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 로드(19)의 타단부에는, 링크 레버(22)의 차량 단부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링크 레버(22)의 중간부는, 안내 프레임(8)에 설치된 장착축(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링크 레버(22)의 중앙측 단부에는, 스티어링 차축(6)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22a)과 차축 브래킷(20)에 설치된 지지축(21)이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지지축(21)과 긴 구멍(22a)의 결합 위치는, 스티어링 차축(6)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축(21)과 긴 구멍(22a)의 결합 위치의 변경에 수반되는 주행륜(5)의 슬립 앵글의 변화에 대해, 도 4, 도 5의 (a), 도 5의 (b), 도 6의 (a)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지지축(21)과 긴 구멍(22a)의 결합 위치가 스티어링 차축(6)에 대해 차량 단부측인 경우에 대해, 도 4, 도 5의 (a), 도 5의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링크 레버(22)의 회전 중심으로서 구성되는 지지축(21)이, 스티어링 차축(6)에 대해 거리 d1[도 5의 (a)에 나타냄]의 차량 단부측에 위치하는 경우, 곡선의 센터 가이드(1)를 따라 안내륜(9) 및 안내 프레임(8)이 선회하면, 링크 레버(22)의 중간부가 안내 프레임(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링크 레버(22)는 그 중앙측 단부의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링크 레버(22)의 차량 단부측 단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지지축(21)까지의 거리 d2[도 5의 (a)에 나타냄]와 링크 레버(22)의 중간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지지축(21)까지의 거리 d3[도 5의 (a)에 나타냄]의 비율에 대응하여, 링크 레버(22)의 차량 단부측 단부는, 링크 레버(22)의 중간부보다도 크게 회전한다. 이때, 링크 레버(22)의 차량 단부측 단부는, 안내 프레임(8)의 차폭 방향 좌우 중간을 지나는 축선(8f)에 대해, 안내 프레임(8)의 선회와 동일 방향측으로 크게 꺾이게 된다. 그로 인해, 연결 로드(19)가 이동하여, 제1 스티어링 아암(16)이 이동한다. 그 결과, 전방측 대차(3)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 중 한쪽에서, 곡선의 접선 방향에 대해 내궤측(內軌側)으로 기울어지는 슬립 앵글 α1이 발생하고, 후방측 대차(4)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 중 한쪽에서, 곡선의 접선 방향에 대해 외궤측(外軌側)으로 기울어지는 슬립 앵글 α2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주행륜(5) 중 한쪽이 조타되는 것에 수반하여, 타이로드(18)가 이동하여, 제2 스티어링 아암(17)이 이동한다. 그 결과, 전방측 대차(3)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 중 다른 쪽에서, 곡선의 접선 방향에 대해 내궤측으로 기울어지는 슬립 앵글 α1이 발생하고, 후방측 대차(4)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 중 다른 쪽에서, 곡선의 접선 방향에 대해 외궤측으로 기울어지는 슬립 앵글 α2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차(3, 4)는 오버스티어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은 모드는, 차량이 캔트(cant)가 부여된 곡선을 평형 속도보다도 약간 높은 속도로 주행하고, 또한 캔트가 부족한 상태에서 주행하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전방측 대차(3)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에는 곡선의 내측을 향하는 코너링 포스(화살표 CF1로 나타냄)가 발생하여, 내궤측에 있어서, 차량 단부측의 안내륜(9)에 있어서의 곡선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화살표 F1로 나타냄)이 저감되고, 중앙측의 안내륜(9)에 있어서의 곡선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화살표 F2로 나타냄)이 저감되어, 센터 가이드(1)와 내궤측의 안내륜(9)의 접촉 압력이 저감되게 된다. 한편, 후방측 대차(4)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에는 곡선의 외측을 향하는 코너링 포스(화살표 CF2로 나타냄)가 발생하여, 외궤측에 있어서, 차량 단부측의 안내륜(9)에 있어서의 곡선에 대해 내측을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화살표 F3으로 나타냄)이 저감되고, 중앙측의 안내륜(9)에 있어서의 곡선에 대해 내측을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화살표 F4로 나타냄)이 저감되어, 센터 가이드(1)와 외궤측의 안내륜(9)의 접촉 압력이 저감되게 된다.
한편, 지지축(21)과 긴 구멍(22a)의 결합 위치가 스티어링 차축(6)에 대해 차량 중앙측인 경우에 대해, 도 6의 (a)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링크 레버(22)의 회전 중심으로서 구성되는 지지축(21)이, 스티어링 차축(6)에 대해 거리 d4[도 6의 (a)에 나타냄]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경우, 곡선의 센터 가이드(1)를 따라 안내륜(9) 및 안내 프레임(8)이 선회하면, 링크 레버(22)의 중간부가 안내 프레임(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링크 레버(22)는 그 중앙측 단부의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링크 레버(22)의 차량 단부측 단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지지축(21)까지의 거리 d5[도 6의 (a)에 나타냄]와 링크 레버(22)의 중간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지지축(21)까지의 거리 d6[도 6의 (a)에 나타냄]의 비율에 대응하여, 링크 레버(22)의 차량 단부측 단부는, 링크 레버(22)의 중간부보다도 크게 회전한다. 이때, 링크 레버(22)의 차량 단부측 단부는, 안내 프레임(8)의 차폭 방향 좌우 중간을 지나는 축선(8f)에 대해, 안내 프레임(8)의 선회와 반대 방향측으로 꺾이게 된다. 그로 인해, 연결 로드(19)가 이동하여, 제1 스티어링 아암(16)이 이동한다. 그 결과, 전방측 대차(3)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 중 한쪽, 곡선의 접선 방향에 대해 외궤측으로 기울어지는 슬립 앵글 α3이 발생하고, 후방측 대차(4)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 중 한쪽, 곡선의 접선 방향에 대해 내궤측으로 기울어지는 슬립 앵글 α4(도시하지 않음)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주행륜(5) 중 한쪽이 조타되는 것에 수반하여, 타이로드(18)가 이동하여, 제2 스티어링 아암(17)이 이동한다. 그 결과, 전방측 대차(3)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 중 다른 쪽에서, 곡선의 접선 방향에 대해 외궤측으로 기울어지는 슬립 앵글 α3이 발생하고, 후방측 대차(4)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 중 다른 쪽에서, 곡선의 접선 방향에 대해 내궤측으로 기울어지는 슬립 앵글 α4(도시하지 않음)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차(3, 4)는 언더스티어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은 모드는, 차량이 캔트가 부여된 곡선을 평형 속도보다도 약간 낮은 속도로 주행하고, 또한 캔트 과다의 상태에서 주행하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전방측 대차(3)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에는 곡선의 외측을 향하는 코너링 포스(화살표 CF3으로 나타냄)가 발생하여, 외궤측에 있어서, 차량 단부측의 안내륜(9)에 있어서의 곡선에 대해 내측을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화살표 F5로 나타냄)이 저감되고, 중앙측의 안내륜(9)에 있어서의 곡선에 대해 내측을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화살표 F6으로 나타냄)이 저감되어, 센터 가이드(1)와 외궤측의 안내륜(9)의 접촉 압력이 저감되게 된다. 한편,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후방측 대차(4)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행륜(5)에는 곡선의 내측을 향하는 코너링 포스가 발생하여, 내궤측에 있어서, 차량 단부측의 안내륜(9)에 있어서의 곡선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이 저감되고, 중앙측의 안내륜(9)에 있어서의 곡선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이 저감되어, 센터 가이드(1)와 외궤측의 안내륜(9)의 접촉 압력이 저감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주행륜(5)의 슬립 앵글을, 곡선의 센터 가이드(1)의 곡률 반경 및 차량의 주행 속도 등에 대응하여, 오버스티어 상태 및 언더스티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한 쌍의 주행륜(5)의 코너링 포스를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안내륜(9)의 센터 가이드(1)를 향하는 안내륜 작용력을 저감하여, 센터 가이드(1)와 안내륜(9)의 접촉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륜(5)이 고무 타이어인 경우에는, 고무 타이어의 마모에 의해 변화되는 코너링 포스의 감소에 대응하여, 오버스티어 상태로 링크 레버(22)의 차량 단부측 단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지지축(21)까지의 거리를 링크 레버(22)의 중간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지지축(21)까지의 거리에 대해 증가시킴으로써 한 쌍의 주행륜(5)의 슬립 앵글을 증가시켜, 센터 가이드(1)와 안내륜(9)의 접촉 압력을 효율적으로 저감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대차(3, 4)의 구조를 심플하게 하면서, 상기 안내륜 및 센터 가이드간의 마모나 열화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차량용 대차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차량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프레임(8)에는, 복원 기구(31)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복원 기구(31)는, 곡선 주행시 등에 이동한 지지축(21)을, 직선 주행 상태의 원래의 중립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원 기구(31)의 일례로서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면 좋지만, 코일 스프링 이외의 다른 가압 수단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안내 프레임(8)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신축 동작 가능한 액추에이터(32)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액추에이터(32)는, 지지축(21)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지지축(21)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는, 액추에이터(32)의 동작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링크 레버(22)의 차량 단부측 단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지지축(21)까지의 거리와 링크 레버(22)의 중간부로부터 중앙측 단부의 지지축(21)까지의 거리의 비율을 액추에이터(32)에 의해 제어하는 것과, 한 쌍의 주행륜(5)의 슬립 앵글을 조정하는 것의 관계가 심플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차(3, 4)의 제어를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32)가 고장난 경우에도, 복원 기구(31)에 의해 지지축(21)이 액추에이터(32)에 의한 이동전의 원래의 중립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32)의 동작이, 안내 프레임(8)의 선회와 주행륜(5)의 조타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액추에이터(32)가 고장난 경우라도, 한 쌍의 주행륜(5)이 직선 주행 및 곡선 주행에 대응하여 통상대로 조타되어, 차량이 통상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32)의 고장에 수반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차량용 대차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차량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차량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프레임(8)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 빔(8g)이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 프레임(8)의 차량 전후 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빔(8h)이 배치되어 있다. 가로 빔(8h)의 양단부에는, 각각 안내륜(9)이 회전축(9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세로 빔(8g)의 차량 전후 방향의 양단부와 가로 빔(8h) 사이에는, 판 스프링(41)이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스티어링 차축(6)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차량 단부측 및 중앙측에, 각각 한 쌍의 안내륜(9) 및 판 스프링(41)이 위치하게 된다. 한 쌍의 안내륜(9) 사이를 센터 가이드(1)가 통과하고 있고, 안내륜(9)은, 이 센터 가이드(1)의 차폭 방향의 외측면을 구름 이동하여, 센터 가이드(1)에 의해 안내되게 된다.
판 스프링(41)의 변위량을 검출 가능한 검출 수단(42)이, 판 스프링(41)에 대응하여 안내 프레임(8)에 설치되어 있다. 검출 수단(42)의 일례로서, 리미트 스위치가 사용되면 좋지만, 판 스프링(41)의 변위량을 검출 가능하면 다른 검출 수단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검출 수단(42)에 의해 검출되는 판 스프링(41)의 변위량에 대응하여,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43)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내륜(9)이 센터 가이드(1)로부터 충격 등의 외란을 받은 경우라도, 판 스프링(41)에 의해 안내 프레임(8)에 전달되는 외란이 완화되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차량의 탑승자의 승차감도 개선된다. 또한, 검출 수단(42)에 의해 검출되는 안내 프레임(8)에 대한 안내륜(9)의 변위량에 대응하여, 한 쌍의 주행륜(5)의 조타량이 액추에이터(32)에 의해 신속하게 제어되게 된다. 그로 인해, 차량이 곡선의 센터 가이드(1)를 주행하는 경우 등에도, 신속하고 또한 적절하게 한 쌍의 주행륜(5)의 슬립 앵글이 조정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확보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로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내륜(9)이, 센터 가이드 방식의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차폭 방향으로 좌우 한 쌍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차폭 방향 내측의 면을 구름 이동하여, 안내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로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내륜(9)이, 차량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에 안내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1 : 센터 가이드
2 : 차체
3 : 전방측 대차
4 : 후방측 대차
5 : 주행륜
5a : 축선
5b : 중앙 축선
6 : 스티어링 차축
7 : 킹 핀
8 : 안내 프레임
8a, 8g : 세로 빔
8b, 8h : 가로 빔
8c : 지지 빔
8d : 선회 중심축
8e : 가상 원
8f : 축선
9 : 안내륜
10 : 장착축
11 : 제1 선회 부재
12 : 제2 선회 부재
13 : 리니어 가이드
14 : 복원 로드
15 : 수평 댐퍼
16 : 제1 스티어링 아암
17 : 제2 스티어링 아암
18 : 타이로드
19 : 연결 로드
20 : 차축 브래킷
21 : 지지축
22 : 링크 레버
22a : 긴 구멍
31 : 복원 기구
32 : 액추에이터
41 : 판 스프링
42 : 검출 수단
43 : 제어 수단
A, F1 내지 F6, CF1 내지 CF3, S : 화살표
α1 내지 α3 : 슬립 앵글
d1 내지 d6 : 거리

Claims (3)

  1. 스티어링 차축의 양단부에 각각 킹 핀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주행륜과,
    주행 궤도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를 따라 안내되는 안내륜과,
    상기 안내륜을 장착한 안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이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중앙측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을 연동 가능하게 구성한 타이로드와,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차량 단부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을 조타 가능하게 구성한 연결 로드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한쪽의 킹 핀에 장착되는 제1 스티어링 아암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륜 중 다른 쪽 킹 핀에 장착되는 제2 스티어링 아암과,
    상기 스티어링 차축의 차폭 방향 중앙에서 상기 스티어링 차축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차축 브래킷과,
    상기 차축 브래킷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차축 브래킷에 대해 상기 스티어링 차축을 가로지르도록 차량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축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링크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로드의 양단부가, 상기 제1 스티어링 아암 및 상기 제2 스티어링 아암의 중앙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양단부가, 상기 제1 스티어링 아암의 차량 단부측 단부 및 상기 링크 레버의 차량 단부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링크 레버의 중간부가, 상기 안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링크 레버의 중앙측 단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긴 구멍과 상기 지지축이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궤도계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이동 후에, 상기 지지축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원 기구가 상기 안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차축에 설치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궤도계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레임에 설치된 판 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내륜이 지지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판 스프링의 변위량에 대응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궤도계 차량.
KR1020117017836A 2009-03-25 2009-07-01 궤도계 차량용 대차 KR101252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3954A JP4995217B2 (ja) 2009-03-25 2009-03-25 軌道系車両用台車及び軌道系車両
JPJP-P-2009-073954 2009-03-25
PCT/JP2009/062062 WO2010109683A1 (ja) 2009-03-25 2009-07-01 軌道系車両用台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449A true KR20110103449A (ko) 2011-09-20
KR101252979B1 KR101252979B1 (ko) 2013-04-15

Family

ID=4278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836A KR101252979B1 (ko) 2009-03-25 2009-07-01 궤도계 차량용 대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81660B2 (ko)
JP (1) JP4995217B2 (ko)
KR (1) KR101252979B1 (ko)
CN (1) CN102292251B (ko)
HK (1) HK1160425A1 (ko)
SG (1) SG172980A1 (ko)
TW (1) TW201034881A (ko)
WO (1) WO20101096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579B1 (ko) * 2012-10-29 2013-06-10 주식회사 경서시스템 단일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101386705B1 (ko) * 2013-03-15 2014-04-18 주식회사 경서시스템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7280B2 (ja) * 2009-02-26 2012-1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JP4995217B2 (ja) * 2009-03-25 2012-08-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及び軌道系車両
JP4995216B2 (ja) * 2009-03-25 2012-08-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CA2668966C (en) * 2009-06-26 2011-09-13 Lanza Projects Corporation Railway truck
KR101013126B1 (ko) * 2010-06-03 2011-02-10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철도 차량용 자기 조향 장치
JP5601959B2 (ja) * 2010-10-14 2014-10-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式車両の走行装置
JP5422546B2 (ja) 2010-12-20 2014-02-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式車両
JP5713725B2 (ja) * 2011-02-23 2015-05-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分岐装置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KR101664630B1 (ko) * 2011-08-31 2016-10-1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수수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
US8863670B2 (en) * 2012-05-16 2014-10-21 Nordco Inc. Rail mover with independently pivoting wheel assemblies
WO2014128878A1 (ja) * 2013-02-21 2014-08-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及び、案内輪間距離の変更方法
JP5669914B1 (ja) 2013-10-18 2015-02-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走行台車、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車両
JP6213825B2 (ja) * 2013-11-28 2017-10-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走行台車及び軌道式車両
JP5868930B2 (ja) * 2013-11-28 2016-02-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走行台車、及び車両
JP5730381B1 (ja) * 2013-12-12 2015-06-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案内輪、走行台車、及び車両
CN104986173A (zh) * 2015-06-25 2015-10-21 重庆交通大学 跨座式单轨列车主动转向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5083890B (zh) * 2015-08-06 2017-08-25 中冶节能环保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式轨道自动对接装置
CN109159794A (zh) * 2018-11-01 2019-01-08 西南交通大学 一种悬挂式单轨列车径向转向架
CN110155113B (zh) * 2019-05-29 2024-03-08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单轨走行装置和单轨车辆
CN112009515B (zh) * 2019-05-31 2022-04-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轨道车辆的转向架、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CN112009516B (zh) * 2019-05-31 2022-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转向架和具有其的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KR102308422B1 (ko) * 2019-11-29 2021-10-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무차륜형식 경량전철용 주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7165A (en) 1959-04-11 1963-02-12 Pirelli Vehicle guide means
JPS5139722B2 (ko) * 1972-02-18 1976-10-29
US3921466A (en) * 1973-03-30 1975-11-25 Ltv Aerospace Corp Translating device
JPS5330407B2 (ko) * 1974-05-17 1978-08-26
JPS544169Y2 (ko) * 1974-05-29 1979-02-24
JPS5256979Y2 (ko) * 1974-06-19 1977-12-23
JPS5261024A (en) * 1975-11-13 1977-05-20 Takemochi Ishii Steering control system for fourrwheel steered vehicle
US4089272A (en) * 1976-11-22 1978-05-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portation vehicle guidance apparatus
DE2721071C2 (de) * 1977-05-11 1986-04-2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erkehrssystem für spurgeführte Fahrzeuge mit lenkbaren Rädern
JPS5912504B2 (ja) * 1978-03-01 1984-03-2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案内軌道車の操向装置
JPS54131210A (en) * 1978-04-03 1979-10-12 Kawasaki Heavy Ind Ltd Device for suspending guide track car
US4223611A (en) * 1979-04-11 1980-09-23 The Boeing Company Vehicle steering apparatus
US4299172A (en) * 1979-09-26 1981-11-10 The Boeing Company Steering sense reversing mechanism for guided vehicles
LU83276A1 (fr) 1981-04-02 1983-03-24 Constr Ferroviaires & Metalliq Systeme de guidage automatique d'un vehicule muni de roues a bandage pneumatique
JPS59139456U (ja) * 1983-03-09 1984-09-1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中央案内軌条走行車両の操向装置
JPS616061A (ja) * 1984-06-18 1986-01-11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案内軌道車の走行装置
FR2759340B1 (fr) 1997-02-11 1999-04-09 Lohr Ind Systeme de guidage le long d'au moins un rail au sol pour un essieu d'un vehicule routier
DE60037244T2 (de) * 1999-03-12 2008-10-09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Vorrichtung und Methode zur Lenkung eines Führungsbahnfahrzeuges
NO20032053D0 (no) * 2003-05-07 2003-05-07 Posco Group Ltd Styreskinne
JP4370237B2 (ja) * 2004-12-21 2009-11-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フェイルセイフ機構
JP4209406B2 (ja) * 2005-04-28 2009-01-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4317862B2 (ja) * 2006-09-15 2009-08-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
EP2045163A4 (en) 2006-11-01 2012-03-21 Mitsubishi Heavy Ind Ltd RAIL TYPE CIRCULATION SYSTEM
JP5249509B2 (ja) * 2006-11-10 2013-07-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US8161889B2 (en) 2006-11-16 2012-04-24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Bogie structure for a track vehicle
JP5271905B2 (ja) 2007-07-19 2013-08-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4801637B2 (ja) 2007-07-19 2011-10-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操舵制御方法及び装置
JP5107280B2 (ja) 2009-02-26 2012-1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JP5291503B2 (ja) 2009-03-17 2013-09-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JP4995217B2 (ja) * 2009-03-25 2012-08-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及び軌道系車両
JP4995216B2 (ja) 2009-03-25 2012-08-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579B1 (ko) * 2012-10-29 2013-06-10 주식회사 경서시스템 단일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101386705B1 (ko) * 2013-03-15 2014-04-18 주식회사 경서시스템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72980A1 (en) 2011-08-29
CN102292251A (zh) 2011-12-21
HK1160425A1 (en) 2012-08-17
JP2010221951A (ja) 2010-10-07
WO2010109683A1 (ja) 2010-09-30
JP4995217B2 (ja) 2012-08-08
US20110265683A1 (en) 2011-11-03
CN102292251B (zh) 2014-03-12
US8381660B2 (en) 2013-02-26
KR101252979B1 (ko) 2013-04-15
TW201034881A (en)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979B1 (ko) 궤도계 차량용 대차
KR101324854B1 (ko) 궤도계 차량용 대차
KR101297938B1 (ko) 궤도계 차량용 대차
KR101334414B1 (ko) 가이드 레일식 차량용 대차
KR101325392B1 (ko) 궤도계 차량용 대차
US10131367B2 (en) Steering bogie, and vehicle for track-based transportation system
JP6222828B2 (ja) 走行台車及び軌道式車両
KR20110120949A (ko) 궤도계 차량용 대차
JP4317836B2 (ja) 軌道系車両の台車構造
JP6213825B2 (ja) 走行台車及び軌道式車両
WO2019163153A1 (ja) 台車、及び車両
JP6426998B2 (ja) 鉄道車両用操舵台車
JP2010202164A (ja) 軌道系車両の案内装置
JP2003002193A (ja) 鉄道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